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03B1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03B1
KR101649003B1 KR1020117022572A KR20117022572A KR101649003B1 KR 101649003 B1 KR101649003 B1 KR 101649003B1 KR 1020117022572 A KR1020117022572 A KR 1020117022572A KR 20117022572 A KR20117022572 A KR 20117022572A KR 101649003 B1 KR101649003 B1 KR 10164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copper
oral
composition
beta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573A (ko
Inventor
코타 츠츠미
마사토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A)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및 그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구리 화합물과, (B)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C)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코올을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주병 개선 효과의 실효감인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가지며, 또한, 구리 화합물 특유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 및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가 발휘되고, 사용감에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본 발명은, 치주병 개선 효과의 실효감인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收斂感) 부여 효과를 가지며, 또한, 구리 화합물 특유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와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사용감에 우수한 구리 화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글루콘산 구리, 구연산 구리, 황산 구리 등의 구리 화합물에 항균 효과, 구취 제거 효과 및 플라그 형성 저지 효과가 있기 때문에, 구리 화합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고, 구리 화합물 유래의 효과의 개선이나 변색 방지를 위한 기술이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내지 5 ; 일본 특개평2-212413호 공보, 일본 특개평8-310928호 공보, 일본 특허 제2882017호 공보, 일본 특표평10-505831호 공보, 일본 특개2003-231621호 공보 참조).
일반적으로 치마제(dentifrice)나 치주병 치료약 등에서는, 치주병 개선 효과의 실효감으로서 잇몸의 수렴감이 유효하고, 수렴 작용을 갖는 성분으로서 구리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구리 화합물은, 쓴맛이나 금속 맛 등의 불쾌한 맛을 가지며, 또한, 구강 점막 자극을 갖기 때문에, 구리 화합물을 그 효과가 만족하게 발휘할 수 있는데 충분한 양으로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하면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지금까지 많은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고, 출원인은, 구리 등의 금속 이온 방출 화합물에 멘톨 유도체 등을 배합함으로써, 금속 맛을 개선할 수 있음을 특허 문헌 6(일본 특개2003-137755호 공보)에 제안하였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구리 화합물 유래의 쓴맛 등의 불쾌한 맛을 개선하면, 동시에 수렴감 부여 효과도 손상되어 버리기 때문에 실효감이 부족한 것이어서, 종래의 사용감 개선 기술은, 이 점에서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한편으로, 구리 화합물 유래의 구강 점막 자극을 억제하면, 수렴감 부여 효과가 억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구리 화합물 유래의 만족스러운 수렴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구강 점막 자극을 억제하는 것도 곤란하였다.
따라서, 구리 화합물 유래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 및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와,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동시에 겸비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2-21241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평8-31092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2882017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표평10-505831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개2003-231621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개2003-137755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2000-297022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 특개2008-150335호 공보 특허 문헌 9 : 일본 특개2007-320894호 공보
본 발명은, 치주병 개선 효과의 실효감인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가지며, 또한, 구리 화합물 특유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 및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를 발휘하고, 사용감에 우수한 구리 화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A)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및 그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구리 화합물과, (B) 베타인형 양성 계면 활성제와, (C)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코올을 병용하여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함에 의해, 구리 화합물 유래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 및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와,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겸비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구리 화합물 함유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구리 화합물 유래의 쓴맛, 구강 점막 자극, 수렴감은, 구리 화합물이 구강 내의 점막과 상호작용한 결과, 생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리 화합물 함유의 구강용 조성물에 있어서, 구리 화합물 유래의 쓴맛 등의 불쾌한 맛이나 구강 점막 자극을 억제시키면, 동시에 수렴감 부여 효과도 손상되어 버리는 것은, 구리 화합물과 구강 내의 점막과의 상호작용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또는 그 수화물에,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당알코올이 협동적으로 작용하고, 구리 화합물과 구강 내의 점막과의 상호작용이 상기와는 다르도록 변화함에 의해, 구리 화합물 유래의 쓴맛이 개선되고, 구강 점막 자극이 억제되는 동시에,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후술의 실시예로부터도 분명하다. 