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524A - 입상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입상물 공급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3524A KR20160143524A KR1020160064533A KR20160064533A KR20160143524A KR 20160143524 A KR20160143524 A KR 20160143524A KR 1020160064533 A KR1020160064533 A KR 1020160064533A KR 20160064533 A KR20160064533 A KR 20160064533A KR 20160143524 A KR20160143524 A KR 20160143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granular material
- discharge roll
- brush
- ro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 A01C15/124—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with adjustable shutters or sl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eans for pushing out the fertiliser, e.g. by a 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Sowing (AREA)
Abstract
파종 장치(1)는 입상물을 보관하는 홈(33)이 표면에 복수 형성된 배출 롤(32), 및 배출 롤(32)의 표면에 접촉하며 홈(33)에 보관된 상태의 입상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35)를 구비하고, 홈(33)에 소정량의 입상물을 보관하면서 배출 롤(32)을 회전시킴으로써, 입상물을 하방에 공급한다. 파종 장치(1)에서, 배출 롤(32)의 홈(33)에 들어가는 입상물을 막는 가로막 브러시(34)를 마련함과 함께, 가로막 브러시(34)를 배출 롤(32)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을 배출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량의 입상물(粒狀物)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저장부에 저장되는 입상물을 소정량 배출하여 공급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저장부의 하방에는 입상물을 소정량 보관하기 위한 홈이 표면에 복수 형성된 배출 롤이 배치됨과 함께, 배출 롤의 상방에 홈으로부터 초과한 입상물을 막는 브러시가 배치된다. 이 브러시는, 배출 롤의 회전 축심을 향해 대략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출 롤의 측방에는 홈 내에 보관된 입상물을 공급 경로로 안내하는 가이드체가 배치된다. 가이드체는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가이드체를 회동함으로써 저장부와 배출 경로를 연통할 수 있다. 그때, 브러시는 저장부로부터 배출 경로까지의 통로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방으로 이동된다.
종래의 브러시에서는 배출 롤의 홈이 브러시를 통과할 때, 홈으로부터 넘친 입상물과 접촉하여 털끝이 휨으로써 배출 롤과의 표면에 틈새가 생겨 브러시를 통과하는 입상물이 증가한다. 또한, 홈의 용량을 초과한 입상물이 통과함으로써, 브러시에 눌려 입상물간 압력이 커져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홈으로부터 넘친 입상물과의 접촉 또는 브러시와 홈의 접촉이 반복됨에 따라 브러시의 수명이 짧아진다.
본 발명은, 입상물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저장부로부터 입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입상물을 보관하는 홈이 표면에 복수 형성된 배출 롤, 및 상기 배출 롤의 표면에 접촉하며 상기 홈에 보관된 상태의 입상물을 상기 저장부측에서 하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홈에 소정량의 입상물을 보관하면서, 상기 배출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입상물을 하방으로 공급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저장부와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부의 배출 롤의 홈보다 상방에 있는 입상물을 막는 브러시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브러시 부재를 상기 배출 롤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브러시 부재의 털끝을 상기 배출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홈보다 상방의 입상물이 브러시 부재로 막아질 때, 브러시 부재의 털끝을 상류측으로 기울임으로써 털끝으로 입상물을 받아들이도록 접촉시킴과 함께, 브러시 부재의 털끝이 휠 때 배출 롤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 되도록 휘게 된다. 이에 따라, 홈의 상방으로 나온 입상물을 확실히 막아, 홈 내에 정량의 입상물을 넣을 수 있음과 함께, 홈으로부터 넘쳐 나오는 입상물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입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브러시 부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상기 배출 롤의 홈에서 상기 배출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 경사면이 하류측 경사면에 비해 완만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표면측 모서리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하였다.
홈으로부터 절반 이상 튀어나온 입상물이 브러시 부재를 통과하는 비율이 감소하고, 홈 경사면의 모서리와 브러시 부재에 끼워진 입상물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입상물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할 때, 상기 브러시 부재를 상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배출한다.
