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864B1 -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864B1
KR101647864B1 KR1020117018014A KR20117018014A KR101647864B1 KR 101647864 B1 KR101647864 B1 KR 101647864B1 KR 1020117018014 A KR1020117018014 A KR 1020117018014A KR 20117018014 A KR20117018014 A KR 20117018014A KR 101647864 B1 KR101647864 B1 KR 101647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yamide
bottle
package
oxygen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8339A (ko
Inventor
준 미타데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8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8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6Oriented mon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4Oxygen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amid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물을 포함하는 포장체를 광의 조사하에 보존하는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체의 적어도 일부는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A)로 형성되어 있다. 폴리아미드(A)를 포함하는 포장체에 광을 조사하면, 산소 투과도가 감소하고, 내용물의 열화가 억제된다.

Description

보존 방법{STORAGE METHOD}
본 발명은 식품, 음료, 약품, 전자 부품 등의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품 또는 음료 등의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재료는 여러가지 유통, 냉장 등의 보존, 가열살균 등의 처리 등으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강도, 갈라지지 않음,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에 더하여 내용물을 밖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성이 뛰어나야 한다는 등 다방면에 있어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식품의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산소 침입을 막는 산소 배리어 또는, 이산화탄소 배리어, 각종 향기 성분 등에 대한 배리어 기능도 요구되고 있다.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6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시트, 필름은 투명하고 기계 물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그 취급의 용이성, 가공의 용이성 때문에, 포장 재료용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소 등의 가스상 물질에 대한 배리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산화 열화가 진행되기 쉽고, 향기 성분, 이산화탄소의 투과가 용이하여 내용물의 유효기한이 짧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을 주체로 하는 플라스틱 용기(병 등)가 차, 과즙 음료, 탄산 음료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 소형 플라스틱 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해마다 커지고 있다. 병(bottle)은 소형화함에 따라 단위 체적당 표면적의 비율이 커지기 때문에, 병을 소형화하는 경우, 내용물의 유효기한은 짧아지는 경향에 있다. 또한, 최근, 산소나 빛의 영향을 받기 쉬운 맥주의 플라스틱 병 판매 또는 플라스틱 병에 넣어진 차의 많은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어서 플라스틱 용기의 이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 용기에 대한 가스 배리어성의 향상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산소 등의 가스상 물질에 대한 배리어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염화 비닐리덴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를 조합한 필름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염화 비닐리덴을 적층한 필름은 보존 조건에 의존하지 않고 가스 배리어성이 뛰어나지만, 연소시켰을 때에 다이옥신이 발생하여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나 폴리비닐알코올은 전술한 것과 같은 환경오염의 문제는 없지만, 이들을 배리어층으로 하는 다층 필름은 비교적 낮은 습도의 환경하에서는 뛰어난 가스 배리어성을 발휘하지만, 보존되는 내용물의 수분 활성이 높거나 고습도의 환경하에서 보존되거나 나아가 내용물을 충전 후에 가열살균 처리가 가해지면 가스 배리어성이 큰 폭으로 저하되는 경향에 있어, 내용물의 보존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크실릴렌디아민과 지방족 디카르복시산과의 중축합 반응으로부터 얻어지는 크실릴렌기 함유 폴리아미드, 특히 메타크실릴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아미드 MXD6은 산소, 탄산 가스 등의 가스상 물질에 대해서 높은 배리어성을 나타내는 재료이다. 상술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과 비교했을 경우, 높은 습도하에서의 가스 배리어성은 뛰어나지만, 낮거나 중간 정도의 습도하에서는 이러한 재료와 비교하여 약간 가스 배리어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 외부로부터 산소를 차단하면서 용기 내의 산소를 포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수지가 개발되어 다층 병에 응용되고 있다. 산소 포착성 병으로는 산소 흡수 속도, 투명성, 강도, 성형성 등의 면에서, 천이 금속계 촉매를 혼합한 폴리아미드 MXD6를 가스 배리어층으로서 사용한 다층 병이 있다. 그렇지만, 천이 금속을 첨가함으로써, 폴리아미드 MXD6의 산화 분해가 촉진되어 수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천이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산소 포착 기술로서 피환원성 유기 화합물을 환원한 화합물이 산소에 의해서 산화되는 것을 이용한 산소 흡수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및 2 참조). 이 문헌에 의하면, 실온이나 저습도 조건에서는 확실히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피환원성 유기 화합물을 환원하는 프로세스가 필요하고, 비용적인 관점에서도 개선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제2922306호 공보 일본 특표2001-51413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간편한 방법으로 포장체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열심히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조성을 가지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포함하는 포장체에 광을 조사하면,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A)로 적어도 일부가 형성된 포장체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광의 조사하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체의 가스 배리어성을 간편한 방법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내용물의 열화를 효과적으로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공업적 의의는 크다.
