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704B1 - 술폰 화합물 - Google Patents

술폰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704B1
KR101651704B1 KR1020117012138A KR20117012138A KR101651704B1 KR 101651704 B1 KR101651704 B1 KR 101651704B1 KR 1020117012138 A KR1020117012138 A KR 1020117012138A KR 20117012138 A KR20117012138 A KR 20117012138A KR 101651704 B1 KR101651704 B1 KR 101651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solvent
formula
sulfone
sulfo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587A (ko
Inventor
다케시 다케우치
다케히로 히야마
츈 리
도시히코 간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2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0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7/04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 등에 유용한 융점이 비교적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 (1) 로 나타내는 술폰 화합물이다.
Figure 112011039845836-pct00005

식 (1) 중, R1 은 탄소수 6 ∼ 8 의 분기 사슬형 알킬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술폰 화합물{SULFONE COMPOUND}
본 발명은 술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 등에 유용한 술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술폰 화합물은 추출 용제나 각종 반응 용제로서 사용되는 한편, 유전율이 높은 것은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로서 사용되고,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로서도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술폰 화합물인 술포란이나 3-메틸술포란 등의 술포란 유도체를 전해액으로서 사용하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 (특허문헌 1), 술포란이나 3-메틸술포란 등의 술포란 유도체와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혼합 용매를 전해액으로서 사용하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 (특허문헌 2) 등이 제안되어 있다.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 등에 사용되는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에는, 일반적으로 융점이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할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전기 화학 디바이스종 (種) 에 의하면, 계내 수분의 존재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고, 그 때에는 물의 용해도가 낮은 용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술폰 화합물은, 융점이 비교적 높은 점에서, 저온 환경에 있어서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이들과 함께 사용되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는 열적 안정성이 떨어지고, 물의 용해도가 비교적 높은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2377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12122호
본 발명은 융점이 비교적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술폰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39845836-pct00001
식 (1) 중, R1 은 탄소수 6 ∼ 8 의 분기 사슬형 알킬기를 나타낸다.
R1 로 나타내는 탄소수 6 ∼ 8 의 분기 사슬형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펜틸기, 디메틸부틸기, 에틸부틸기, 메틸헥실기, 디메틸펜틸기, 에틸펜틸기, 트리메틸부틸기, 에틸메틸부틸기, 프로필부틸기, 메틸헵틸기, 디메틸헥실기, 에틸헥실기, 트리메틸펜틸기, 에틸메틸펜틸기, 프로필펜틸기, 테트라메틸부틸기, 에틸디메틸부틸기, 디에틸부틸기 및 프로필메틸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식 (1) 에 있어서, R1 로 나타내는 분기 사슬형 알킬기의 탄소수가 5 이하이면, 물의 용해도가 너무 높아지고, 탄소수가 9 이상이면, 융점이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식 (1) 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메틸2-메틸펜틸술폰, 메틸2,3-디메틸부틸술폰, 메틸2-에틸부틸술폰, 메틸2-메틸헥실술폰, 메틸2,3-디메틸펜틸술폰, 메틸2-에틸펜틸술폰, 메틸2,2,3-트리메틸부틸술폰, 메틸2-에틸-3-메틸부틸술폰, 메틸2-메틸헵틸술폰, 메틸2,3-디메틸헥실술폰, 메틸2-에틸헥실술폰, 메틸2-프로필펜틸술폰, 메틸2,2,3-트리메틸펜틸술폰, 메틸2-에틸-3-메틸펜틸술폰, 메틸2,2,3,3-테트라메틸부틸술폰, 메틸2-에틸-2,3-디메틸부틸술폰, 메틸2,3-디에틸부틸술폰 및 메틸2-프로필-3-메틸부틸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술폰 화합물 중에서도 융점이 비교적 낮고, 물의 용해도가 비교적 낮은 관점에서, 식 (1) 에 있어서 R1 로 나타내는 분기 사슬형 알킬기가 탄소수 8 인 경우가 바람직하고, 메틸2-메틸헵틸술폰, 메틸2-프로필펜틸술폰 및 메틸2-에틸헥실술폰이 보다 바람직하고, 메틸2-에틸헥실술폰인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식 (1) 로 나타내는 술폰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식 (2) 로 나타내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메탄티올의 나트륨염을 반응시켜, 식 (3) 으로 나타내는 술파이드 화합물이 되고, 이것을 산화제를 사용하여 산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39845836-pct00002
식 (2) 중, R1 은 탄소수 6 ∼ 8 의 분기 사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39845836-pct00003
식 (3) 중, R1 은 식 (2) 에 있어서의 R1 과 동일한 기를 나타낸다.
식 (2) 로 나타내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 및 메탄티올의 나트륨염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2-(요오도메틸)헵탄, 4-(브로모메틸)헵탄 및 3-(클로로메틸)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식 (2) 로 나타내는 유기 할로겐 화합물과 메탄티올의 나트륨염의 반응에 있어서, 메탄티올의 나트륨염의 사용 비율은, 상기 유기 할로겐 화합물 1 몰에 대해, 0.5 ∼ 10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5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티올의 나트륨염과 유기 할로겐 화합물의 반응시에, 용매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원료가 고체 또는 반응액 점도가 높고, 교반이 불충분한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사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헵탄올, 옥탄올, 노난올, 데칸올, 운데칸올, 도데칸올, 트리데칸올, 테트라데칸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디펜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디헵틸에테르, 