가이드 부재를 입상물의 배출 가이드로서 이용함으로써, 하방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입상물을 배출하고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가로막 브러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입상물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파종 장치 및 그것이 장착된 주행 기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입상물을 배출할 때 가로막 브러시 및 가이드 부재의 회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가로막 브러시의 굴곡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배출 롤의 홈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입상물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파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입상물을 배출할 때 가로막 브러시 및 가이드 부재의 회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가로막 브러시의 굴곡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배출 롤의 홈의 형상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입상물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시비 장치의 시비량을 제어하는 구성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을 참조하여, 입상물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파종 장치(1)가 후방부에 장착된 주행 기체(2)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파종 장치(1)는 주행 기체(2)가 주행함에 따라 소정량의 종자(본 실시 형태에서 「입상물」이며, 예를 들면 1mm 내지 10mm 정도의 폭을 가지는 벼알이다. 또한, 「입상물」로서는 전술한 벼알 이외에 길이 10cm 정도의 농작물, 그보다 큰 폭 및 지름을 가지는 것을 넓게 포함한다.)를 점파한다.
주행 기체(2)는 엔진(3), 엔진(3)의 동력을 변속하는 트랜스미션(4),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5),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6) 및 후륜(7) 등을 구비한다.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의 동력은 각각 프론트 엑슬 케이스(8), 리어 액슬 케이스(9)로 전달된다. 프론트 엑슬 케이스(8)는 기체 프레임(5)의 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단부에 전륜(6)이 베어링된다. 마찬가지로, 리어 액슬 케이스(9)는 기체 프레임(5)의 후방부에 지지됨과 함께 그 좌우 양단부에 후륜(7)이 베어링된다.
기체 프레임(5)의 상부는 스텝(10)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오퍼레이터는 스텝(10)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주행 기체(2)의 전후 중간부에 운전석(11)이 배치되고, 그 전방에 조향 핸들(12), 조작 페달(13) 및 대시 보드(14) 등이 마련된다. 대시 보드(14)에는 조향 핸들(12) 이외에도 각종 조작용 조작구,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방부에는, 승강 링크 기구(20)를 통하여 파종 장치(1)가 연결된다. 승강 링크 기구(20)는 좌우 한쌍의 상부 링크(21) 및 하부 링크(22), 승강 실린더(23), 회전 아암(24) 등을 구비한다. 승강 실린더(23)는 하부 링크(22)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 아암(24)에 접속된다. 승강 실린더(23)를 신축시켜서 회전 아암(25)을 이동시킴으로서 하부 링크(22), 상부 링크(21)를 회동하여 파종 장치(1)를 승강시킨다.
파종 장치(1)에는, 파종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플로트(25) 및 마커(26)가 부설된다. 플로트(25)는 파종 장치(1)가 흙속에 가라앉지 않도록 지지한다. 마커(26)는 개자리에서 주회하여 다음 조의 파종을 할 때 안표를 밭면 상에 표시한다. 그 안표에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마련되는 센터 마커(27)를 맞추면서 주행함으로써 조간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파종할 수 있다.
[파종 장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파종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파종 장치(1)는 승강 링크 기구(20)를 통하여 주행 기체(2)의 후방에 연결되며, 주행 기체(2)에 의한 주행과 동시에, 입상물인 종자를 소정 위치에 소정량 파종하기 위한 파종기이다.
파종 장치(1)는 종자를 저장하는 호퍼(30) 및 호퍼(30) 내에 저장되는 종자를 소정량 배출하기 위한 각 부재를 수용하는 롤 케이스(31)를 구비한다. 배출부로서 롤 케이스(31)내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출 롤(32), 배출 롤(32)의 표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배열되는 홈(33), 배출 롤(32)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가로막 브러시(34) 및 배출 롤(32)의 홈(33)내에 보관되는 종자를 배출 롤(32)의 하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5)가 마련된다.
