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210B1 -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210B1
KR101645210B1 KR1020140153177A KR20140153177A KR101645210B1 KR 101645210 B1 KR101645210 B1 KR 101645210B1 KR 1020140153177 A KR1020140153177 A KR 1020140153177A KR 20140153177 A KR20140153177 A KR 20140153177A KR 101645210 B1 KR101645210 B1 KR 10164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clay
tidal flats
layer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371A (ko
Inventor
장영필
Original Assignee
장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필 filed Critical 장영필
Publication of KR20150101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벌토를 이용한 푸레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기물의 소결이 완료된 직후 가마 내에서 목재의 송진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를 이용해 기물 표면에 독특한 색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이 강조됨은 물론 연기발생을 위해 목재가 아닌 송진을 사용함에 따라 자원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유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약을 도포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유약시유 공정 및 재벌구이의 생략을 통해 전체 제조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소결시간을 단축하고 소결온도를 낮춰 전체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결에 사용되는 가열원료의 절감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소나무 등의 목재나 솔가지를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를 기물표면에 침투되도록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소나무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송진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를 기물표면에 침투시켜 침투된 연기에 의해 기물표면에 독특한 색상과 질감 등이 표현되는 푸레용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이 강조됨은 물론 연기발생을 위해 목재와 솔잎 및 솔가지가 아닌 송진을 사용함에 따라 자원절감 효과 및 경제적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URE-POTTERY AND USING FORESHORE MUD}
본 발명은 갯벌토를 이용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물의 소결 과정에서 목재로부터 나온 송진을 연소시켜 그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가 기물표면에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독특한 표면 색상표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연기발생에 필요한 자원절약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소지를 일반점토와 갯벌토를 배합하여 구현함으로써 기물의 소결온도 및 시간을 단축하여 소결에 필요한 가열연료를 절약함과 동시에 유약 시유공정의 생략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갯벌토를 이용하여 기물 표면에 문양 및 독특한 색상이 표현되도록 하되, 갯벌토에 의한 문양 및 색상이 기물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가 의도하는 문양 및 색상 등이 원하는 지점에 정확히 표현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제품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도 가능하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는 도기 또는 자기로 구분되며 점토의 종류와 성형과정, 소성과정, 유약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러한 도자기의 점토 원료로는 고령토, 백자토, 청자토, 옹기토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물질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소지를 제조한 후 특정모양으로 성형한 뒤 초벌구이와 유약 시유 및 재벌구이를 거쳐 완성된다.
도자기에 사용되는 유약은 도자기 표면에 얇게 씌워져 도자기의 광택과 색채 및 무늬 등을 표현함과 동시에 기물의 적정강도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물 표면에 도포된 상태에서 적정온도로 용융되면 기물이 단단해짐은 물론 기물의 수분흡수력을 없애 도자기의 수명이 반 영구적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유약은 반응온도에 따라 저온유와 중온유 및 고온유로 구분되며 원하는 기물의 표면 상태에 따라 투명유와 불투명유, 유 무광택유, 결정유 및 소금유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소금유약은 가열과정에서 소금의 나트륨 성분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기물 표면에 미세 요철 형태의 질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기존에 이러한 소금유약을 시유하는 과정은 일명 투척방식을 이용하였는데, 구이 과정에서 소금을 기물표면에 투척하면 소금의 나트륨 성분이 소지의 이산화규소와 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이 생성되고, 이러한 규산나트륨이 기물표면에 유리입자의 피복층 형태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렇게 소금을 기물표면에 직접 투척하는 방식은 구이 과정에서 고온의 가마 내부로 소금을 투척해야 하기 때문에 투척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소금을 기물표면 전체에 골고루 투척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투척과정에서 가마의 손상 등이 발생 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물 내측면까지 염분이 침투되기 어려워 내측면에는 유막 형성이 불가능함으로, 내측면은 외부면에 비해 수분흡수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 소금투척 방식을 통해 제작된 푸레독 등의 도자기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도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곡식같은 고형물질의 저장 용도로만 사용되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금을 물에 녹여 소금 과포화용액을 생성하고 이러한 과포화 용액을 기물에 분무하여 시유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도 과포화 용액의 시유과정을 별도로 거쳐야 하기 때문에 도자기 제조공정의 단축과 소결시간의 단축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더불어 소결에 필요한 가열원료의 절감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참고로 도자기의 소결과정에서 기물의 소지종류에 따라 소결온도가 차이나는데, 소지의 종류에 따라 소결온도가 1℃이상 차이날 때마다 소결시간은 약 수시간의 차이가 발생되고 강도 또한 많은 차이가 난다.
특히 기존에는 주로 옹기토나 백자토 또는 청자토를 사용하는데, 옹기토의 적정 소결온도는 약 1210℃이고 백자토는 1210℃, 청자토는 1250℃이므로 소지의 종류에 따라 제조시간 및 소결에 필요한 가열원료의 사용량이 엄청나게 많다.
