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111B1 -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 Google Patents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111B1
KR101653111B1 KR1020150108009A KR20150108009A KR101653111B1 KR 101653111 B1 KR101653111 B1 KR 101653111B1 KR 1020150108009 A KR1020150108009 A KR 1020150108009A KR 20150108009 A KR20150108009 A KR 20150108009A KR 101653111 B1 KR101653111 B1 KR 101653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ash
base frame
wheel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회분이 수용되고, 상기 관통홀(11)과 연통되는 회분함체(30)와; 상기 관통홀(11)에 설치되면서 상기 바퀴(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폭조절판(46)이 구비된 회분배출기(4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유닛(60) 및; 상기 바퀴(20)의 회전에 따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그라운드에 라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쉽게 마킹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운드용 라인마커{Line Marker for Ground}
본 발명은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분을 이용하여 학교 운동장, 축구장, 야구장과 같은 그라운드에 경기영역을 구분하는 라인을 쉽게 표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나 축구 등 그라운드(운동장, 경기장 등)에서 이루어지는 구기종목이나 육상종목 등에서는 경기영역 등을 표시하기 위하여 규정을 정해놓고 이 정해진 규정에 따라 그라운드에 라인(line)을 표시한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한다.
그라운드에 경기용 라인을 표시할 때에는 주로 내부에 회분이 수용되어 이동에 따라 일정 양의 회분을 배출함으로써 그라운드에 라인을 마킹(표시)하는 라인마커(line marker)가 사용된다.
종래의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에서는 바퀴가 구비된 회분저장함의 내부에 회분을 저장한 상태에서 라인마커를 그라운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회분저장함의 저면에 형성된 회분배출구를 통해 회분을 배출시킴으로써 일정 폭의 라인이 그라운드에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회분을 이용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를 이용하여 라인을 표시(마킹)하는 경우 라인표시 과정에서 바람에 의해 회분이 날려 라인이 흐트러지거나 불분명하게 되고, 라인표시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경기 중에 선수들이 라인을 밟는 경우 라인이 쉽게 지워진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렇게 라인이 지워지는 경우에는 휴식시간 등을 이용하여 라인을 다시 표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다시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 이전에 표시된 마킹된 라인과 서로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아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한편, 경기가 끝나거나 종목이 변경되어 기존에 그라운드에 표시된 라인을 지우고 다시 표시하는 경우 작업자가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일이 라인을 지워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또한 운동경기를 진행하기 위해 그라운드에 라인을 표시할 때에는 정해진 라인표시 규정에 맞추어 표시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이를 위해 줄자 등을 이용하여 거리와 방향을 측정한 다음 일일이 별도의 쐬기 등을 이용하여 그라운드에 표시한 뒤, 이 쐬기를 따라 라인을 표시하기 때문에 정해진 라인표시 규정에 맞추어 수작업으로 정확하게 라인을 마킹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인을 마킹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KR 10-0926145 B1 KR 20-0001683 Y1 KR 20-0210211 Y1 KR 20-0387039 Y1 KR 20-0450925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라인마커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그라운드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라인을 쉽게 표시할 수 있고, 라인의 표시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라인 제거작업이 용이한 그라운드용 라인마커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용 라인마커를, 하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회분이 수용되고, 관통홀과 연통되는 회분함체와; 관통홀에 설치되면서 바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폭조절판이 구비된 회분배출기와; 베이스프레임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유닛 및; 바퀴의 회전에 따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퀴에 제1,2모터가 구비되고, 제1,2모터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그라운드에 점착제를 분사하는 점착제분사기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회분배출기가 원통형의 본체와; 본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와; 본체의 일단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본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판과; 회전판과 바퀴를 연결하여 바퀴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점착제분사기가 일단이 회분배출기에 설치된 회전판과 연결되어 회전판의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바와, 연결바의 타단에 연결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과, 피스톤에 연결된 실린더와,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어 실린더에 점착제를 공급하는 저장탱크와, 실린더에 의해 생성된 압력에 의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사노즐의 양측에 각각 점착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브러쉬유닛이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브러쉬본체와; 브러쉬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판형 브러쉬와; 브러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부재가 전기모터 또는 바퀴와 연동되는 링크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거리측정기가 바퀴의 회전량을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더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무선통신모듈이 더 구비되고, 컨트롤러는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라인마커에는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가 구비됨으로써 줄자 등과 같은 별도의 거리(길이)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그라운드에 원하는 길이의 라인을 쉽게 마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라운드에 라인을 마킹하면서 마킹된 라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기 때문에 경기도중 마킹된 라인이 쉽게 지워지지 않아 라인의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인마커에는 브러쉬유닛이 구비됨으로써 그라운드에 기마킹된 라인을 쉽게 지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용 라인마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의 부분 단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의 회분배출기를 보인 확대도,