호퍼(30)는 파종 장치(1)의 상부에 배치되는 용기로서, 내부에 종자가 충전되어 있다. 호퍼(30)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호퍼(30)의 하단은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를 통해서 롤 케이스(3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롤 케이스(31)는 호퍼(30)의 하방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호퍼(30)에 저장된 종자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로서 배출 롤(32), 가로막 브러시(34), 가이드 부재(35)를 수용한다. 롤 케이스(31)는 호퍼(30)와 접속되는 상방이 개구됨과 함께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 즉, 롤 케이스(31)는 하단이 지면에 만나도록 마련되어 있다. 롤 케이스(31)의 배출 롤(32)의 하방측에 공급 경로(40)가 형성되고, 배출부에 의해 소정량 배출되는 종자는 공급 경로(40)를 통해서 지면에 뿌려진다.
배출 롤(32)은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며, 그 축방향을 따라 마련된 홈(33)이 외주면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배출 롤(32)은 적절한 회전 구동원에 접속된 회전축을 가지며,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홈(33)은 그 용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공간이며, 그 용적은 배출하는 종자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홈(33)은 배출 롤(32)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홈(33)은 배출 롤(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마련된다. 홈(33) 내에 종자를 보관한 상태에서 배출 롤(32)이 회전함으로써, 소정량의 종자가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가로막 브러시(34)는 배출 롤(32)의 바로 위(회전축심의 상방)에 배치된다.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은 배출 롤(32)의 표면과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 롤(32)의 홈(33)보다 상방에 있고, 홈(33)으로부터 돌출되는 종자의 통과를 저지하는 것이다. 가로막 브러시(34)는 그 털끝이 배출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로막 브러시(34)는 배출 롤(32)의 회전축심으로부터 10°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가로막 브러시(34)는 전체적으로 배출 롤(32)의 축심으로부터 보아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기울어져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35)는 가로막 브러시(34)의 하류측에 마련되며, 가로막 브러시(34)를 통과한 홈(33) 내의 종자를 외측으로부터 밀어 보관하는 것이다. 가이드 부재(35)는 배출 롤(32)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부재(35)는 배출 롤(32)의 회전축심의 수평 방향의 높이보다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5)는 그 표면과 배출 롤(32)의 홈(33) 사이에 종자를 보관하면서, 가로막 브러시(34)를 통과한 종자를 배출 롤(32)의 하방측으로 안내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케이스(31)의 상부로서, 배출 롤(32)의 상방에는 결립 센서(36)가 마련되어 있다. 호퍼(30)의 단면적보다 좁은 롤 케이스(31) 내에 결립 센서(36)를 마련함으로써, 호퍼(30)와 롤 케이스(31)의 접속부에 가교 현상이 발생했을 때, 롤 케이스(31) 내의 종자량의 감소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퍼(30)로부터 접속부까지 종자의 막힘이 발생한 경우 결립을 방지할 수 있다.
결립 센서(36)에 의한 검지 결과는, 예를 들면 운전석(11)의 대시 보드(14)에 표시하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전할 수 있다.
가로막 브러시(34)는 상단이 롤 케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막 브러시(34)는 배출 롤(32)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틈새를 마련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작업 위치와 그 작업 위치에서 상방으로 회동시킨 배출 위치 사이에서 절환 가능하다.
가이드 부재(35)는 하단이 롤 케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35)는 배출 롤(32)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작업 위치와 그 작업 위치에서부터 하방으로 회동시킨 배출 위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가이드 부재(35)의 하단은 작업 위치와 배출 위치의 절환시, 롤 케이스(31)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게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회동시에 가이드 부재(35)의 회동 지점과 그 하단의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가이드 부재(35)의 하단에 탄성 부재를 부착하고, 그 탄성 부재가 배출 롤(32)의 표면 위를 따르도록 회동하는 것 등 의해 실현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30) 내 및 롤 케이스(31) 내에 잔류하는 종자를 배출하려면, 가로막 브러시(34)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가이드 부재(35)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배출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롤 케이스(31)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출구로 통하는 배출 경로(41)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부재(35)는 그 단부가 배출 롤(32)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회동함으로써, 호퍼(30)로부터 롤 케이스(31)의 내부를 통하여 배출구에 이르는 경로를 연속된 통로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5)를 종자의 배출 가이드로서 이용함으로써, 하방(공급 경로(40))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종자를 배출하고 회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33)으로부터 넘친 종자에 의해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이 휜다. 구체적으로는, 홈(33) 내에 보관된 종자(홈(33)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경사면에 밀린 종자)가 인접하는 종자를 가압하고, 털끝에 접촉되어 있는 종자에 가압력이 전달되어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이 휜다.