최근에는 소지를 갯벌토만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는데, 갯벌토만으로 소지를 사용할 경우 소지원료확보가 쉽고 비용절감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갯벌토만으로 성형된 기물은 소결온도가 최대 1150℃이므로 기존 소지에 비해 소결온도가 낮기는 하지만 1150℃로 소결된 도자기는 적정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강도향상을 위해 1150℃를 초과하여 소결할 경우 구이 과정에서 기물이 무너져 내려 소결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만약 소결시간을 더욱 줄이고자 1150℃ 미만으로 소결할 경우 강도문제는 더 악화되는 문제점을 가지므로 추가적인 소결시간 단축 및 가열원료 절감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소결온도에 따른 강도저하 문제점 외에도 종래에는 기물 표면의 색상표현이 단순히 소지의 종류와 소결온도 및 시간을 통해서만 결정됨으로 완성된 제품의 종류가 한정되는 한계도 갖고 있었다.
그리고 '푸레그릇'라 함은 기물의 소성과정에서 솔가지나 소나무 등의 목재를 연소시시켜 발생된 연기 및 그을음이 기물 표면에 침투되도록 함에 따라 표면색상이 검푸르스름한 색상을 띠도록 하여 기존의 단순 진할 갈색 계통의 기존 옹기와 다른 미감을 갖는 옹기를 말한다.
그런데 기존에는 이렇게 연기를 기물 표면에 침투시키기 위한 연기발생 연료로 소나무나 솔가지만이 사용됨에 따라, 기물의 소성시간이 장시간 진행되는 점을 감안하였을 때 연기 발생 연료인 소나무 및 솔가지의 사용량이 굉장히 많을 수밖에 없어, 연료소비에 의한 경제적부담이 크고 자원낭비도 초래되는 문제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푸레그릇도 소성 과정에서 소금을 별도로 투척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이러한 소금투척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불편함 및 유막형성의 어려움이 수반되어 일반 소금투척 방식과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푸레그릇은 소금의 투척양과 소성온도 연기 및 그을음의 양 및 밀폐정도에 따라 다양한 색이 표출되는데, 이처럼 소금의 투척양과 밀폐정도에 따라 색상이 결정되므로, 기존처럼 소금을 외부에서 투척하는 방식은 투척양이 일정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투척과정에서의 밀폐정도가 변화되어 원하는 색상을 정확히 얻기 어려운 단점도 갖는다.
또한 기존 갯벌토를 소지로 이용하거나 소금을 유막형성용도로 활용하는 기술은 단순히 갯벌토가 갖는 염분을 이용해 유약문제를 해결하는 특징만을 가질 뿐, 갯벌토에 의한 특유의 색상이나 질감이 작업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소결과정에서 불규칙하게 형성되므로, 각 제품마다 동일한 문양, 색상 질감을 표현하기는 불가능하였다.
특히 종래기술 중 기물의 성형 및 초벌구이 후 갯벌토와 물을혼합하여 생성된 앙금을 기물표면에 도포시킨 뒤 재벌구이를 하여 갯벌토의 염분에 의한 색상표현이 명확해지도록 한 기술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단순히 표면에 갯벌앙금을 도포시키는 방식만으로 색상표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이므로 기물 표면에 부분적으로 정형화된 문양이나 색상을 균일하게 표현하기는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기물의 소성이 완료된 후 소나무 등의 목재나 솔가지를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를 기물표면에 침투되도록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소나무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 송진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를 기물표면에 침투시켜 침투된 연기에 의해 기물표면에 독특한 색상과 질감 등이 표현되는 푸레용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이 강조됨은 물론 연기발생을 위해 목재와 솔잎 및 솔가지가 아닌 송진을 사용함에 따라 자원절감 효과 및 경제적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갯벌토와 일반 점토를 혼합하여 소지를 생성하고 해당 소지로 기물을 성형함에 따라 갯벌토에 함유된 염분에 의해 유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약을 도포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유약시유 공정 및 재벌구이의 생략을 통해 전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염분이 함유된 갯벌토와 일반 점토가 혼합된 형태로 기물이 구현됨에 따라 유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막층이 기물의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면에도 고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어 제품의 활용 용도를 넓힐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물의 소결시간을 줄이고 소결온도를 낮추더라도 균일한 품질의 옹기 및 자기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결시간과 소결온도를 줄임으로써 전체 제조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소결에 사용되는 가열원료의 절감효과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렇게 소결온도를 낮추고 소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에 따라 가스 가마를 이용하더라도 균일한 품질의 소결제품을 얻을 수 있어 대량 생산도 가능하도록 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소결온도를 적정수준으로 확보하되 기물의 적정강도 함께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수준의 색상 및 문양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품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갯벌토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갯벌토를 이용해 기물 표면에 갯벌토에 의한 문양이나 색상 및 재질이 국부적으로 도드라지도록 함은 물론, 이때 각 기물마다 갯벌토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문양 및 색상 질감이 해당 기물 표면에 국부적으로 정확히 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제품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기물표면에 갯벌토에 의한 특유의 문양, 색상 및 질감 효과가 국부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의도하는 문양, 색상, 질감이 정확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각 기물마다 동일한 문양 형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성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동일 제품의 대량생산도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 중 갯벌토를 이용한 푸레용기의 제작방법은,
