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542B1 - 수액장치 - Google Patents

수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542B1
KR101652542B1 KR1020117005794A KR20117005794A KR101652542B1 KR 101652542 B1 KR101652542 B1 KR 101652542B1 KR 1020117005794 A KR1020117005794 A KR 1020117005794A KR 20117005794 A KR20117005794 A KR 20117005794A KR 101652542 B1 KR101652542 B1 KR 101652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essing
liquid
unit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612A (ko
Inventor
마사아키 다케바야시
마사유키 나이토
후토시 사사키
가즈오 마에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1005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28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with linear peristaltic action, i.e. comprising at least three pressurising members or a helica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1Automatic tube cut-off devices, e.g. squeezing tube on detec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수액장치(1)는, 제어부(12), 상측 튜브 클램프부(5), 이상 검출부(9) 및 상측 튜브 클램프부(5)를 구비한다. 제어부(12)는, 이상 검출부(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측 튜브 클램프부(5)를 클램프상태로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액장치{TRANSFU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약액 등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수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료현장에서는 환자에 대하여 수액 치료를 하기 위한 수액장치가 이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수액장치는, 수액용기로부터 연장되는 튜브의 일부가 수용되어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한다. 이 케이스부와는 별도로, 튜브를 클램프하기 위한 튜브 클램프부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부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도어를 구비한다. 케이스부의 도어가 개방되면, 튜브 클램프부가 작동되어 튜브를 클램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의사나 간호사 등 의료종사자가 도어를 열면, 튜브 클램프부에 의해 튜브 내 약액 등의 흐름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222485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튜브 클램프부는, 도어가 열림으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되므로, 예를 들어 수액장치에 있어서 약액의 점적 수가 규정량보다 증가하여 이상상태가 되었다 해도, 의료종사자가 도어를 열 때까지, 환자에게 규정량이 아닌 양의 약액이 계속 투여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액장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튜브 내 액체의 흐름이 자동적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수액용기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수액 중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상기 튜브를 클램프하여 상기 튜브 내의 액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튜브 클램프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와, 상기 튜브 클램프부에 접속되고, 상기 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비 클램프상태에서 클램프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하면, 제어부가 튜브 클램프부를 클램프상태로 하므로, 종래예와 같이 의료종사자가 도어를 여는 등의 행위를 하는 일없이, 튜브 내 액체의 흐름이 정지된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튜브 클램프부는, 튜브를 직경방향으로 끼우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튜브 누름부 및 튜브 받이부와,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튜브 받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튜브 받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튜브 누름부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장치는 제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튜브 받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튜브 누름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튜브 받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 누름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발생 시에는, 가압부의 가압력에 의해 튜브가 튜브 누름부와 투브 받이부에 의해 클램프되어, 튜브 내 액체의 흐름이 정지된다. 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을 시에는, 튜브 누름부를 구동장치에 의해 튜브 받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튜브가 비 클램프상태로 된다.
그리고 튜브 누름부가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튜브가 클램프상태일 때, 만일 수액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구동장치가 고장난 경우에, 튜브 누름부를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분리시켜 의료종사자가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서, 제어부에 접속되는 경보기와, 제어부에 접속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경보를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기를 제어하는 한편, 경보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비 클램프상태가 되도록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경보를 해제하지 않으면 튜브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조작자는 경보를 확인하여 튜브를 개방시키게 된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튜브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본체 케이스부와, 이 본체 케이스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부를 가지며, 튜브 누름부와 튜브 받이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튜브 누름부와 튜브 받이부가 본체 케이스부측에 배치되므로, 튜브가 클램프상태일 때에 케이스부의 도어부가 열려도 클램프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2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가압부는 코일스프링이며, 구동장치는 모터인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튜브를 클램프하는 힘을, 고장 등의 우려가 적은 코일스프링에 의해 얻도록 함으로써, 튜브를 필요 시에 확실하게 클램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모터에 의해 튜브를 비 클램프상태로 함으로써 조작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2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동장치와 구동력 전달부는 베벨기어를 개재하여 접속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고, 튜브 클램프부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장치에 대한 구동력 전달부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2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튜브 누름부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을 가지며, 이 부분이 만곡 형성되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튜브 누름부를 의료종사자가 손으로 조작할 시에, 손가락에 걸리는 압력이 분산되어 조작 시의 부담이 경감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가 이상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면 튜브 클램프부를 클램프상태로 하므로, 이상발생 시에 의료종사자가 별도로 어떠한 행위를 행하는 일없이, 튜브 내 액체의 흐름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어,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이상발생 시에는, 튜브 클램프부의 가압부에 의해, 튜브를 튜브 누름부와 튜브 받이부에 의해 클램프할 수 있는 한편,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비 클램프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상태일 때에, 만일 수액장치의 전원이 꺼지거나 구동장치가 고장난 경우, 튜브 누름부를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분리시켜 의료종사자가 스스로 움직여 튜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그 후의 수액치료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가 조작부에 의해 경보를 해제함으로써 튜브가 개방되므로, 조작자는 튜브를 개방하기 전에 경보를 반드시 확인하게 되며, 수액채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튜브 누름부와 튜브 받이부가 본체 케이스부측에 배치되므로, 튜브가 클램프상태일 때에 케이스부의 도어부가 열려도, 튜브를 계속 클램프할 수 있어,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튜브의 클램프력을 코일스프링에 의해 얻는 한편, 모터의 힘에 의해 튜브를 비 클램프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조작자의 이편성을 높일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구동장치와 구동력 전달부의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튜브 누름부 중,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을 만곡 형성하므로, 손으로 튜브 누름부를 조작할 시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수액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수액장치의 케이스부를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튜브 클램프부의 사시도,
도 4는 통상 시의 튜브 클램프부의 평면도,
도 5는 튜브 클램프부에 의해 튜브를 클램프한 경우의 평면도,
도 6은 튜브 누름부가 구동력 전달부로부터 분리된 경우의 졍면도.