도 1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원 A의 분광 분포 곡선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원 B의 분광 분포 곡선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원 C의 분광 분포 곡선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원 D의 분광 분포 곡선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포장체의 적어도 일부는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A)로 형성된다.
폴리아미드(A)는 가스 배리어성이 높고, 내열성, 성형 가공성이 양호하다. 폴리아미드(A)의 디아민 성분은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7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포함한다(각각 100%를 포함한다). 디카르복시산 성분은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7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 포함한다(각각 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크실릴렌디아민 이외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디아민으로는,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펜타메틸렌디아민, 2-메틸펜탄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1,3-디아미노시클로헥산,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 2,2-비스(4-아미노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아미노메틸)데카린, 비스(아미노메틸)트리시클로데칸 등의 지환족 디아민; 비스(4-아미노페닐)에테르, 파라페닐렌디아민, 파라크실릴렌디아민, 비스(아미노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 고리를 가지는 디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예를 들면 호박산, 글루타르산, 피멜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운데칸 이산(二酸), 도데칸 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아디프산이나 세바신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이외에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디카르복시산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카르복시산 성분은 이소프탈산을 바람직하게는 1∼2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 몰% 포함할 수 있다. 디카르복시산 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포함하면, 성형 직후의 백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A)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래 공지의 방법, 중합 조건에 의해 제조된다. 폴리아미드의 중축합시, 분자량 조절제로서 소량의 모노아민, 모노카르복시산을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면, 메타크실릴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 이루어진 나일론염을 물의 존재하에, 가압 상태로 승온하고, 첨가된 물 및 축합수를 제거하면서 용융 상태로 중합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용융 상태의 아디프산에 직접 첨가하고, 상압하에서 중축합 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된다. 이 경우, 반응계를 균일한 액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아디프산에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그러는 동안, 반응 온도가 생성되는 올리고아미드 및 폴리아미드의 융점보다 밑돌지 않게 반응계를 승온하면서 중축합을 진행시킨다.
또한, 폴리아미드(A)는 용융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후에, 고상 중합을 실시해도 된다. 폴리아미드(A)의 고상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방법, 중합 조건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A)의 수평균 분자량은 18000∼4350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30000이다. 이러한 범위에서 내열성, 성형 가공성이 양호하다.
폴리아미드(A)의 상대 점도는 1.8∼3.9가 바람직하고, 2.4∼3.7이 보다 바람직하고, 2.5∼3.7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대 점도가 1.8∼3.9인 경우, 압출 성형시에 네크 인(neck in)이 감소하기 때문에, 제조되는 필름이나 시트의 폭을 넓게 하거나 폭 사이즈를 조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여기서 말하는 상대 점도는 폴리아미드(A) 1g을 96% 황산 100cc(1 ㎗)에 용해하고, 캐논펜스케형 점도계로 25℃에서 측정한 낙하시간(t)과 동일하게 측정한 96% 황산의 낙하시간(t0)의 비이고, 아래 식으로 표시된다.
