KR20110121743A -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743A
KR20110121743A KR1020100041163A KR20100041163A KR20110121743A KR 20110121743 A KR20110121743 A KR 20110121743A KR 1020100041163 A KR1020100041163 A KR 1020100041163A KR 20100041163 A KR20100041163 A KR 20100041163A KR 20110121743 A KR20110121743 A KR 2011012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emporary storage
water
membrane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746B1 (ko
Inventor
송수니
송명운
Original Assignee
송수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수니 filed Critical 송수니
Priority to KR1020100041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74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5Separating means for recovering oil floating on a surface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이나 하천에서의 오일 등의 유류회수, 부유쓰레기회수, 여름 장마철 등의 홍수 등으로 인해 댐 등의 수면 부유 쓰레기 회수 등의 다목적 기능을 가진 방제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바다 등의 해상이나 담수 등에서의 선박 오일누출사고, 댐의 장마철 홍수로 인한 부유물 등의 각종오염물질 수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거,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장치는 예인선을 이용하여 오염된 해수면이나 담수면을 ‘Y’자 형태의 분리막휀스로 오염물질의 분포확산을 방지하며 수집하며, 임시저장소로 저장되어지고 바로 유류 또는 부유물은 이송관으로 이동되어지고 이곳에서 분류된 유류 또는 부유물은 부유물저장소 즉 바지선이나 유류 저장 선박에 바로바로 저장되어진다. 또한 임시저장소에서 유류 또는 부유물이 분리된 분리수도 마찬가지로 바로바로 배출관으로 이송되어져 다시 해수면이나 담수면으로 배출되어진다.
본 장치는 바다나 호수, 댐, 저수지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으며, 선박에 연결되어진 단점을 보완하여 긴급시 육지로의 이송 즉 분리, 조립이 가능하여 신속하게 이동가능하기에 수면의 오염에 널리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Surface oil and suspended solids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상에서의 오일 등의 유류회수, 쓰레기 회수, 여름 장마철 등의 홍수 등으로 인해 댐 등의 수면부유 쓰레기 회수 등의 다목적 기능을 가진 방제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해난사고 등으로 선박이나 유조선이 파손이나 침몰되어 많은 양의 유류가 해수면에 유출됨으로 인해 해양환경 파괴에 대한 심각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여름 장마철의 폭우로 댐이나 저수지 수면에 쓰레기 등의 부유물이 가득하여 수질악화는 물론 수질생태계까지 위협받는 상황이다.
기름 유출사고에는 확산분포를 방지하기 위해 신속한 처리가 급선무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거의 모든 오일누출 등의 사고 때에는 오일휀스를 설치하고 유화제(화학약품)를 뿌려 바다 밑으로 침강시키는 방법이나 스키머를 사용하여 기름을 흡입하였고 그나마 유회수장비는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파도 등의 영향으로 악천후 시에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를 안고 있다. 오일만 회수하는데는 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유화제 등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기름을 분해하는 경우에는 유화제의 유독성으로 인해 어장의 황폐화와 상태계를 파괴하는 폐해와 스키머 사용으로 인한 2차 폐기물로 인해 환경오염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코자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4679)과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149398)등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14679) 같은 경우는 정화선내부에 기름회수 및 유화제 살포 수중산소 공급기능 등을 구성하여 다기능을 탑재하였다 하지만 선수에 위치한 버킷으로 오일을 담아 올리게 되는 상황이며, 버킷의 교환시기에는 오일이 흘러 선미로 향하게 되면 이때 유화제 나 석회 등을 뿌리게 되는 구성작용이다. 하지만 여기서 오일이 1차에 걸쳐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유화제 사용으로 인한 폐해가 있고, 또한 수중산소공급기 사용으로 수중을 오히려 탁하게 만들어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다 하겠다.
