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378B1 -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378B1
KR101337378B1 KR1020130113534A KR20130113534A KR101337378B1 KR 101337378 B1 KR101337378 B1 KR 101337378B1 KR 1020130113534 A KR1020130113534 A KR 1020130113534A KR 20130113534 A KR20130113534 A KR 20130113534A KR 101337378 B1 KR101337378 B1 KR 10133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put device
user
input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593A (ko
Inventor
김준환
윤영화
이정연
전성익
황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37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Abstract

영상 기기에서 사용자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은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Method for executing user command according to spatial movement of user input device and video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에 관한 것이다.
TV와 같이 리모콘에 마련된 버튼들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영상기기의 경우 사용자 명령은 버튼 조작을 통해 입력하여야 하는데, 버튼 조작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영상기기들은 다기능화 추세에 있어 제공하는 기능들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었는데, 하나의 버튼에는 하나의 기능이 배정되는 것이 일반적임을 고려한다면, 전자기기의 다기능화는 리모콘에 마련되는 버튼들의 개수 증가를 유발하게 된다.
버튼들의 개수 증가는 리모콘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사용자는 크기가 작은 리모콘을 선호한다는 점에서,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고 원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고 다른 방식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방안으로,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은,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은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상기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 볼륨 조절 기능, 입력 소스 선택 기능, 모드 선택 기능, 화면 밝기 조절 기능 및 항목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포인팅 모드 또는 키 입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연속적인 누름 조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영상 기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이동을 나타내며,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포인터 위치의 이동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기기는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 볼륨 조절 기능, 입력 소스 선택 기능, 모드 선택 기능, 화면 밝기 조절 기능 및 항목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포인팅 모드 또는 키 입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연속적인 누름 조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영상 기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이동을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포인터 위치의 이동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 조작에 의존하지 않은 다른 방식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명령 입력의 다양화와 편리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 입력장치의 소형화 역시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2는 DTV와 리모콘의 상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의 공간상 이동을 기초로 선택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의한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의 부연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방송수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수신 시스템은 방송수신장치의 일종인 DTV(100)와 사용자-입력장치의 일종인 리모콘(원격제어장치)(200)으로 구축된다.
D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DTV(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입력을 디스플레이(D)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및 음악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리모콘(200)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DTV(100)로 전달하며, DTV(100)는 전달받은 사용자의 조작 내용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에 도시된 리모콘(200)에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리모콘(200)에는 1개 또는 2개의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수의 버튼은 모두 리모콘(200)의 윗면에 마련되어 있으나, 일부는 윗면이 아닌 다른 면(예를 들어, 측면이나 아래면)에 마련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a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 방향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리모콘(200) 앞면은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하다. 리모콘(200) 앞면은 공간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리모콘(200) 앞면은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b에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평행한 가상의 평면상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가상의 평면과 TV(100)의 디스플레이(D) 화면은 완전한 평행을 이루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상의 평면 역시 완전한 평면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디스플레이(D)의 화면과 불완전한 평행을 이루는 불완전한 평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리모콘(200)을 들고 있는 팔을 고정시키고 손목만을 회전시켜 리모콘(200) 앞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목을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리모콘(200) 앞면은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상-방향, 하-방향, 좌-방향, 우-방향 또는 이들을 조합한 방향(예를 들면,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c에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가상의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좌-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사용자의 손목 회전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하는 가상의 반구면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닐 수도 있음에 유념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의 손목 회전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이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에서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반구면이 아닌 다소 불완전한 반구면 상에서 곡선 궤적을 그리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요약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공간상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은 공간상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이라는 점에서, 바닥면에서 이루어지는 PC용 마우스의 이동과 구별된다.
리모콘(200) 앞면이 공간상에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D)에 표시된 포인터(P)는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공간상에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ii) 사용자가 리모콘(200) 앞면을 공간상에서 좌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인터(P)도 좌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DTV(100)와 리모콘(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DTV(100)와 리모콘(2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200)은 이동 감지부(210), 송신부(220), 리모콘 제어부(230) 및 버튼 입력부(240)를 구비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후술할 리모콘 제어부(230)로 전달한다. 이동 감지부(210)는 예를 들어, 2축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하다.
버튼 입력부(240)에는 전원-버튼, 채널-버튼, 볼륨-버튼, 선택-버튼 등이 마련된다.
리모콘 제어부(230)는 이동 감지부(21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결과를 통해 획득한 이동에 대한 정보(이동방향, 이동거리)를 송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또한, 리모콘 제어부(230)는 버튼 입력부(24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를 송신부(220)를 통해 DTV(100)에 전달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 수신부(110), A/V 처리부(120), GUI 생성부(130), 영상 출력부(140), 오디오 출력부(150), 제어부(160) 및 수신부(170)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복조한다.