도 5a,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노즐과 가이드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유닛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용 라인마커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용 라인마커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라인을 따라 주행하도록 사용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라운드에 라인을 쉽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인마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라인마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 바퀴(20), 회분함체(30), 회분배출기(40), 점착제분사기(50), 브러쉬유닛(60), 거리측정기(70), 센서(80) 및 컨트롤러(9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프레임(10)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저면 양단에는 각각 바퀴(20)가 각각 설치되고, 상면에는 회분함체(30)가 설치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에는 회분함체(30) 내부에 수용된 회분이 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회분함체(30)와 연결되는 관통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 일측에는 작업자가 라인마커를 잡고 밀거나 당기면서 운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길이를 가지는 "ㄷ"자 형상의 손잡이대(12)가 상향으로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에는 라인마커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바퀴(20)가 각각 회전축(21) 상에 설치되는데, 복수 개의 바퀴 중 라인마커를 기준으로 전방 쪽에 위치하는 좌우 양측의 바퀴(20)에는 각각 제1, 2모터(M1, M2)가 설치되어 후술하는 컨트롤러(90)의 제어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며,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라인마커(1)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라인마커(1)를 원격 조종함으로써 라인을 그릴 수도 있다.
그리고 바퀴(20)가 설치된 회전축(21)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21)에는 캠부재(22)가 설치되어 이 캠부재(22)에 의해 바퀴(20)의 회전운동이 후술하는 링크부재(44)를 통해 회분배출기(40)에 전달됨으로써 회분배출기(40)로부터 회분이 배출된다.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 형상을 가지는 회분함체(30)가 설치되며, 이때 회분함체(30)의 하단은 베이스프레임(10)의 관통홀(11)과 연결되고, 회분함체(30)의 상면에는 개방 가능한 커버(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회분함체(30)의 내측에는 수용된 회분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저장된 회분을 교반시키는 교반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에는 관통홀(11)과 연결된 회분배출기(40)가 설치되는데, 이 회분배출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라운드에 근접되도록 연장 돌출되며, 이때 회분배출기(40)의 하단 폭의 크기에 의해 그라운드에 표시되는 라인의 폭이 결정된다.
그리고 회분배출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본체(41)와, 이 본체(4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회분함체(30) 내의 회분을 회전에 의해 회분배출기(40)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42)와, 본체(41)의 일단에 설치되는 연결축(43A)과, 연결축(43A)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판(43)과, 회전판(43)과 바퀴(20)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판(43)을 회전시키는 링크부재(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축(43A)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판(43)과 연결되는 것으로, 라인을 표시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판(43)과의 연결을 해제하여 회전판(43)이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본체(41)에 형성된 블레이드(42)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라인을 표시할 때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연결축(43A)이 회전판(43)과 연결됨으로써 바퀴(20)의 회전에 의해 본체(41)에 형성된 블레이드(42)가 회전되면서 적정 양의 회분이 회분배출기(40)의 하부로 공급되며, 이에 의해 그라운드에 라인이 표시된다.
그리고 회분배출기(40)의 하부에는 블레이드(42)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42)로부터 공급되는 회분이 그라운드에 그대로 배출됨으로써 그라운드에 공급되는 회분의 양이 불균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분안내판(45)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회분조절판(4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에 의해 블레이드(42)로부터 공급된 회분이 이 회분안내판(45)을 따라 시간차를 두고 낙하되면서 일정량의 회분이 그라운드에 공급되며, 따라서 매끄럽고 균일한 라인마킹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분배출기(40)에는 그라운드로 배출되는 회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분배출기(40)의 하부 좌우 양측에 각각 폭조절판(46)이 설치되며, 작업자가 이들 폭조절판(46)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가지는 라인을 쉽게 마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라인마커에는 그라운드로 배출된 회분 위에 점착제를 분사하여 도포할 수 있도록 점착제분사기(5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점착제분사기(50)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43)과 그 일단이 연결되어 회전판(43)의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바(51A)와, 이 연결바(51A)의 타단에 연결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51)과, 피스톤(51)에 연결된 실린더(52)와,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어 실린더(52)에 점착제를 공급하는 저장탱크(55)와, 실린더(52)에 연결되어 실린더(52)에 의해 생성된 압력에 의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4)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점착제분사기(50)의 구조에 의해, 바퀴(20)의 회전 동작이 연결바(51A)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고, 이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실린더(52)가 동작되면서 점착제를 가압하여 분사노즐(54)을 통해 그라운드로 분사된다.