여기서, 가로막 브러시(34)는, 배출 롤(32)의 회전축심으로부터 기울어지고, 그 털끝은 회전 방향 상류측에서 배출 롤(32)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의 선단이 털 뿌리보다 배출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은 종자로부터 압력을 받음으로써 대략 연직 방향으로 휘고, 홈(33)으로부터 튀어 나온 종자를 막기 쉬워진다. 다시 말하면, 가로막 브러시(34)의 털끝에서 배출되는 종자를 면으로 받아들이도록, 종자와 가로막 브러시(34)가 접촉함으로서, 홈(33)의 상방으로 나온 종자를 확실히 막을 수 있다. 그리고, 가로막 브러시(34)를 배출 롤(32)의 바로 위에 배치시키면, 저장되어 있는 종자의 자중에 의해 털끝이 휘지 않고, 휘어지는 양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가로막 브러시(34)를 배출 롤(32)의 바로 위에 배치하면서, 그 털끝을 배출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인 자세로 배치함으로써, 종자를 막을 때 그 털끝이 배출 롤(32)의 표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의 각도를 이루도록 휘게 된다. 이에 따라, 홈(33)으로부터 넘친 종자가 가로막 브러시(34)와 배출 롤(32)의 틈새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배출 롤(32)의 홈(33)의 용적에 따른 정량 투입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홈(33)의 용량을 넘은 종자를 배출할 때 가로막 브러시(34)의 압력에 의해 종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로막 브러시(34)가 휘는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가로막 브러시(34)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33)의 후단측(회전 방향 상류측으로서, 가로막 브러시(34)를 나중에 통과하는 쪽)의 경사면은 전단측(회전 방향 하류측으로서, 가로막 브러시(34)를 먼저 통과하는 쪽)의 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홈(33)의 후단측에서 경사면의 표면측 모퉁이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홈(33)의 경사면을 완만하게 함으로써, 경사면으로부터 종자에 대한 반력이 배출 롤(32)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 때문에, 일정한 용적을 가지는 홈(33) 내에 그 용적을 초과한 종자가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특히 홈(33)으로부터 절반 이상 튀어나온 종자가 가로막 브러시(34)를 통과하는 비율이 낮아진다. 또한, 홈(33) 내에 보관되어 있는 종자에 압력이 가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홈(33) 내에서 종자의 손상이 저감된다.
그리고, 홈(33)의 경사면의 R를 크게 함으로써, 홈(33)으로부터 튀어나온 종자를 홈(33) 밖으로 완만한 각도로 밀어내기 쉬워진다. 또한, 홈(33)의 경사면의 모서리와 가로막 브러시(34)에 끼워진 종자의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입상물 공급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인 시비 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시비 장치(50)는 주행 기체(2)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주행 기체(2)의 주행에 따라 소정량의 비료(입상물)를 점파한다.
시비 장치(50)는 파종 장치(1)와 마찬가지로, 입상(粒狀)의 비료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저장부 내의 비료를 소정량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배출부에서 배출된 비료를 점파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경로 등을 구비한다.