A/V 처리부(120)는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A/V 처리부(120)는 영상 신호를 GUI 생성부(130)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부(150)로 각각 전달한다.
GUI 생성부(13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될 GUI를 생성하고, 생성한 GUI를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부가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GUI 생성부(130)에서 출력되는 GUI가 부가된 영상을 디스플레이(D)에 표시하거나, 외부 출력단자(미도시)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외부 DTV)로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50)는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외부 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기기로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수신부(170)를 통해 리모콘(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의 조작 내용(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 눌러진 버튼에 대한 정보)을 기초로 사용자 명령을 파악하고, 파악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DTV(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공간상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방향을 기초로 특정 기능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선택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DTV(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환언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공간상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P)의 디스플레이(D) 상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포인터(P)의 위치를 기초로 선택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의 공간상 이동을 기초로 선택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의한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TV(100)는 방송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한다(S300). 구체적으로 S300단계는, A/V 처리부(120)가 방송 수신부(110)에서 출력되는 방송에 수행한 대해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영상 출력부(140)와 오디오 출력부(150)가 A/V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각각 출력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특정-버튼(예를 들면, 선택-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되면(S305-Y), 제어부(160)는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을 판단한다(S310).
S310단계에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S315-Y), 제어부(160)는 방송채널 번호가 증가되도록 방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20).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S325-Y), 제어부(160)는 S32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방송채널 번호의 증가가 반복하여 실행되게 된다.
반면,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S325-N), S300단계부터 재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S305단계 내지 S325단계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D) 상에는 4개의 영역들(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과 포인터(P)가 나타나 있다. 1) U-영역은 방송채널 번호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배정된 영역이고, 2) D-영역은 방송채널 번호를 감소시키는 기능이 배정된 영역이고, 3) L-영역은 볼륨을 감소시키는 기능이 배정된 영역이고, 4) R-영역은 볼륨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배정된 영역이다.
4개의 영역들(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과 포인터(P)는 본 실시예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D) 상에 도시하였을 뿐이며, 본 실시예를 구현함에 있어 실제로 디스플레이(D) 상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즉, 4개의 영역들(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은 디스플레이(D)에 실제로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영역이며, 포인터(P) 역시 디스플레이(D)에 실제로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포인터이다.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의 버튼 입력부(240)에 마련된 특정-버튼이 눌러지면, 제어부(16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제어부(16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P)를 U-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U-영역에 위치하게 되었음을 인지하고, U-영역에 배정된 기능인 방송채널 번호 증가를 수행하게 된다.
방송채널 번호 증가는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160)는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한편, S310단계에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S330-Y), 제어부(160)는 방송채널 번호가 감소되도록 방송수신부(110)를 제어한다(S335).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S340-Y), 제어부(160)는 S33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라, 방송채널 번호의 감소가 반복하여 실행되게 된다.
반면,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S340-N), S300단계부터 재수행된다.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포인터(P)가 D-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이므로(도 4a 참조),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위치한 D-영역에 배정된 기능인 방송채널 번호 감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방송채널 번호 감소는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160)는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한편, S310단계에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좌-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S345-Y), 제어부(160)는 볼륨이 감소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50)를 제어한다(S350).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S355-Y), 제어부(160)는 S350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라, 불륨 감소가 반복하여 실행되게 된다.
반면,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S355-N), S300단계부터 재수행된다.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이 좌-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포인터(P)가 L-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이므로(도 4a 참조),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위치한 L-영역에 배정된 기능인 볼륨 감소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볼륨 감소는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160)는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한편, S310단계에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이 사용자를 기준으로 우-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S360-Y), 제어부(160)는 볼륨이 증가되도록 오디오 출력부(150)를 제어한다(S365).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S370-Y), 제어부(160)는 S365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에 따라, 불륨 증가가 반복하여 실행되게 된다.
반면,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진 특정-버튼에 대한 누름이 해제되면(즉,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S370-N), S300단계부터 재수행된다.