디옥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및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아크릴로니트릴 및 프로피오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부티로락톤, 카프로락톤, 헥사노락톤 및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술폭사이드 등의 술폭사이드류,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시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벤진, 케로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및 벤젠 등의 탄화수소류, 그리고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탄올 및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용매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 할로겐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0 ∼ 5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0 ∼ 200 ℃ 이 바람직하고, 10 ∼ 15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1 ∼ 30 시간이다.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 (3) 으로 나타내는 술파이드 화합물의 산화에 사용되는 산화제의 구체예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과망간산칼륨, 크롬산, 산소, 과산화수소수 및 3-클로로과벤조산 등의 유기화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과산화수소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산화제의 사용 비율은 술파이드 화합물 1 몰에 대해 1.8 ∼ 10 몰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5 몰의 비율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술파이드 화합물을 산화시킬 때에 용매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원료가 고체 또는 반응액 점도가 높고, 교반이 불충분한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사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용매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브로모프로판, 브로모부탄, 브로모펜탄, 브로모헥산, 요오드화메틸, 요오드화에틸 및 요오드화프로필 등의 할로겐화알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및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펜탄, 헥산, 헵탄, 옥탄, 노난, 데칸, 운데칸, 도데칸, 시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벤진, 케로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및 벤젠 등의 탄화수소류, 그리고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할로겐화알킬류 및 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용매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술파이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0 ∼ 50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0 ∼ 200 ℃ 가 바람직하고, 10 ∼ 15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적으로 1 ∼ 30 시간이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술폰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수세, 분액한 후, 증류시킴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은, 예를 들어, 전해질 용매 등의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 화학 디바이스로는, 예를 들어, 리튬 1 차 전지, 리튬 2 차 전지, 리튬 이온 전지, 연료 전지, 태양 전지, 전기 이중층 콘덴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은 물의 용해도가 낮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에 사용한 경우, 물의 혼입을 억제할 수 있고, 전류 효율의 저하나 내압 상승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은 융점이 비교적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저온에서 고온까지 넓은 온도 범위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은 점도가 낮은 점에서, 전해질의 이온 도전성을 대폭 높일 수 있어, 높은 전기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술폰 화합물은 융점이 비교적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고, 또한, 물의 용해도가 낮은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인 점에서, 주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로서 유용하다.
이하에 실시예를 예로 들어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메틸2-에틸헥실술폰의 합성 (MEHS)]
교반기, 온도계 및 냉각기를 설치한 500 ㎖ 용량의 4 구 플라스크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3-(클로로메틸)헵탄 74.4 g (0.50 ㏖) 을 주입하고, 28 % 메틸메르캅탄나트륨 수용액 187.8 g (0.75 ㏖) 을 서서히 첨가하고, 60 ℃ 로 유지하여 2 시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디클로로메탄 50 ㎖ 를 첨가하고 10 분 교반한 후, 디클로로메탄층을 분취하여 초순수 30 ㎖ 로 1 회 세정하였다. 얻어진 디클로로메탄층에 35 % 과산화수소수 102.0 g (1.05 ㏖) 을 첨가하고, 60 ℃ 로 유지하여 2 시간 교반하고, 디클로로메탄층을 증류시킴으로써 무색 투명 액체인 메틸2-에틸헥실술폰 86.5 g 을 얻었다. 얻어진 메틸2-에틸헥실술폰의 수율은 3-(클로로메틸)헵탄에 대해 90 % 였다.
얻어진 메틸2-에틸헥실술폰의 융점 및 발열 개시 온도에 대해, 질소 분위기하,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물의 용해도에 대해, 칼 피셔 전량 (電量) 적정 장치를 사용하여, 물을 포화 용해시킨 당해 술폰 화합물의 수분량을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또한, 얻어진 메틸2-에틸헥실술폰은 하기의 물성을 갖는 점에서 동정할 수 있었다.
1H-NMR (400 ㎒, 용매 : CDCl3) : 0.92 (m, 6H), 1.30 (m, 3H), 1.52 (m, 4H), 2.06 (m, 2H), 2.91 (S, 3H), 2.95 (d, J=5.9 ㎐, 2H)
원소 분석 : C 56.2 ; H 10.5 ; S 16.7 (계산치 C 56.2 ; H 10.2 ; S 16.7)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융점, 발열 개시 온도 및 물의 용해도의 측정 결과를 비교예 1 로서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비교예 2 로서의 술포란과 함께 표 1 에 나타낸다.
화합물 융점
(℃)
발열 개시 온도
(℃)
물의 용해도 (25 ℃)
(g/100 g)
실시예 1 MEHS 10 167 3.0
비교예 1 프로필렌카보네이트 -49 73 8.4
비교예 2 술포란 29 210 자유롭게 혼화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주로 전기 화학 디바이스용 용매 등에 유용한 융점이 비교적 낮고,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비프로톤성 극성 용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술폰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45020440-pct00004