시비 장치(50)의 배출 롤(51)의 회전 구동축에 모터(52)가 접속된다. 모터(52)는 적절한 전원 장치에 접속됨과 함께, 제어 장치(53)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고 있다. 즉, 시비 장치(50)의 배출부는 모터 구동에 의해 제어되고 있으며, 배출 롤(51)의 구동축에 전기 제어 가능한 모터(52)를 직접 접속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시비 장치(50)에서의 시비량의 설정은 대시 보드(14)에 배치된 비중 다이얼(54)과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어 장치(53)는 비중 다이얼(54)과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에 의해 설정된 값에 따라, 실제의 비료 배출량(실제 시비량)으로서 배출 롤(51)의 모터(52)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53)는 배출 롤(51)의 일회전당 배출량에 기초하여 모터(52)의 구동을 제어하여, 시비량이 설정된 값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때, 모터(52)의 구동 제어는, 주행 기체(2)의 주행 조작구인 주변속 레버가 뉴트럴 위치인 경우 이외에는 입력 불가로 함으로써 작업중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비중 다이얼(54)에서는 실제로 살포하는 비료의 비중[kg/cc]을 입력하고,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에서는 실제로 살포하고자 하는 시비량[kg]을 입력한다. 제어 장치(53)에서는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에 의해 설정된 값[kg], 배출 롤(51)의 일회전당 배출량[cc], 비중 다이얼(54)로 설정된 비중[kg/cc]의 적산값이 동일해지도록 모터(52)의 회전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실제로 살포하는 비료의 비중은 측정 컵 등을 이용하여 미리 측정한 값으로서 얻어진 것으로 한다. 그리고, 원하는 배출량으로서 시비량을 직접 설정함으로써, 종래 행해지고 있던 기준표를 이용한 설정이 불필요해진다.
제어 장치(53)는 모터(52)의 회전수가 소정 횟수가 되었을 때, 배출 롤(51)의 회전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면, 배출 롤(51)에 형성되는 홈의 용적에 기초하여, 1조분의 배출 용적인 1000[cc]의 비료를 배출했을 때의 배출 롤(51)의 회전수를 소정 횟수로서 설정한다. 그리고, 배출된 비료의 중량[kg]을 측정함으로써 실제 기기에 기초한 비중[kg/cc]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료 비중의 측정은 측정 컵 등 비교적 큰 용적의 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시비 장치(50)의 배출 롤(51)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용적은 측정 컵에 비해 작기 때문에, 입경이 큰 비료, 찌그러진 형상의 비료를 이용한 경우, 공극율이 커져 소망량의 비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제로 사용하는 비료를 실제 기기로 배출하여, 측정한 값으로부터 1회당 시비량을 구하여 살포량을 설정할 수 있으며, 측정 컵에서 측정한 비중값보다 목표 시비량에 가까운 실제 시비량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시비 장치(50)에서의 살포량의 설정 방법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배출 롤(51)을 이용하여 소정량의 비료를 배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공판을 이용하여 소정량의 비료를 배출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비중을 입력한 후에 목표 시비량을 입력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비중 다이얼(54)의 조작에 의한 비중의 입력 작업과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의 조작에 의한 목표 시비량의 입력 작업은 어느 것을 먼저 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을 이용하여 포장(圃場)에 점파하는 목표 시비량을 입력한 후, 비중 다이얼(54)을 이용하여 점파하는 비료의 비중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비중 다이얼(54) 및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을 대시 보드(14)에 배치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비중 다이얼(54) 및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을 시비 장치(50)에 장착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다이얼에 더하여 제어 장치(53)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컨트롤러(60)로서 시비 장치(5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이얼을 시비 장치(50)에 설치함으로써, 시비 장치(50)에 비료를 충전하는 등의 작업을 한 후, 바로 시비 장치(50)의 근처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비료를 변경했을 때의 오조정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53)가 내장되는 컨트롤러(60)를 마련한다. 컨트롤러(60)의 조작반에는 비중 다이얼(54)과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이 배치되며, 또한 이들 다이얼의 오조정을 경보하는 램프(61), 시비 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62·63)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62·63)는, 예를 들면 조 정지 등, 시비 장치(50)의 동작 유무를 절환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그 이외에 비료의 종류, 시비 장치(50)의 작업 속도, 시비 장치(50)의 동작을 절환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설정은 임의이다.