갯벌토 및 점토를 준비하는 소지원료 준비공정, 상기 갯벌토와 점토를 혼합하여 토련하는 소지생성공정, 상기 생성된 소지를 용기 형상의 기물로 성형하되, 표면에 일정깊이의 함몰홈이 간격을 두고 국부적으로 배열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기물본체 성형단계 및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문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문양형성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시키는 문양부재 형성단계를 갖는 기물성형공정, 상기 기물성형공정 후 상기 기물을 가마 내부에서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결하고 소결과정에서 갯벌토에 함유된 나트륨성분의 열반응에 의해 상기 기물표면에 유약층이 형성되는 구이공정, 상기 구이공정 후 상기 가마 내에 소나무에서 추출된 송진을 투입시킨 뒤 연소시켜 가마 내부에 연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가마의 굴뚝을 막아 가마 내부를 밀폐시켜 연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여 연기 및 그을음이 상기 기물 표면에 침투되어 기물표면에 상기 연기 및 그을음에 의한 색상변화가 표출되도록 하는 연기침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점토는 옹기토이고 이때 상기 구이공정에서 상기 기물의 소결온도는 1000℃ 내지 11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토는 백자토이고 이때 상기 구이공정에서 상기 기물의 소결온도는 1100℃ 내지 12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이공정은 상기 소지 중 상기 갯벌토에 함유된 나트륨이 열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이 생성되는 열반응단계, 상기 규산나트륨이 상기 기물 표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물표면을 둘러싸 상기 유약층이 형성되는 유약층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갯벌토를 이용한 푸레그릇은,
점토와 갯벌토가 혼합된 소지를 원료로 하고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표면에는 일정깊이의 삽입홈이 국부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 가열 소결된 도자기 본체,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진 소지를 원료로 하고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문양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문양이 형성된 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도자기 본체와 일체로 가열 소결된 문양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갯벌토와 일반 점토를 혼합한 형태의 소지를 사용함에 따라 소결과정에서 갯벌토에 함유된 나트륨성분이 반응하여 기물 표면에 피복층 형태로 형성됨으로,
별도의 유약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약을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게되어, 유약시유과정 생략에 따른 전체 제조공정 단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구나 갯벌토와 점토가 혼합된 상태로 기물이 성형됨에 따라 기물의 외부와 내부 전체에 걸쳐 유막효과를 얻을 수 있어 액체보관이나 발효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소금투척방식과 달리 소지 자체에 갯벌토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복층이 기물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상대적으로 소결온도가 낮은 갯벌토를 함유함으로써 일반점토만을 소지로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 소결온도가 낮춰짐에 따라, 구이공정의 시간단축 및 구이공정에 사용되는 가열원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반대로 갯벌토만을 사용하는 방식과는 달리 일반 점토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도자기의 적정강도 설정에 필요한 적정소결온도로 소결될 수 있어 기물의 적정강도가 확보되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기물의 구이과정 후 연기를 기물본체 표면에 침투시켜 특유의 색상과 질감을 표현되도록 하는 연기침투공정 과정에서, 기존과 달리 소나무나 솔잎 또는 솔가지를 사용하지 않고 나무에서 자연적으로 추출된 송진을 연소시켜 연기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자원절약효과를 얻음은 물론, 목재나 솔잎 등의 구매에 따른 경제적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진 문양형성부재가 기물본체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된 삽입홈에 끼워져 기물본체와 일체로 소결됨으로써 도자기 표면 중 문양형성부재가 갖는 특유의 문양과 색상, 질감 및 광택이 부분적으로 도드라지게 표현되어기존과는 차별화 되는 제품성을 갖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이렇게 기물본체 표면에 갯벌토 만으로 이루어진 문양형성부재가 인위적으로 국부적으로 삽입설치되어 해당 문양형성부재가 갖는 문양과 색상 등이 부분적으로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의 문양형성부재를 원하는 지점에 정확히 형성시킬 수 있어, 각 제품간의 균일한 제품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라 대량생산도 가능한 장점을 갖게 된다.
도1은 전체 제조공정 흐름도
도2는 소지생성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3은 기물 성형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기물 구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4는 소결된 상태에서 기물표면에 유약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5는 연기침투공정을 거쳐 제작된 제품의 사진
도6은 기물과 문양형성부재 간 분해사진
도7은 도6의 결합상태 사진
도8은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물이 갯벌토와 점토의 혼합구조로 이루어진 기물본체 표면에 갯벌토층과 혼합소지층이 중첩형성된 형태의 단면도
도9는 도8에서 문양홈의 형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중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소지원료 준비공정(S100)과 소지생성공정(S200), 기물성형공정(S300), 구이공정(S400) 및 연기침투공정(S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소지원료 준비공정(S100)은 소지로 사용될 원료, 일반적인 점토(2)와 갯벌토(1)를 준비하는 과정으로, 그 중 점토(2)는 일반적인 도자기 소지에 사용되는 옹기토나 백자토, 고령토 등이 사용되며 [도 2]와 같이 두개의 가압롤러(3) 사이를 통과시켜 적정크기의 입자로 분쇄한 뒤 반 건조 상태로 준비된다.
