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145B1 -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145B1
KR100926145B1 KR1020070066902A KR20070066902A KR100926145B1 KR 100926145 B1 KR100926145 B1 KR 100926145B1 KR 1020070066902 A KR1020070066902 A KR 1020070066902A KR 20070066902 A KR20070066902 A KR 20070066902A KR 100926145 B1 KR100926145 B1 KR 100926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pump
stadium
handle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721A (ko
Inventor
임태성
Original Assignee
임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성 filed Critical 임태성
Priority to KR102007006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1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A63C2019/067Machines f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축(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25)와 손잡이(3)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22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22)와, 상기 도료저장부(22)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갖는 도료분사장치로 구성된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료저장부(22)의 내측에는 도료를 혼합시키기 위한 교반장치(4)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장치(4)는, 샤프트(44)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덮개(222)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42)와, 상기 샤프트(44)에 설치된 임펠러(46)로 구성된다.
경기장, 라인, 표시, 도료, 교반

Description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Sports Ground Line Marker}
본 발명은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성 페인트와 같은 액상 도료를 고압 분사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운동장에 라인(선)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장이나 잔디구장 등에서 축구를 비롯한 각종 구기종목의 운동을 하거나 기타 여러 가지 스포츠 행사를 할 경우에는 운동장 바닥에 필요로 하는 규격과 형태의 라인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라인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것은 통상적으로 백회분이다.
종래 백회분을 사용하여 운동장에 라인을 형성하는 라인 마커는, 맨땅에 사용할 경우에는 백회분이 흙에 고착되어 형태가 유지될 수 있으나, 잔디구장에 사용할 경우에는 백회분이 잔디에 제대로 고착되지 않으므로 바람에 쉽게 날리게 되어 형태가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87039호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387039호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잔디구장 또는 일반 운동장에서 각종 구기종목이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할때 필요로 하는 라인을 손쉽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퀴와 손잡이가 부착된 소형 카트 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라인 형성용 액상 도료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액상 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설치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액상 도료를 노즐부를 통해 분사하여 라인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액상 도료가 침전되므로, 사용하기 전에 작업자가 덮개를 열고 막대를 사용하여 교반시킨 후 분사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전용 잔디구장에서는 도료가 잔디에 고착되므로 한번 표시해놓으면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효과가 좋았으나, 일반 운동장에서는 시합이 끝난 후에는 라인을 지워 원상태로 복귀시켜야 하나 페인트 도료라서 잘 지워지지 않고, 또한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본 출원인이 출원한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 20-0387039호를 개량한 것으로, 그 첫번째 목적은 도료를 자동으로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일반 운동장에서 일회성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백회분을 살포할 수 있는 백회살포장치를 부가하여 보다 용도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한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설치되는 소형 배터리와 소형 다이어프램 펌프 뿐이어서 경량이고 또 손잡이도 몸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되어 있어 이를 분리하여 일반 승용차의 트렁크에 실어 나를 수 있으므로 이의 운반이 용이하며, 운동장에서는 액상 도료 저장부에 수성 페인트를 채워 넣고 손잡이를 밀면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필요로 하는 어떠한 라인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 효과가 있다.
또한, 도료저장부의 교반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도료의 침전을 방지할 수 있어 양질의 도료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용 부담 및 도료의 고착이 여의치 않은 일반 운동장에 사용될 때는 백회분을 살포하여 라인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일회성의 용도에도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와 손잡이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와; 상기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설치되는 스위치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샤프트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도료저장부의 덮개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임펠러로 구성된 교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차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와 손잡이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와; 상기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펌프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설치되는 온/오프스위치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샤프트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도료저장부의 덮개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임펠러로 구성된 교반장치와; 상기 몸체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백회분을 저장하는 백회저장부와, 상기 백회저장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의 구동시 백회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된 백회살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A)의 제 1실시예는, 차축(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25)와 손잡이(3)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22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22)와; 상기 도료저장부(22)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3)에 설치되는 스위치(32)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샤프트(44)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도료저장부(22)의 덮개(222)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42)와, 상기 샤프트(44)에 설치된 임펠러(46)로 구성된 교반장치(4)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도료저장부(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도료저장부(22)의 전방에는 펌프(26) 및 배터리(28)가 안착되는 수납부(24)가 형성된다.