이때 점착제분사기(50)는 회분배출기(40)에 의해 그라운드에 배출된 회분의 위에 분사되어 점착제에 의해 회분 라인이 도포되도록 회분배출기(40)의 후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사노즐(54)을 통해 점착제가 분사될 때 지나치게 넓은 범위에 걸쳐 분사되지 않도록 점착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커버(56)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이드커버(5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갓 형태로 형성되어 분사노즐(54)을 둘레를 감싸는 구조,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의 폭에 맞추어 분사 폭을 제한하는 형태의 가이드커버(56A)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의 저면에는 브러쉬유닛(60)이 설치되며, 이러한 브러쉬유닛(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브러쉬본체(61)와, 브러쉬본체(61)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판형 브러쉬(62)와; 브러쉬(62)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부재(6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러쉬본체(61)의 양측에는 브러쉬본체(61)가 베이스프레임(10)을 따라 설치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의 슬라이드홈(61A)이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10)에는 결합핀(13)이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홈(61A)에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드홈(61A)에는 브러쉬본체(61)의 설치높이가 일정 간격마다 조절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고정돌기(도시되지 않음)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재(63)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링크부재에 의해 바퀴(20)와 연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쉬유닛(60)을 사용하여 그라운드에 이미 마킹된 라인을 지울 때에는 먼저 연결축(43A)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브러쉬유닛(60)의 높이를 조절하여 브러쉬유닛(60)이 그라운드에 근접되도록 한 다음, 구동부재(63)를 구동시켜 브러쉬(62)를 회전시키면서 손잡이대(12)를 잡고 라인 위를 이동함으로써 마킹된 라인을 쉽게 지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라인마커에는 그라운드에 라인을 마킹할 때 라인마커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킹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라인을 쉽게 마킹할 수 있도록 거리측정기(70)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거리측정기(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바퀴(20)에 연동 설치되어 바퀴(20)의 회전량을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라인마커의 이동거리를 별도로 측정하지 않고도 라인의 길이나 이동거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라인마커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길이의 라인을 마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거리측정기(70)는 회전축이나 바퀴 등에 설치되어 바퀴 등의 회전량에 따라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공지의 거리측정기(70), 예를 들면 엔코더(encoder)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거리측정기(70)의 구조와 작동원리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프레임(10)의 전방쪽에는 그라운드에 마킹된 라인(L)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센서(80)가 설치되고, 이러한 센서(80)는 컨트롤러(90)와 연결되는데, 이러한 센서(80)는 비전(vision) 센서로 이루어져 센싱된 결과(영상)를 컨트롤러(90)에 전송하며, 컨트롤러(90)는 이 영상을 이용하여 그라운드와 라인 간의 색상의 차이 등을 검출함으로써 라인을 쉽게 구별해낼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에는 제1, 2모터(M1, M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90)가 설치되며, 이때 컨트롤러(90)에는 제1, 2모터(M1, M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그리고 컨트롤러(90)에는 사용자가 휴대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2)를 이용하여 라인마커를 원격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91)이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2)에는 무선통신모듈(91)과 통신하면서 라인마커의 이동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또는 앱)이 설치되며, 바퀴(20)에는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라인마커(1)의 이동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또는 앱) 등이 내장된 휴대폰 등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마커를 이용하여 그라운드에 라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마킹 작업하는 작업예에 대해 설명한다.
(1) 수동 작업시
본 발명의 라인마커를 이용하여 그라운드에 수동으로 라인을 마킹할 때에는 먼저 컨트롤러(90)의 운전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2)를 라인마커의 손잡이(12) 부분에 별도의 거치대(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설치한 다음, 라인마커의 손잡이(12)를 잡고 전방을 향해 전진하면서 라인을 마킹하게 되는데, 이때 라인마커의 전방에 설치된 센서(80)는 그라운드에 마킹된 기존의 라인을 감지하여 휴대용 단말기(2)로 전송하고, 작업자는 휴대용 단말기(2)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해가면서 라인을 마킹하게 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에는 센서(80)를 통해 검출된 기존의 라인이 출력됨으로써 작업자는 기존의 라인과 일치하도록 마킹하고 있는지를 확인해가면서 작업할 수 있다.