도 7은 수액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수액장치(1)를 나타내는 것이다. 수액장치(1)는 케이스부(2)와 드롭 검출기(이상 검출부)(9)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 내부에는 펌프부(4), 상측 튜브 클램프부(5), 기포검출 센서부(6), 하측 튜브 클램프부(8), 및 제어부(12)(도 7에만 기재)가 배치된다. 케이스부(2) 앞면에는 조작부(10)와 컬러 액정패널(11)이 배치된다.
수액장치(1)는, 수액용기(31)로부터 드립챔버(32)와 클램프(수액속도 조절기)(34)를 경유하여 환자에게 연장되는 튜브(33)에서, 드립챔버(32)와 클램프(34)의 중간부에 배치된다. 튜브(33)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케이스부(2)에 설치된다. 그리고 컬러 액정패널(11)로 설정내용을 확인하면서, 수액장치(1)의 조작부(1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유량 등을 설정하고, 그 후 펌프부(4)를 작동시키면, 튜브(33)에 펌프부(4)의 펌프작용이 가해져, 수액용기(31)에 저류되어 있는 약액(액체)(L)을 드립챔버(32)를 경유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좌" 및 "우"는 각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는 수액장치(1)의 왼쪽 및 오른쪽을 각각 의미하며, "전" 및 "후"는 각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는 수액장치(1)의 앞쪽 및 뒤쪽을 각각 의미하고, "상" 및 "하"는 각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는 수액장치(1)의 위쪽 및 아래쪽을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는 본체 케이스부(21), 도어부(22) 및 도어 힌지(23)를 구비한다. 도어 힌지(23)에 의해 도어부(22)의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2)는 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상기 조작부(10)는 도어부(22)의 앞면부(22b)에 형성된다. 조작부(10)에는, 수액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나, 수액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버튼 등이 배치된다. 조작부(10)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조작부(10)의 각종 조작버튼의 조작신호가 제어부(12)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컬러 액정패널(11)은 조작부(10) 상방에 배치된다. 컬러 액정패널(11)에는 수액장치(1)의 동작상태나 각종 설정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컬러 액정패널(11)은 제어부(12)에 접속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부(4)는 본체 케이스부(21)에 있어서 도어부 대향면(21a)의 중앙에 배치된다. 펌프부(4)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 펌프부(4)의 테두리를 따르도록 연장되는 돌기부(41)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41)의 상하 양 단부에는 절개부(41a)가 형성된다. 이 상하에 위치하는 절개부(41a)에 튜브(33)가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돌기부(41) 내측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핑거(42)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된다. 핑거(42)는 본체 케이스부(21) 내부에 장착된 캠 및 캠 구동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상측 핑거(42)로부터 하측 핑거(42)로 차례로 전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펌프부(4)도 상기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도어부(22)의 본체 케이스부 대향면(22a)에는, 펌프부(4)에 대향하는 위치에 튜브 누름부(43)가 배치된다. 도어부(22)를 닫으면, 튜브 누름부(43)와 핑거(42) 사이로 튜브(33)가 직경방향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핑거(42)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전후운동 시킴으로써, 튜브(33)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적당하게 눌려 간다. 이로써, 약액(L)을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펌프부(4) 상방에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배치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클램프판(50), 모터(51), 구동력 전달부(52), 가동부(53), 고정부(56), 리미트 스위치(57) 및 코일스프링(B)을 구비한다.
클램프판(50)은, 제 1 판부(50a), 제 2 판부(50b), 제 1 장착판부(50c) 및 제 2 장착판부(50d)를 구비한다.