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20-0149398)는 ‘Y’형태로된 구조물과 바지선을 연결하고, 구조물에 집유부를 설치하여 펌프를 이용하여 바지선상부에 위치한 3차의 여과탱크를 통과하면서 바지선 밑에 분류오일이 저장되는 구조이다. 이때 여과탱크가 불순물에 의해 막히게 되면 수리하는 기간에는 여과를 못하게 되는 부분이 있다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정화하는 과정에서 버킷 등의 사용으로 인한 시간차로 오염물질의 잔존과 이로 인한 유화제 등의 화학약품사용, 또한 3차의 여과탱크사용으로 인한 고장시 방제지연 등이 해결되야할 것이다.
이러한 상기 과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면에 유출된 현장의 오일의 두께 상황과 해수면의 파도 높이에 따라서 임시저장소로 유입되는 차단막의 상,하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임시저장소에는 해상에 부유하는 기름과 일부 해수 또는 담수를 임시저장소로 유입시켜 기름과 물의 비중차이로 인해 자연 유수분리시키고, 분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은 저장소에서 진공흡입하여 저장하고, 정화 분리된 해수 또는 담수는 분리수 배출관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방제선과 장치가 분리되어 화제나, 폭발 등의 위험에서 안전할 수 있으며, 유출된 유류는 재 정화과정을 거쳐 재활용되게 된다. 이러한 신속한 과정으로 해양오염으로 인한 환경공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장치는 구조가 간단하며 예인선을 이용하여 바다 등의 해상이나 저수지, 댐의 장마철 홍수로 인한 부유물 등의 각종오염물질 수거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다량의 유류나 각종 부유오염물질 등을 단시간내에 수거, 제거할 수 있을뿐더러 회수한 오일 등을 재활용하여 생태계파괴와 환경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하겠다.
제 1도는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
제 2도는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사시도
제 3도는 임시저장소의 내부를 표시한 사시도
제 4도는 임시저장소의 차단막의 조절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 5도는 부력본체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
본 발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로서 분리막휀스(100)는 부력을 가지고 있는 판재로서‘Y’자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임시저장소(200)의 상단 양옆에 위치 체결된다. 분리막휀스(100)는 수면에 절반정도 잠겨있으며, 파도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의 흐름에 벌어지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분리막휀스(100) 종단과, 중단부근에 지지대(110)가 위치하여 체결 구성된다. 임시저장소(200)는 각형 판재로 구성되며 깊이가 있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분리막휀스(100) 쪽 방향으로 차단막(210)이 형성되고, 차단막(210)은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의 양과 두께 등의 상태에 따라 물과 부유물이 같이 유입되도록 또는 차단되도록 상하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임시저장소(200) 한쪽에는 하단에는 분리수 배출관(310), 다른 한쪽 중간에는 이송관(300)이 위치하여 구성되며,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과 분리된 정화된 해수 또는 담수(A)가 이송 또는 배송되게 된다. 이송관(300)은 분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 저장소(6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임시저장소(200)는 한쌍의 분리막휀스(100)가 위치한 반대편에 부력본체(400)에 체결 연결되어 구성되며, 부력본체(400)에 따라 수면깊이조절이 가능하다. 부력본체(400)는 예인선(500)이 밀면서 운행 가능하도록 선수의 모양처럼 절곡 구성되었다. 또한 예인선(500)의 과도한 힘이나 높은 파도 등으로 부력본체(400)에 올라타게 되면 부력본체(400)가 가라앉게 되므로 이를 방지코자, 부력본체(400)양쪽 중간과 상단에 예인선(500)과의 체결을 위한 선박 연결고정대(410)가 위치하여 형성되어진다. 예인선(500)과 부력본체(400)가 로프(420)로 선박 연결고정대(410)와 체결되어져 운행되어진다.