(2) 자동 작업시
본 발명의 라인마커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그라운드에 자동으로 라인을 마킹할 때에는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2)에 설치된 프로그램(앱)을 이용하여 라인마커를 원격으로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휴대용 단말기(2)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컨트롤러(90)의 운전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2) 상에 나타나는 작업선택 버튼 및 설정 버튼 등을 통해 그라운드에 라인을 마킹한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 상에는 센서(80)에 의해 검출된 기존의 라인과 라인마커의 현재의 주행 방향에 따라 마킹될 가상의 라인이 나타나며, 작업자가 라인마커의 주향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행방향 변경 버튼을 누르게 되면 주행방향 변경에 따라 새로이 마킹될 가상의 라인이 나타나면서 무선통신에 의해 라인마커에 구비된 컨트롤러(90)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컨트롤러(90)는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1,2모터(M1, M2)의 구동을 제어하여 좌우측 바퀴(20)의 회전량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라인마커의 조향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그라운드에 원하는 길이와 형태의 라인이 마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라운드용 라인마커는 그라운드에 라인을 쉽게 마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인의 표시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그라운드에 마킹된 라인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1: 라인마커 2: 휴대용 단말기
10: 베이스프레임 11: 관통홀
12: 손잡이 13: 결합핀
20: 바퀴 21: 회전축
22: 캠부재 30: 회분함체
40: 회분배출기 41: 본체
42: 블레이드 43: 회전판
43A: 연결축 44: 링크부재
45: 회분안내판 46: 폭조절판
50: 점착제분사기 51: 피스톤
51A: 연결바 52: 실린더
53: 호스 54: 분사노즐
55: 저장탱크 56, 56A: 가이드커버
60: 브러쉬유닛 61: 브러쉬본체
61A: 슬라이드홈 62: 브러쉬
63: 구동부재 70: 거리측정기
80: 센서 90: 컨트롤러
91: 무선통신모듈 L: 라인

Claims (10)

  1. 회분을 이용하여 그라운드에 라인을 마킹하는 라인마커(1)에 있어서,
    상기 라인마커(1)는, 하부에 관통홀(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2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회분이 수용되고, 상기 관통홀(11)과 연통되는 회분함체(30)와;
    상기 관통홀(11)에 설치되면서 상기 바퀴(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폭조절판(46)이 구비된 회분배출기(4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브러쉬유닛(60) 및;
    상기 바퀴(20)의 회전에 따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70)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분배출기(40)는 원통형의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42)와; 상기 본체(41)의 일단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판(43)과; 상기 회전판(43)과 상기 바퀴(20)를 연결하여 상기 바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판(43)을 회전시키는 링크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20)에는 제1,2모터(M1, M2)가 구비되고, 상기 제1,2모터(M1, M2)의 동작은 컨트롤러(9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그라운드에 점착제를 분사하는 점착제분사기(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분사기(50)는 일단이 상기 회분배출기(40)에 설치된 회전판(43)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43)의 회전을 전달하는 연결바(51A)와, 상기 연결바(51A)의 타단에 연결되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51)과, 상기 피스톤(51)에 연결된 실린더(52)와, 내부에 점착제가 수용되어 상기 실린더(52)에 점착제를 공급하는 저장탱크(55)와, 상기 실린더(52)에 의해 생성된 압력에 의해 점착제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54)의 양측에는 각각 점착제의 분사 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커버(5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6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어 승강되는 브러쉬본체(61)와; 상기 브러쉬본체(61)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판형 브러쉬(62)와; 상기 브러쉬(62)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63)는 전기모터 또는 상기 바퀴(20)와 연동되는 링크부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기(70)는 상기 바퀴(20)의 회전량을 거리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엔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0)에는 무선통신모듈(9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90)는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2)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KR1020150108009A 2015-07-30 2015-07-30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KR101653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09A KR101653111B1 (ko) 2015-07-30 2015-07-30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09A KR101653111B1 (ko) 2015-07-30 2015-07-30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111B1 true KR101653111B1 (ko) 2016-08-31