램프(61)는,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의 조작 위치와 비중 다이얼(54)의 조작 위치에 따라 점등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오조정을 경보한다. 예를 들면, 목표 시비량이 매우 크며 이용하는 비료의 비중이 매우 작은 경우에는 시비량이 매우 커지지만, 모터(52)의 회전 속도 등에 기인하여 시비량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설정이 된다. 이와 같이 기계의 성능 범위 외로 설정된 경우, 램프(61)에 의해 경보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켜 재조정을 재촉할 수 있다. 한편, 램프(61)에 의한 시각적인 경보에, 버저를 울리는 청각적인 경보를 가할 수도 있고, 시각적인 경보 또는 청각적인 경보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이얼의 오조정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경보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 이하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을 조작하여 목표 시비량을 입력한 후, 컨트롤러(60)에 의해 최적의 비중 범위를 설정하고, 비중 다이얼(54)의 조작 범위를 제한함으로써(다시 말하면, 적용 가능한 비료의 종류를 한정함으로써) 오조정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비중 다이얼(54)을 먼저 설정하는 경우, 컨트롤러(60)는 설정된 비중에 따라 최적의 목표 시비량의 범위를 설정하여 목표 시비량 다이얼(55)의 조작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 즉, 다이얼(54·55) 중 하나의 설정값에 따라 다른 하나의 설정 가능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오조정을 억제하여, 최적의 비료의 선택 및 시비량의 선택을 실현하는 것이다.
다이얼(54·55)의 설정 가능 범위를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컨트롤러(60)의 조작반에 인디케이터를 마련하고, 하나의 설정값에 따라 다른 하나의 설정 가능 범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 또는 다이얼(54·55)의 회동 조작을 연동시켜, 먼저 설정한 다이얼의 조작에 연동하여 나중에 설정하는 다이얼을 어느 정도 회동시켜, 회동 제한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먼저 설정한 다이얼을 회동시키는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다.
1: 파종 장치(입상물 공급 장치)
30: 호퍼(저장부)
31: 롤 케이스 32: 배출 롤
33: 홈 34: 가로막 브러시(브러시 부재)
35: 가이드 부재 36: 결립 센서
40: 공급 경로 41: 배출 경로
50: 시비 장치(입상물 공급 장치)
31: 롤 케이스 32: 배출 롤
33: 홈 34: 가로막 브러시(브러시 부재)
35: 가이드 부재 36: 결립 센서
40: 공급 경로 41: 배출 경로
50: 시비 장치(입상물 공급 장치)
Claims (3)
- 입상물(粒狀物)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하방에 위치하며 저장부로부터 입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입상물을 보관하는 홈이 표면에 복수 형성된 배출 롤, 및 상기 배출 롤의 표면에 접촉하며 상기 홈에 보관된 상태의 입상물을 상기 저장부측에서 하방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홈에 소정량의 입상물을 보관하면서, 상기 배출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입상물을 하방으로 공급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로서,
상기 저장부와 배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부의 배출 롤의 홈보다 상방에 있는 입상물을 막는 브러시 부재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브러시 부재를 상기 배출 롤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브러시 부재의 털끝을 상기 배출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기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롤의 홈에서 상기 배출 롤의 회전 방향 상류측 경사면이 하류측 경사면에 비해 완만해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의 표면측 모서리의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한 입상물 공급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부재는 상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입상물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할 때, 상기 브러시 부재를 상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를 따라 배출하는 입상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14180 | 2015-06-04 | ||
JP2015114180A JP2017000013A (ja) | 2015-06-04 | 2015-06-04 | 粒体供給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3524A true KR20160143524A (ko) | 2016-12-14 |
Family
ID=5757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533A KR20160143524A (ko) | 2015-06-04 | 2016-05-26 | 입상물 공급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7000013A (ko) |
