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002B1 -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002B1
KR101653002B1 KR1020100014506A KR20100014506A KR101653002B1 KR 101653002 B1 KR101653002 B1 KR 101653002B1 KR 1020100014506 A KR1020100014506 A KR 1020100014506A KR 20100014506 A KR20100014506 A KR 20100014506A KR 101653002 B1 KR101653002 B1 KR 101653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sheave
sw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375A (ko
Inventor
다카히데 히라이
준이치 아이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111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128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Abstract

고가의 장주기 진동 감지기 대신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권상기 등에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에 염가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을 검출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으로,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2), 디플렉션 쉬브(3), 컴펜세이션 쉬브(9),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등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12)와, 로프 래치 가이드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ELEVATOR ROPE SWING DETECTOR, AND THEREBY EARTHQUAKE AUTOMATIC RESTORATION OPER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로프의 흔들림은 건물의 흔들림이 원인이고, 건물의 흔들림은 지진과 바람이 원인으로 되므로, 여기서는 지진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의해 건물이 흔들린 때의 진동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종래, 100km 이상 떨어진 진도 3 ~ 4 정도의 지구(地區)에 있어서, 건물 흔들림의 고유 주기가 긴 초고층 빌딩에서 건물 흔들림이 지진동(地震動)에 공진하여 흔들림이 더욱 커져서,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승강로 기기에 걸리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통상, 지진 자동 복구 운전에서는 진도 4 ~ 5 정도의 중간 규모 지진을 대상으로 엘리베이터가 기기의 이상 유무를 자동 진단하여 복구하지만, 고층 빌딩에 적용할 때에는 장주기 진동의 발생 유무를 고려하지 않고 실시하면, 기기 파손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여기서, 지진에 의한 장주기 진동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장주기 지진동: 지진으로 발생하는 주기가 수 초 내지 수십 초의 느리고 긴 흔들림이다 . 먼 곳까지 전해지며, 특히 평야부에서 흔들린다. 사람은 그다지 느끼지 못하지만, 고층 빌딩 등 거대 구조물이 공진하여 큰 피해가 생긴다. 종래의 면진(免震) 구조·제진(制震) 구조로는 막을 수 없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출전: 소학관 「다이지센(大辭泉)」).
또, 종래 기술로서, 장주기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 장주기 지진을 검지하는 장주기 지진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장주기 지진 검지 장치에 의해 장주기 지진을 검지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을 행하는 엘리베이터의 지진 관제 운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엘리베이터 로프의 스트랜드 파단(破斷)을 검출하고, 그 파단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또, 재해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을 정지시킨 후, 엘리베이터칸을 주행시키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자동 점검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권상기 쉬브의 메인 로프 출구 근방에 마련되어, 쉬브의 메인 로프 출구 근방의 로프 변위를 측정하는 로프 변위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로프 변위 검지 수단은 쉬브의 메인 로프 출구 근방의 통상시 로프 위치를 측정하여 미리 기억해 두고, 지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가 지진 관제 운전으로 정지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하면 쉬브의 메인 로프 출구 근방의 로프 위치를 측정하고, 통상시의 메인 로프 위치와 비교하여, 문턱값을 넘은 경우에 로프 걸림의 발생을 검지하는 엘리베이터 로프류의 걸림 검지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4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O07-32071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8-30154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7-11253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O08-184253호 공보
종래, 엘리베이터의 지진 관제 운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주기 지진을 검지하는 장주기 진동 감지기는 이미 존재하고 있지만, 수 초 내지 수십 초 주기의 느린 흔들림을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 자체가 비교적 고가의 것으로 되고 있다.
또, 종래 엘리베이터 로프류의 걸림 검지 장치에서는 권상기 쉬브의 엘리베이터칸측 메인 로프 출구 근방, 및 디플렉션 쉬브의 균형추측 메인 로프 출구 근방에 각각 메인 로프의 로프 변위를 측정하는 로프 변위 검지 수단으로서의 로프 변위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있고, 메인 로프는 통상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프 변위 검지 센서의 측정부는 복수 개의 로프에 대응하기 위해 복수의 센서 측정부를 구비한 구성이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비교적 고가의 장주기 진동 감지기 대신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권상기 등에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에 염가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을 검출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 디플렉션 쉬브, 컴펜세이션 쉬브,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등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로프 래치 가이드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한 것이다.
또, 로프 래치 가이드는 지진 내진 대책으로 장착된 것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진동 데이터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가속도계, 마이크, 접촉 센서 중 어느 것이다.
또, 로프 래치 가이드는 외팔보 로프 가이드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외팔보 로프 가이드의 장착 기부측(基部側) 또는 장착 기부 근방의 장착 커버에 마련한 것이다.