본 발명은, 그 구성요건의 어느 하나를 결여하는 경우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아미노산형의 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 당알코올이라도 소르비톨이나 글리세린을 상기 (C)성분 대신에 사용한 경우에는 달성할 수가 없고, 본 발명의 구성요건의 전부를 충족시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에의 배합 성분으로서 당알코올은 공지이고, 통상 보습제 등으로서 배합된다. 또한, 당알코올을 배합함으로써 폴리페놀 함유 식물 추출물에 의한 제제의 변색을 개선한 기술(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2000-297022호 공보), 불소 화합물과 라우릴황산 나트륨 및 트리메틸글리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에리스리톨을 배합함으로써 경시 보존 안정성을 개선한 기술(특허 문헌 8 ; 일본 특개2008-150335호 공보)이나, 비스글리신산 구리 및 크실리톨을 조합시킴으로써 구강 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이 얻어지는(특허 문헌 4)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기술로서는, 불소 화합물 함유의 치마 조성물에 라우릴황산 나트륨과 카티온성 폴리머와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불소 화합물의 구강 내 체류성, 사용감 등을 높인 기술(특허 문헌 9 ; 일본 특개2007-320894호 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출원인은, 구리 화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보습제로서 환원당 함유량이 0.2질량% 이하의 당알코올을 배합하는 기술(특허 문헌 1), 또한, 양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기술(특허 문헌 3)을 제안하였다. 이들 기술은, 구리 화합물에 유래하는 경시(經時)로의 변색 방지와 구취 제거 효과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 것이고, 본 발명과는 해결 과제가 서로 다르고, 어느 것에도 본 발명의 구성, 그 기술적 사상 및 작용 효과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구리 화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해서는 여러가지의 제안이 있고, 당알코올이나 양성 계면활성제는 구강용 조성물의 배합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또는 그 수화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당알코올인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또는 만니톨을 조합시켜서 배합함에 의해, 구리 화합물 유래의 우수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구리 화합물 유래의 불쾌한 쓴맛 및 구강 점막 자극을 만족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자들의 새로운 연구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및 그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구리 화합물과,
(B)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C)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코올
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리 화합물 함유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주병 개선 효과의 실효감인 잇몸에의 충분한 수렴감 부여 효과를 가지며, 또한, 구리 화합물 특유의 불쾌한 쓴맛 개선 효과 및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가 발휘되고, 사용감에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A)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및 그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구리 화합물과, (B)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와, (C)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코올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성분인 구리 화합물로서는,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가 사용되고, 1종 단독으로도 2종을 병용하여도 좋다. 글루콘산 구리 및 황산 구리는, 각각 무수물이라도, 수화물이라도 좋다. 수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 구리 5수화물, 3수화물, 1수화물 등의 결정수를 포함하는 수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리 화합물의 배합량은, 화합물 중의 구리로서 조성물 전체의 0.0026 내지 0.51%(질량%, 이하 마찬가지), 특히 0.013 내지 0.26%, 특히 0.026 내지 0.26%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026% 미만에서는 구리 화합물 유래의 수렴감 부여 효과가 충분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0.51%를 초과하면 쓴맛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사용감이 만족하게 개선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B)성분인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스테아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라우린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라우릴히드록시술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야자유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산요카세이공업 사제의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상품명 레본105),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상품명 레본101-H), 야자유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액(液)(상품명 레본2000), 닛꼬 케미칼즈 사제의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수용액(상품명 NIKKOL AM-301) 등을 들 수 있다.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으로서는, 상품명 에나지콜C-40H로서 라이온(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2-야자유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0.01 내지 5%, 특히 0.05 내지 2%, 특히 0.1 내지 1%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01% 미만에서는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가 충분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를 초과하면 계면활성제에 의한 구강 점막 자극의 문제가 생기고, 또한, 쓴맛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C)성분은,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당알코올이다. 이들 당알코올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2종 또는 3종을 병용하여도 좋다. 2종을 병용하는 경우는, 에리스리톨과 크실리톨과의 병용이 바람직하다.