제 1 판부(50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의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제 2 판부(50b)는 제 1 판부(50a)의 전방 단부 우측에 배치된다. 제 1 장착판부(50c)는 제 1 판부(50a)의 전방 단부 좌측에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장착판부(50c)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공(H1)이 형성된다. 관통공(H1)으로 뒤쪽에서 나사(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케이스부(2)에 결합시킴으로써, 클램프판(50) 좌측이 케이스부(2)에 고정된다.
또 제 2 장착판부(50d)는 제 2 판부(50b)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다. 제 2 장착판부(50d)의 거의 중앙에는 관통공(H2)이 형성된다. 관통공(H2)으로 뒤쪽에서 나사(도시 생략)를 삽입하여 케이스부(2)에 결합시킴으로써, 클램프판(50) 우측이 케이스부(2)에 고정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부(50a) 후방에는 샤프트 지지부(50e)가 장착된다. 이 샤프트 지지부(50e)는 역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샤프트 지지부(50e)는 나사(S4 및 S5)에 의해 제 1 판부(50a)에 체결된다. 샤프트 지지부(50e)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H3 및 H4)이 동심 상에 배치된다. 관통공(H3 및 H4)에는 부시(B1 및 B2)가 끼워진다.
샤프트 지지부(50e)에는, 모터(51)가 모터 장착판(50f)을 개재하여 장착된다. 모터 장착판(50f)은 제 1 판부(50a)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되며, 4개의 나사(S)에 의해 샤프트 지지부(50e)에 체결된다.
모터(51)는 그 회전축이 모터 장착판(50f)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자세로 모터 장착판(50f)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51)의 회전축은 수액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모터(51)의 회전축은 모터 장착판(50f)의 중심부 근방을 관통하여 샤프트 지지부(50e) 내측으로 돌출된다. 모터(51)의 회전축 선단에는 모터측 베벨기어(51a)가 장착된다. 모터(51)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구동력 전달부(52)는 샤프트(52a)와, 샤프트측 베벨기어(52b), 스러스트 베어링(52c), 수나사부(52d) 및 구동봉(52e)을 구비한다.
샤프트(52a)는 모터(51)의 회전축과 직교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부시(B1 및 B2)로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샤프트(52a)의 부시(B1)와 부시(B2) 사이에는 샤프트측 베벨기어(52b)가 고정된다. 샤프트측 베벨기어(52b)는 모터측 베벨기어(51a)의 이와 맞물리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이로써, 모터(5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샤프트(52a)가 회전한다.
모터(51)의 회전력을 모터측 베벨기어(51a)와 샤프트측 베벨기어(52b)를 통해 샤프트(52a)로 전달하도록 하므로, 모터(51)의 회전축과 샤프트(52a)를 평행하게 배치하지 않아도 되며, 모터(51)와 샤프트(52a)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된다.
샤프트(52a)의 부시(B1)보다 앞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형성된 수나사부(52d)가 배치된다. 부시(B1)와 수나사부(52d) 사이에는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52c)이 개재된다.
또 상기 구동봉(52e)은 스러스트 베어링(52c) 앞에 배치된다. 구동봉(52e)은 샤프트(52a)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각주형으로 형성된다. 구동봉(52e)의 중앙부 근방에는 돌기부(52g 및 52h)가 형성된다. 돌기부(52g 및 52h)와 구동붕(52e) 측면은 제 1 판부(50a)에 접하며, 이로써, 구동봉(52e)이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 구동봉(52e)의 전방 단면은 좌우방향 중앙이 앞쪽으로 완만하게 만곡하는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구동봉(52e) 내부에는 후방 단면으로 개구되고 앞으로 연장되는 암나사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이 암사나공에는 샤프트(52a)의 수나사부(52d)가 결합된다. 수나사부(52d)가 회전운동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정지상태의 구동봉(52e)은 그 중심축 방향(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모터(51)의 회전운동이 직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가동부(53)는 가동부 본체(54)와 튜브 누름부(55)를 구비한다. 가동부 본체(54)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연결부(54a), 좌측으로 돌출하는 구동력 받이부(54b), 후방 우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가압력 받이부(54c) 및 오버런 방지부(54d)를 구비한다.
연결부(54a)는 튜브 누름부(55)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구동력 받이부(54b)에는 구동력 전달판(54e)이 형성된다. 이 구동력 전달판(54e)은 구동봉(52e)의 전방 단면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력 전달판(54e)은 구동봉(52e)에 대해 고정되지 않으며, 구동봉(52e)으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가압력 받이부(54c)에는 관통공(H5)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H5)에는 상기 코일스프링(B)의 일단부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오버런 방지부(54d)는 가압력 받이부(54c)에 형성된다. 이 가압력 받이부(54c)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암나사공(54f)이 형성된다. 암나사공(54f)에는 스위치조작 나사(54g)가 결합된다. 스위치조작 나사(54g)는 암나사공(54f)에 결합시켰을 때에 오버런 방지부(54d)로부터 왼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가동부 본체(54)의 거의 중앙에는, 제 1 판부(50a)의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에는 나사(S1)가 삽입된다. 나사(S1)는 제 1 판부(50a)에 결합되며, 가동부 본체(54)는 나사(S)를 중심으로 회전운동 하도록 구성된다. 이 나사(S1)에서 관통공(H5)까지의 거리는 30㎜∼40㎜가 되도록 구성된다.