KR (1) | KR20160143524A (ko) |
CN (1) | CN10623389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097958A (zh) * | 2017-04-20 | 2017-08-29 | 浙江大学 | 一种变量施肥的无人机系统和方法 |
CN107896607B (zh) * | 2017-10-30 | 2020-06-16 | 蒲县正茂核桃综合加工有限公司 | 可调配核桃肥料比例的施肥器 |
CN108207191B (zh) * | 2017-12-13 | 2019-12-24 | 华南农业大学 | 一种侧方导种的水稻精量直播成穴装置 |
US11871698B2 (en) * | 2018-03-21 | 2024-01-16 | 10691976 Canada Ltd. | Crop growth system including a seeder and associated harvester |
IT201800007355A1 (it) * | 2018-07-19 | 2020-01-19 | Gruppo distributore regolabile per materiali granulati e simili | |
CN109526349A (zh) * | 2019-01-25 | 2019-03-29 | 莱芜职业技术学院 | 一种水肥一体式灌溉设备 |
CN110291877A (zh) * | 2019-06-28 | 2019-10-01 | 江苏永联现代农业发展有限公司 | 一种均匀施肥的农业施肥装置 |
CN111183774B (zh) * | 2020-01-23 | 2021-08-17 | 福建坤加建设有限公司 | 一种精确变量肥料撒施机 |
CN112352509B (zh) * | 2020-11-12 | 2022-03-11 | 吉林农业科技学院 | 一种水稻多蘖壮秧单粒快速播种装置 |
CN114766156A (zh) * | 2022-03-24 | 2022-07-22 | 四川农业大学 | 一种电驱动的气送式精量集中排肥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01919A (ja) | 2012-03-27 | 2013-10-07 | Kubota Corp | 粒体供給装置 |
JP2014064526A (ja) | 2012-09-26 | 2014-04-17 | Kubota Corp | 粉粒体散布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82516Y2 (ja) * | 1992-02-04 | 1998-10-08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播種機 |
CN2660861Y (zh) * | 2003-11-12 | 2004-12-08 | 江滨龙 | 易充种式排种轮 |
CN101379907A (zh) * | 2007-09-05 | 2009-03-11 | 张建平 | 一种水稻穴播装置 |
JP5513140B2 (ja) * | 2010-01-15 | 2014-06-04 | 株式会社クボタ | 粉粒体供給装置 |
JP5930578B2 (ja) * | 2010-10-21 | 2016-06-08 | 株式会社クボタ | 粉粒体供給装置 |
CN203015430U (zh) * | 2012-12-19 | 2013-06-26 | 王宇智 | 窝眼式精密排种器 |
CN203136492U (zh) * | 2013-02-23 | 2013-08-21 | 董臣 | 具有清种轮装置的排种器 |
-
2015
- 2015-06-04 JP JP2015114180A patent/JP2017000013A/ja active Pending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4533A patent/KR201601435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6-03 CN CN201610391365.0A patent/CN10623389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201919A (ja) | 2012-03-27 | 2013-10-07 | Kubota Corp | 粒体供給装置 |
JP2014064526A (ja) | 2012-09-26 | 2014-04-17 | Kubota Corp | 粉粒体散布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6233891A (zh) | 2016-12-21 |
JP2017000013A (ja) | 2017-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43524A (ko) | 입상물 공급 장치 | |
US5189965A (en) | Granular materials applicator | |
CN110650622B (zh) | 用于撒出播撒物的农业机械和用于农业机械的计量元件 | |
US5740746A (en) | Seed material dispens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planter | |
JP5714822B2 (ja) | 水田作業機 | |
JP2011142872A5 (ko) | ||
JP2011147364A (ja) | 農作業機 | |
JP6413184B2 (ja) | 農業用機械の繰出装置 | |
US11619941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driving condition for a tractor of an agricultural machine and an agricultural machine | |
JP2010136629A (ja) | 直播機 | |
JP2010088341A (ja) | 農作業機 | |
JP2005027605A (ja) | 粒状物吐出機 | |
JP2011110022A (ja) | 粉粒剤散布装置 | |
KR102054569B1 (ko) | 농업용 기계의 이송 장치 | |
JP2013066449A (ja) | 苗移植機 | |
JP6413182B2 (ja) | 農業用機械の繰出装置 | |
JP2020103204A (ja) | 施肥装置 | |
JP2004057121A (ja) | 粒状物吐出機 | |
JP4019724B2 (ja) | 点播機 | |
JP4454256B2 (ja) | 粒状薬剤の畦畔散布機 | |
JP2000166343A (ja) | 施肥装置 | |
WO2017131157A1 (ja) | 粒状体散布装置 | |
JP2004024170A (ja) | 点播機 | |
JP5612315B2 (ja) | 水田作業機 | |
JP2009017850A (ja) | 移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