(C)성분인 당알코올의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의 2 내지 50%, 특히 5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특히 10 내지 30%가 가장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2% 미만에서는 쓴맛 개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를 초과하면 구리 화합물에 의한 수렴감 부여 효과가 저해되고, 또한,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가 충분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연치마, 윤제치마, 액체치마 등의 치마제, 세구제, 겔제, 연고제, 입안 청량제, 양치질용 정제, 구강용 파스타, 껌 등의 각종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지만, 특히 치마제 및 겔제, 특히 겔제로 바람직하게 조제된다. 이와 같은 제형으로 조제하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유효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이들 제제는, 상기 필수 성분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그 제형에 응한 그 밖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마제의 경우에는, 각종 연마제, 습윤제, 점결제, 계면활성제 및 필요에 응하여 감미료, 향료, 착색제, 방부제, pH 조정제, 그 밖의 유효 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겔제의 경우에는, 습윤제, 점결제, 계면활성제 및 필요에 응하여 감미료, 향료, 착색제, 방부제, pH 조정제, 알코올, 유성(油性) 성분, 그 밖의 유효 성분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연마제로서는, 침강성 실리카, 실리카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오라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제 2 인산 칼슘·2수화물 및 무수물, 피로인산 칼슘, 탄산 칼슘, 수산화 알미늄, 알루미나, 탄산 마그네슘, 제 3 인산 마그네슘, 불용성 메타인산 나트륨, 불용성 메타인산 칼륨, 산화 티탄,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합성 수지계 연마제 등을 들 수 있다(배합량 ; 통상, 조성물 전체에 대해 5 내지 50%).
습윤제로서는, (C)성분인 당알코올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소르비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코올을 들 수 있다. 습윤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통상 10 내지 50%이다.
점결제로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알긴산 유도체, 구아고무, 크산탄고무, 아라비아고무 등의 고무류, 카라기난,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합성 점결제 등을 들 수 있다(배합량 통상 0.5 내지 10%).
계면활성제로서는, (B)성분인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이외의 것, 예를 들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당알코올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다가알코올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등의 에테르형 또는 에스테르형의 계면활성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등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라우릴황산 나트륨, 미리스틸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염, N-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N-미리스토일살코신나트륨 등의 N-아실살코신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수소첨가 코코넛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 모노황산 나트륨, 라우릴술포아세트산 나트륨, N-팔미토일글루타민산 나트륨 등의 N-아실글루타민산염, N-메틸-N-아실타우린나트륨, N-메틸-N-아실알라닌나트륨, α-올레핀술폰산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암모늄, 알킬벤질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 이들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통상 0.01 내지 2%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라우릴황산 나트륨 등의 알킬 황산염은, 사용감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배합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0.5% 이하, 특히 0 내지 0.1%가 바람직하지만, 0%라도 좋다. 무배합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감미료로서는, 사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스테비아 엑기스, 파라메톡시신나믹알데히드, 네오헤스피리딜히드로칼콘, 페릴라르틴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청색 1호(FD&C Blue No. 1(42090)), 황색 4호(FD&C Yellow No. 5(19140)), 이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팔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안식향산 나트륨 등의 안식향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l-멘톨, 카르본, 아네톨, 리모넨 등의 테르펜류 또는 그 유도체나, 페퍼민트유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구연산, 푸마르산, 사과산, 주석산, 젖산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에탄올 등의 탄소수 3 이하의 저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알코올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통상 1 내지 20%이다.