튜브 누름부(55)는 누름부 본체(55a)와 선단부(55b)를 구비한다. 누름부 본체(55a)는 전후로 연장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누름부 본체(55a)의 후방 단부는 가동부 본체(54)의 연결부(54a)로 연결된다. 누름부 본체(55a)는 연결부(54a)보다 얇게 형성된다.
또 선단부(55b)는 누름부 본체(55a)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다. 선단부(55b)의 전방 단면은 앞쪽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으로 구성된다. 선단부(55b)는 누름부 본체(55a)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선단부(55b) 좌우의 폭은 누름부 본체(55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튜브 누름부(55)의 선단부(55b)에서 나사(S1)까지의 거리는 30㎜∼40㎜가 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부(50a)의 전방 우측에는 보스형상의 나사결합부(50g)가 제 1 판부(50a)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나사결합부(50g)에는 나사(S2)가 결합된다. 이 나사(S2)에 의해 코일스프링(B)의 타단부가 제 1 판부(50a)에 고정된다. 이 코일스프링(B)은 인장 스프링이며, 스프링 상수가 0.1㎏f/㎜∼0.15㎏f/㎜ 범위로 설정된다.
고정부(56)는 제 1 판부(50a)의 전방 단부에 장착된다. 고정부(56)는 우측 돌출부(56a), 튜브 받이부(56b) 및 튜브 누름부(55)가 삽입되는 삽입부(56c), 우측 장착부(56d), 그리고 좌측 장착부(56e)를 구비한다.
우측 돌출부(56a) 및 튜브 받이부(56b)는 제 1 판부(50a)의 전방 단부보다 앞으로 돌출되며, 서로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삽입부(56c)는 우측 돌출부(56a)와 튜브 받이부(56b) 사이에 배치된다. 이 삽입부(56c)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도시 생략)에 튜브 누름부(55)의 누름부 본체(55a)가 삽입된다. 가동부 본체(54)가 회전했을 때에 누름부 본체(55a)가 고정부(56)에서 우측 돌출부(56a)와 튜브 받이부(56b) 사이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측 장착부(56d) 및 좌측 장착부(56e)는 뒤쪽으로 돌출되며, 나사(S3)에 의해 제 1 판부(50a)에 체결된다.
즉, 코일스프링(B)에 의해, 가동부 본체(54)는 튜브 누름부(55)가 고정부(56)의 튜브 받이부(56b)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봉(52e)이 후퇴된 상태이면, 코일스프링(B)이 가압력에 의해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클램프된 상태로 되고, 튜브(33)가 튜브 누름부(55)와 튜브 받이부(56b) 사이로 직경방향으로 끼워져 폐색된다. 코일스프링(B)이 가압력은 튜브(33)를 폐색시키는데 충분한 힘이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튜브 클램프부(5)의 구동봉(52e)이 앞으로 이동되도록 수나사부(52d)를 모터(51)에 의해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b)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튜브 누름부(55)가 고정부(56)의 튜브 받이부(56b)로부터 분리되도록 가동부 본체(54)가 회전하며,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클램프상태에서 비 클램프상태로 전환된다.
또 구동봉(52e)이 뒤로 이동되도록 모터(51)를 역 회전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 클램프부(5)가 비 클램프상태에서 클램프상태로 바뀐다.
리미트스위치(57)는, 가동부 본체(54)의 뒤쪽이며 오버런 방지부(54d)와 구동봉(52e) 사이에 배치된다. 리미트스위치(57)는 우측 스위치부(57a)와 좌측 스위치부(57b)를 구비하며, 각각 독립되어 ON 및 OFF가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리미트스위치(57)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스위치부(57a)의 우측면에는 판 스위치(57c)가 배치된다. 가동부(53)가 나사(S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 경우에, 오버런 방지부(54d)의 스위치조작 나사(54g) 선단이 판 스위치(57c)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스위치조작 나사(54g)의 접촉에 의해 우측 스위치부(57a)의 ON 및 OFF가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좌측 스위치부(57b)의 좌측면에는 볼록형 스위치(57d)가 왼쪽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구동봉(52e)이 뒤쪽으로 슬라이드 했을 때에 구동봉(52e)의 돌기부(52g)가 볼록형 스위치(57d)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돌기부(52g)의 접촉에 의해 좌측 스위치부(57b)의 ON 및 OFF가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리미트스위치(57)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부(22)의 본체 케이스부 대향면(22a)에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에 대향하는 위치에 튜브 클램프 간섭회피부(58)가 배치된다. 튜브 클램프 간섭회피부(58)는, 도어부(22)를 닫았을 때에 본체 케이스부 대향면(22a)이 상측 튜브 클램프부(5)와 간섭되지 않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기포검출 센서부(6)는 본체 케이스부(21)의 상측 튜브 클램프부(5)보다 위에 배치된다. 기포검출 센서부(6)는, 본체 케이스부(21)의 도어부 대향면(21a)에 배치된 본체측 기포검출 센서부(61)와, 도어부(22)의 본체 케이스부 대향면(22a)에 배치된 도어측 기포검출 센서부(62)를 구비한다.
