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71B1 -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71B1
KR101650371B1 KR1020080136616A KR20080136616A KR101650371B1 KR 101650371 B1 KR101650371 B1 KR 101650371B1 KR 1020080136616 A KR1020080136616 A KR 1020080136616A KR 20080136616 A KR20080136616 A KR 20080136616A KR 101650371 B1 KR101650371 B1 KR 10165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
pointer
component
mov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369A (ko
Inventor
유호준
최상언
소병석
최은석
장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6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71B1/ko
Priority to US12/626,431 priority patent/US8516369B2/en
Priority to EP09177455A priority patent/EP2207084A3/en
Priority to JP2010000228A priority patent/JP5706087B2/ja
Publication of KR2010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Abstract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GUI 제공방법은, 포인터가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포인터가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우수한 엔터테인먼트를 누리게 된다.
GUI, GUI-콤포넌트, 포인터, 중력, 이동, 진동, 음향

Description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Method for providing GUI including pointer representing sensuous effect moved by gravit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포인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GUI-콤포넌트를 선택할 수 있는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 등과 같은 GUI-콤포넌트를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에 의한 GUI는 이미 보편화 되어 있다. 이와 같은, GUI 환경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마우스,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키고, 입력장치에 마련된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패드를 두드리는 조작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GUI-콤포넌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하지만,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키는 조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같은 번거로움은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크고 GUI-콤포넌트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욱 증대된다.
GUI를 이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한 조작 방식을 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아울러, GUI는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 외에도,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하는 수단으로서도 기능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엔터테인먼트를 느끼게 하는 GUI를 채택한 제품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GUI를 통해 사용자의 엔터테인먼트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의 모색도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함은 물론 보다 재미있거나 실감나게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디스플레이 상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택이 불가능한 GUI-콤포넌트로는 포인터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를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알려주는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영역으로 포인터가 이동하기 어렵도록 하면서, 이를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알려주는 GUI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점점 작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한 시점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방향을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를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조작 대로 이동시켜 상기 포인터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은, 상기 제2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벗어나면, 상기 포인터를 타겟 GUI-콤포넌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3 이동단계; 및 상기 제3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타겟 GUI-콤포넌트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3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점점 크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한 시점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이동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방향을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GUI 제공방법은,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를 관통하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GUI-콤포넌트를 관통하도록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 턴은, 상기 제2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포인터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제1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제2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를 다른 위치에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특정 힘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Visual Effect)에 의해, 상기 포인터를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힘은, 중력, 자기력 및 전기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의 주변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 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를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가 나타난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본 GUI 제공방법은, GUI-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가 나타난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에서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포인터를 원하는 GUI-콤포넌트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우수한 엔터테인먼트를 누리게 된다.
또한, 선택이 불가능한 GUI-콤포넌트로는 포인터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를 사용자에게 감각적으로 알려주어, 사용자에게 조작상의 편리함은 물론 우수한 감각적 효과로 인한 엔터테인먼트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에는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UI에는 포인터(P)와 GUI-콤포넌트(C)가 나타난다. 도 1에는 GUI-콤포넌트(C)가 1개만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적으로 GUI에는 다수의 GUI-콤포넌트가 표시된다. 도 1에 GUI-콤포넌트(C)를 1개만 도시한 것은,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다.
GUI-콤포넌트(C)는 1) 원하는 명령을 입력, 2) 원하는 기능을 실행, 또는 3)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선택하여야 하는 대상으로, 메뉴, 아이콘, 폴더, 컨텐츠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사용자의 선택 대상이 아니라 하더라도, 사용자 가 위와 같은 선택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요소들도 GUI-콤포넌트(C)에 편입시킬 수 있다.
포인터(P)는 사용자가 원하는 GUI-콤포넌트(C)를 지시하고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수단이다.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포인터(P)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에는 포인터(P)가 여러 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GUI에 여러 개의 포인터(P)가 함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여러 개의 포인터(P)가 도시된 이유는, 포인터(P)의 이동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그리고, 포인터(P)의 아래에 표기된 숫자는 포인터(P)의 이동 순서를 의미하며, 이는 이하의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포인터(P)의 이동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①→②→③→④"로 이동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①, ②, ③ 및 ④의 아래에는 화살표가 표시되어 있다. 화살표가 표시된 구간은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포인터(P)의 "①→②→③→④"로 이동은 사용자 조작에 의한 이동이 아니라,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이하의 다른 도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C) 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①→②→③→④"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음향은 '디스플레이(D)가 마련된 장치'나 '포인터(P)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팅 다바이스'에서 출력가능한데, 이는 이하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화살표 아래에 표시된 "♬"는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표시에 해당하는데, 이는 이하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음향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한 시점)과 "④"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 도착한 시점)에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포인팅 다바이스는 진동한다. 화살표 아래에 표시된 "∬"는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됨'을 나타내는 표시에 해당하는데, 이는 이하의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진동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한 시점)과 "④"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 도착한 시점)에만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포인터(P)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우측 음향이 좌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우측 부분의 진동이 좌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포인터(P)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음향과 진동이 출력되는 방향을 각기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포인터(P)가 이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되면, 사용자는 '포인터(P)가 마치 중력에 의해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도 2와 도 3에는 GUI-콤포넌트(C) 내로 진입한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어내는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경우에 포인터(P)가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2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로 이동되었지만,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②→③→④"로 이동되어 궁극적으로는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지 못하고 다시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음향의 크기는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작아진다.