몸체(2)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바퀴(25)가 장착된 차축(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후면에는 손잡이(3)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외측 후면에는 손잡이(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31)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 결합부(31)에는 손잡이(3)의 하단이 끼워지는 슬리브(32)가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3)의 하단부 둘레에는 슬리브(32)에 끼워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식 고정핸들(33)이 설치된다.
상기 도료저장부(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2)의 내부 일측에 도료를 저장하기 위해 형성된 함체로써 그 상부의 개구부에는 개폐 가능하도록 덮개(222)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덮개(22)의 저면에는 후술될 교반장치(4)를 장착할 수 있도록 브라켓(22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료저장부(22) 하부에는 드레인 밸브(225)가 설치되어 사용이 끝난 후 남은 액상 도료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도료저장부(22) 내부를 물이나 기타 용제 등을 사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축(23)의 끝부분에는 후술될 노즐부(6)가 핀(13)으로 결합되는 핀 구멍(11a)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50)에는 상기 차축(11)에 끼워지는 소켓(52)이 구비되며, 상기 소켓(52)에는 상기 차축(11)의 핀 구멍(11a)에 일치되는 핀 구멍(53)이 형성된다.
상기 도료분사장치는, 도료저장부(22)의 도료를 펌핑하여 노즐부(6)를 통해 외부로 분사함으로써 라인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몸체(2)의 수납부(24)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3)에 설치되는 스위치(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펌프(26)는, 상기 도료저장부(22)에 통하도록 연결된 흡입관(262)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노즐부(6)에 통하는 배출관(264)이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이어프램 펌프를 사용하나, 펌프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입관(262)의 선단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트레이너(261)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관(264)은 굴신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28)는, 본 발명이 야외에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하여 전원공급을 위해 설치된 것으로,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재충전이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고, 출력이 약 12 V인 것을 사용하였다.
물론 배터리(28)의 용량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노즐부'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6)는, 액상 도료가 분사되는 노즐(62)이 고정되는 상판(64)과, 상기 상판(64)의 좌우측에 수직 하방으로 부착되어 노즐(62)에서 분사되는 액상 도료가 분사범위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판(66a,6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62)은 코일형상으로 된 호스(68)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68)의 타단은 상기 펌프(26)의 배출관(264)에 연결됨으로써, 도료의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스(68)의 신축이 용이하여 비교적 먼 거리까지 노즐부(6)를 끌어당겨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즐부(6)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노즐(62)과 직선상으로 일치되는 일정길이의 표시봉(67)이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라인 표시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노즐(62)은 탈착 가능하도록 상판(64)에 형성된 고정부재(61)에 끼워진 후 상기 고정부재(61)의 측면에 나사결합된 고정핸들(68)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비산방지판(66a,66b)은, 좌우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64)의 내외측으로 형성된 고정구멍(64a,64b)에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테니스장의 라인이나 축구장라인의 폭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라인의 폭을 달리하고자 할 경우 비산방지판(66a,66b)의 폭을 조절하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노즐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멍(64a,64b)이 양측에 넓은 폭과 좁은 폭으로 한쌍씩 형성되고, 이들 고정구멍(64a,64b)에 비산방지판(66a,66b)을 체결시킴으로써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교반장치(4)는, 상기 도료저장부(22)에 저장된 도료를 연속적으로 교반시켜 침전이나 응고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44)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도료저장부(22)의 덮개(222)의 하부 브라켓(223)에 장착된 모터(42)와, 상기 샤프트(44)에 설치된 임펠러(46)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42)는 배터리(28)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상기 손잡이(3)에 마련된 스위치(32)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2)의 일측에 형성된 도료저장부(22)의 상부에 덮개(222)를 개폐가능하도록 힌지결합시키되, 상기 덮개(222)의 하부에 마련된 브라켓(223)에 모터(42)를 장착하고, 모터(42)의 샤프트(44)에 임펠러(46)를 장착하여 교반장치(4)를 설치한다.
이후, 타측의 수납부(24)에는 펌프(26)와 배터리(28)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연결한 다음 몸체(2)의 외부 일측에 손잡이(3)를 설치하고, 상기 교반장치(4) 및 펌프(26)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32)를 설치한다.