Family

ID=568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009A KR101653111B1 (ko) 2015-07-30 2015-07-30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1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9473A (zh) * 2018-12-28 2019-03-19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试验田用防堵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09644638A (zh) * 2018-12-28 2019-04-19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田地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12354168A (zh) * 2020-12-04 2021-02-12 哈尔滨体育学院 一种田径跑道画线机
CN114440739A (zh) * 2022-04-11 2022-05-06 武汉市明煌建筑劳务有限公司 一种带有标记功能的道路施工护栏安装用测距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1201A (ja) * 1994-09-05 1996-03-19 Pilot Corp:The ラインマーカー
KR200210211Y1 (ko) 2000-07-01 2001-01-15 임선우 제거 브러시를 구성한 라인카
KR200387039Y1 (ko) 2005-03-18 2005-06-16 임태성 다목적 라인 마커
JP2007152212A (ja) * 2005-12-02 2007-06-21 Mizuho Machining Co Ltd 粉粒体散布機
KR100926145B1 (ko) 2007-07-04 2009-11-10 임태성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KR200450925Y1 (ko) 2010-07-05 2010-11-15 서영석 지자기 센서가 구비된 라인 장치
JP2011254846A (ja) * 2010-06-04 2011-12-22 Molten Corp ライン引き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1201A (ja) * 1994-09-05 1996-03-19 Pilot Corp:The ラインマーカー
KR200210211Y1 (ko) 2000-07-01 2001-01-15 임선우 제거 브러시를 구성한 라인카
KR200387039Y1 (ko) 2005-03-18 2005-06-16 임태성 다목적 라인 마커
JP2007152212A (ja) * 2005-12-02 2007-06-21 Mizuho Machining Co Ltd 粉粒体散布機
KR100926145B1 (ko) 2007-07-04 2009-11-10 임태성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JP2011254846A (ja) * 2010-06-04 2011-12-22 Molten Corp ライン引き装置
KR200450925Y1 (ko) 2010-07-05 2010-11-15 서영석 지자기 센서가 구비된 라인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9473A (zh) * 2018-12-28 2019-03-19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试验田用防堵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09644638A (zh) * 2018-12-28 2019-04-19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田地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09479473B (zh) * 2018-12-28 2020-03-31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试验田用防堵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09644638B (zh) * 2018-12-28 2020-04-03 济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田地划线器及其使用方法
CN112354168A (zh) * 2020-12-04 2021-02-12 哈尔滨体育学院 一种田径跑道画线机
CN114440739A (zh) * 2022-04-11 2022-05-06 武汉市明煌建筑劳务有限公司 一种带有标记功能的道路施工护栏安装用测距装置
CN114440739B (zh) * 2022-04-11 2022-07-01 武汉市明煌建筑劳务有限公司 一种带有标记功能的道路施工护栏安装用测距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111B1 (ko)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KR101668981B1 (ko) 무인항공 살포기 및 그를 이용한 살포 방법
US76115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 bowling lane using precision delivery injectors
CN106794475B (zh) 材料喷射设备和用于控制设备的喷射方向的方法
WO2003082418A1 (en) Turf image marker
KR20200004820A (ko) 액체용 정전기 분무기 및 정전기 분무기의 동작 방법
ES2835309T3 (es) Sistema de alarma, conjunto que comprende un dispositivo de pulverización y dicho sistema de alarma y procedimiento de pulverización neumática
US9108087B2 (en) Remote controlled golf ball marker putting-alignment device
KR101573489B1 (ko) 주차장 바닥 시공을 위한 스마트 작업 차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60143524A (ko) 입상물 공급 장치
JP2020517438A (ja) 液体用静電噴霧器の制御方法
CN107258486B (zh) 智能洒水机器人及用于智能洒水机器人的控制方法
KR101483009B1 (ko) 차선 도색 자동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선 도색 자동화방법
KR101850771B1 (ko) 작업 차량
WO2019110424A1 (de) Medienauftragsvorrichtung
CA2620287A1 (en) Measuring roller and spray device
KR100926145B1 (ko)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US8427163B2 (en) Spot indicating metal detector apparatus
JP5885679B2 (ja) 種子コーティング剤供給装置
CN113289820A (zh) 一种地面标识自动喷绘装置
CN215909872U (zh) 标记装置
JP6254201B2 (ja) 種子コーティング剤供給装置又は種子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
KR102404948B1 (ko) 골프공 회전중심 표시장치
JP2514618B2 (ja) レベル墨出し機
KR20190009555A (ko) 휴대용 잉크젯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