본체측 기포검출 센서부(61)는 본체측 센서(61a)를 구비한다. 또 도어측 기포검출 센서부(62)는 도어측 센서(62a)를 구비한다. 본체측 센서(61a) 및 도어측 센서(62a)는 초음파센서이다. 도어부(22)를 닫았을 때에, 본체측 센서(61a)와 도어측 센서(62a)로 튜브(33)를 끼우고, 튜브에 초음파를 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튜브(33)를 통과하는 약액(L) 내에 기포가 섞여 있으면, 약액(L)과 기포는 초음파의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그 투과율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약액(L) 내 기포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본체 케이스부(21)의 펌프부(4) 하측에는, 하측 튜브 클램프부(8)가 배치된다. 하측 튜브 클램프부(8)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튜브 받이부(89) 및 튜브 누름부(82)를 구비한다. 튜브 누름부(82)는 본체 케이스부(21) 앞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튜브 받이부(89)는 본체 케이스부(21) 앞면에 형성된 개구부(81)에서 앞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튜브 누름부(82)는 튜브 받이부(89)와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도시하지 않는 가압 부재에 의해 튜브 받이부(8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튜브(33)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으로, 튜브 받이부(89)와 튜브 누름부(82)에 의해 클램프되도록 구성된다.
튜브 받이부(89)에는 오목형 걸림부(89a)가 형성된다. 또 튜브 누름부(82)의 선단에는, 튜브 받이부(89)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82d)가 형성된다. 오목형 걸림부(89a)의 상하방향 폭은, 튜브 누름부(82)의 돌기부(82d) 선단의 상하방향 폭보다 넓게 형성되며, 튜브 누름부(82)가 튜브 받이부(8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돌기부(82d)의 선단이 오목형 걸림부(89a)로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또 본체 케이스부(21)의 튜브 받이부(89) 우측에는 클램프 해제레버(85)가 배치된다. 이 클램프 해제레버(85)를 회전시키면, 튜브 누름부(82)를 튜브 받이부(89)로부터 분리시켜 비 클램프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어부(22)에는, 본체 케이스부 대향면(22a)에 있어서, 하측 튜브 클램프부(8)에 대향되는 위치에 오목형의 튜브 클램프 간섭회피부(8a)가 배치된다. 튜브 클램프 간섭회피부(8a)에는, 도어부(22)를 닫았을 때에, 하측 튜브 클램프부(8)의 튜브 누름부(82)와 맞붙여지는 클램프 해제 돌기(8b)가 형성된다. 도어부(22)를 닫았을 때, 클램프 해제 돌기(8b)가 튜브 누름부(82)에 맞붙여짐으로써, 클램프 해제 돌기(8b)가 튜브 누름부(82)를 튜브 받이부(89)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비 클램프상태로 된다.
또 도어부(22)를 열면, 클램프 해제돌기(8b)가 튜브 누름부(82)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이로써 튜브 누름부(82)가 튜브 받이부(8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램프상태가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롭 검출기(9)는 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룬다. 드롭 검출기(9)의 중앙부에는, 드립챔버(32)를 끼울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상의 드립챔버 유지부(91)가 형성된다. 드롭 검출기(9)는 드립챔버(32)를 끼우듯이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발광소자로부터 수광소자로 향해 조사되는 빛이, 드립챔버(32) 내에서 낙하하는 방울에 의해 차단되며, 이때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방울의 낙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롭 검출기(9)는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또 케이스부(2)에는 경보기(7)(도 7에 나타냄)가 배치된다. 경보기(7)는 음성을 발생하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2)에 접속된다.
다음에, 수액장치(1)의 제어부(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2)는 드립 검출부(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시간 내의 방울 낙하수를 계수한다. 제어부(12)는 소정시간 내의 방울 낙하수가 소정 이상인지 여부를 검출하며, 소정 이상이면 방울의 낙하상태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소정값 미만이면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어부(12)는, 기포검출 센서부(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튜브(33) 내 약액(L)에 기포가 혼입되어 있음이 검출되면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는 한편, 기포가 혼입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2)는,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상측 튜브 클램프부(5)에 대해 비 클램프상태에서 클램프상태로 전환하도록 지령을 내린다. 즉,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제어부(12)로부터 지령을 받으면, 튜브 누름부(55)와 튜브 받이부(56b)가 클램프상태가 되도록 모터(51)를 회전시킨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봉(52e)이 뒤쪽으로 이동해 간다. 구동봉(52e)의 돌기부(52g)가 리미트 스위치(57)의 볼록형 스위치(57d)에 접촉하면, 제어부(12)는 그것을 검출하여 모터(51)를 정지시킨다.