제 2 도는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사시도로서 수면 오일유출사고일 때 예인선(500)은 부력본체(400)에 밀착하여 선박 연결고정대(410)를 로프(420)와 체결하고 사고유역으로 본 장치를 이동시킨다. 한쌍의 분리막휀스(100)는 수면에 중간정도 잠긴 체로 수면과 유류 또는 부유물질을 임시저장소(200)로 집결 유도 유입시키게 된다. 임시저장소(200)에는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과 해수 또는 담수(A)가 함께 유입되어지며, 차단막(210)은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의 양, 두께 등의 상태에 따라 제 4도처럼 상하높이조절가능하고, 부유물질은 물과의 비중의 차로 자연분리되어 임시저장소(200)의 중간에 위치한 이송관(300)을 거쳐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관(300)은 분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 저장소(600) 즉 오일저장선박이나 바지선등에서 진공흡입하게 된다. 자연분리되어 가라앉아 있는 분리된 해수 또는 담수(A)는 분리수 배출관(310)으로 배출되게된다.
제 3 도는 임시저장소(200)의 내부를 표시한 사시도로서 임시저장소(200) 내부로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과 해수 또는 담수(A)가 함께 유입되면 비중의 차이로 자연분리되게 되어 물은 가라앉고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임시저장소(200) 하단에 위치한 분리수 배출관(310)을 통하여 진공펌프(330)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송관(300)은 분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 저장소(600) 즉 오일저장선박이나 바지선등에서 진공흡입하게 된다. 임시저장소(200)의 이송관(300)과 분리수 배출관(310)의 끝 하단부분에는 자동위치센서(320)가 위치 구성되어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 또는 해수 또는 담수(A)가 용량미달일 때는 작동을 하지 않게 자동조절된다.
제 5도는 부력본체(400)의 구성을 설명한 사시도로서 예인선(500)등의 선박이 본 장치를 운행할 때 부력본체(400)에 접근하여 밀착하게 된다. 이때 파도 또는 수면의 급격한 상승 등의 영향으로 선박이 부력본체(400)를 타고 위에서 누를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선박 연결고정대(410)를 위치 구성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예인선(500)을 로프(420)로 고정시키면 된다. 고무방현재 루버팬터(430)는 예인선(500)등의 선박 파손 등을 방지하고자 위치 구성하였다.
A : 해수 또는 담수 B :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
100 : 분리막 휀스 110 : 지지대
200 : 임시저장소 210 : 차단막
300 : 이송관 310 : 분리수 배출관
320 : 자동위치센서 330 : 진공펌프
400 : 부력본체 410 : 선박 연결고정대
420 : 로프 430 : 고무방현재 루버팬터
500 : 예인선 600 : 분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 저장소

Claims (1)

  1. 본 장치에 있어서 수면 위에서 분리막휀스(100)는 부력을 가지고 있는 판재로서‘Y’자 형태로 서로 마주보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임시저장소(200)의 상단 양옆에 위치 체결되고 분리막휀스(100)는 수면에 절반정도 잠겨있으며, 파도나,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의 흐름에 벌어지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분리막휀스(100) 종단과, 중단부근에 지지대(110)가 위치구성되며, 임시저장소(200)는 각형 판재로 구성되고 깊이가 있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분리막휀스(100) 쪽 방향으로 차단막(210)이 형성되고, 차단막(210)은 유류 또는 각종 부유오염물질(B)의 양과 두께 등의 상태에 따라 물과 부유물이 같이 유입되도록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되어있으며, 임시저장소(200) 한쪽에는 하단에는 분리수 배출관(310), 다른 한쪽 중간에는 이송관(300)이 위치하여 구성되며, 부력본체(400)에 임시저장소(200)가 체결 연결되어 구성되며, 본체는 예인선(500)이 밀면서 운행 가능하도록 선수의 모양처럼 절곡 구성되며, 부력본체(400)양쪽 중간과 상단에 예인선(500)과의 체결을 위한 선박 연결고정대(410)가 위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100041163A 2010-05-02 2010-05-02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14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63A KR101114746B1 (ko) 2010-05-02 2010-05-02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163A KR101114746B1 (ko) 2010-05-02 2010-05-02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743A true KR20110121743A (ko) 2011-11-09
KR101114746B1 KR101114746B1 (ko) 2012-03-05

Family

ID=4539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163A KR101114746B1 (ko) 2010-05-02 2010-05-02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74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393A (ko) * 2013-05-16 2014-11-26 김원태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479179B1 (ko) * 2012-09-18 2015-01-05 김현승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CN104260840A (zh) * 2014-09-24 2015-01-07 浙江海洋学院 一种清污船
KR101642740B1 (ko) 2015-05-27 2016-08-10 이홍규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KR20160117981A (ko)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아이런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KR20180001295U (ko)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유출 기름 회수기.
