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100B1 -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100B1
KR101645100B1 KR1020140172201A KR20140172201A KR101645100B1 KR 101645100 B1 KR101645100 B1 KR 101645100B1 KR 1020140172201 A KR1020140172201 A KR 1020140172201A KR 20140172201 A KR20140172201 A KR 20140172201A KR 101645100 B1 KR101645100 B1 KR 101645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solar cell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867A (ko
Inventor
한재혁
조재환
박지용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100B1/ko
Priority to MYPI2015703334A priority patent/MY171763A/en
Priority to ES201531366A priority patent/ES2573028B1/es
Priority to JP2015188768A priority patent/JP6280901B2/ja
Priority to CN201510671811.9A priority patent/CN105669886B/zh
Publication of KR20160066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하, EVA) 수지 및 그 제조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sheet의 가공시 Neck in이 크지 않으면서 태양광 모듈의 라미네이션 과정에서 시트의 열 수축을 감소할 수 있는 태양전지 봉지재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병에 따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수지 내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25~33중량%이며 Mz가 220,000g/mol 이하이고, 분자량 분포가 3.5~4.5이며, 190℃, 2.16kg의 하중으로 측정한 용융지수가 6~35g/10분 이고, 100℃에서 Rheometer로 측정되는 Tan δ값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Description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solar cell encapsulan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polymer}
본 발명은 태양전지 봉지재용 시트에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수지에 대한 것으로 수지의 Sheet 가공시 Neck in 특성이 낮고 모듈 제조 공정의 열접착 시 수축율이 적은 EVA 수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통상 셀을 보호하기 위해 양면에 EVA 시트가 사용되며, 추가적으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쪽에 투명 유리기판과 그 반대편에는 기체 차단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시트로 라미네이팅 되어있다. 라미네이팅 방법은 상기 투명유리 기판, EVA 시트, 태양전지 셀, EVA 시트, 기체 차단성 시트를 차례대로 적층한 후 특정의 온도, 압력하에 가열, 가교하여 접착시킨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 시트는 T 다이에 의한 압출 가공 혹은 칼렌더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모듈 제조 공정에서 라미네이션 시 수축에 의해 배열된 태양전지 셀의 위치가 어긋나 연결 전선 리본이 접촉 불량 또는, 응력이 작용하여 셀을 파손시켜 모듈의 불량률이 올라가는 문제가 있으므로, EVA 수지의 열 수축률이 작은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가교 후 높은 투명성과 접착성, 내후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수지 내에 피쉬아이나 이물질의 존재밀도가 극히 낮은 고순도 EVA 수지를 사용하며, 이 수지에 가교제, 가교조제, 실란 커플링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등 각종 첨가제를 혼합한 후 EVA 수지의 용융온도 이상이면서 가교제인 유기과산화물 분해온도 이하에서 용융 혼련하여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EVA 수지는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관형반응기를 활용하여 제조된 수지로 비닐아세테이트 함유량은 25~33중량%인데, 비닐아세테이트 함유량이 높을수록 투명성이 증가하나, 전기 절연성이 나쁘며, 끈적하여 취급하기가 곤란하고, 용융시 수지 점성이 낮아 모듈 제조시 유리기판과 백시트(back sheet)와의 사이로부터 수지가 유출되기 쉬운 문제가 발생되어, 시트 제조시 이의 단점을 보완하는 각종 첨가제를 혼합해야 하거나 시트간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반면에 비닐아세테이트 함유량이 적은 것은 시트의 블로킹, 수증기 투과율이 적고, 전기 절연성은 우수하나 투명성, 접착성이 나빠, 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트 제조시 각종 첨가제를 상대적으로 과량 처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통상의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수지의 경우 분자량 분포가 넓고 Z평균분자량(Mz)이 커서 열 수축율이 크고 투명성이 요구수준 보다 낮으며, 수지내에 피쉬아이나 이물질의 존재밀도가 높아서 고품질의 수지를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관형 반응기의 경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대비 분자량 분포가 좁은 특성을 제공하나 기존의 제품은 분자량 분포만 좁은 반면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요구되는 낮은 열 수축 특성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과도하게 좁은 분자량 분포는(한국공개특허 10-2014-0027149) Sheet 가공시 Neck in이 심하여 이를 완화시키며 생산하기 위해 압출 속도를 낮추어야만 하여 가공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일본국 특허공개 제 평10-255380)를 가지고 있다. 또한 열수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레핀계 Sheet를 사용하는 방법(한국특허 2012-0055377), VA 함량이 다른 EVA 수지의 혼합 사용(한국특허 20100138560A)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투명성 및 접착력이 낮은 또 다른 문제를 나타내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형반응기를 이용한 EVA 공중합체 수지를 생산함에 있어서 낮은 shear rate 영역에서 일정 범위의 Tan δ의 유변 특성을 지니는 수지를 제조하여 기존 수지 대비 열 수축율이 낮고 Neck in 특성이 개선된 태양전지 봉지재용 시트에 사용되는 EVA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25~33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써,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00℃에서 Rheometer로 측정되는 Tan δ 값이 frequency(rad/s)영역 1 이하에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기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EVA 수지를 사용하면 Sheet 제조시 Neck in 특성이 양호하고 태양전지 모듈 제조시 열 수축율이 낮은 태양전지 봉지재용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Tan 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의 Tan 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1의 Tan 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Tan 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비교예 3의 Tan 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G’, G”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G’, G”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비교예 1의 G’, G”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 2의 G’, G”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3의 G’, G”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sheet 수축율 측정 시편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25~33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써,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00℃에서 Rheometer로 측정되는 Tan δ 값이 frequency(rad/s)영역 1 이하에서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인 분자량 분포만을 조절하는 방법으로는 sheet 가공영역에서의 Neck in 특성을 포함한 가공 특성 및 라미네이션 공정에서의 열 수축 및 모듈 외부로의 흘러내림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압출기 다이 이후 Sheet 형성 구간 및 라미네이션 공정 구간의 낮은 Shear rate 영역에서의 점탄성 특성을 제어하여 수지의 점탄성 비 즉 Loss Modulus(G”)와 Storage Modulus(G’) 비인 Tan δ(G”/G’)가 특정 구간에서 유지될 때 Neck in 특성과 열수축 특성이 개선됨을 알아내었다.