또한,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포인팅 다바이스가 진동한다. 이때, 진동의 크기는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작아진다.
그리고, 포인터(P)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우측 음향이 좌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우측 부분의 진동이 좌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③"으로 이동되어 궁극적으로는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3은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위치에 계속 머무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포인터(P)가 "②→③"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음향은 도 2에서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출력되는 음향과 다른 패턴이다.
또한, 포인터(P)가 "②→③"으로 이동하는 중에, 포인팅 다바이스는 진동한다. 이때, 진동의 패턴은 도 2에서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의 진동과 다른 패턴이다.
그리고, 포인터(P)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좌측 음향이 좌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좌측 부분의 진동이 우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경우는,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시키려는(즉,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작아서(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하지 못한 경우(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지 못한 경우)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경우는,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의 밖으로 이동시키려는(즉,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커서(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한 경우(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경우)이다.
포인터(P) 조작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중력이 작용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중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면, 이 중력에 의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되고, 포인터(P)는 위치 에너지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콤포넌트(C) 내에서 위치 에너지가 가장 낮은 위치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 x축과 y축 모두에 대한 위치 에너지는 "0"이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위치 에너지가 가장 낮은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하지만,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반드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대응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비선형적으로 구현하는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향과 진동의 크기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비선형적으로 구현한 예들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5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서 이동 속도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이동 속도가 감소하여,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서는 이동 속도가 0이 되어 멈추도록 한 경우'에 대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분포이다.
한편,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한 시점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Vx0, Vy0)는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기 바로 직전의 포인터(P) 이동 속도로 구현가능하다. 이는, GUI-콤포넌트(C) 경계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연속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한편,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GUI-콤포넌트(C)에서 불연속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은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서 이동 속도가 서서히 감소하여,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서는 이동 속도가 "0"이 되어 멈추도록 한 경우'에 대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분포이다.
이 경우에도,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한 시점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Vx0, Vy0)는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기 바로 직전의 포인터(P) 이동 속도로 구현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에 나타난 GUI-콤포넌트(C)는 막힌 도형의 일종인 사각형 형상이고,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에 자동으로 이동되었다. 이와 같은 GUI-콤포넌트(C)는 활성화된 GUI-콤포넌트, 즉, 사용자가 포인터(P)로 지시하여 선택할 수 있는 GUI-콤포넌트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GUI-콤포넌트(C)는 광고 아이템, 배너, 사용자가 즐겨 사용하는 메뉴 항목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와 다른 타입의 GUI-콤포넌트(C)가 나타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시하였다.
도 8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포인터(P)의 이동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포인터(P)의 위치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에 머무르도록 하는 GUI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경우, 포인터(P)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P)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⑤→⑥→⑦→⑧"로 이동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나면, 포인터(P)의 위치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에 자동으로 귀환한다. 예를 들어, 포인터(P)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①→②"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②→③"으로 이동하여 중심선에 귀환하는 경우, 포인터(P)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③→④"로 이동되면 자동으로 "④→⑤"로 이동하여 중심선에 귀환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포인터(P)가 "②→③" 또는 "④→⑤"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다바이스가 진동한다.
한편, 포인터(P)가 "②→③"로 이동하는 중에는, 사용자에게 포인터(P)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하측 음향이 상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하측 부분의 진동이 상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포인터(P)가 "④→⑤"로 이동하는 중에는, 사용자에게 포인터(P)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상측 음향이 하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상측 부분의 진동이 하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난 포인터(P)는 자동으로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에 귀환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포인터(P)가 마치 중력에 의해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향 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물론, 도 8에 도시된 경우는,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시키려는(즉,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작아서(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어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하지 못한 경우(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지 못한 경우)이다.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의 밖으로 이동시키려는(즉,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날 수 있다).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는 시점에서는,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다바이스가 진동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음향의 패턴은 도 8에서 포인터(P)가 "②→③" 또는 "④→⑤"로 이동할 때 출력되는 음향의 패턴과 다르게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진동의 패턴도 도 8에서 포인터(P)가 "②→③" 또는 "④→⑤"로 이동할 때 출력되는 진동의 패턴과 다르게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포인터(P) 조작시 도 8에 도시된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향해 중력이 작용하며, 이 중력으로 인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동한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향해 중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중력에 의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되고, 포인터(P)는 위치 에너지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콤포넌트(C) 내에서 x축에 대한 위치에너지는 "0"으로 모든 지점에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 y축에 대한 위치에너지가 가장 낮은 지점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 중심선에서의 위치 에너지는 "0"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위치 에너지가 가장 낮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난 경우 중심선으로 귀환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하지만,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반드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대응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난 경우 중심선으로 귀환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비선형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향과 진동의 크기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난 경우 중심선으로 귀환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비선형적으로 구현한 예에 대해 도시하였다.