이후, 펌프(26)의 흡입관(262)을 도료저장부(22)의 하부로 삽입하여 통하도록 설치하고, 배출관(264)은 수납부(24)의 외측으로 관통시켜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몸체(2)의 하부에 미리 설치해 둔 고정브라켓에 차축(23)을 끼워 결합 시키고, 상기 차축(23)의 양단부에 바퀴(25)를 결합시켜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펌프(26)의 배출관(264)에 호스(68)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호스(68)의 타단은 노즐(62)에 연결시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한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장에 미리 라인을 그리기 위한 밑그림을 그린 상태에서 도료저장부(22)에 수성페인트와 물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저장한 다음 덮개(222)를 닫고, 스위치(32)를 온 작동시켜 교반장치(4)를 가동시킨다.
이후, 상기 노즐부(6)의 소켓(52)을 전방의 차축(23)에 끼우고, 차축(11)의 핀 구멍(11a)에 핀 구멍(53)을 일치시킨 후 핀(13)으로 끼워 고정시킨다.
즉, 상기 노즐부(6)는 필요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위치(32)를 온 작동시키면, 배터리(28)의 전원에 의해 펌프(26)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흡입관(262)을 통해 수성페인트가 흡입된 후 노즐(62)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라인을 그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밑그림을 따라 정확하게 이동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라인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펌프(26)는 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므로 수성페인트의 분사 제어가 용이하여 원하는 라인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28)는 주기적으로 충전(充電)해 주는 것에 의해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예비용 배터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이 소모 된 경우 이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교반장치(4)의 임펠러(46)가 연속 회전됨에 따라 도료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도료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서 "배출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도 7에서 "I-I"선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A')의 제 2실시예는, 차축(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25')와 손잡이(3')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22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22')와; 상기 도료저장부(22')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3')에 설치되는 스위치(32')로 구성된 도료분사장치와; 샤프트(44')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덮개(222')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42')와, 상기 샤프트(44')에 설치된 임펠러(46')로 구성된 교반장치(4')와; 상기 몸체(2')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백회분을 저장하는 백회저장부(52')와, 상기 백회저장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25')의 구동시 백회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54')으로 구성된 백회살포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의 도료저장부(22')가 좌측에 형성되고, 우측에는 백회저장부(52') 및 배출수단(54')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도료저장부(22')와 백회저장부(52')의 위치는 바뀔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2')의 전방에는 펌프(26') 및 배터리(28')가 안착되는 수납부(24')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2')의 하부에는, 양단부에 바퀴(25')가 장착된 차축(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측 후면에는 손잡이(3')가 전술한 바와 같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료저장부(22')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미도시)에는 교반장치(4')가 설치되는데, 상기 교반장치(4')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도료분사장치는, 상기 몸체(2')의 수납부(24')에 설치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3')에 설치되는 스위치(32')로 구성된 것으로, 이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수단(54')은, 도 6 및 도 8,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회 저장부(52')의 하부면에 형성된 분출구(541')에 타공판(542')이 부착되고, 외주면이 상기 타공판(542')에 접촉되도록 상기 차축(23')에 타격대(543')가 축설되며, 상기 분출구(541')에는 상기 타공판(542')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구(54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백회저장부(52')는 내측 저면이 분출구(541')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백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분출구(541')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써, 일측에는 일정 길이로 된 슬릿(5412')이 수평되게 형성된 것으로, 후술될 조절구(544')의 노브(546')가 상기 슬릿(5412')에 삽입되어 좌,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타공판(542')은 다수의 배출공(547')이 형성된 판상으로써 상기 분출구(541')에 용접된 것으로, 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얇은 박판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격대(543')는,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출부재가 배열되어 차축(23')에 축설된 것으로, 상기 차축(23')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타공판(542')을 연속으로 타격해줌으로써 백회분이 배출공(547')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절구(544')는, 상기 타공판(542')의 배출공(547')에 대응되는 다수의 세공(545')이 형성된 원판상이며, 일측에는 노브(54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타공판(542')의 상면에 중첩되어 중심축핀(5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백회분의 배출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노브(546')가 상기 분출 구(541')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릿(54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몸체(2')의 전단 또는 후단에 배출수단(54')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봉(549')이 설치됨으로써, 백회분이 살포되는 위치를 작업자가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표시봉(549')은 위에서 내려다 보는 작업자가 라인의 표시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수단(54')이 우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에 일치되도록 표시봉(549')도 우측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A')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몸체(2')의 좌측에 형성된 도료저장부(22')의 덮개(222')에는 교반장치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도료저장부의 대향되는 우측에는 백회저장부(52')를 형성하고, 그 내측 하부에 배출수단(54')을 설치한다.