상대 점도=(t)/(t0)
폴리아미드(A)에는, 각종 엘라스토머류 등의 내충격성 개질재, 결정핵제, 지방산 아미드계, 지방산 금속염계, 지방산 아마이드계 화합물 등의 윤활제, 구리 화합물, 유기 또는 무기 할로겐계 화합물, 힌다드페놀계, 힌다드아민계, 히드라진계, 유황계 화합물, 차아인산 나트륨, 차아인산 칼륨, 차아인산 칼슘, 차아인산 마그네슘 등의 인계 화합물 등의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착색 방지제,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가소제, 착색제, 난연제, 폴리아미드 수지의 겔화 방지를 목적으로 한 알칼리 화합물 등의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폴리아미드(A)로 형성된 포장체에 광을 조사 함으로써, 포장체의 산소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즉, 내용물을 상기 포장체에 수납하고, 광을 조사하면, 포장체의 산소 배리어성이 향상하고, 내용물의 산화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의 파장은 10∼1000nm가 바람직하고, 200∼800nm가 보다 바람직하고, 400∼75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분광 분포 곡선에 있어서, 600nm 이하의 피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405nm, 436nm, 546nm, 578nm, 589nm, 450nm, 538nm, 583nm 등의 피크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조사하는 광의 조도는 포장체 표면에 있어서, 100∼10000 lux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10000 lux가 보다 바람직하고, 3000∼10000 lux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 조사 중의 온도는 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40℃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광을 조사했을 때 용기의 산소 투과도의 저하가 부드럽고(smooth), 즉 산소 배리어 향상이 부드럽다. 광 조사 시간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내용물이 보존되는 기간에 따라 결정하면 된다.
산소 배리어가 향상하는 정도는 포장체 내의 폴리아미드(A) 함량, 광의 조도 등에 의해서 변화하지만, 산소 배리어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폴리아미드(A) 함량이 0.1∼100 중량%가 바람직하고, 1∼100 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A)와 다른 수지를 블렌드하는 경우는 1∼50 중량%가 바람직하고, 2∼10%가 보다 바람직하다. 포장체의 평균 두께는 10∼3000㎛가 바람직하고, 폴리아미드(A) 함유층의 평균 두께는 1∼400㎛가 바람직하고, 5∼4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장체에 조도 100∼10000 lux로 파장 10∼1000nm의 광을 조사했을 경우, 24시간 조사 후의 산소 투과도는 조사 전과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1∼75%,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로 감소한다.
포장체로서 다층 필름 자루(袋), 다층 시트 자루, 다층 병, 다층 블로우(blow) 병, 단층 필름 자루, 단층 병 등의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보존 용기를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질적인 무연신 폴리아미드(A) 단층 필름 또는 폴리아미드(A) 층을 적어도 1층 가지는 실질적인 무연신 다층 필름을 이용하여 공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조건에 의해, 사방이 봉합된 자루(four-side-sealed bag), 각종 베개 자루, 스탠딩 파우치 등의 주머니 모양 용기, 용기에 사용되는 덮개 재료 등의 각종 포장재료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폴리아미드(A) 층을 적어도 1층 가지는 원반 다층 필름(raw multi-layered film)을 1축 또는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을 이용하여 용기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다층 무연신 필름을 열성형하여, 컵 형상의 용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A) 필름을 종이와 라미내이트한 다층 용기도 된다. 이러한 용기도 공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조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층 용기의 폴리아미드(A) 층 이외의 층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A) 이외의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장체에는 다양한 물품을 수납, 보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체 음료, 액체, 분말 혹은 페이스트상 조미료, 페이스트상 식품, 액체계 식품, 생면, 삶은 면, 곡물류, 곡물 가공제품, 유제품, 고체상이나 용액상의 화학 약품, 액체 및 페이스트상 의약품, 화장품, 전자 부품 등 여러 가지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특히, 수분 활성이 높은 물품을 보존하는 경우, 보존 중에 고습도하에 노출되는 경우, 레토르트나 보일 등의 가열살균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에는, 다층 용기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포장체(병, 필름)의 산소 투과율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필름의 산소 투과율
60% RH(상대습도)의 분위기하에서 ASTM D3985에 준거하여, 광 조사 전후, 필름의 산소 투과율(cc/m2·day·at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모던컨트롤즈 사제, OX-TRAN 2/21를 사용하였다. 값이 작은 것이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광 조사를 하였을 경우에는, 광 조사 개시부터 24시간 후에 실시예에 기재된 온도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차광 상태에서의 측정은 23℃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병의 산소 투과율
병 내부 100% RH, 병 외부 50%의 분위기하에서 ASTM D3985에 준거하여, 광 조사 전후, 병의 산소 투과율(cc/bottle·day·0.21atm)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모던컨트롤즈 사제, OX-TRAN 2/61을 사용하였다. 값이 작은 것이 산소 배리어성이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광 조사를 하였을 경우에는, 광 조사 개시부터 24시간 후에 실시예에 기재된 온도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차광 상태에서의 측정은 23℃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로 사용한 광원은 다음과 같은 대로이다.