    식 (1) 에 있어서, R1 은 2-에틸헥실기이다.
  2. 삭제
KR1020117012138A 2008-11-17 2009-10-14 술폰 화합물 KR101651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3703 2008-11-17
JP2008293703 2008-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587A KR20110082587A (ko) 2011-07-19
KR101651704B1 true KR101651704B1 (ko) 2016-08-26

Family

ID=4216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138A KR101651704B1 (ko) 2008-11-17 2009-10-14 술폰 화합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66324B2 (ko)
EP (1) EP2360143B1 (ko)
JP (1) JP5618833B2 (ko)
KR (1) KR101651704B1 (ko)
CN (1) CN102216264B (ko)
TW (1) TWI438183B (ko)
WO (1) WO2010055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5557B2 (ja) * 2010-09-03 2014-12-24 住友精化株式会社 スルホン化合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0786A (en) 1981-02-25 1982-08-31 Sagami Chem Res Center Preparation of sulfone compound substituted with alpha-silyl group
JPS62237715A (ja) 1986-04-08 1987-10-17 旭硝子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キヤパシタ
JPS6312122A (ja) 1986-07-03 1988-01-19 旭硝子株式会社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US4725927A (en) 1986-04-08 1988-02-16 Asahi Glass Company Lt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P0256486B1 (en) 1986-08-13 1990-12-05 Seitetsu Kagaku Co. Ltd. A method of producing alkali metal benzenesulfinates
JPS6440457A (en) 1987-08-05 1989-02-10 Seitetsu Kagaku Co Ltd Production of nitrophenylphenylsulfones
JPS63239911A (ja) 1987-03-27 1988-10-05 旭硝子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2704488B2 (ja) 1993-12-24 1998-01-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攪拌方法
JPH08143534A (ja) 1994-11-24 1996-06-04 Sumitomo Seika Chem Co Ltd アルキルフェニルスルホンの製造方法
JPH09147913A (ja) * 1995-11-22 1997-06-06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電池
JP2000103779A (ja) 1998-09-30 2000-04-11 Sumitomo Seika Chem Co Ltd アルキルスルホニルベンズアルデヒド類の製造方法
KR100458568B1 (ko) 2002-04-03 2004-12-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
EP1842250B1 (en) * 2005-01-19 2013-09-04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lectric current-producing device having a sulfone-based electrolyte
CN100497305C (zh) 2007-08-06 2009-06-10 湖南化工研究院 乙磺酰基乙腈的制备方法
CN102197024A (zh) * 2008-10-24 2011-09-21 住友精化株式会社 砜化合物
KR20120025588A (ko) * 2009-06-09 2012-03-15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알킬술폰 화합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7438A1 (en) 2011-10-20
EP2360143B1 (en) 2017-08-16
EP2360143A4 (en) 2015-06-24
TWI438183B (zh) 2014-05-21
TW201022198A (en) 2010-06-16
US8466324B2 (en) 2013-06-18
JPWO2010055744A1 (ja) 2012-04-12
JP5618833B2 (ja) 2014-11-05
WO2010055744A1 (ja) 2010-05-20
CN102216264A (zh) 2011-10-12
CN102216264B (zh) 2014-01-15
EP2360143A1 (en) 2011-08-24
KR20110082587A (ko) 201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6175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alkyl sulfone compounds
KR101413775B1 (ko) 플루오로알칸 유도체, 겔화제 및 겔상 조성물
JP4820993B2 (ja) ペルフルオ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芳香族化合物からなる有機液体のゲル化剤
US20110306797A1 (en) Sulfone compound
CN104067361A (zh) 电化学器件用电解液、铝电解电容器和双电层电容器
JP4045252B2 (ja) リチウムイオン性液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
JPWO2011027867A1 (ja) 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アンモニウム塩、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および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リチウム塩の製造方法
KR101651704B1 (ko) 술폰 화합물
KR101062097B1 (ko) 리튬염 및 그의 제조 방법
JPWO2005123656A1 (ja) 新規なメチルカーボネート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非水系電解液
WO2020191149A1 (en) Modified ionic liquids containing cyclic phosphorus moiety
JP5645557B2 (ja) スルホン化合物
JP2005179254A (ja) 常温溶融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03009B2 (ja) スルホン化合物、スルホン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解液
KR20170047228A (ko) 쌍성 이온 화합물 및 이온 전도체
JP2008303161A (ja) 含フッ素アルコキシアルカンの製造方法
JP2013060385A (ja) 含フッ素アルキルスルホン化合物の製造方法、および電気化学デバイス用電解液
JP2008113043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イオン性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