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82B1 -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82B1
KR101653482B1 KR1020150010333A KR20150010333A KR101653482B1 KR 101653482 B1 KR101653482 B1 KR 101653482B1 KR 1020150010333 A KR1020150010333 A KR 1020150010333A KR 20150010333 A KR20150010333 A KR 20150010333A KR 101653482 B1 KR101653482 B1 KR 10165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spring
rail
roller
ra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491A (ko
Inventor
고수연
Original Assignee
고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연 filed Critical 고수연
Priority to KR102015001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8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에 필요한 곡률(R)에 대하여 포인트 기법으로 벤딩처리함에 따라, 벤딩의 신속성과 정밀도 향상에도 크기 기여할 뿐 아니라 보다 짧은 구간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R들을 손 쉽게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 레일의 품질과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유용한 새로운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레일스프링(S)을 강제 이송시키는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 상기 레일스프링(S)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블럭(220);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의 상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레일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상부 받침 블럭(210);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 상,하측 사이에는 일정한 단차(H) 만큼 높낮이 차이를 갖는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날로 찍어서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각으로 꺽임이 할당되도록 하는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Point of the spring rail car wiper bend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에 필요한 곡률(R)에 대하여 포인트 기법으로 벤딩처리함에 따라, 벤딩의 신속성과 정밀도 향상에도 크기 기여할 뿐 아니라 보다 짧은 구간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R들을 손 쉽게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프링 레일의 품질과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유용한 새로운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차 와이퍼의 스프링 레일은, 와이퍼의 전체적인 골격을 잡아주면서도 차량 유리창면의 곡률과 와이퍼 동작시 변화되는 굴곡에도 불구하고 항시 우효한 밀착성이 요구됨에 따라,
높은 강도와 탄력 및 휨성이 우수한 금속재(스프링강, 탄소강 등)으로 제작되는 동시에 벤딩공정을 통하여 전체 길이에 대하여 일정한 크기의 R 또는 자유로운 다양한 크기의 곡률(R)들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을 벤딩처리하는 종래의 R 가공기는, 대부분 일정한 직경의 로울러를 이용하여 굽힘각을 부여하고, 이들의 연속된 동작으로 인하여 원하는 곡률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허출원 제10-2006-0007144호(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레일 곡률벤딩방법 및 그 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429990호(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 레일의 곡률벤딩장치)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벤딩법은 일정한 스탭 간격으로 굽힘각을 점차적으로 부여할 때, 일측을 받쳐주는 받침력 및 반대측에서 누르는 가압력이 모두 원호 형상으로 된 로울러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곡률이 형성될 때 그 형상이 아주 매끈하고 부드러워서 최상의 벤딩법으로 여겨질 수 있으나,
이는 곡률의 굽힘에 필요한 받침력과 가압력 사이의 간격이 필요이상으로 커서 정밀한 굴곡을 만드는데 어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로울러로 가압하는 매 순간나타나는 그 굽힘각의 정도를 예측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굽힘각이 형성되는 간격 또한 상당히 커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굴곡은 정밀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크고 작은 다양한 R을 갖는 굴곡의 형상을 벤딩하는 작업이 쉽지 않고 뷸량률 또한 상당히 높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다군다나 기존과 같이 로울러를 이용하여 레일스프링의 일부를 젖히면서 굽힘각을 형성시키면, 레일스프링의 재질이 갖는 소정의 탄성으로 인해 실제로 벤딩되는 것보다 휠씬 큰 간격 만큼 푸시로 밀어서 젖혀야만 하고,
다시 원위치 후 이러한 동작을 연속 번복으로 실시를 해야하므로 전체적인 굴곡을 형성시키는데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와이퍼용 스프링레일의 곡률을 형성시키기 위해 굽힘 가압력을 순차적으로 인가시킬 때, 폭넓은 로울로의 곡면으로 밀어 젖히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날로 찍어서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각으로 꺽임이 할당되는 포인트 벤딩을 짧은 간격 연속으로 실시함에 따라, 보다 다양한 R의 곡률 벤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벤딩의 정밀도 및 품질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뿐 아니라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생산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에 관하여 새로운 포인트 벤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곡률 벤딩이 필요한 레일스프링(S)을 상,하 롤러로 가압하면서 강제 이송시키는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 상기 강제이송용 롤러장치(110) 전측의 하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레일스프링(S)의 저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블럭(220);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위쪽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의 상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레일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상부 받침 블럭(210);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전측에 구비하되,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간 전,후측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 상,하측 사이에는 일정한 단차(L) 만큼 높낮이 차이를 갖는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차(L)로 인해 일정하게 휘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날로 찍어서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각으로 꺽임이 할당되도록 하는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 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는, 명확한 자국을 형성하면서 미세한 각으로 꺽기는 포인트 벤딩 공정을 다수회 연속 일정간격 별로 실시하기 때문에, 확대하여 자세히 볼 때 각으로 꺽어진 상태일 수 있으나 레일스프링에 형성된 전체적인 곡률의 형태를 보면 점차적으로 꺽어진 포인트 벤딩부들의 조합에 의해, 마치 원만하고 부드러운 R로 형성된 것 처럼 보여짐으로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필요한 유효한 곡룰을 갖추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으며, 특히 명확한 포인트 형태로 벤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벤딩 나이프를 자동화로 동작시킬 때, 필요한 제어 값을 산출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 벤딩의 매 순간 요구되는 나이프 동작의 거리 및 소요 시간이 매우 짧아서 곡률 전체를 벤딩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점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포인트 벤딩의 간격이 아주 짧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훨씬 작은 R까지도 곡률 벤딩이 가능하한 것은 물론, 레일스프링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더욱 조밀하고 치밀한 R 벤딩이 가능하여 곡률 벤딩의정밀도 향상에도 크게 도움이 되는 등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중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또 다FMS 측면 구조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곡률을 벤딩하는 예시의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을 통해 곡률 벤딩된 상태의 와이퍼용 레일스프링 정면도, 사시도 및 확대도