또, 로프 래치 가이드는 양팔보 로프 가이드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양팔보 로프 가이드의 장착 기부측 또는 장착 기부 근방의 장착 커버에 마련한 것이다.
또,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되어, 메인 로프가 감겨진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와;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를 내부에 수납하는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와;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 디플렉션 쉬브, 컴펜세이션 쉬브,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등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로프 래치 가이드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사용한 것으로서, 일정 규모 이하의 지진 발생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성립한 경우는 자동 진단 운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자동 진단 운전의 진단 내용에 이상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자동 진단 운전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하지 않은 경우는 자동 진단 운전을 완료하여 자동 복구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고가의 장주기 진동 감지기 대신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권상기 등에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에 염가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장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의 출력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권상기에 외팔보 로프 가이드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권상기에 양팔보 로프 가이드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리턴 쉬브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리턴 쉬브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에 로프의 걸림이 발생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의 출력 신호의 예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권상기에 외팔보 로프 가이드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사용한 지진 자동 북구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고층 빌딩에 마련된 지진 감지기, 2는 권상기, 3은 디플렉션 쉬브, 4는 엘리베이터칸, 5는 균형추, 6은 권상기(2) 및 디플렉션 쉬브(3)에 감겨지고 그 양측에 엘리베이터칸(4)의 상단(上端) 및 균형추(5)의 상단이 각각 접속된 메인 로프, 7은 조속기 로프, 8은 제어 케이블, 9는 컴펜세이션 쉬브, 10은 컴펜세이션 쉬브(9)에 감겨지고 그 양단이 엘리베이터칸(4)의 하측 및 균형추(50)의 하단(下端)이 각각 접속된 컴펜세이션 로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로서, 예를 들어 권상기(2), 디플렉션 쉬브(3), 컴펜세이션 쉬브(9),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등에 마련되어 있다. 이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의 개략 구성은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이다. 즉, 권상기(2)의 쉬브(2a)에 감겨진 메인 로프(6)의 외주(外周)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12) 또는 그 근방에, 진동 데이터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가속도계나 마이크나 접촉 센서 등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를 추가하여 장착하고, 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에 의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검출하는 것이다. 지진 내진 대책으로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12)는 메인 로프(6)가 지진의 진동으로 권상기(2)의 쉬브(2a)의 홈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로프(6)에 접근하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진, 바람 등에 의해 건물이 흔들린 때에도, 메인 로프(6)가 승강로 기기 등에 걸리면, 로프 래치 가이드(12)에 닿아서 진동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메인 로프(6)의 닿음을 로프 흔들림 건출 센서(13)에 의해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할 수 있다. 로프 흔들림의 경우는 로프가 흔들려서 래치에 부딪혀서 래치가 진동하는(충돌이 가해지는) 것을 검지한다. 또,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로프 걸림, 로프 흔들림 외에, 로프 올라앉음(로프가 흔들려서 활차(滑車) 상의 이웃 로프에 올라앉음)을 검지하는 목적이 있고, 로프가 활차 상에 올라앉으면 로프가 래치에 부딪치기 때문에, 래치가 진동하므로 검지할 수 있다.
도 3은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의 출력 신호의 예이다. 이 경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이고, 세로축은 가속도, 가로축은 시간이다. 도 3에 나타낸 올라앉음 발생 구간에서 로프 올라앉음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검지 문턱값을 넘은 경우에 올라앉음 발생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권상기(2)에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에 의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의 권상기(2)의 장착 커버(14)로의 장착 기부 근방(장착 위치 a),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의 중간부(장착 위치 b), 및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의 선단부(장착 위치 c)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것이다.