이때 갯벌토(1)는 본 발명에서 유약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갯벌에서 채취된 것이 사용되며 슬러지 상태에서 이물질을 걸러낸 뒤 역시 반건조 상태로 건조한 후 점토와 동일한 방식의 분쇄과정을 통해 적정입자 형태로 준비된다.
이러한 갯벌토는 별도의 세척을 더 거칠 수도 있는데 이 과정에서 갯벌토에 함유된 염분, 즉 나트륨 성분이 지나치게 유실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추후 유약층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소지원료 준비공정(S100)이 완료되면 소지생성공정(S200)을 실시한다.
소지생성공정(S200)은 준비된 갯벌토(1)와 점토(2)를 적정비율로 혼합시킴과 동시에 토련하여 소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이때 갯벌토(1)와 점토(2) 간 혼합비율은 갯벌토 70중량비 : 점토 30 중량비나 60 : 40 또는 50 : 50의 비율이 되도록 한다.
만약 갯벌토(1)가 70중량비를 초과하고 점토의 중량비가 30미만일 경우 추후 성형될 기물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반대로 갯벌토가 70중량비 미만이고 점토가 30중량비를 초과할 경우에는 추후 진행되는 유약층 형성단계에서 유약층의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며 소결시간 및 온도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갯벌토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소결 과정에서 부풀림 현상이 발생될 우려도 있다.
즉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 갯벌토와 일반 점토 간 배합비율이 위와 같을 때 적정강도 확보할 수 있고 기물의 변형율이 최소화 되며 소결시간과 온도를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토련과정은 혼합된 원료에 적정수분을 공급하면서 짓이겨 적정 수준의 점도를 갖도록 반죽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갯벌토와 일반점토가 혼합된 소지에 포함된 기포 등이 제거됨으로써 이후 진행될 기물의 성형 및 구이 과정에서의 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소지생성공정(S200)이 완료되면 갯벌토(1)와 일반 점토(2)가 일체로 혼합반죽된 형태의 소지가 생성되고, 그 후 기물성형공정(S300)을 실시한다.
기물성형공정(S300)은 소지를 가공하여 원하는 용기 형상 등의 기물(100)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다시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와 삽입홈 형성단계(S330) 및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S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는 소지를 용기나 접시 등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 적용되는데,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면,
회전하는 물레를 통해 소지를 회전시키면서 손으로 소지를 빚어 원하는 형상으로 만드는 물레성형방식이 있다.
그리고 이 외에도 소지에 물을 주입하여 형성된 이장을 석고틀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주입성형 방식도 있다.
또한 별도의 압출장치를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연속 성형하는 압출성형 방식이 있다.
더불어 소지를 틀 안에 넣은 뒤 별도의 압착기로 압착시켜 성형하는 압착성형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는 이러한 기존의 성형방식 중 다양하게 선택적용이 가능하며,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를 거친 소지는 [도 3]처럼 용기나 접시 등의 형상을 갖는 기물본체(110)로 성형된다.
이러한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와 함께 기물성형공정(S300)을 구성하는 삽입홈 형성단계(S330)와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S350)는 기물본체(110) 표면에 독특한 문양 및 색상이 국부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그 중 삽입홈 형성단계(S330)는 [도 3]과 같이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 과정에서 기물(100)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에 특정모양을 갖는 삽입홈(1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삽입홈(120)은 이후 실시되는 구이 과정에서 기물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수준의 깊이로 형성되며 기물(100) 표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된다.
참고로 삽입홈(120)은 도면과 같이 기물 표면상에 여러 개가 형성되거나 특정 부위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 후 실시되는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S350)는 별도의 도자기의 문양 및 색감이 부분적으로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문양형성부재(130)를 기물(100)에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이때 사용되는 문양형성부재(130)는 갯벌토만으로 토련된 소지가 사용되며 기물(100)의 삽입홈(120)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형태이고 기물(100)의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삽입홈(120)을 매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렇게 삽입홈(120)에 삽입된 문양형성부재(130)는 외부면이 기물표면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노출되며 노출면에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형성시킨 문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20)을 매꾸는 형태로 삽입됨에 따라 삽입홈(120)과 동일한 특정모양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삽입홈(120)이 꽃잎모양이라면 문양형성부재(130)도 꽃잎모양을 갖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문양형성부재(130)는 갯벌토 만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변형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기물본체(110)의 점토로 옹기토가 사용될 경우 문양형성부재(130)를 갯벌토(1)와 백자토 또는 청자토를 혼합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문양형성부재는 기물본체의 색상과 질감이 달리 형성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참고로 삽입홈 형성단계(S330)은 반드시 기물본체 성형단계(S310) 이후에 실시될 필요는 없고 기물본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함께 진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기물성형공정(S300)이 완료되면 구이공정(S400)을 진행한다.