광원 A: 파나소닉(주)제 직관 형광등(제품 번호 FL40S·WW)
분광 분포 곡선을 도 1에 나타낸다.
광원 B: 파나소닉(주)제 고연색(高演色)성 형광등(제품번호 FL40S·L-EDL)
분광 분포 곡선을 도 2에 나타낸다.
광원 C: 파나소닉(주)제 멀티 할로겐등(제품번호 MF100·L/BU)
분광 분포 곡선을 도 3에 나타낸다.
광원 D: 파나소닉(주)제 장수명 실리카 전구(제품번호 LW100V54WL)
분광 분포 곡선을 도 4에 나타낸다.
각 분광 분포 곡선은 파나소닉(주) 제공의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아미드(A)로서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MXD6, 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제 MX나일론 S6007)를 이용하고,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으로 이루어진 3층 예비 성형품(preform)(26g)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예비 성형품을 냉각한 후, 가열하여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하여, 다층 병을 얻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고유 점도(페놀/테트라클로로 에탄=6/4(중량비)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30℃에서 측정)가 0.80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invista제 1101)를 사용하였다. 또한, 다층 병 중의 폴리아미드(A) 함유량은 6 중량% 이었다. 다층 병의 몸통부(胴部)의 평균 두께는 폴리에스테르층/폴리아미드층/폴리에스테르층=150㎛/30㎛/150㎛이었다. 얻어진 다층 병을 차광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12 cc/bottle·day·0.21atm 이었다.
얻어진 다층 병에 200 lux(광원 A)의 광을 조사하면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8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이하,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다층 병에, 3000 lux(광원 A)의 광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5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또한, 다층 병중의 폴리아미드(A) 함유량은 6중량%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다층 병에, 5000 lux(광원 B)의 광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4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또한, 다층 병중의 폴리아미드(A) 함유량은 6중량% 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얻은 다층 병에, 8000 lux(광원 C)의 광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3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또한, 다층 병중의 폴리아미드(A) 함유량은 6중량% 이었다.
실시예 5
폴리아미드(A)로서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제 MX나일론 S6007) 5 중량%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Invista제 1101) 95 중량%를 드라이블렌드(dry blend)하였다. 드라이블렌드 한 수지를 이용하여, 단층 예비 성형품(26g)을 사출 성형하여 제조하였다. 예비 성형품을 냉각한 후 가열하고, 2축 연신 블로우 성형을 실시하여 단층 병을 얻었다. 병 몸통부의 평균 두께는 300㎛이었다.
얻어진 단층 병을 차광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35 cc/bottle·day·0.21atm이었다.
얻어진 병에 2000 lux(광원 B)의 광을 조사하면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5 cc/bottle·day·0.21atm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35℃로 하였다.
실시예 6
폴리아미드(A) 2 중량%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98 중량%를 드라이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병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병의 차광 상태에서의 산소 투과율은 0.039 cc/bottle·day·0.21atm이었다. 얻어진 병에 5000 lux(광원 B)의 광을 조사하여, 테스트 온도를 1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15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7
폴리아미드(A)로서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식회사제 MX나일론 S6007)를 이용하고, 나일론 6층/폴리아미드(A) 층/나일론 6층으로 이루어진 3층 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한편, 나일론 6층을 구성하는 수지로는, 우베 흥산 주식회사제 UBE 나일론 1022B를 사용하였다. 또한, 나일론 6층/폴리아미드층/나일론 6층의 두께는, 5㎛/5㎛/5㎛이었다. 다층 필름 내의 폴리아미드(A) 함유량은 35 중량%이었다.