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의 장착 위치는 장착 작업성의 면에서 보면, 권상기(2)의 장착 커버(14)로의 장착 기부 근방(설치 위치 a)이나,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의 중간부(설치 위치 b)가 바람직하고, 선단부(설치 위치 c)는 메인 로프(6)가 직접 닿아 파손되거나 장착 작업성이 나쁜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에 의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는 권상기(2)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플렉션 쉬브(3)나 컴펜세이션 쉬브(9),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등에 마련해도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지진이 발생하면, 우선 지진 감지기(1)로 일정 규모 이하의 지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일정 규모를 넘는 지진이면, 엘리베이터는 휴지(休止)하고, 전문 기술자에 의한 복구를 기다린다(단계 S2). 단계 S1에서 일정 규모 이하의 지진이면, 단계 S3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는 예를 들어 권상기(2)의 쉬브(2a)에 감겨진 메인 로프(6)의 외주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장착되어 있는 로프 래치 가이드(12)에, 진동 데이터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가속도계나 마이크나 접촉 센서 등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를 추가로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고가의 장주기 진동 감지기를 마련하지 않아도,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S3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한 경우는 엘리베이터는 휴지하고, 전문 기술자에 의한 복구를 기다린다(단계 S4). 단계 S3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5에서 엘리베이터의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은 엘리베이터칸 내에 인물(人物) 없음, 일정 시간 대기, 안전 회로 정상 등이다. 단계 S5에서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는 휴지하고, 전문 기술자에 의한 복구를 기다린다(단계 S6). 단계 S5에서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이 성립하면, 단계 S7에서 자동 진단 운전을 개시한다. 자동 진단 운전 중은 단계 S8에서 진단 내용에 이상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진단 내용은 권상기 토크값, 이상음, 도어 개폐 상태 등이다. 단계 S8에서 이상이 검출된 경우는 엘리베이터는 휴지하고, 전문 기술자에 의한 복구를 기다린다(단계 S9). 단계 S8에서 진단 내용에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는 단계 S1O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O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한 경우는 엘리베이터는 휴지하고, 전문 기술자에 의한 복구를 기다린다(단계 S11). 단계 S1O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2에서 엘리베이터의 자동 진단 운전을 완료하고, 자동 복구하여, 엘리베이터는 사용 개시한다(단계 S13). 또한, 지진에 의한 장주기 진동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의해 건물이 흔들린 때의 진동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권상기에 양팔보 로프 가이드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권상기(2)에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가이드(12a)에 의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를 장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직선 형상의 양팔보 로프 가이드(12b)의 권상기(2)의 한 쪽의 장착 커버(14a)로의 장착 기부(장착 위치 a), 장착 커버(14a)의 임의부(장착 위치 b), 및 직선 형상의 양팔보 로프 가이드(12b)의 다른 쪽의 단부(장착 위치 c)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에 의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을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는 권상기(2)의 직선 형상의 양팔보 로프 가이드(12b)에 한정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용 로프 가이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리턴 쉬브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리턴 쉬브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에 로프의 걸림이 발생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는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를 권상기(2), 디플렉션 쉬브(3), 컴펜세이션 쉬브(9) 등에 마련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를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의 커버에 마련한 것이다.
도 7 ~ 도 9에 있어서, 4는 엘리베이터칸, 15는 엘리베이터칸(4)의 상부에 마련된 프레임 형상의 리턴 쉬브 장착부, 16은 리턴 쉬브 장착부(15)에 장착된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로, 메인 로프(6)가 감겨져 엘리베이터칸(4)을 매달아 유지하고 있다. 17은 엘리베이터칸(4)의 상부에 마련된 케이스 형상의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로,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16)를 수납하는 것이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17)는 엘리베이터칸 내에서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16)의 로프 맞물림 소리가 들리지 않게 하고, 안전 상 전문 기술자가 점검시에 말려들어가지 않게 하고, 로프 기름이 엘리베이터칸 위로 비산(飛散)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17) 내의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16)에 감겨진 메인 로프(6)의 외주에 지진 내진 대책으로 로프 래치 가이드(12)가 장착되어 있다. 또,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17)의 상부 외벽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는 메인 로프(6)가 지진의 흔들림에 의해 승강로 기기 등에 걸리거나, 또는 엘리베이터칸이 승강로 기기 등의 걸림 개소(箇所)에 가까워지면, 도 9의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로프(6)가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17)의 상부와 접촉하므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11)의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13)에 의해 진동 데이터로서 포착할 수 있는 것이다.