도 10은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벗어나면 중심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이동 속도가 서서히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이동 속도가 줄어들어,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에서는 이동 속도가 0이 되어 멈추도록 한 경 우'에 대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에 나타난 GUI-콤포넌트(C)는 띠의 일종인 직선형 띠 형상으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GUI-콤포넌트이다.
한편, 도 11에는 띠의 일종인 곡선형 띠 형상의 GUI-콤포넌트(C)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GUI-콤포넌트(C)는 포인터(P)가 곡선형 띠의 중심선을 따라 "①→②→③→④→⑤"로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GUI-콤포넌트이다.
도 12에는 다수의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이 배열된 GUI가 나타난 디스플레이(D)를 도시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GUI에 배열된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은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 중 원하는 하나를 포인터(P)로 지시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다수의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에 대한 위치 에너지 분포(P1 내지 P7)를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휘도가 낮을수록(즉, 검정색에 가까울수록) 위치 에너지가 낮은 지점이고, 휘도가 높을수록(즉, 흰색에 가까울수록) 위치 에너지가 높은 지점이다.
이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 내에 진입한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의 중심에 자동으로 이동할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GUI-콤포넌트들(C1 내지 C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입의 GUI-콤포넌트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 통로들에 대한 위치 에너지 분포(P8 내지 P10)도 도시되어 있다. 연결 통로들은 도 12에 도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GUI를 구성하는 일부라는 점에서 GUI-콤포넌트로 취급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연결 통로들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 분포(P8 내지 P10)를 보면, 연결 통로들의 중심선을 벗어난 포인터(P)는 자동으로 연결 통로들의 중심선으로 귀환할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결 통로들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입의 GUI-콤포넌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 통로들은, 1) GUI-콤포넌트 "C7"에서 GUI-콤포넌트 "C4"로 또는 역방향으로 포인터(P)를 이동, 2) GUI-콤포넌트 "C7"에서 GUI-콤포넌트 "C5"로 또는 역방향으로 포인터(P)를 이동, 3) GUI-콤포넌트 "C7"에서 GUI-콤포넌트 "C6"으로 또는 역방향으로 포인터(P)를 이동하는 사용자 조작이 보다 용이하도록 한다. 연결 통로들의 중심선은 다른 지점 보다 위치 에너지가 낮아, 포인터(P)가 연결 통로들의 중심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GUI에 대한 위치 에너지 분포를 기초로 작성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용 중 GUI-콤포넌트 "C3" 내에서의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는, 도 12에 도시 된 바와 같은 GUI를 디자인한 경우에 포인터(P)의 위치를 근거로 포인터(P)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지침에 해당한다. 즉,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는, 포인터(P)의 위치를 근거로 포인터(P)를 자동으로 다른 위치에 이동시킬지 여부 및 만약 이동시킨다면 어떠한 이동 속도로 이동시킬지에 대한 지침인 것이다.
환언하면,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할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인터(P)의 현재 위치 별로 정의된 맵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GUI 작성시에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순서에 따르면 된다. 그리고, 포인터(P)의 위치 제어는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포인터(P)의 이동 속도 벡터 분포를 참고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이 발생하여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경우, 포인터(P)는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다른 GUI-콤포넌트로 이동하여 진입할 수 있다.
도 16에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경우, 포인터(P)는 다른 GUI-콤포넌트(C')에 자동으로 이동하여 진입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③"으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게 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③→④→⑤→⑥→⑦→⑧→⑨→⑩"로 이동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포인터(P)가 "③→④→⑤→⑥→⑦→⑧→⑨→ ⑩"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음향의 크기는 포인터(P)가 "③→④→⑤→⑥→⑦→⑧→⑨→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작아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기 이전 구간인 "③→④→⑤→⑥→⑦→⑧"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패턴과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한 시점과 진입 이후의 구간인 "⑧→⑨→⑩"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패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P)가 "③→④→⑤→⑥→⑦→⑧→⑨→⑩"로 이동하는 중에, 포인팅 다바이스는 진동한다. 이때, 진동의 크기는 포인터(P)가 "③→④→⑤→⑥→⑦→⑧→⑨→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작아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기 이전 구간인 "③→④→⑤→⑥→⑦→⑧"에서 출력되는 진동의 패턴과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한 시점과 진입 이후의 구간인 "⑧→⑨→⑩"에서 출력되는 진동의 패턴을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포인터(P)는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여, 궁극적으로 다른 GUI-콤포넌트(C')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②→③"으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③→④→⑤→⑥→⑦→⑧→⑨→⑩"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면, 포인터(P)는 다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여 그 중심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포인터(P)가 이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포인터(P)가 마치 중력에 의해 다른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도 17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들(C1, C2 및 C3) 중 어느 하나로 이동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에서는 포인터(P) 이동 방향의 연장선에 있는 GUI-콤포넌트인 GUI-콤포넌트 "C1"에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하여 진입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즉, 도 17에서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③"으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를 벗어나게 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③→④→⑤→⑥→⑦→⑧→⑨→⑩"으로 이동되면서, 음향과 진동이 출력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포인터(P)가 진입하게 되는 GUI-콤포넌트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포인터(P) 이동 방향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포인터(P)가 벗어난 GUI-콤포넌트(C)에 매칭된 다른 GUI-콤포넌트로 포인터(P)가 진입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8에는 포인터(P)가 도 1과 다른 조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에서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의 주변 영역(OA)에 진입하면, 이후 포인터(P)는 "①→②→③→④ →⑤"로 이동되면서, 음향과 진동이 출력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도 18의 경우도 궁극적으로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도,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에서 "①"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①→②→③→④→⑤"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도 18은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주변 영역(OA)에 진입한 경우에,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였지만,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C)의 중심이 아닌 중심의 근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①→②→③"으로 이동되면서 음향과 진동이 출력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이나 도 18에 도시된 경우와 달리, 도 19의 경우는 포인터(P)가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C)의 내부 영역(IA)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포인터(P)가 궁극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곳은 GUI-콤포넌트(C)의 중심이 아닌 중심 근방이다.