구이공정(S400)은 성형된 기물(100)을 적정온도로 가열하여 소결시키는 과정으로, 일반적인 초벌구이나 재벌구이 방식처럼 기물(100)을 별도의 가마 내부에 넣은 뒤 가마내부를 가열하여 기물이 소결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구이공정(S400)은 기물의 소결과정에서 열반응단계(S410) 및 유약층 형성단계(S430)로 나뉘어지는데,
그 중 열반응단계(S410)는 기물(100)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기물(100)의 소지 원료 중 갯벌토(1)에 함유된 나트륨이 열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이 생성되는 과정이다.
그리고 유약층 형성단계(S430)는 이렇게 생성된 규산나트륨이 기물(100) 표면상으로 이동한 뒤 표출되멩 따라 [도 4]처럼 기물표면에 얇은 코팅층 형태로 형성되는 과정이다.
이렇게 기물 표면을 덮고 있는 규산나트륨층이 결국 기존 소금유약 기능을 하는 유약층(140)이 되는데,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갯벌토(1)가 소지 자체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약층(140)이 기물의 특정지점에만 형성되지 않고 기물(100)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나트륨 성분의 유약층이 형성됨에 따라 기물표면 전체에는 소금유약층 특유의 질감 및 색상이 표현된다.
뿐만 아니라 갯벌토는 자체적으로 철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소결과정에서 기물표면은 거무튀튀한 색상이 표현된다.
이때 기물의 소결온도는 약 1000℃ 내지 1200℃ 가 되도록 하는데, 즉 기존 점토만을 소지로 사용하였을 경우 소결온도인 1200℃ 내지 1300℃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소결온도가 낮은 갯벌토가 일반 점토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점토만을 소지로 사용한 것에 비해 기물의 소결온도가 낮춰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소결온도가 낮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기물의 가열시간도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국 구이공정이 전체적으로 단축됨은 물론 가마 가열원료(장작 등의 재료)의 사용량도 줄어드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반면 갯벌토와 일반 점토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소결온도 및 시간이 줄어들더라도 일반 점토를 통해 적정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물의 구이과정에서 유약시유 효과가 발생 되어 별도의 유약 시유과정이 생략되고 갯벌토와 일반점토를 혼합함으로써 소결온도 및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결국 전체 도자기 제작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기물의 소결과정에서 문양형성부재(130) 또한 함께 소결 되는데, 만약 문양형성부재(130)를 갯벌토만으로 형성시켰을 경우, 소결된 문양형성부재는 갯벌토와 점토가 혼합된 기물본체(110)에 비해 좀더 진한 색상 및 거친 질감이 표현된다.
반대로 기물을 일반 점토만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문양형성부재를 갯벌토와 점토의 혼합소기를 사용할 경우 기물 표면 중 혼합소지가 형성된 부분이 타 부분에 비해 유막층에 의한 광택도가 높고 다른 질감이 표현된다.
이로 인해 기물 전체적으로 봤을 때 기물본체 표면에 문양형성부재에 의한 문양이 도드라지게 표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기물본체와 별도로 제작된 문양형성부재를 기물본체에 결합시킨 형태로 소결함에 따라, 작업자가 문양형성부재 표면에 인위적으로 문양을 형성시켰을 때 소결 후 해당 문양이 정확히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작업자가 원하는 문양이나 문양형성부재가 갖는 특유의 색상 질감이 기물본체와는 구분되도록 정확히 표출될 수 있으므로 각 제품 간의 제품성이 균일하게 확보될 수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동일한 제품의 대량생산도 가능해질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기물본체의 소결온도 및 기물본체의 표면 색상은 소지의 일반 점토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데, 점토를 옹기토로 사용할 경우 소결온도는 약 1000℃ 내지 1150℃ 로 설정한다.
만약 이 경우 소결온도가 1000℃ 수준일 경우 갯벌토의 소결온도로는 적합하기는 하지만 옹기토의 소결온도에는 못미치는 온도이기 때문에 기물의 강도저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소결온도가 1150℃ 를 넘을 경우에는 옹기토에 의한 검은 색상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점토를 백자토로 사용할 경우 소결온도는 약 1150℃ 내지 1200℃ 로 설정한다. 참고로 백자토는 옹기토에 비해 소결온도가 높기 때문에 1150℃ 미만일 경우 강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백자토는 철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결온도가 1200℃ 를 초과하면 검은 색상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백자 특유의 미감이 저하된다.
이상 설명한 구이공정(S400)이 완료된 후 기물을 외부로 빼내 일정시간 식히면 [도 4]처럼 기물본체(110) 표면에 유약층(140)이 형성되어 있고 소금 성분의 유약층에 의한 특유의 질감 및 거무튀튀한 색상을 갖는 도자기가 완성된다.
더불어 기물본체(110) 표면에는 기물본체(110)와 다른 색상 및 질감을 갖는 문양형성부재(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자체적으로 문양형성부재에 의한 장식효과까지 갖는 구조의 도자기가 완성된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문양형성부재(130)가 기물본체(110)에 형성되는 경우로만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소지에 함유된 갯벌토만으로도 특유의 질감 및 색상을 얻을 수 있다면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S350) 및 삽입홈 형성단계(S330)는 생략될 수 있다.