이후, 몸체(2')의 전방에 마련된 수납부(24')에는 펌프(26')와 배터리(28')를 설치하여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연결한 다음 몸체(2')의 외부 일측에 손잡이(3')를 설치하고, 상기 교반장치(4') 및 펌프(26')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32')를 설치한다.
이후, 펌프(26')의 흡입관(262')을 도료저장부(22')의 하부로 삽입하여 통하 도록 설치하고, 배출관(264')은 수납부(24')의 외측으로 관통시켜 돌출되도록 한다.
이후, 몸체(2')의 하부에 미리 설치해 둔 고정브라켓에 차축(23')을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차축(23')의 양단부에 바퀴(25')를 결합시켜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펌프(26')의 배출관(264')에 호스(68')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호스(68')의 타단은 노즐(62')에 연결시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한 결합이 완료된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구장에 미리 라인을 그리기 위한 밑그림을 그린 상태에서 도료저장부(22')에 수성페인트와 물을 적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저장한 다음 덮개(222')를 닫고, 스위치(32')를 온 작동시켜 교반장치(4')를 가동시킨다.
이후, 상기 노즐부(6')의 소켓(52')을 전방의 차축(23')에 끼워 고정시키는데, 필요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스위치(32')를 온 작동시키면, 배터리(28')의 전원에 의해 펌프(26')가 구동되고, 이에 따라 흡입관(262')을 통해 수성페인트가 흡입된 후 노즐(62')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도료 라인을 그을 수 있다.
한편, 잔디 구장이 아닌 일반 운동장에서는 일회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쉽게 지울 수 있는 백회분으로 라인을 표시하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회저장부(52')에 적정량의 백회분을 저장한 후 작업자가 손잡이(3') 를 파지한 채 밀어서 이동시키면, 바퀴(25')가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차축(23')이 회전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차축(23')에 설치된 타격대(543')가 회전하면서 그 돌출부재가 타공판(542')을 연속으로 타격하게 된다.
상기 타격에 의해 백회분이 배출공(547')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라인을 그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조절구(544')의 회전조작에 의해 타공판(542')의 배출공(547')과 세공(545')의 일치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백회분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배출공(547')과 세공(545')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면 배출량은 많아지게 될 것이며, 조절구(544')를 회전시켜 배출공(547')과 세공(545')이 어긋나게 설정하면 배출량은 적어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흙이나 마사토가 깔린 일반 운동장에서는 상기 백회살포에 의해 라인을 표시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 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노즐부'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1실시예에서 '노즐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서 "배출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7에서 "I-I"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몸체 4 : 교반장치
6 : 노즐부 22 : 도료저장부
24 : 수납부 26 : 펌프
28 : 배터리 32 : 스위치
42 : 모터 44 : 샤프트
46 : 임펠러 62 : 노즐
64 : 상판 66 : 비산방지판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차축(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바퀴(25')와 손잡이(3')가 부착된 소형 카트형태로 이루어진 몸체(2')와, 상기 몸체(2')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며, 상부에 덮개(22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저장부(22')와, 상기 도료저장부(22')에 저장된 도료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26')와, 상기 펌프(26')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28')와, 상기 펌프(26')에서 펌핑된 액상도료를 지면에 분사시키기 위한 노즐부(6')와, 상기 펌프(2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손잡이에 설치되는 스위치를 갖는 도료분사장치로 구성된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에 있어서,
    샤프트가 하부를 향해 수직되게 하여 상기 덮개(222')의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된 임펠러로 구성된 교반장치(4')와;
    상기 몸체(2')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며 백회분을 저장하는 백회저장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25')의 구동시 백회분을 배출하는 배출수단(54')으로 구성된 백회살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수단(54')은,
    상기 백회저장부(52')의 하부면에 형성된 분출구(541')에 부착되며 다수의 배출공(547')이 형성된 타공판(542')과,
    상기 차축(23')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판(542')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타격대(543')와,