환언하면,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다가 내부 영역(IA) 내로 진입하게 되면 이동을 멈추고 정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현하기에 따라서는, 포인터(P)가 내부 영역(IA)의 테두리에서 이동을 멈추 고 정지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도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①→②→③"으로 이동되면서 음향과 진동이 출력됨을 나타내었다.
도 19의 경우와 도 20의 경우를 비교하면, 양자는 포인터(P)가 궁극적으로 위치하는 지점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차이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로 진입한 부분의 차이에 기인한다.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좌측으로 진입한 경우 포인터(P)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에 궁극적으로 위치하게 되지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우측으로 진입한 경우 포인터(P)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부터 우측에 궁극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를 다른 각도에서 관찰한다면, GUI-콤포넌트(C)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포인터(P)의 이동 방향에 따라, 포인터(P)의 궁극적인 위치가 결정되는 것으로도 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도 19와 도 20의 경우도,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①→②→③"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또 다른 GUI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1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②→③→④"로 이동됨 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C) 밖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②"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②→③→④"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음향의 크기는 포인터(P)가 "①→②→③→④"로 이동함에 따라 점점 커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으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시점)에만 음향이 출력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포인팅 다바이스는 진동한다. 포인터(P)가 "②→③→④"로 이동하는 중에, 진동의 크기는 점점 커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 이와 다르게, 포인터(P)가 "④"로 이동된 시점(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벗어난 시점)에만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포인터(P)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좌측 음향이 우측 음향 보다 크게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에서도 좌측 부분의 진동이 우측 부분의 진동 보다 크게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포인터(P)가 마치 반 중력(또는 반발력, 척력)에 의해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2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②→③"으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③→④→⑤→⑥"으로 이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함을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C) 밖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②→③"으로 이동시킨 조작뿐이다. "③→④→⑤→⑥"으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하게 되면, 사용자는 '포인터(P)가 마치 반중력에 의해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부터 반중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반중력에 의한 GUI-콤포넌트(C) 내/외의 위치 에너지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되고, 포인터(P)는 위치 에너지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콤포넌트(C) 내/외에서 위치 에너지가 가 장 낮은 위치는 GUI-콤포넌트(C) 밖으로 x축과 y축 모두에 대한 위치 에너지는 "0"이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위치 에너지가 가장 낮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GUI-콤포넌트(C) 밖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GUI-콤포넌트(C) 내/외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하지만,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반드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대응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GUI-콤포넌트(C)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비선형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향과 진동의 크기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에 나타난 GUI-콤포넌트(C)는 막힌 도형의 일종인 사각형 형상으로, 진입하는 포인터(P)를 밖으로 밀어내었다.
이와 같은 GUI-콤포넌트(C)는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 즉, 사용자가 포인터(P)로 지시하여 선택할 수 없는 GUI-콤포넌트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GUI-콤포넌트(C)는 미성년자 관람 불가의 컨텐츠 등과 같이 특정 사용자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GUI-콤포넌트(C)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4에는, 도 2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와 다른 타입의 GUI-콤포넌트(C)로 구성된 GUI가 표시된 디스플레이(D)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도 24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였을 때, 포인터(P)의 이동을 나 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24는 GUI-콤포넌트(C)에 의해 구분되는 영역들(A1, A2) 간의 포인터(P) 이동을 어렵게 한 GUI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의 상부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면, 이후에는 포인터(P)가 자동으로 "①→②"로 이동되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함을 나타내었다. 이 경우는, "A1" 영역에 머무르고 있는 포인터(P)가 "A2" 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A1" 영역에 계속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24의 하부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③→④→⑤→⑥"으로 이동되어 궁극적으로는 GUI-콤포넌트(C)를 관통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포인터(P)가 "⑤→⑥"으로 이동하는 중에는,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출력되는 음향은 포인터(P)가 "①→②"로 이동하는 중에 출력되는 음향과 다른 패턴이다.