유성 성분으로서는, 유동 파라핀, 경질 유동 파라핀, 파라핀왁스,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스쿠알란, 스쿠알렌 등의 탄화 수소유,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파르미틴산, 스테아린산, 라울로레인산, 올레인산, 아라키돈산, 리놀산, 리놀렌산, 리시놀산 등의 지방산, 아마인유, 호마유, 사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면실유, 올리브유, 동백유, 피마자유, 카카오지(脂), 팜유, 야자유 등의 식물유, 우지, 돈지, 마지(馬脂), 양지 등의 동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제제의 구강 내에의 체류성의 점에서 탄화 수소유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동파라핀, 경질유동파라핀이다. 유성 성분을 배합하는 경우, 그 배합량은, 통상 0.1 내지 10%이다.
유효 성분으로서는, (A)성분인 구리 화합물 이외의 것, 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염, 토코페롤에스테르 등의 비타민류, 덱스트라나제, 무타나제, 리소자임 등의 효소, 황백 엑기스, 황금 엑기스, 정자 엑기스 등의 생약 성분,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잘코늄, 염화 데쿠알니늄, 염산 크로르헥시딘, 글루콘산 크로르헥시딘, 트리클로산, 이소프로필메틸페놀, 히노기 티올 등의 살균제, 염화 나트륨, 폴리인산 나트륨, 메타인산 나트륨, 올도인산 나트륨, 트리폴리인산 나트륨, 젖산 알루미늄, 키토산 등의 무기 염류나 유기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유효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유효량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서 배합량은 모두 질량%이다. 또한, 형태가 수용액의 성분에 관해서는, 표 안도 포함하여 모두 순분(純分) 환산의 배합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표 1 내지 4에 표시하는 조성의 구강용 조성물(겔제)을 조제하고, 전문가 패널 5명의 잇몸에 구강용 조성물 약 0.5g을 손가락으로 도포하였다. 직후의 잇몸에 대한 수렴감 부여 효과,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 쓴맛 개선 효과를, 각각 하기에 나타내는 4단계의 평점 기준으로 관능 평가를 행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내지 5에 표시한다. 또한, 배합 성분의 상세를 표 6에 표시한다.
수렴감 부여 효과 ;
평점
4점 : 수렴감을 느낀다
3점 : 수렴감을 약간 느낀다
2점 : 수렴감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1점 : 수렴감을 느끼지 않는다
수렴감 부여 효과의 평가 기준 ;
◎ : 수렴감 부여 효과의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수렴감 부여 효과의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수렴감 부여 효과의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수렴감 부여 효과의 평균점 2.0점 미만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 ;
평점
4점 : 전혀 자극을 느끼지 않는다
3점 : 자극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2점 : 자극을 약간 느낀다
1점 : 자극을 느낀다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의 평가 기준 ;
◎ :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의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의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의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구강 점막 자극의 억제 효과의 평균점 2.0점 미만
쓴맛 개선 효과 ;
평점
4점 : 전혀 쓴맛을 느끼지 않는다
3점 : 쓴맛을 거의 느끼지 않는다
2점 : 쓴맛을 약간 느낀다
1점 : 쓴맛을 느끼고, 또는 자극이 강하다
쓴맛 개선 효과의 평가 기준 ;
◎ : 쓴맛 개선 효과의 평균점 3.5점 이상 4.0점 이하
○ : 쓴맛 개선 효과의 평균점 3.0점 이상 3.5점 미만
△ : 쓴맛 개선 효과의 평균점 2.0점 이상 3.0점 미만
× : 쓴맛 개선 효과의 평균점 2.0점 미만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1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2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3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4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5
Figure 112011074912964-pct00006

Claims (4)

  1. (A) 글루콘산 구리, 황산 구리 및 그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구리 화합물을 구리로서 0.013 내지 0.26질량%와,
    (B)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2-알킬-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N-라우로일-N'-카르복시메틸-N'-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나트륨 및 야자유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를 0.05 내지 2질량%와,
    (C)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및 만니톨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당알코올을 5 내지 30질량%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치마제 또는 겔제로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또한, 습윤제 및 점결제를 배합하고, 도포겔제로서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삭제