또 제어부(12)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를 클램프상태로 함과 거의 동시에 경보기(7)에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펌프부(4)가 동작 중인 경우에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를 클램프상태로 함과 거의 동시에 펌프부(4)에도 지령을 내려 펌프부(4)를 정지시킨다. 또 컬러 액정패널(11)에도 지령을 내려, 컬러 액정패널(11)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표시시킨다.
조작부(10)의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경보를 해제시키면, 제어부(12)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에 대해 비 클램프상태로 하도록 지령을 내린다. 즉,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제어부(12)로부터 지령을 받으면, 튜브 누름부(55)와 튜브 받이부(56b)가 비 클램프상태로 되도록 모터(51)를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봉(52e)이 상기와는 반대인 앞쪽으로 이동해 가게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 본체(54)의 스위치조작 나사(54g)가 리미트 스위치(57)의 판 스위치(57c)에 접촉하면, 제어부(12)는 그것을 검출하여 모터(51)를 정지시킨다. 그 후, 제어부(12)는 펌프부(4)를 작동시킨다.
다음은 수액장치(1)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수액용기(31), 드립챔버(32), 튜브(33) 및 클램프(34)를 준비한다. 클램프(34)는 닫아 둔다. 수액장치(1)의 케이스부(2) 도어부(22)를 열어, 튜브(33)를 본체 케이스부(21)에 설치한다. 이때, 클램프 해제레버(85)를 조작하여 하측 튜브 클램프부(8)를 비 클램프상태로 한다. 또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비 클램프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튜브(33)의 일부를 기포검출 센서부(6)의 본체측 센서(61a) 앞면을 통과시켜, 상측 튜브 클램프부(5)의 튜브 받이부(56b)와 튜브 누름부(55) 사이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튜브(33)를 펌프부(4)의 절개부(41a)로 끼움과 동시에, 하측 튜브 클램프부(8)의 튜브 누름부(82)와 튜브 받이부(89) 사이를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튜브(33)를 설치한 후, 도어부(22)를 닫고 클램프(34)를 연다. 또 드롭 검출기(9)의 드립챔버 유지부(91)에 드립챔버(32)를 설치한다.
다음에, 의료종사자는, 조작부(10)를 조작하여 수액장치(1)의 전원을 투입한다. 수액장치(1)의 제어부(12)가 기동되면, 컬러 액정패널(11)을 보면서 조작부(10)를 조작하여, 환자에게 투여할 약액(L)의 유량 등을 설정하고, 환자에 대해 약액(L) 투여를 시작한다. 이상이 발생할 때까지 상측 튜브 클램프부(5)는 비 클램프상태로 설정된다.
약액(L) 투여를 시작한 후, 제어부(12)가 드롭 검출기(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방울의 낙하상태가 이상인 것으로 판정하면, 펌프부(4)가 정지되고 경보기(7)에 의해 경보가 발생하는 동시에, 컬러 액정패널(11)에 경고 등이 표시된다. 이로써, 주위 사람들에게 이상이 발생했음이 알려진다.
이때 제어부(12)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에 대해, 비 클램프상태에서 클램프상태로 전환하도록 지령을 내리므로, 튜브(33)가 막혀 약액(L)의 유통이 정지된다. 이로써 이상상태인 채로 약액(L)이 계속 투여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된다.