또한, 포인터(P)가 "⑤→⑥"으로 이동하는 중에, 포인팅 다바이스는 진동한다. 이때, 진동의 패턴은 포인터(P)가 "①→②"로 이동할 때에 발생되는 진동의 패턴과 다르다.
이 경우는, "A1" 영역에 머무르고 있던 포인터(P)가 "A2"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한다.
즉, 도 24의 상부에 도시된 경우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작아서(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이어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지 못한 경우이다. 그리고, 도 24의 하부에 도시된 경우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커서(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어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한 경우이다.
포인터(P) 조작시 도 24에 도시된 상황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에서 반중력이 작용하며, 이 반중력으로 인해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기 어렵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부터 반중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할 때, 이 반중력에 의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포되고, 포인터(P)는 위치 에너지가 높은 지점에서 낮은 지점으로 이동한다고 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GUI-콤포넌트(C) 내에서 y축에 대한 위치에너지는 "0"으로 모든 지점에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GUI-콤포넌트(C) 내에서 x축에 대한 위치에너지가 가장 낮은 지점은 GUI-콤포넌트(C)의 밖이며 여기서의 위치 에너지는 "0"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인터(P)는 궁극적으로 위치 에너지가 가장 낮은 GUI-콤포넌트(C)의 밖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면 밖으로 밀려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하지만,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반드시 GUI-콤포넌트(C) 내의 위치 에너지 분포에 대응하도록 구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GUI-콤포넌트(C)에 진입하면 밖으로 밀려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는 선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비선형적으로 구현하 는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음향과 진동의 크기는 이동 속도에 비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에 나타난 GUI-콤포넌트(C)는 띠의 일종인 직선형 띠 형상으로 진입하려는 포인터(P)를 밖으로 밀어내, 디스플레이(D)에서 영역을 구분하여 줄 수 있는 GUI-콤포넌트이다.
도 26에는 포인터(P)가 도 21과 다른 조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26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포인터(P)가 "ⓞ→①"로 이동되어 GUI-콤포넌트(C)의 주변 영역(OA)에 진입하면, 이후 포인터(P)가 "①→②"로 이동면서 음향이 출력되고 포인팅 디바이스가 진동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과 마찬가지로, 도 26의 경우도 궁극적으로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밖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도, 사용자 조작은 포인터(P)를 "ⓞ→①"로 이동시킨 조작 뿐이다. "①→②"로의 이동은, 사용자 조작이 없었음에도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도 21과 달리 도 26의 경우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주변 영역(OA)에 진입한 경우에,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밖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는 방송수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며, 도 27에는 전술한 GUI를 적용할 수 있는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하였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DTV(100)와 사용자-입력장치의 일종인 리모콘(원격제어장치)(200)으로 구축된다.
D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D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저장매체 또는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리모콘(200)은 사용자 조작 내용을 DTV(100)로 전달하며, D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리모콘(200)은 포인팅 디바이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7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리모콘(200)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하다. 리모콘(200) 앞면은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8에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가상의 평면과 TV(100)의 디스플레이(D)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의 평면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 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리모콘(200)을 들고 있는 팔을 고정시키고 손목만을 회전시켜 리모콘(200) 앞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목을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리모콘(200) 앞면은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9에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사용자의 손목 회전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하는 가상의 반구면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닐 수도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의 손목 회전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닌 다소 불완전한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공간상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이라는 점에서, 바닥면에서 이루어지는 PC용 마우스의 이동과 구별된다.
리모콘(200) 앞면이 공간상에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공간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공간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200)은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 상에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을 참조하여 D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는 D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통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버튼 입력부(240), 진동부(250) 및 스피커(260)를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40)에는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등이 마련된다.
진동부(250)는 리모콘(200)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용 모터들로 구현된다. 진동용 모터들은 리모콘(200)의 좌측 부분, 하측 부분,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에 각각 마련하여, 진동의 크기를 부분마다 각기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피커(260)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리모콘(200)의 좌측 부분, 하측 부분,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에 각각 마련하여, 음향의 크기를 부분마다 각기 다르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방향, 이동거리)를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그리고, 리모콘 제어부(230)는 통신부(220)를 통해 DTV(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음향 제어명령에 따라 진동부(250)와 스피커(260)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 A/V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영상 출력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통신부(17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A/V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20)는 영상 신호를 GUI 생성부(130)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50)로 각각 전달한다.
GUI 생성부(130)는 전술한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부가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GUI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외부 TV)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7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조작 내용(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D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이동정보를 기초로 GUI에 나타난 포인터(P)가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의 진동/음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통신부(17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 전달하는 바, 이하에서 도 3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포인터(P) 이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310-Y), 제어부(16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포인터(P)가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한다(S320).
S310단계에서 포인터(P) 이동을 위한 사용자 조작은 리모콘(200)의 앞면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그리고, S320단계에서 제어부(160)는 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를 기초로 포인터(P)가 이동될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로 포인터(P)가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게 된다.
S320단계에서의 이동 결과로, 포인터(P)가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내에 위치하게 되면(S330-Y),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40).