본 발명의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본 발명은 곡률 벤딩이 필요한 레일스프링(S)을 상,하 롤러로 가압하면서 강제 이송시키는 1셋트 이상 설치되는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
상기 강제이송용 롤러장치(110) 전측의 하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레일스프링(S)의 저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블럭(220);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위쪽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의 상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레일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상부 받침 블럭(210);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전측에 구비하되,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간 전,후측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 상,하측 사이에는 일정한 단차(H) 만큼 높낮이 차이를 갖는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차(H)로 인해 일정하게 휘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날로 찍어서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각으로 꺽임이 할당되도록 하는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 중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는, 곡률 벤딩이 필요한 레일스프링(S)을 상,하 가압으로 로링하는 과정을 통해 강제로 이송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구동용 서보모터(111)에 의해 강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하부 롤러(112,112')가 한쌍으로 배치시키되,
상기 한쌍의 상,하부 롤러(112,112') 중 어느하나에는 구동용 서보모터(111)와 연결된 원동축(113)이 구성되는 반면,
다른 하나에는 상기 원동축(113)이 회전될 때 그 동력을 인가 받아서 동시에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동축(114)이 구성되고
상부 롤러(112)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동축(114)의 양측 끝은 상, 하부 롤러(112.112') 사이에 레일스프링(S)이 통과될 때 그 두께만큼 윗쪽으로 더 이격이 가능하도록 양측 지지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홈(115)에 끼워서 구성하며,
상기 피동축(114) 자체는 상부 롤러(112)와 함께 아래방향으로 항시 눌러져 있다가 레일스프링(S)이 통과함에 따라 위로 이격될 때는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하작동대(116)를 구성시킨 다음, 상기 상하작동대(116)와 그 위쪽의 상부프레임(117)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18)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111)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축(113)과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기 피동축(114) 사이에는, 피동축(114)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원동축(113)의 회전동력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동력을 연결하는 동시구동용 회전연결장치(12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시구동용 회전연결장치(120)는 상기 구동모터(111)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축(113)의 일단에 원동기어(121)를 구성시키는 동시에,
상기 원동기어(121)와 대응하는 그 상측의 별도 회전축(123)에는 원동기어와 서로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122)를 구성시키고,
상기 피동기어(122)가 결합된 별도 회전축(123)과 상기 피동축(114)의 끝단부 사이에는 센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도 회전전달이 가능한 조인트(124)를 연결함에 따라 피동축(114)의 이격 및 그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의 후측에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에 구비된 구동용 서보모터(111)가 구성되어 지지 않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구성의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를 추가로 더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추가 설치될 수 있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의 회전동력을 인가 받아서 동시에 회전이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와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의 각 원동축(121) 끝단부에 풀리(110-1a)를 구성한 다음 타이밍 벨트(110-1b)를 걸어서 회전 동력을 연결하면 아주 유용하고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이송용 롤러장치(110) 전측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블럭(220)은,
상기 강제이송용 롤러장치(110)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레일스프링(S)의 저면을 수평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인 동시에,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에 의해 포인트 벤딩시 그 하부을 유효하게 받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상측에 구성되는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은,
레일스프링(S)이 이송될 때 하부 가이드블럭보다 높은 위치에 구성되는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로 인해 전방 일부가 상부로 들리면서 위로 들뜨려고 할 때.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일정한 간격(L)이 유지된 위치에서 레일스프링의 윗면을 받치는 역할을 함에 따라 포인트 벤딩이 유효하게 가능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아울러,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는 앞서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과는 일정한 간격(L)이 유지된 상태에서 그 전측의 위치에서 구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에는 상호 일정한 단차(H) 만큼 높은 위치에 구성됨에 따라,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의 앞쪽 부분이 그 단차(H) 만큼 위로 들리면서 이송이 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자유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필요에 따라 그 높낮이의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보모터(231)에 의해 정밀하게 정역 유동이 가능한 푸시로드(232)와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232)는 서보모터(231) 및 스크우류(233)의 정역 회전에 따라 미세한 간격으로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작동대에 결합시켜 미세한 간격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즉, 레일스프링을 요구되는 전체적인 곡률 또는 각 부분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부분적인 곡률에 따라, 일정한 간격 별로 수행하는 포인트 벤딩의 굽힘량과 그 절곡각이 조금씩 달라져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 사이의 상,하 단차(H)를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조절되어야 함으로, 위와 같이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에 대한 상,하 높이 조절수단이 필수로 요구되는 것이다.