US10400409B2 (en) 2016-12-28 2019-09-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il collecting apparatus and oil collec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49066B1 (ko) * 2018-10-30 2019-11-2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위어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선
KR20210027743A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드론을 활용한 조류제거선의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197B1 (ko) * 2015-01-09 2015-07-28 주식회사 금성종합기술단 선박 장착용 부유물 포집장치
KR102075081B1 (ko) 2017-11-28 2020-02-07 수상에스티(주)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KR20200064559A (ko) 2018-11-29 2020-06-08 수상에스티(주) 여과홀 타공형 격벽 기반 멀티 유수분리영역에 의한 유회수 시스템
KR102451988B1 (ko) * 2020-06-18 2022-10-07 주식회사 포어시스 전방향 해양 부유쓰레기 차집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79B1 (ko) * 2012-09-18 2015-01-05 김현승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KR20140135393A (ko) * 2013-05-16 2014-11-26 김원태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N104260840A (zh) * 2014-09-24 2015-01-07 浙江海洋学院 一种清污船
CN104260840B (zh) * 2014-09-24 2016-08-17 浙江海洋学院 一种清污船
KR20160117981A (ko)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아이런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KR101642740B1 (ko) 2015-05-27 2016-08-10 이홍규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KR20180001295U (ko)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유출 기름 회수기.
US10400409B2 (en) 2016-12-28 2019-09-03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il collecting apparatus and oil collec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49066B1 (ko) * 2018-10-30 2019-11-26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위어를 포함하는 조류 제거선
KR20210027743A (ko) * 2019-09-03 2021-03-1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드론을 활용한 조류제거선의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746B1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746B1 (ko)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US5108591A (en) Oil spill recovery system
US7485235B2 (en) Waste collection system
KR101732896B1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KR101070807B1 (ko) 부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호수,하천,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조류제거선 시스템 및 방법
KR102197606B1 (ko) 부유물 청소 및 녹조방지장치
US10794027B2 (en) Pollution filter and containment
KR20140009958A (ko) 해상에 유출된 기름 회수와 오염물질 청소용 특수선박
US20130118998A1 (en) Collector Apparatus
US10682590B2 (en) Mixed density fluid separator
KR100239829B1 (ko)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US9199249B2 (en) Suction float and collecting device, and collection vessel
GB2480858A (en) An oil spill recovery system
KR20230170611A (ko) 해양 오염원 회수용 선박
KR101728209B1 (ko) 기름 방재 및 기름 회수용 선박
KR20090103353A (ko) 부유기름 수거장치
US20130193040A1 (en) Systems for automated capture and recovery of oil from oil-contaminated water and solids
Čović et al. Methods of Pollution Removal after Tanker “Erika” Accident
KR20080015036A (ko) 수면의 부유물을 모으는 물탱크
KR20100000111U (ko) 오일 회수가 가능한 소방차
JP3517758B2 (ja) 埋立地内の余水の吐出方法
KR101551841B1 (ko) 중장비 작업용 해상 부유식 구조물
RU27930U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отока от нефтяных загрязнений
KR20240067632A (ko) 해상 유출 기름 회수시스템용 유수분리형 회수 기름 저장장치
Betts Cleanup of inland oil sp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