얻어진 다층 필름을 차광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산소 투과율은 8 cc/m2·day·atm이었다.
얻어진 필름을 한 면을 대기에 노출시킬 수 있고 또한 한편의 면을 질소 기류하에서 유지할 수 있는 치구에 설치하고, 5000 lux(광원 C)의 광을 조사하면서 산소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5 cc/m2·day·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40℃로 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7로 얻은 필름에, 7000 lux(광원 A)의 광을 조사하고, 테스트 온도를 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1 cc/m2·day·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7로 얻은 필름에, 1000 lux(광원 B)의 광을 조사하고, 테스트 온도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6 cc/m2·day·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폴리아미드(A)로서 메타크실릴렌디아민과 세바신산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100 중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단층 병(27g)을 제작하였다. 병 몸통부의 평균 두께는 330㎛이었다. 단층 병을 차광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11 cc/bottle·day·0.21atm이었다.
얻어진 병에 4000 lux(광원 A)의 광을 조사하면서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03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으로 얻어진 병에 4000 lux(광원 D)의 광을 조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산소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산소 투과율은 0.008 cc/bottle·day·0.21atm으로 감소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나타냈다. 또한, 테스트 온도는 23℃로 하였다.
[표 1]
Figure 112011059288514-pct00001
[표 2]
Figure 112011059288514-pct00002
이상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조성을 가지는 폴리아미드(A)를 포함하는 포장체에 광을 조사하면, 조사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산소 투과도가 감소하고, 내용물의 보존성이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메타크실릴렌디아민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아민 성분과 탄소수 4∼20의 α, ω-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을 70 몰% 이상 포함하는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중축합하여 얻어지는 폴리아미드(A)로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고, 또한 천이 금속 촉매를 함유하지 않는 포장체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얻어진 내용물 함유 포장체를 파장이 400∼750nm이고 조도가 1000∼10000 lux인 광의 조사하에 보존하여, 상기 포장체의 산소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보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가 폴리아미드(A)를 0.1∼100 중량%로 함유하고, 상기 포장체의 평균 두께가 10∼3000㎛이며, 파장 400∼750nm의 광을 조도 1000∼10000 lux로 24시간 조사한 후의 포장체의 산소 투과도가 조사 전의 1∼75%인 보존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의 조도가 3000∼10000 lux인 보존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이 분광 분포 곡선에 있어서 600nm 이하의 피크를 가지는 광인 보존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이 분광 분포 곡선에 있어서 405nm, 436nm, 546nm, 578nm, 589nm, 450nm, 538nm 및 583n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피크를 가지는 광인 보존 방법.
KR1020117018014A 2009-02-19 2010-02-17 보존 방법 KR101647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6818 2009-02-19
JPJP-P-2009-036818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8339A KR20110138339A (ko) 2011-12-27
KR101647864B1 true KR101647864B1 (ko) 2016-08-11

Family

ID=4263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014A KR101647864B1 (ko) 2009-02-19 2010-02-17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8844247B2 (ko)
EP (1) EP2399842B1 (ko)
JP (1) JP5865080B2 (ko)
KR (1) KR101647864B1 (ko)
CN (1) CN102325706B (ko)
AU (1) AU2010216745C1 (ko)
BR (1) BRPI1008397B1 (ko)
CA (1) CA2751958C (ko)
EA (1) EA017844B1 (ko)
EG (1) EG26714A (ko)
HK (1) HK1164816A1 (ko)
MX (1) MX2011008393A (ko)
MY (1) MY154615A (ko)
NZ (1) NZ594678A (ko)
PE (1) PE20121103A1 (ko)
SG (1) SG173485A1 (ko)
UA (1) UA104610C2 (ko)
WO (1) WO2010095629A1 (ko)
ZA (1) ZA201105687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207A (ja) * 2003-05-12 2004-11-25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多層包装体