더불어 구이공정(S400)이 완료된 후 연기침투공정(S500)을 더 실시할 수 있는데,
연기침투공정(S500)은 구이공정 후 별도의 연료를 연소시키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기물 표면에 침투되도록 하여 '푸레용기'라 하여 기물 표면색상이 검푸르게 표현된 제품이 제조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기물의 소결이 완료된 후 기물을 가마 외부로 빼내지 않고 별도 나무에서 추출된 송진액을 가마 내에 넣어 연소시킨다.
이때 송진액은 주로 소나무나 참나무 등 연소율이 좋고 향이 우수한 나무에서 추출된 것을 사용하는데, 해당 목재는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송진액을 연소시키면 가마 내에는 연기가 발생 되고 이때 가마의 굴뚝 및 입구를 막아 가마 내부의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가마 내부에 가득찬 연기(그을음)가 기물의 표면에 침투되고 이로 인해 기물표면은 푸르스름한 색이 가미되는데, 이때 기물의 색상은 이미 갯벌토에 의해 거무튀튀한 색상을 띄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결국 기물은 [도 5]와 같이 전체적으로 검푸른색을 띠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연기 및 그을음에 의해 기물 표면에 검푸른색이 표현되되,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표현되지 않고 특정 패턴 없이 불규칙적인 패턴을 이루며 표현된다.
참고로 굴뚝을 막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연기의 침투효율을 높이기 위함과 동시에 그을음이 기물표면에 묻은 상태에서 산소와 접촉될 경우 자연적으로 벗겨지기 때문에 산소와 그을음 간 접촉을 최소화 시켜 벗겨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기물 표면 침투를 위한 연기 발생을 위해 목재나 솔가지를 직접 연소시키지 않고 나무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된 송진액을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목재의 연소와 거의 동일한 연기량 및 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재 사용을 하지 않음에 따라 자원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연료 구매에 따른 경제적 손실 또한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연기 및 그을음에 의한 표면 침투과정은 문양형성부재 표면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연기의 침투공정이 완료되면 가마의 밀폐상태를 약 3일정도 유지하여 가마내에서 기물의 자연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러한 연기침투공정(S500)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도 기물의 소지에 갯벌토가 함유되기 때문에, 갯벌토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점토만으로 기물을 만들 경우에 비해 소결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연기침투공정도 간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이렇게 소결온도를 낮춤과 동시에 소결시간도 단축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 황토가마 외에도 가스가마를 이용해 소결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어 대량생산에도 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갯벌토와 일반 점토를 혼합한 형태의 소지를 이용해 기물을 만들어 소결시간 단축 및 유약 시유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소결 직후 목재의 송진액을 연소시켜 기물표면에 연기가 침투되도록 하여 기존과 다른 표면 색상 등이 표현될 수 있음과 동시에 송진액 사용에 따른 자원 절약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아래 표1은 갯벌토와 점토를 5 : 5 비율로 혼합한 소지의 성분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PR07(조합)참조) 기물성형에 있어서 필요성분들이 충분히 함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106791418-pat00001
그리고 아래의 표2는 혼합소지를 이용해 가스가마에서 소성하였을 때 기물의 탄소침착율을 나타낸 것이고 표3은 장작가마에서 소성하였을 때 탄소침착율을 나타낸 표이다.
탄소침착율이 적정수준이 되어야지만 기물의 강도나 색상 확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데,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가스가마나 장장가마 모두 탄소침착율이 적정수준 까지 도달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소결온도 및 시간을 단축시키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14106791418-pat00002
Figure 112014106791418-pat00003
[도 8] 및 [도 9]는 문양의 형성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기물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물본체는 기본적으로 갯벌토와 일반점토의 혼합소지를 이용해 성형되고, 기물본체의 표면에는 순수하게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진 갯벌토 소지를 도포시켜 갯벌토층을 적층 형성시킨다.
그 후 갯벌토층의 표면 상에 다시 갯벌토 및 일반점토 간의 혼합소지를 도포시켜 혼합소지층을 형성시킴에 따라, 기물은 단면상으로 혼합소지로 이루어진 기물본체층과 갯벌토층 및 혼합소지층이 번갈아가며 중첩 형성된 구조이다.
기물을 이와 같은 구조로 제작하는 이유는, 갯벌토에 의한 유약효과는 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유지하되, 기물표면에 음각 형태의 홈문양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하나의 홈문양 내에 구간별로 다른 색상이 표현되도록 함에 있다.
즉, 이러한 기물 상태에서 혼합소지층 상에 음각 형태의 홈문양을 형성시킬 경우, 하나의 홈문양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지점별로 깊이를 달리 형성시키게 되면, [도 9]과 같이 깊이가 낮아 혼합소지층을 관통하지 않은 지점에서는 홈문양 내에 혼합소지층의 색상이 노출되고 조금더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혼합소지층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 지점에서는 내부의 갯벌토층이 노출되어 갯벌토층에 의한 특유의 거무튀튀한 색상이 노출된다.