    상기 타공판(542')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절구(54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544')는,
    상기 타공판(542')의 배출공(547')에 대응되는 다수의 세공(545')이 형성된 원판상이며, 일측에 노브(546')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타공판(542')의 상면에 중첩되어 중심축핀(54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전단 또는 후단에는 배출수단(54')의 위치를 지시하는 표시봉(549')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KR1020070066902A 2007-07-04 2007-07-04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KR100926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902A KR100926145B1 (ko) 2007-07-04 2007-07-04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902A KR100926145B1 (ko) 2007-07-04 2007-07-04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21A KR20090002721A (ko) 2009-01-09
KR100926145B1 true KR100926145B1 (ko) 2009-11-10

Family

ID=4048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902A KR100926145B1 (ko) 2007-07-04 2007-07-04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11B1 (ko) 2015-07-30 2016-08-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CN109403196A (zh) * 2018-12-05 2019-03-01 北京龙运君业贸易有限公司 一种新型公路施工划线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250B1 (ko) * 2014-01-24 2016-01-11 김선수 차량용 차선인쇄장치
CN109392302A (zh) * 2017-06-05 2019-02-26 金洙昊 可同时喷洒不同涂料的划线装置
KR20200077053A (ko) 2018-12-20 2020-06-30 주식회사 아레나라이팅 엘이디 조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12U (ko) * 1988-06-16 1990-01-16
JPH0871201A (ja) * 1994-09-05 1996-03-19 Pilot Corp:The ラインマーカー
KR200280956Y1 (ko) 2002-03-22 2002-07-13 태진정밀 주식회사 휴대용 교반장치
KR200387039Y1 (ko) 2005-03-18 2005-06-16 임태성 다목적 라인 마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12U (ko) * 1988-06-16 1990-01-16
JPH0871201A (ja) * 1994-09-05 1996-03-19 Pilot Corp:The ラインマーカー
KR200280956Y1 (ko) 2002-03-22 2002-07-13 태진정밀 주식회사 휴대용 교반장치
KR200387039Y1 (ko) 2005-03-18 2005-06-16 임태성 다목적 라인 마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111B1 (ko) 2015-07-30 2016-08-31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CN109403196A (zh) * 2018-12-05 2019-03-01 北京龙运君业贸易有限公司 一种新型公路施工划线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21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145B1 (ko)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KR102025386B1 (ko) 스마트 무인 방제기
US7150413B1 (en) Adjustable spray nozzle assembly for line marker
US9222231B2 (en) Electrically powered hand spreader
US7140555B1 (en) Hydraulic circuit for line marker having marking, flush and clean out modes of operation
US8640972B2 (en) Sprayer having spray solution agitation system
US20150351597A1 (en) Surface treatment device
US20040221407A1 (en) Cleaning liquid dispensing system
US6739486B2 (en) Dispenser for dispensing fill material into a golf course divot hole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 dispenser to a golf cart
KR200387039Y1 (ko) 다목적 라인 마커
CN108887250A (zh) 一种苗木种植用农药喷洒装置
US8056180B2 (en) Ground leaf blower with hose attachment
US20080229530A1 (en) Grout cleaning apparatus
KR101653111B1 (ko) 그라운드용 라인마커
US5682638A (en) Buffing pad cleaning apparatus
US7707682B2 (en) Cleaning machine for cleaning a surface with edge cleaning capability
CN219536850U (zh) 一种酿酒葡萄用液态有机肥施肥装置
KR101031329B1 (ko) 경기장용 라인 표시장치
US20080237087A1 (en) Golf club cleaning device and associated storage device
US2986336A (en) Fogging machine
US20130036562A1 (en) Golf Club Cleaner
US4345544A (en) Apparatus for forming lines on an athletic playing field or court
KR101737213B1 (ko) 이동식 농약 살포장치
KR100434868B1 (ko) 자동차 광택용 패드의 세정장치
US2086673A (en) Stri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