여기서,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라 함은, 도 1, 도 8 또는 도 1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C)를 말한다.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가 도 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C)의 경우, S340단계에서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으로 이동되며, 리모콘(200)은 진동되면서 음향을 출력한다. 그리고,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가 도 8 또는 도 1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C)의 경우, S340단계에서 포인터(P)는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동되며, 리모콘(200)은 진동되면서 음향을 출력한다.
이후,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GUI-콤포넌트(C)를 이탈 가능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350-Y),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 록 제어한다(S360).
GUI-콤포넌트(C)를 이탈 가능한 사용자 조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를 "ⓞ→①→②→③"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말한다. 즉,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시키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다.
이후,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다른 GUI-콤포넌트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70). S370단계는 도 16 또는 도 17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S370단계는 생략가능하다.
반면,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GUI-콤포넌트(C)를 이탈 가능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S350-N),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중심(선)으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40). 이는, 도 2 또는 도 8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한편, S320단계에서의 이동 결과로, 포인터(P)가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내에 위치하게 되면(S330-N & S380-Y),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90).
여기서,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C)라 함은, 도 2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C)와 도 24에 도시된 GUI-콤포넌트(C)를 말한다.
이후,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GUI-콤포넌트(C)를 관통 가능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400-Y),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여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410).
GUI-콤포넌트(C)를 관통 가능한 사용자 조작은, 도 24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를 "③→④→⑤→⑥"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을 말한다. 즉,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를 관통하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이다.
반면, 리모콘(200)을 이용하여 GUI-콤포넌트(C)를 관통 가능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으면(S400-N),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되도록 GUI 생성부(130)를 제어하고, 리모콘(200)에서 해당 진동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90). 이는, 도 21, 도 22 또는 도 24의 상부에 도시된 과정을 수행하는 절차라 할 수 있다.
한편, S320단계에서의 이동 결과로, 포인터(P)가 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내에 위치하지 않고 비활성화된 GUI-콤포넌트(C) 내에도 위치하지 않게 되면(S330-N, S380-N), 포인터(P)는 자동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S310단계부터 재수행된다. 예를 들면, 포인터(P)가 GUI 배경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로, 이 경우에 포인터(P)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만 이동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할 때 음향은 리모콘(200)에서 출 력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전술한 바도 있듯이,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할 때 음향은 리모콘(200)이 아닌 DTV(100)에서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포인터(P)가 자동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의 일종인 음향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촉각적 효과의 일종인 진동이 모두 출력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음향과 진동 중 하나만이 출력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GUI-콤포넌트는 사각형 또는 띠 형상인 것으로 상정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GUI-콤포넌트는 이와 다른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8과 도 11에서 포인터(P)는 띠의 중심선에 자동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중심선이 아닌 중심영역 내부에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개념 및 구체적인 설명은 도 19 및 도 20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기에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도 24에서도 포인터(P)는 띠의 중심선이 아닌 중심영역으로 영역이 구분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여 GUI-콤포넌트(C) 중심에 자동으로 이동할 때,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더해진다면, GUI-콤포넌트(C) 중심으로 이동하는 포인터(P)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여 GUI-콤포넌트(C) 중심에 자동으로 이동할 때,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이 더해졌지만 이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작은 경우(즉,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GUI-콤포넌트(C) 중심으로 이동하는 포인터(P)의 속도가 감소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내에 진입하여 GUI-콤포넌트(C) 중심에 자동으로 이동할 때,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이 더해졌고 이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큰 경우(즉,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포인터(P)는 사용자 조작 대로 이동하여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려날 때,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더해진다면,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려나는 포인터(P)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려날 때, 포인터(P)를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이 더해졌지만 이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작은 경우(즉,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GUI-콤포넌트(C) 밖으로 밀려나는 포인터(P)의 속도가 감소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GUI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가 나타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면 포인터(P)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지만,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면 포인터(P)를 현재의 위치와 다른 위치에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GUI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포인터(P)는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중력은 포인터(P)에 작용하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힘의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중력 이외의 다른 힘으로 본 실시예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력 이외의 다른 힘으로 자기력, 전기력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포인터(P)가 GUI-콤포넌트(C)의 내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기초로 추후 프로세스들이 수행되었지만,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에 불과하다. 포인터(P)의 위치를 기초로, 포인터(P)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만 이동시거나 포인터(P)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라면, 위와 다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수신장치로 D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DTV 이외의 방송수신장치의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방송수신장치로 STB(Set Top Box),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수신장치,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포터블 기기(예를 들면, DMB 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폰) 등을 들 수 있다. 