S3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버튼이 눌러진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이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는 포인터(P)가 R-영역으로 이동되는 경우이므로(도 4a 참조), 제어부(160)는 포인터(P)가 위치한 R-영역에 배정된 기능인 볼륨 증가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볼륨 증가는 사용자가 특정-버튼을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된다. 사용자가 특정-버튼에서 손가락을 떼면 제어부(160)는 포인터(P)를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지금까지,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공간상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방향을 기초로 선택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의한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를 구현함에 있어, 디스플레이(D)에는 각 영역들에 배정된 기능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항목(가이드)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디스플레이(D)의 상부 영역(도 4a에서 U-영역)에는 리모콘(200)을 상-방향으로 이동키는 경우 방송채널 번호가 증가 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항목("▲" + "CH-UP")가 표시되고, 2) 디스플레이(D)의 하부 영역(도 4a에서 D-영역)에는 리모콘(200)을 하-방향으로 이동키는 경우 방송채널 번호가 감소 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항목("▼" + "CH-DOWN")가 표시되고, 3) 디스플레이(D)의 좌측 영역(도 4a에서 L-영역)에는 리모콘(200)을 좌-방향으로 이동키는 경우 볼륨이 감소 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항목("◀" + "VOL-DOWN")가 표시되고, 4) 디스플레이(D)의 우측 영역(도 4a에서 R-영역)에는 리모콘(200)을 우-방향으로 이동키는 경우 볼륨이 증가 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항목("▶" + "VOL-UP")가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상술한 항목들이 디스플레이 상의 각기 다른 영역들에 표시되도록 GUI 생성부(130)의 GUI 생성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가이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디스플레이(D) 상에 영역들의 경계가 표시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실행중인 기능에 대한 항목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구현하거나, 현재 실행중인 기능이 배정된 영역이 하이라이트 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U-영역에는 방송채널 번호 증가 기능, D-영역에는 방송채널 번호 감소 기능, L-영역에는 볼륨 감소 기능, R-영역에는 볼륨 증가 기능이 각각 배정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각 영역들에 이와 다른 기능들이 배정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기능들로, 화면밝기 조정 기능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U-영역에는 화면밝기 증가 기능, D-영역에는 화면밝기 감소 기능이 각각 배정되는 경우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들로, 입력소스 선택 기능, 모드 선택 기능과 같은 항목 선택 기능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U-영역에는 TV 입력 선택 기능, D-영역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선택 기능, L-영역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입력 선택 기능, R-영역에는 블루투스 입력 선택 기능이 각각 배정되는 경우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U-영역에는 TV 모드 선택 기능, D-영역에는 사진 재생 모드 선택 기능, L-영역에는 동영상 재생 모드 선택 기능, R-영역에는 음악 재생 모드 선택 기능이 각각 배정되는 경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TV 모드는 TV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모드이다. 그리고, 사진 재생 모드, 동영상 재생 모드 및 음악 재생 모드는 DTV(100)에 내장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정지영상 파일, 동영상 파일, 음악 파일을 각각 재생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로 리모콘(200) 앞면을 공간상에서 이동시킨 후에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제어부(160)는 기능 수행을 개시하게 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력소스 선택 기능과 모드 선택 기능은 반복하여 실행가능한 기능인 아닌 1회에 걸쳐 수행되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입력소스 선택 기능과 모드 선택 기능과 달리 채널 변경 기능과 볼륨 변경 기능은 반복하여 실행가능한 기능이다. 즉, 입력소스 선택과 모드 선택은 1회에 걸쳐 수행되지만, 채널 변경과 볼륨 변경은 수회에 걸쳐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복하여 실행가능한 기능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반면,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을 해제하면 기능 실행을 중단하는 것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도모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에 대한 누름을 계속 유지하는 경우에, 기능 실행이 반복되는 것으로 구현하였지만,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기능 선택이 계속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도 기능 실행이 반복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인터(P)가 특정 영역으로 이동한 후에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이동되지 않아 포인터(P)가 그 특정 영역에 계속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는, 그 특정 영역에 배정된 기능이 반복하여 실행되도록 구현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인터(P)가 다른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반복되던 기능 실행이 중단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명령 수행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D) 상에는 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 외에 M-영역이 더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도 4a와 차이가 있다.
M-영역은 기능이 배정되지 않은 영역이라는 점에서, 기능이 배정된 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과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거리가 비교적 작아서 디스플레이(D)의 중심에 위치하였었던 포인터(P)가 M-영역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기능도 수행되지 않는다.