JP2008081529A (ja) * 2006-09-26 2008-04-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バリア性共押出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この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料、包装袋および包装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7545A3 (en) 1992-11-24 2004-12-2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Oxygen scavengers independent of transition metal catalysts
SE9300558D0 (sv) * 1993-02-19 1993-02-19 Kabi Pharmacia Ab Autoclavable multilayer films
AUPO868497A0 (en) 1997-08-21 1997-09-1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New uses for oxygen scavenging compositions
US7026635B2 (en) * 1999-11-05 2006-04-11 Energy Sciences Particle beam processing apparatus and materials treatable using the apparatus
JP2003285879A (ja) * 2002-03-28 2003-10-07 Yoshino Kogyosho Co Ltd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製容器
JP2005194292A (ja) 2002-06-24 2005-07-2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多層構造体
US20050260368A1 (en) * 2004-05-18 2005-11-24 Ruid John O Packaging for insulation products
EP2532712B1 (en) * 2006-05-31 2013-11-27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amide resin composition
JP2008001383A (ja) * 2006-06-21 2008-01-10 Mitsubishi Gas Chem Co Inc 多層ボトル
JP5483256B2 (ja) * 2008-01-18 2014-05-07 東洋製罐株式会社 酸素吸収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酸素吸収性容器
US8534031B2 (en) * 2008-12-30 2013-09-17 Bausch & Lomb Incorporated Packaging solutions
DE102010003896A1 (de) * 2010-04-13 2011-10-13 Heimbach Gmbh & Co. Kg Klebstoffkonfektionierung
WO2013000907A1 (en) * 2011-06-27 2013-01-03 Basf Se System for protecting goods during trans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1207A (ja) * 2003-05-12 2004-11-25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多層包装体
JP2008081529A (ja) * 2006-09-26 2008-04-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樹脂組成物、バリア性共押出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この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料、包装袋および包装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65080B2 (ja) 2016-02-17
BRPI1008397A2 (pt) 2016-03-15
HK1164816A1 (en) 2012-09-28
BRPI1008397B1 (pt) 2019-07-16
UA104610C2 (ru) 2014-02-25
NZ594678A (en) 2013-03-28
CA2751958A1 (en) 2010-08-26
MY154615A (en) 2015-07-15
MX2011008393A (es) 2011-10-24
AU2010216745B2 (en) 2014-07-31
EP2399842A1 (en) 2011-12-28
CN102325706A (zh) 2012-01-18
ZA201105687B (en) 2012-10-31
JPWO2010095629A1 (ja) 2012-08-23
EA201170919A1 (ru) 2012-02-28
WO2010095629A1 (ja) 2010-08-26
EP2399842B1 (en) 2017-07-19
KR20110138339A (ko) 2011-12-27
CN102325706B (zh) 2014-06-25
EP2399842A4 (en) 2013-08-07
EA017844B1 (ru) 2013-03-29
SG173485A1 (en) 2011-09-29
US8844247B2 (en) 2014-09-30
CA2751958C (en) 2016-07-19
US20120017544A1 (en) 2012-01-26
AU2010216745A1 (en) 2011-09-08
PE20121103A1 (es) 2012-08-17
EG26714A (en) 2014-06-15
AU2010216745C1 (en)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4318B2 (ja) 多層ボトル
US7230067B2 (en) Masterbatch and production method of oxygen-absorbing molded article
JP5024050B2 (ja) 多層ボトル
AU2005249842B2 (en) Gas-barrier multilayer struc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5471009B2 (ja) 多層容器
JP2015517594A (ja) 誘導期間を必要としない低リン脱酸素組成物
JP4821353B2 (ja) 多層ボトル
JP5315599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物
JP6773034B2 (ja) カップ型多層容器
JPWO2007086331A1 (ja) 多層ボトルの充填方法
JP5673010B2 (ja) 多層ボトル
JP2008050403A (ja) 酸素吸収性樹脂
JP5407521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包装材料
JP200721115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物
KR101647864B1 (ko) 보존 방법
JP4830677B2 (ja) 多層ボトル
JP4561965B2 (ja) 多層容器
JP2010241910A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物
JP4826369B2 (ja) 多層ボトル
JP2008001768A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