포터블 기기의 경우에는 리모콘이 아닌 터치패드를 통해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수신장치가 아니더라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GUI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모콘은 터치패드, 마우스, 버튼 입력장치 등으로 교체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GUI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GUI-콤포넌트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비선형적으로 구현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직선 띠 타입의 GUI-콤포넌트가 나타난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GUI-콤포넌트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GUI-콤포넌트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는 포인터(P)의 이동 속도를 비선형적으로 구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곡선 띠 타입의 GUI-콤포넌트가 나타난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다수의 GUI-콤포넌트들이 배열된 GUI를 설계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GUI-콤포넌트를 벗어난 포인터가 다른 GUI-콤포넌트에 자동으로 이동하여 진입하는 개념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8은 포인터가 도 1과 다른 조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9 및 도 20은 포인터가 궁극적으로 GUI-콤포넌트의 내부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또 다른 GUI의 개념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GUI-콤포넌트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직선 띠 타입의 GUI-콤포넌트가 나타난 GUI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GUI-콤포넌트 내에서의 위치 에너지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포인터가 도 21과 다른 조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7 내지 도 29는 전술한 GUI를 적용할 수 있는 방송수신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30은 방송수신 시스템에 구비되는 D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 : 디스플레이 P : 포인터
C : GUI-콤포넌트 100 : DTV
110 : 방송 수신부 120 : A/V 처리부
130 : GUI 생성부 140 : 영상 출력부
150 : 오디오 출력부 160 : 제어부
170 : 수신부 200 : 리모콘
210 : 이동 감지부 220 : 송신부
230 : 리모콘 제어부 240 : 버튼 입력부
250 : 진동부 260 : 스피커

Claims (23)

  1.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GUI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점점 작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한 시점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 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방향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를 상기 특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 조작 대로 이동시켜 상기 포인터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은,
    상기 제2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벗어나면, 상기 포인터를 타겟 GUI-콤포넌트를 향해 이동시키는 제3 이동단계; 및
    상기 제3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타겟 GUI-콤포넌트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3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9.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및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1 출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GUI 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제1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점점 크게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한 시점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으로 이동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방향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를 관통하도록 하려는 사용자 조작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의 크기가 임계 크기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GUI-콤포넌 트를 관통하도록 상기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를 관통하여 이동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제2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은,
    상기 제2 출력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대한 패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6. 포인터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제1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를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단계;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제2 영역으로 판단되면, 상기 포인터를 다른 위치에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단계; 및
    상기 제2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GUI 제공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특정 힘에 의해 이동되는 시각적 효과(Visual Effect)에 의해, 상기 포인터를 상기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힘은,
    중력, 자기력 및 전기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UI 제공방법.
  18.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의 주변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GUI 제공방법.
  19.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를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계를 통해 상기 포인터가 이동되는 중에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GUI 제공방법.
  20.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가 나타난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특정 위치로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내의 특정 위치로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전자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22. GUI(Graphical User Interface)-콤포넌트 및 상기 GUI-콤포넌트를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포인터가 나타난 GUI를 생성하는 GUI 생성부;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내에 진입하면, 상기 포인터의 위치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GUI 생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되는 중에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청각적 효과 및 촉각적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터의 위치를 상기 GUI-콤포넌트 밖을 향해 이동시키되, 이동 속도를 가변시키며, 상기 이동 속도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효과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인, 전자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효과는,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대한 원격제어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80136616A 2008-12-30 2008-12-30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10165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16A KR101650371B1 (ko) 2008-12-30 2008-12-30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12/626,431 US8516369B2 (en) 2008-12-30 2009-11-25 Method for providing GUI using pointer with sensuous effect that pointer is moved by gravity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EP09177455A EP2207084A3 (en) 2008-12-30 2009-11-30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pointer with sensuous effect that pointer is moved by gravity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2010000228A JP5706087B2 (ja) 2008-12-30 2010-01-04 重力により移動される感覚的な効果を示すポインタを利用したguiの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電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616A KR101650371B1 (ko) 2008-12-30 2008-12-30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369A KR20100078369A (ko) 2010-07-08
KR101650371B1 true KR101650371B1 (ko) 2016-08-24

Family

ID=4209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616A KR101650371B1 (ko) 2008-12-30 2008-12-30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16369B2 (ko)
EP (1) EP2207084A3 (ko)
JP (1) JP5706087B2 (ko)
KR (1) KR101650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857B2 (ja) * 2010-03-03 2011-12-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US8327296B2 (en) * 2010-04-16 2012-12-04 Google Inc. Extended keyboard user interface
JP5723586B2 (ja) 2010-12-14 2015-05-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ポインタ制御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812821B2 (ja) * 2011-11-24 2015-11-1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ポインタ移動制御方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390083B1 (ko) * 2011-11-28 2014-04-28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포인터 이동을 기반으로 그래픽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KR20130081593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아이템 선택 방법
US20130318437A1 (en) * 2012-05-22 2013-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ui and portable apparatus applying the same