위 경우, 제어부(160)는 수신부(170)를 통해 수신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판단한다. 판단된 이동거리가 특정 거리 이상인 경우(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에 의해 포인터(P)가 M-영역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160)는 판단된 이동방향을 기초로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그러나, 판단된 이동거리가 특정 거리 미만인 경우(리모콘(200) 앞면의 이동에 의해 포인터(P)가 M-영역을 벗어나지 못한 경우), 제어부(160)는 아무런 기능도 실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미세한 손떨림으로 인하여 실행을 의도하지 않았던 기능이 실행되게 되는 오류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D) 상에서 기능이 배정된 영역은 총 4개(U-영역, D-영역, L-영역 및 R-영역)이다. 하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이며, 영역의 개수에 대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 상에서 기능이 배정된 영역을 총 8개(UL-영역, UR-영역, DL-영역, DR-영역, LU-영역, LD-영역, RU-영역 및, RD-영역)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D) 상에서 기능이 배정된 영역을 총 8개(UU-영역, UD-영역, DU-영역, DD-영역, LL-영역, LR-영역, RL-영역 및 RR-영역)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b와 도 5c에서 M-영역은 기능이 배정되지 않은 영역이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 영역들의 배열 방식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방사형 배열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배열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배열 방식 예를 도 5d에 도시하였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들이 배열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선택함에 있어 제어부(160)는 리모콘(200) 앞면의 이동방향 외에 이동거리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들에서는 방송수신장치로 DTV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DTV 이외의 방송수신장치의 경우나 방송수신장치 이외의 영상기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적용가능한 다른 방송수신장치로 STB(Set Top Box),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 수신장치, 방송수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포터블 기기(예를 들면, DMB 수신용 모듈이 내장된 모바일 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600)는 수신부(610)와 제어부(620)를 구비하며, 사용자-입력장치(650)와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수신부(610)는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한 사용자-입력장치(650)의 이동정보를 사용자-입력장치(650)로부터 수신한다.
제어부(620)는 수신부(610)를 통해 수신된 이동정보로부터 사용자-입력장치(650)의 이동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이동방향을 기초로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에 따르면, 먼저 제어부(620)는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한 사용자-입력장치(650)의 이동방향을 판단한다(S710). 그리고, 제어부(620)는 판단된 이동방향을 기초로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720). 이후, 제어부(620)는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킨다(S730).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영상 시스템은 영상기기(800)와 사용자-입력장치(850)를 구비한다. 사용자-입력장치(850)는 사용자에 의해 공간상에서 이동가능하다.
영상기기(800)는 사용자-입력장치(850)의 공간상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상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포인터의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킨다.
도 9에 도시된 사용자 명령 수행방법에 따르면, 먼저 영상기기(800)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입력장치(850)의 공간상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디스플레이 상 위치를 판단한다(S910). 그리고, 영상기기(800)는 판단된 포인터의 위치를 기초로,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S920). 이후, 영상기기(800)는 선택된 기능을 실행시킨다(S930).
이들에 의해서도,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방향을 기초로 선택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에 의해, 사용자 명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DTV 170 : 수신부
160 : 제어부 200 : 리모콘

Claims (16)

  1. 영상 기기에서 사용자 명령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은,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상기 영상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 볼륨 조절 기능, 입력 소스 선택 기능, 모드 선택 기능, 화면 밝기 조절 기능 및 항목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포인팅 모드 또는 키 입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리모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연속적인 누름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영상 기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이동을 나타내며,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포인터 위치의 이동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9. 영상 기기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이동 방향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이동 거리를 판단하여 상기 이동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영상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된 기능은,
    채널 변경 기능, 볼륨 조절 기능, 입력 소스 선택 기능, 모드 선택 기능, 화면 밝기 조절 기능 및 항목 선택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포인팅 모드 또는 키 입력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리모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누름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조작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키의 연속적인 누름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은,
    상기 영상 기기에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이동 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포인터의 이동을 나타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복수의 기능 중 상기 포인터 위치의 이동에 대응되는 기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기.
KR1020130113534A 2013-09-24 2013-09-24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KR10133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34A KR101337378B1 (ko) 2013-09-24 2013-09-24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34A KR101337378B1 (ko) 2013-09-24 2013-09-24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476A Division KR101358767B1 (ko) 2007-04-02 2007-04-02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3A KR20130122593A (ko) 2013-11-07
KR101337378B1 true KR101337378B1 (ko) 2013-12-06

Family

ID=49852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534A KR101337378B1 (ko) 2013-09-24 2013-09-24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8104A1 (en) * 2003-05-01 2004-11-04 Smith Gregory C. Multimedia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8104A1 (en) * 2003-05-01 2004-11-04 Smith Gregory C. Multimedia user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3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767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수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US1005762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5324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482549B1 (ko) 영상표시장치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538245B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KR10180762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KR20080088802A (ko) 디스플레이 상에서 포인터 이동속도가 가변적인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20080094235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11397513B2 (en) Con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transmission of content
KR10225009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080094200A (ko) 포인터가 위치한 영역에 메뉴 아이템을 나타내는 gui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337378B1 (ko) 사용자 입력장치의 공간상 이동에 기초한 사용자 명령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 기기
KR201701117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080088833A (ko) 아이템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된 gui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KR101995423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및 채널 리스트를 이동하기 위한 방법
KR20130123235A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KR20080073967A (ko) 수치 변경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