나아가,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에 관하여 간단하게 언급하면,
폭은 좁지만 길이는 아주 길쭉한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일정한 곡률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를 통해 강제 이송되는 스프링레일에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꺽임각을 형성하는 포인트벤딩을 실시하는 것과;
상기 포인트 벤딩은 일정한 등간격 다수 회를 순차로 실시하여 이들의 누적된 굽힘각에 의해 전제적인 곡률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이때, 상기 포인트 벤딩은,
상부 받침 블럭(210)과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사이의 전후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L)을 할당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와 조절용 벤딩롤러(230) 사이의 상하측으로는 일정한 단차(H)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과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 사이에 포인트절곡홈(V)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조건의 포인트절곡홈(V)으로 휘어지면서 지나가는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의 날로 찍어서 명확한 포인트 자국과 함께 미세한 꺽임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는 벤딩에 필요한 일정한 간격 만큼 상,하 푸시동작이 가능하도록 서보모터 또는 에어 실린더(241) 및 스크류(243)에 의해 정밀하게 승하강 동작하는 승하강작동대(242)에 결합시킴에 따라, 일정한 타임과 상,하 높이간격으로 포인트 벤딩 작업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L: 간격 H: 단차
V: 포인트절곡홈 210: 상부 받침 블럭
220: 하부 가이드블럭 230: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
240: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

Claims (8)

  1. 폭은 좁지만 길이는 아주 길쭉한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일정한 곡률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를 통해 강제 이송되는 상기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포인트 자국과 함께 꺽임각을 형성하는 포인트 벤딩을 실시하는 것과;
    포인트 벤딩은 일정한 등간격 다수 회를 순차로 실시하여 이들의 누적된 굽힘각에 의해 전체적인 곡률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포인트 벤딩은, 상부 받침 블럭(210)과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사이의 전후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L)을 할당하고,;
    하부 가이드블럭(220)와 조절용 벤딩롤러(230) 사이의 상하측으로는 일정한 단차(H)를 유지함에 따라,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 사이에 포인트절곡홈(V)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포인트절곡홈(V)으로 휘어지면서 지나가는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의 날로 찍어서 포인트 자국과 함께 꺽임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
    특징으로 한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2. 곡률 벤딩이 필요한 레일스프링(S)을 상,하 롤러로 가압하면서 강제 이송시키는 1셋트 이상 설치되는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
    상기 강제이송용 롤러장치(110) 전측의 하부에 구성되며 이송되는 레일스프링(S)의 저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블럭(220);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위쪽에 배치되고, 이송되는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의 상면을 수평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이 상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받침 블럭(210);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및 하부 가이드블럭(220)의 전측에 구비하되,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간 전,후측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 상,하측 사이에는 일정한 단차(H) 만큼 높낮이 차이를 갖는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와 상기 상부 받침 블럭(210) 사이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단차(H)로 인해 일정하게 휘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에 뽀쪽한 날로 찍어서 포인트 자국과 함께 각으로 꺽임이 할당되도록 하는 포인트형 벤딩 나이프(2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는,
    구동용 서보모터(111)에 의해 강제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한쌍의 상,하부 롤러(112,112')가 한쌍으로 배치시키되,
    상기 한쌍의 상,하부 롤러(112,112')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용 서보모터(111)와 연결된 원동축(113)이 구성되는 반면,
    다른 하나에는 상기 원동축(113)이 회전될 때 그 동력을 인가 받아서 동시에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피동축(114)이 구성되고
    상부 롤러(112)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동축(114)의 양측 끝은 상, 하부 롤러(112.112') 사이에 레일스프링(S)이 통과될 때 그 두께만큼 윗쪽으로 더 이격이 가능하도록 양측 지지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홈(115)에 끼워서 구성하며,