KR20160022403A (ko) * 2012-07-13 2016-02-29 가부시키가이샤 주스 디자인 요소 선택 장치, 요소 선택 방법 및 프로그램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HK1186912A2 (en) * 2013-01-25 2014-03-21 Zhipei Wang Remote control system and device
KR102077672B1 (ko) * 2013-04-17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CN110850705B (zh) 2013-09-03 2021-06-29 苹果公司 用于可穿戴电子设备的表冠输入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9632655B2 (en) * 2013-12-13 2017-04-25 Amazon Technologies, Inc. No-touch cursor for item selection
USD829221S1 (en) 2014-02-12 2018-09-25 Google Ll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JP6201824B2 (ja) * 2014-03-05 2017-09-27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装置
JP6050784B2 (ja) * 2014-05-28 2016-12-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の動作方法
WO2015200890A2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CN106797493A (zh) 2014-09-02 2017-05-3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JP6519519B2 (ja) * 2016-04-22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操作装置
DK201670580A1 (en) 2016-06-12 2018-01-02 Apple Inc Wrist-based tactile time feedback for non-sighted users
US10712824B2 (en) 2018-09-11 2020-07-14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JP7105984B2 (ja) * 2019-03-05 2022-07-25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831A (ja) * 2004-10-15 2006-04-27 Hitachi Ltd オブジェクト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8154A (ja) * 2005-03-22 2006-10-05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828A (en) * 1991-08-19 1993-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blind computer user to handle message box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6046722A (en) * 1991-12-05 2000-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blind or visually impaired computer users to graphically select displayed elements
US5448261A (en) * 1992-06-12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Cursor control device
JP3130666B2 (ja) * 1992-08-14 2001-01-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メニュー項目選択装置
US5825308A (en) * 1996-11-26 1998-10-20 Immersion Human Interface Corporation Force feedback interface having isotonic and isometric functionality
US6300936B1 (en) * 1997-11-14 2001-10-09 Immersion Corporation Force feedback system including multi-tasking graphical host environment and interface device
US5917486A (en) * 1996-11-04 1999-06-29 Prolexia Reading Education Softwar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ient program control of a computer display cursor
US5963191A (en) * 1997-03-25 1999-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nying graphical pointer access to a widget of a data processing system graphical user interface
US6252583B1 (en) 1997-11-14 2001-06-26 Immersion Corporation Memory and force output management for a force feedback system
CA2319586C (en) * 1998-02-03 2012-01-31 Immersion Corporation Implementing force feedback over the world wide web and other computer networks
US6031531A (en) * 1998-04-06 2000-0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ursor object movement for physically challenged computer users
JP2000039966A (ja) * 1998-07-23 2000-02-08 Alps Electric Co Ltd ポインティングカーソルの移動方法
WO2002057885A2 (en) 2001-01-16 2002-07-25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ling haptic feedback for enhancing navigation in a graphical environment
US20020171690A1 (en) * 2001-05-15 2002-1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ca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widget based on selection pointer proximity
JP2003283615A (ja) * 2002-03-27 2003-10-03 Nec Corp 移動体通信端末
US7404149B2 (en) * 2003-03-28 2008-07-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defined assistive GUI glue
JP2005044241A (ja) * 2003-07-24 2005-02-17 Nec Corp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通知装置および通知方法
JP4264029B2 (ja) 2004-05-21 2009-05-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力覚付与型入力装置
US7509593B2 (en) * 2005-05-12 2009-03-24 Microsoft Corporation Mouse sound volume control
KR100791379B1 (ko) * 2006-01-02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US7523418B2 (en) * 2006-03-15 2009-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chniques for choosing a position on a display having a cursor
KR20080058121A (ko) * 2006-12-21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촉각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방법
TWI351638B (en) * 2007-04-27 2011-11-01 Htc Corp Touch-based tab navigation method and related devi
US8462112B2 (en) * 2007-07-12 2013-06-11 Apple Inc. Responsiveness control system for pointing device movement with respect 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6504157B2 (ja) * 2014-03-26 2019-04-24 ソニー株式会社 体感導入装置、体感導入システム、及び体感導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3831A (ja) * 2004-10-15 2006-04-27 Hitachi Ltd オブジェクト選択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68154A (ja) * 2005-03-22 2006-10-05 Alps Electric Co Ltd 力覚付与型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16369B2 (en) 2013-08-20
EP2207084A2 (en) 2010-07-14
EP2207084A3 (en) 2012-03-07
KR20100078369A (ko) 2010-07-08
JP5706087B2 (ja) 2015-04-22
US20100169773A1 (en) 2010-07-01
JP2010157245A (ja)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371B1 (ko) 중력에 의해 이동되는 감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포인터를 이용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106567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ptically-enabled projected user interface
US20080244462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having pointer moving at a variable speed and a video apparatus
US20110072399A1 (en) Method for providing gui which generates gravity map to move pointer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58767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CN111034207B (zh) 图像显示设备
EP2677741A1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903869B2 (ja) 移動自在の磁気ディスクを有する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方法
JP2007183914A (ja) コンテンツ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そのコンテンツナビゲーション装置
RU25195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удаленный контроллер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ми
KR20140142054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EP2663087A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JP2010170388A (ja) 入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253493A (ja) 操作端末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201100826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157244A (ja) 重力により移動される視覚的な効果を示すポインタを利用したguiの提供方法及びこれを適用した電子装置
CN101132583B (zh) 手持信息设备及其控制方法
JP2008123158A (ja) 表示項目選択システム、操作デバイス、及び、表示項目選択方法
JP2006287581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10148089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00091854A (ko)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기기 및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KR2017005779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337378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KR101809045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