또 기포검출 센서부(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면, 마찬가지로 펌프부(4)가 정지되고, 경보기(7)에 의해 경보가 발생하는 동시에, 컬러 액정패널(11)에 경고 등이 표시되며, 또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클램프상태로 전환된다.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클램프상태일 때, 만일 수액장치(1)의 전원이 꺼지거나 모터(51)가 고장난 경우에는, 튜브 누름부(55)를 도 5에 나타낸 화살표(A)의 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 본체(54)의 구동력 전달판(54e)이 구동봉(52g)의 전방 단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동부 본체(54)가 회전한다. 이로써, 튜브 누름부(55)가 고정부(56)의 튜브 받이부(56b)로부터 분리되어,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비 클램프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의료종사자는, 튜브 누름부(55)의 선단부(55b)를 손으로 조작한다. 이 선단부(55b)는 만곡면으로 구성되므로, 손가락에 걸리는 힘이 분산된다. 또 코일스프링(B)의 스프링 상수를 1.5㎏f/㎜∼2.5㎏f/㎜의 범위로 설정하므로, 수동조작으로 튜브(33)를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상상태에 대처한 후, 조작부(10)의 조작버튼에 의해 경보를 해제하면, 제어부(12)는 상측 튜브 클램프부(5)에 대해 비 클램프상태로 하도록 지령을 내리므로, 튜브(33)가 개방된다. 그 후, 펌프부(4)가 작동하여 약액(L) 투여가 재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한 수액장치(1)에 의하면, 제어부(12)가 수액 중에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측 튜브 클램프부(5)를 클램프상태로 하므로,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튜브 누름부(55)가 구동력 전달부(52)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상측 튜브 클램프부(5)가 클램프상태일 때에, 만일 수액장치(1)의 전원이 꺼지거나 모터(51)가 고장 나거나 해도, 튜브 누름부(55)를 손으로 이동시켜 튜브(33)를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로써, 의료종사자는 그 후의 수액치료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조작부(10)에 의해 경보를 해제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튜브(33)를 개방하므로, 의료종사자는 튜브(33)를 개방하기 전에 경보를 반드시 확인하게 되며,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클램프부(8)를 본체 케이스부(21)측에 배치하므로, 케이스부(2)의 도어부(22)가 열려 있어도 튜브 클램프부(8)에 의해 튜브(33)를 클램프할 수 있어, 수액치료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모터(51)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구동력 전달부(52)의 이동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므로, 모터(51)와 구동력 전달부(52)의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튜브 누름부(55)의 선단부(55b)에 만곡면을 형성하므로, 수동으로 튜브(33)를 개방할 때에 손가락에 걸리는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포검출 센서부(6)와 드롭 검출기(9)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수액장치는, 예를 들어 의료현장에서 환자에게 약액을 투여하는데 적합하다.
1 : 수액장치 2 : 케이스부
4 : 펌프부 5 : 상측 튜브 클램프부
6 : 기포검출 센서부 7 : 경보기
9 : 드롭 검출기(이상 검출부) 10 : 조작부
12 : 제어부 21 : 본체 케이스부
22 : 도어부 31 : 수액용기
33 : 튜브 51 : 모터(구동장치)
51a : 모터측 베벨기어 52 : 구동력 전달부
52b : 샤프트측 베벨기어 52d : 수나사부
55 : 튜브 누름부 56b : 튜브 받이부
L : 액체 B : 코일 스프링(가압부)

Claims (7)

  1. 수액용기 내의 액체를 환자에게 투여하도록 구성된 수액장치에 있어서,
    수액 중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와,
    튜브를 클램프하여 상기 튜브 내의 액체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튜브 클램프부와,
    상기 이상 검출부와, 상기 튜브 클램프부에 접속되고, 상기 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튜브 클램프부는,
    상기 튜브를 직경방향으로 끼우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상기 튜브를 클램프상태와 비 클램프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튜브 누름부 및 튜브 받이부와,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튜브 받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튜브 받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상기 튜브 누름부로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가지며,
    상기 구동장치는 제어부에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며,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비 클램프상태에서 클램프상태로 전환하는 한편,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상기 튜브 누름부를 상기 튜브 받이부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비 클램프상태로 하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튜브 누름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튜브 받이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튜브 누름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튜브 누름부는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부분이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접속되는 경보기와,
    제어부에 접속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수액 중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경보를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기를 제어하는 한편, 경보를 해제하도록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비 클램프상태가 되도록 상기 튜브 클램프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튜브의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케이스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부는 본체 케이스부와, 상기 본체 케이스부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부를 가지며,
    튜브 누름부와 튜브 받이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부는 코일스프링이며,
    구동장치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와 구동력 전달부는 베벨기어를 개재하여 접속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운동 하도록 구성되고,
    튜브 클램프부는 상기 구동장치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장치.