    상기 피동축(114) 자체는 상부 롤러(112)와 함께 아래방향으로 눌러져 있다가 레일스프링(S)이 통과함에 따라 위로 이격될 때는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하작동대(116)를 구성시킨 다음, 상기 상하작동대(116)와 그 위쪽의 상부프레임(117)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18)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구동모터(111)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축(113)과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상기 피동축(114) 사이에는, 피동축(114)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원동축(113)의 회전동력에 따라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그 동력을 연결하는 동시구동용 회전연결장치(1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구동용 회전연결장치(120)는,
    상기 구동모터(111)에 의해 회전되는 원동축(113)의 일단에 원동기어(121)를 구성시키는 동시에,
    상기 원동기어(121)와 대응하는 그 상측의 별도 회전축(123)에는 원동기어와 서로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122)를 구성시키고,
    상기 피동기어(122)가 결합된 별도 회전축(123)과 상기 피동축(114)의 끝단부 사이에는 센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도 회전전달이 가능한 조인트(124)를 연결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의 후측에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에 구비된 구동용 서보모터(111)가 구성되어 지지 않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구성의 자동차 와이퍼용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를 추가로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6. 제 2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설치될 수 있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는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롤러장치(110)의 회전동력을 인가 받아서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와 상기 레일스프링 강제 이송용 보조 롤러장치(110-1)의 각 원동축(121) 끝단부에 풀리(110-1a)를 구성한 다음 타이밍 벨트(110-1b)를 걸어서 회전 동력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절용 벤딩롤러(230)는,
    상부 받침 블럭(210)과는 일정한 간격(L)이 유지된 상태에서 그 전측의 위치에서 구성되며,
    하부 가이드블럭(220)간에는 상호 일정한 단차(H) 만큼 높은 위치에 구성됨에 따라, 이송되는 레일스프링의 앞쪽 부분이 그 단차(H) 만큼 위로 들리면서 이송이 되도록,
    자유회전이 가능한 회전롤러로 구성되고,
    그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보모터(231)에 의해 정역 유동이 가능한 푸시로드(232)와 결합되며,
    상기 푸시로드(232)는 서보모터(231) 및 스크우류(233)의 정역 회전에 따라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작동대에 결합시켜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장치.
  8. 삭제
KR1020150010333A 2015-01-22 2015-01-22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KR10165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33A KR101653482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333A KR101653482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91A KR20160090491A (ko) 2016-08-01
KR101653482B1 true KR101653482B1 (ko) 2016-09-09

Family

ID=56706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333A KR101653482B1 (ko) 2015-01-22 2015-01-22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1013A (zh) * 2020-07-17 2020-12-18 凌云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弯成型辊压线的变曲率成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990Y1 (ko) * 2006-08-21 2006-10-31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레일의 곡률벤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9123A (ja) * 1995-07-03 1996-04-16 Suehiro Mizukawa 板材の曲げ加工方法
KR20070077555A (ko) * 2006-01-24 2007-07-27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레일의 곡률벤딩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1478A (ko) * 2010-12-23 2012-07-03 서울질화(주) 와이퍼용 레일 스프링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990Y1 (ko) * 2006-08-21 2006-10-31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레일의 곡률벤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491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956B1 (ko) 휘어진 스프링 부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127577B (zh) 一种卷圆焊接设备
CN110756894B (zh) 型材裁切装置
CN201309074Y (zh) 冲床生产线设备
CN110497464B (zh) 橡胶密封条在线裁切装置
CN211249106U (zh) 方管切断打磨设备
CN101575797B (zh) 半自动双刀伞面压裁机
CN109436694B (zh) 智能柔性封边线进料系统
CN211707848U (zh) 一种用于型材加工的连续切断装置
CN203818185U (zh) 一种食品切割流水线
CN101200850B (zh) 伞面压裁机
CN107142710B (zh) 一种切滚条机自动对边系统
CN114289607B (zh) 一种冷弯成型中的在线连续冲孔装置
KR101653482B1 (ko) 자동차 와이퍼용 스프링 레일의 포인트 벤딩방법 및 그 장치
CN105312361A (zh) T型钢矫平机
KR20060081794A (ko) 문틀 제조를 위한 판재 성형장치
CN110026598B (zh) 一种递增式纵向切割板材的方法及多刀递增式纵向切割机
CN203818199U (zh) 一种食品专用切割工具
CN210794570U (zh) 一种输送装置以及具有输送装置的转弯机
CN113967942A (zh) 一种pvc发泡板的定长裁切装置
CN203621902U (zh) 铁带成型机
KR200429990Y1 (ko) 와이퍼 블레이드 스프링레일의 곡률벤딩장치
CN207971319U (zh) 一种冲压成型设备的下料装置
CN213997555U (zh) 金属薄板折弯加工设备
CN216966052U (zh) 一种窗帘带自动铆合生产线的进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