또한 이보다 더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갯벌토층을 관통한 지점에서는 기물본체층이 노출되어 다시 혼합소지층이 갖는 색상이 노출된다.
즉 하나의 홈문양에 지점별로 형성 깊이를 달리 함에 따라 혼합소지층과 갯벌토층 및 기물본체층에 의한 3가지 색상이 표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굉장히 다양한 형태의 제품 생산이 가능한 장점도 갖는다.
이 외에 제작 과정에서 갯벌토와 점토 간 혼합 상태의 소지를 만들고 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소지 내에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열전도성 와이어를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열전도성 와이어는 만약 기물을 차 주전자 등 보온 기능이 필요한 용도로 제작할 경우, 보온 기능 및 신속한 발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소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열전도성 와이어를 소지 내에 매설시키되, 간격을 두고 배치시키거나 기물 전체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열전도성 와이어는 복수개의 원형 구조가 동심원을 이루며 형성되고 이러한 구조체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거나, 지그재금 형태로 배성되어 소지 전체 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열전도성 와이어는 금속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되, 특정재질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열전도성 와이어가 소지 내에 매설 형성된 상태로 성형이 완료되면 최종 생산된 제품의 바닥이나 측벽 내부에 열전도성 와이어가 매설된 구조를 갖게 되고 열전도성 와이어는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해당 제품 표면에 가열이 이루어질 경우 제품 자체적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기는 하지만 내부에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월등히 높은 열전도성 와이어가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 과정에서 열전도성 와이어가 상대적으로 쉽게 발열됨으로써 타 지점으로의 열전도율이 더욱 향상된다.
만약 열전도성 와이어가 제품 전체 구간에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을 경우 높은 제품 전체 구간에 걸쳐 열전도율이 더욱 향상될 수밖에 없다.
물론 열전도성 와이어가 국부적으로 배열되어 있더라도 최초 발열이 이루어진 열전도성 와이어를 통해 주변의 열전도성 와이가 쉽게 열전도되어 가열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품 전체적으로 신속한 가열효율을 얻게 되고, 일반 알루미늄이나 금속 용기가 아닌 갯벌토와 점토를 혼합한 형태의 기물을 이용한 푸레그릇에서 이렇게 가열효율을 높이도록 함으로써 예술성은 물론 기능성을 함께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열전도성 와이어는 가열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가열 상태에서의 열 함축율 또한 높기 때문에, 가열 후 가열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해당 제품은 보온성이 필요한 찻잔이나 차 주전자 등으로 활용할 경우 높은 보온성에 의한 충분한 기능발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는 갯벌토와 점토의 혼합 구조를 갖는 도자기 형태의 제품에 열전도성 와이어를 구비시킴으로써 푸레그릇 특유의 표면 질감 및 색감과 더불어 내부에서의 보온, 가열 기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열전도성 와이어의 배치 구조와 위치 등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열전도성 와이어의 재질 등도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갯벌토와 일반 점토를 혼합하여 소지를 제조함으로써 유약을 시유 하지 않더라도 유약을 시유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소결 직후 목재의 송진액을 연소시켜 발생된 연기가 기물 표면에 침투하여 독특한 색상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S100 : 소지원료 준비공정 S200 : 소지생성공정
S300 : 기물성형공정 S310 : 기물본체 성형단계
S330 : 삽입홈 형성단계 S350 :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
S400 : 구이공정 S410 : 열반응단계
S430 : 유약층 형성단계 S500 : 연기침투공정
100 : 기물 110 : 기물본체
120 : 삽입홈 130 : 문양형성부재
140 : 유약층 1 : 갯벌토
2 : 점토 3 : 가압롤러

Claims (7)

  1. 갯벌토 및 점토를 준비하는 소지원료 준비공정,
    상기 갯벌토와 점토를 혼합 및 토련하여 혼합소지를 생성하는 제1소지생성공정,
    갯벌토를 토련하여 갯벌토소지를 생성하는 제2소지생성공정,
    상기 혼합소지를 이용하여 용기 형상의 기물본체를 성형하는 기물본체 성형단계, 상기 기물본체 표면에 상기 갯벌토소지를 적층시켜 갯벌토층을 형성시키는 갯벌토층 형성단계, 상기 갯벌토층 표면에 상기 혼합소지를 적층시켜 혼합소지층을 형성시키는 혼합소지층형성단계, 상기 혼합소지층 표면에 일정 깊이의 삽입홈이 간격을 두고 국부적으로 배열 형성되도록 성형하는 삽입홈 형성단계,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문양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문양형성부재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시키는 문양형성부재 결합단계, 상기 혼합소지층 표면 중 상기 문양형성부재가 위치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에 레일홈 형태의 홈문양을 형성시키되 홈문양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간별로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형성구간 내에 상기 혼합소지층과 갯벌토층 및 기물본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하나의 홈문양 내에 구간별로 상기 혼합소지층과 갯벌토층 및 기물본체의 선택 노출에 의한 다른 색상이 노출되도록 하는 문양홈 형성단계를 갖는 기물 성형공정,
    상기 기물성형공정 후 상기 기물을 가마 내부에서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결하고 소결과정에서 갯벌토에 함유된 나트륨성분의 열반응에 의해 상기 기물표면에 유약층이 형성되는 구이공정,
    상기 구이공정 후 상기 가마 내에 소나무에서 추출된 송진액을 투입시킨 뒤 연소시켜 가마 내부에 연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가마의 굴뚝을 막아 가마 내부를 밀폐시켜 연기의 외부유출을 차단하여 연기 및 그을음이 상기 기물 표면에 침투되어 기물표면에 상기 연기 및 그을음에 의한 색상변화가 표출되도록 하는 연기침투공정
    을 포함하는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제작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점토는 옹기토이고,
    상기 구이공정에서 상기 기물의 소결온도는 1000℃ 내지 1150℃인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제작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점토는 백자토이고,
    상기 구이공정에서 상기 기물의 소결온도는 1100℃ 내지 1200℃인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제작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구이공정은,
    상기 갯벌토에 함유된 나트륨이 열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이 생성되는 열반응단계,
    상기 규산나트륨이 상기 기물 표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기물표면을 둘러싸 상기 유약층이 형성되는 유약층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제작방법.