  7. 삭제
KR1020117005794A 2008-08-29 2009-08-27 수액장치 KR101652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22543A JP5347384B2 (ja) 2008-08-29 2008-08-29 輸液装置
JPJP-P-2008-222543 2008-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612A KR20110059612A (ko) 2011-06-02
KR101652542B1 true KR101652542B1 (ko) 2016-08-30

Family

ID=41721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5794A KR101652542B1 (ko) 2008-08-29 2009-08-27 수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47384B2 (ko)
KR (1) KR101652542B1 (ko)
CN (1) CN102137690B (ko)
WO (1) WO20100239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112A (ja) * 2010-03-31 2011-10-27 Terumo Corp 輸液ポンプ
US9144644B2 (en) * 2011-08-02 2015-09-29 Baxter International Inc. Infusion pump with independently controllable valves and low power operation and methods thereof
CN104162199B (zh) * 2013-05-16 2017-04-19 深圳市深科医疗器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输液泵的止液装置
WO2015046397A1 (ja) * 2013-09-30 2015-04-02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シリンジポンプ
JP6492279B2 (ja) * 2015-05-26 2019-04-03 本多電子株式会社 送液異常検知装置及び送液異常検知機能付きの輸液システム
KR102113934B1 (ko) * 2015-09-11 2020-05-21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수액펌프
DE102015117493A1 (de) * 2015-10-14 2017-04-20 B. Braun Melsungen Ag Medizinische Pumpe mit Schlauchklemmenaufnahme, Schlauchklemme sowie System aus beiden
CN105311704B (zh) * 2015-11-20 2018-04-10 深圳影迈科技股份有限公司 输液泵
CN105363094B (zh) * 2015-11-20 2019-04-05 深圳影迈科技有限公司 输液泵及输液设备
CN105413014B (zh) * 2015-11-20 2019-11-29 深圳影迈科技有限公司 输液泵
WO2017218927A1 (en) 2016-06-16 2017-12-21 Smiths Medical Asd, Inc. Assemblies and methods for infusion pump system administration sets
USD830546S1 (en) 2016-11-30 2018-10-09 Smiths Medical Asd, Inc. Receptacle area of infusion pump
US11801342B2 (en) 2017-07-19 2023-10-31 Smiths Medical Asd, Inc. Housing arrangements for infusion pumps
USD870263S1 (en) 2017-07-26 2019-12-17 Smiths Medical Asd, Inc. Infusion set
CN108671320B (zh) * 2018-04-24 2024-03-12 深圳麦科田生物医疗技术股份有限公司 输液泵及输液泵的自动止液方法
CN108939209B (zh) * 2018-06-05 2021-07-09 浙江迈帝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智能输液泵
CN109276125B (zh) * 2018-11-26 2020-09-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管路通断控制装置、蒸箱及其蒸汽通断控制方法
US20240123209A1 (en) * 2022-10-18 2024-04-18 Orion Innovations Inc. Adaptor for infusion line identification system
KR102576183B1 (ko) * 2022-10-25 2023-09-07 에이스헬스케어(주) 정밀 유속 제어용 오토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7642A (en) * 1981-12-31 1983-08-09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otor driven occlusion controller for liquid infusion and the like
JPS61196964A (ja) * 1985-02-27 1986-09-01 オムロン株式会社 点滴監視システム
JP3219332B2 (ja) * 1993-01-28 2001-10-15 源之郎 小川 自動輸液装置
JP2000325474A (ja) * 1999-05-21 2000-11-28 Oshima Kogyo Kk 点滴用ストッパ
CN2529653Y (zh) * 2001-08-29 2003-01-08 赵修茂 医用输液装置
EP1768719B1 (en) * 2004-05-21 2019-04-10 Ihsan A. Haddad A system for detecting and removing a gas bubble from a vascular infusion line
CN2850627Y (zh) * 2005-01-07 2006-12-27 西安工业大学 输液自动监控器
JP2007222485A (ja) 2006-02-24 2007-09-06 Jms Co Ltd 輸液安全装置とこれを用いた輸液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3915A1 (ja) 2010-03-04
KR20110059612A (ko) 2011-06-02
CN102137690A (zh) 2011-07-27
JP2010051721A (ja) 2010-03-11
CN102137690B (zh) 2013-07-17
JP5347384B2 (ja)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542B1 (ko) 수액장치
JP2010051721A5 (ko)
CN111867653B (zh) 包括改进的壳体和释放衬里以用于使用释放衬里移除无菌屏障膜的注射或输注设备
JP5089991B2 (ja) 液状薬剤を注射する手持ち型電子制御式注射器械
WO2012161194A1 (ja) 輸液ポンプ
JP4242544B2 (ja) 注射器ポンプ
US9107996B2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s
US5261884A (en) Syringe pump control system
JP2007222485A (ja) 輸液安全装置とこれを用いた輸液ポンプ
US5567120A (en) Electronic infusion device and novel roller clamp holden therefor
WO2010023914A1 (ja) 輸液装置
JPH0815493B2 (ja) 注射器の外筒の位置検出器を備える注射器ポンプ
WO2010023913A1 (ja) 輸液装置
WO2020153036A1 (ja) 輸液ポンプ
JP6378668B2 (ja) シリンジポンプ及びシリンジポンプの制御方法
CN105413014B (zh) 输液泵
JP5524739B2 (ja) シリンジポンプ
JP7312816B2 (ja) 薬液投与装置
US11607505B1 (en) Wearable injector with sterility sensors
JP3140940U (ja) 経腸輸液ポンプ
WO2014030184A1 (ja) 輸液ポンプ
KR100580586B1 (ko) 약물 주입용 자동잠금 밸브
JP2013052284A (ja) 輸液装置
JP2021159414A (ja) 輸液装置
WO2014020633A1 (ja) シリンジ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