KR1020117022572A 2009-03-30 2010-03-23 구강용 조성물 KR101649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1716 2009-03-30
JP2009081716 2009-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573A KR20110133573A (ko) 2011-12-13
KR101649003B1 true KR101649003B1 (ko) 2016-08-17

Family

ID=42827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2572A KR101649003B1 (ko) 2009-03-30 2010-03-23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30713B2 (ko)
KR (1) KR101649003B1 (ko)
CN (1) CN102365077B (ko)
HK (1) HK1163509A1 (ko)
WO (1) WO2010113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279A1 (ja) 2014-12-12 2016-06-16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WO2019230710A1 (ja) 2018-05-29 2019-12-05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WO2020016926A1 (ja) * 2018-07-17 2020-01-23 日本ゼトック株式会社 非水系口腔用組成物
EP3603626A1 (en) * 2018-07-31 2020-02-05 Mucosa Innovations, S.L.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the genitourinary mucosa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71909A (en) * 1981-04-15 1982-10-22 Lion Corp Composition for oral cavity
JP2785298B2 (ja) * 1989-02-10 1998-08-13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882017B2 (ja) * 1990-09-19 1999-04-12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158081A (zh) * 1994-09-15 1997-08-27 普罗克特和甘保尔公司 口腔用组合物
JPH08310928A (ja) * 1995-05-15 1996-11-26 Lion Corp 歯磨組成物
ES2132033B1 (es) * 1997-11-06 2000-03-01 Dentaid Sa Composicion oral para el tratamiento de la halitosis.
JP2000297022A (ja) 1999-04-12 2000-10-24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3137755A (ja) 2001-11-02 2003-05-14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ES2346856T3 (es) * 2001-11-28 2010-10-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ciones de dentifrico.
JP2003231621A (ja) 2002-02-06 2003-08-19 Lion Corp 口臭予防用口腔用組成物
US7601002B2 (en) * 2004-03-29 2009-10-13 Colgate-Palmolive Co Dental whitening method
US20050271601A1 (en) * 2004-06-02 2005-12-08 Nebojsa Milanovich Anti-staining antibacterial dentifrice
JP2007008824A (ja) * 2005-06-28 2007-01-18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2007320894A (ja) 2006-05-31 2007-12-13 Lion Corp 歯磨組成物
JP4825122B2 (ja) 2006-12-19 2011-11-30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4919060B2 (ja) * 2007-06-28 2012-04-18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及びアルジンジパイン阻害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0713B2 (ja) 2016-06-08
HK1163509A1 (en) 2012-09-14
CN102365077B (zh) 2013-10-16
WO2010113688A1 (ja) 2010-10-07
CN102365077A (zh) 2012-02-29
JPWO2010113688A1 (ja) 2012-10-11
KR20110133573A (ko)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2651B2 (ja) 洗口剤組成物
KR20120086685A (ko) 치마제 조성물
KR20050013204A (ko) 구강용 조성물
JP2002029950A (ja) 亜鉛化合物含有口腔用組成物
JP6381912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649003B1 (ko) 구강용 조성물
JPWO2016093279A1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022968A (ko) 구강용 조성물
JP2011126788A (ja) 口腔用組成物
JP5509631B2 (ja) 口腔用塗布ゲル剤組成物
JP7124403B2 (ja) 歯磨剤組成物
CA3008367C (en) Oral care product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CN111902125B (zh) 口腔用组合物及α-烯烃磺酸盐的苦味改进剂
JP7167659B2 (ja) 歯磨剤組成物
JP6825339B2 (ja) 口腔用組成物
JP7347916B2 (ja) 歯磨剤組成物
JP4809553B2 (ja) 口腔用組成物
WO2015133358A1 (ja) 練歯磨組成物
JP2020083833A (ja) 歯磨剤組成物
CN110621292B (zh) 洁齿剂组合物
KR20190076829A (ko) 구강용 조성물 및 그 변색 억제 방법
JPH08301743A (ja) 歯磨組成物
JP2006069987A (ja) 歯磨用組成物
WO2022054959A1 (ja) 口腔用組成物
WO2019230710A1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