  5. 점토와 갯벌토가 혼합된 소지를 원료로 하고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표면에는 일정깊이의 삽입홈이 국부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형태로 가열 소결된 도자기 본체,
    갯벌토만으로 이루어진 소지를 원료로 하고 상기 삽입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문양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문양이 형성된 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도자기 본체와 일체로 가열 소결된 문양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점토와 갯벌토가 혼합된 소지 내부층에 열전도성 와이어가 형성되고,
    상기 점토와 갯벌토가 혼합된 소지 중 열전도성 와이어가 형성된 지점에 가열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열전도성 와이어가 가열됨과 동시에 타 지점을 향해 열전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6. 삭제
  7. 제5항에서,
    상기 열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점토와 갯벌토가 혼합된 소지 내부에 국부적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갯벌토가 첨가된 푸레그릇.
KR1020140153177A 2014-02-26 2014-11-05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 KR101645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2621 2014-02-26
KR1020140022621 2014-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71A KR20150101371A (ko) 2015-09-03
KR101645210B1 true KR101645210B1 (ko) 2016-08-03

Family

ID=5424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177A KR101645210B1 (ko) 2014-02-26 2014-11-05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9516A (ko) 2022-09-19 2024-03-26 이루리 청자 기와 제조용 소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청자 기와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781B1 (ko) * 1995-05-03 1998-08-17 이육택 용기의 자연무늬 형성방법
KR100906609B1 (ko) * 2007-10-17 2009-07-08 엄경자 개흙을 이용한 타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9683B1 (ko) * 2009-06-30 2012-04-12 이세우 갯벌 흙을 이용한 도자기용 소지 및 유약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영필, 단국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2.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71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916C (zh) 一种陶器烧成的窑变产品及其生产方法
CN101343171B (zh) 黑陶的制备方法
CN102924061B (zh) 坭兴陶的烧制工艺
CN105330342A (zh) 一种具有立体装饰效果的一次烧超平喷墨渗花瓷质砖及其制造方法
CN103288422B (zh) 一种紫泥陶茶具的制备方法
CN102718464A (zh) 一种黑陶工艺的制备方法
KR101801172B1 (ko) 흑점을 형성하는 청자용 유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4860651A (zh) 生态养生坭兴陶泥料及用其制作生态养生水杯的工艺
CN104844153A (zh) 抗热震性良好的耐热养生坭兴陶泥料及用其制成耐热养生壶的方法
CN108546102B (zh) 一种用于柴烧陶的钴蓝和闪光质地坯料、其制备方法及其制备的陶瓷及陶瓷制备方法
CN104788079A (zh) 注浆成型高白度陶器制备方法
KR101645210B1 (ko) 갯벌토를 첨가한 푸레그릇 및 그 제조방법
CN105565848A (zh) 活性炭紫砂陶及其制备方法
CN111348890A (zh) 一种1230摄氏度高温黑陶制品的制备工艺
CN102992735A (zh) 一种夹炭黑陶的制备方法
CN104556974A (zh) 坭兴陶壁挂的烧制工艺
CN107935542A (zh) 一种紫砂岩泥养生储水罐及其制备方法
FI127951B (en) A method for preparing a naturally-cooled pottery vessel
JP2927415B1 (ja) 珪藻土焼成製品とその製造方法
KR20060104458A (ko) 도자기 표면장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도자기
CN106747297A (zh) 紫砂烧水壶及其制备方法
CN104840074A (zh) 一种日月壶
CN102001865A (zh) 一种仿古蜡石网纹陶瓷的制造方法
CN106957169A (zh) 一种铁炻器的制作工艺
CN106863573B (zh) 一种仿天然石材陶瓷砖砖坯及其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