1 지진 감지기
2 권상기
2a 쉬브
3 디플렉션 쉬브
4 엘리베이터칸
5 균형추
6 메인 로프
7 조속기 로프
8 제어 케이블
9 컴펜세이션 쉬브
10 컴펜세이션 로프
11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12 로프 래치 가이드
12a 크랭크 형상의 외팔보 로프 래치 가이드
12b 직선 형상의 양팔보 로프 래치 가이드
13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
14, 14a 장착 커버
15 프레임 형태의 리턴 쉬브 장착부
16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17 케이스 형상의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 디플렉션 쉬브, 컴펜세이션 쉬브,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에 의해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에 로프가 닿아서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가 진동하는 것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로프 래치 가이드는 지진 내진 대책으로 장착된 것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진동 데이터를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가속도계, 마이크, 접촉 센서 중 어느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로프 래치 가이드는 외팔보 로프 가이드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외팔보 로프 가이드의 장착 기부측(基部側) 또는 장착 기부 근방의 장착 커버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로프 래치 가이드는 양팔보 로프 가이드이고,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양팔보 로프 가이드의 장착 기부측 또는 장착 기부 근방의 장착 커버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5.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되어, 메인 로프가 감겨진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와,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를 내부에 수납하는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에 로프가 닿아서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가 진동하는 것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커버의 상부 외벽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7.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감겨지는 권상기, 디플렉션 쉬브, 컴펜세이션 쉬브, 엘리베이터칸 상부 리턴 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여 마련된 로프 래치 가이드와,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건물의 흔들림에 의한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로프 흔들림 검출 센서는 상기 로프 흔들림 또는 로프의 걸림에 의해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에 로프가 닿아서 상기 로프 래치 가이드가 진동하는 것을 진동 데이터로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를 사용한 것으로서,
    일정 규모 이하의 지진 발생시, 상기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자동 진단 운전의 개시 조건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성립한 경우는 자동 진단 운전을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진단 운전의 진단 내용에 이상이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진단 운전에서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하지 않은 경우는 자동 진단 운전을 완료하고 자동 복구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KR1020100014506A 2009-02-20 2010-02-18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KR101653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7810 2009-02-20
JP2009037810 2009-02-20
JPJP-P-2009-271115 2009-11-30
JP2009271115A JP5401281B2 (ja) 2009-02-20 2009-11-30 エレベータのロープ揺れ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地震自動復旧運転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375A KR20100095375A (ko) 2010-08-30
KR101653002B1 true KR101653002B1 (ko) 2016-08-31

Family

ID=4261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506A KR101653002B1 (ko) 2009-02-20 2010-02-18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3002B1 (ko)
CN (1) CN10181163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77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3차원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승강기용 지진감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6698A (ja) * 2010-09-08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9045313B2 (en) * 2012-04-13 2015-06-0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Elevator rope sway estimation
JP5456836B2 (ja) * 2012-04-24 2014-04-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205234B2 (ja) * 2013-10-17 2017-09-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長尺物引掛り検出装置
JP6276607B2 (ja) * 2014-02-21 2018-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4555636B (zh) * 2014-11-24 2017-06-09 中国矿业大学 一种立井罐道钢丝绳的摆动检测装置
CN107207200B (zh) * 2015-01-30 2019-10-22 蒂森克虏伯电梯股份公司 用于升降机应用的实时绳索/线缆/带摇摆监测系统
JP6490248B2 (ja) * 2016-01-20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7221329A1 (ja) * 2016-06-21 2017-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復旧支援システム
JP6545384B2 (ja) * 2016-07-05 2019-07-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監視装置
CN108861933A (zh) * 2017-05-12 2018-11-2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电梯主机的曳引件的防跳脱装置及设有该装置的电梯
CN112469656B (zh) * 2018-08-01 2022-05-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EP3623335B1 (en) * 2018-09-12 2021-06-16 KONE Corporation A travelling cable support arrangement of an elevator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velling cables of an elevator
CN110775763B (zh) * 2019-11-05 2022-10-04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的防摇摆检测方法及电梯防摇摆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104A (ja) * 2005-02-17 2006-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230731A (ja) * 2006-03-01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2008050110A (ja) * 2006-08-24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外れ止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73111A4 (en) * 2005-04-20 2012-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ING DEVICE FOR ELEVATOR
JP4844410B2 (ja) * 2007-01-29 2011-12-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ロープ類の引っ掛り検知装置
JP2008230771A (ja) * 2007-03-20 2008-10-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4748194B2 (ja) * 2008-09-03 2011-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104A (ja) * 2005-02-17 2006-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230731A (ja) * 2006-03-01 2007-09-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2008050110A (ja) * 2006-08-24 2008-03-0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外れ止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777A (ko) 2021-10-05 2023-04-12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3차원 가속도 센서를 적용한 승강기용 지진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1635A (zh) 2010-08-25
KR20100095375A (ko) 2010-08-30
CN101811635B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00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WO2011158871A1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方法及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装置
JP4618101B2 (ja) エレベータ管制運転装置
KR101653003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감시 장치
US20090133963A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5224933B2 (ja) エレベーターの復旧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5246636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システム
JP5401281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揺れ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地震自動復旧運転制御方法
CN102649523B (zh) 电梯的控制装置以及检测器
KR10096044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JP448821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6997680B2 (ja) 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異常監視方法
JP2007099500A (ja) エレベータ管制運転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7112538A (ja) エレベータの自動点検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自動点検方法
JP2009113937A (ja) 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JP2008068943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横揺れ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管制運転装置
JP200025592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184747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29854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5939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070298A (ja) エレベーターの管制運転装置
JP4844410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類の引っ掛り検知装置
JP4867813B2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管制運転システム
KR100919548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6108125A (ja) エレベータの強風管制運転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