Tan δ는 수지에 가해지는 응력을 해소하는 능력의 척도로서 압출 가공시 수지에 잔류하는 잔류 응력의 영향도를 나타내준다.
Tan δ 값이 낮은 경우 수지의 탄성특성이 증가하여 Neck in 특성이 감소하나 잔류 응력은 증가하여 후 가공에서 열수축이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Tan δ 값이 높은 경우 Neck in 특성은 증가하나 수지의 잔류 응력이 낮아 후가공 시 열수축이 낮아지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Neck in 특성과 라미네이션 공정에서의 열수축특성에 관여하는 Shear rate는 낮은 영역으로서 Tan δ 값에 대한 비교 및 제어는 낮은 shear rate 영역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Neck in 특성과 열수축 특성은 기본적으로 수지의 용융지수(MI)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다른 MI 영역의 수지를 비교함에 있어 단순히 분자량 분포만으로 이를 개선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Neck in과 열수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Rheology 특성을 융융지수와 shear rate의 함수로 나타내고 이를 한정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Neck in(=Necking)은 수지의 압출 가공 시 Die를 나온 용융 수지가 회전 냉각롤 의해 연신될 때 Die 폭에 비해 sheet 또는 필름의 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의 라미네이션(Lamination)은 가교제가 함유된 EVA sheet, 태양전지 셀, EVA sheet를 유리기판위에 적층하고 온도를 용융점 및 가교제 분해온도 이상으로 올리며 가압하여 EVA 수지의 용융과 가교가 순차적으면서 연속적으로 일어나게하는 과정으로 EVA 수지가 용융 상태에서는 일정정도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Rheometer는 물질의 탄성률, 점성률, 응력 완화, 크리프, 동적 점탄성 등의 측정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공중합체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VA) 모노머 함량이 25~33중량% 이다.
VA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투명성 및 접착성이 나빠지므로 가공성이 저하되고 얻어진 필름이 딱딱하여 탈기성이 저하되며 모듈 제작시 cell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VA 함량이 33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 절연성이 나쁘며, 끈적하여 취급하기가 곤란하고, 용융시 수지 점성이 낮아 라미네이팅 시 수지가 유출되기 쉬운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는 lamination 공정의 저 shear 영역인 frequency 1 이하의 구간에서 Tan δ 값이 상기 상한치 이상에서는 열 수축은 적으나 Neck in이 증가하여 sheet 가공시 생산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하한치 이하에서는 Neck in은 적으나 라미네이션 공정에서 열수축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는 Z 평균분자량(Mz)이 220,000g/mol 이하이다.
EVA 공중합체 수지의 Z 평균분자량(Mz)이 220,000g/mol을 초과할 경우에는, 투명성이 나쁘고 gel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는 분자량 분포(Mw/Mn)가 3.5~4.5 이다.
분자량 분포가 3.5 미만이면 Neck in이 증가하고 가공성이 저하되며, 4.5를 초과하면 열 수축률이 크고, 투명성이 나쁘고 gel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190℃ 2.16kg에서 6~35g/10분 이다.
용융지수가 6g/10분 미만이면 가공성이 나쁘고, 35g/10분을 초과하면 라미네이팅시 용융된 수지가 유리기판과 back sheet 사이로 흘러나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은, 에틸렌 모노머 67~75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25~33중량%를 관형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를 50~3,000ppm 농도로 첨가하는 단계; 및 중합온도 200~300℃, 중합압력 2500~3000kg/cm2 및 중합시간 2~20분 동안 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개 이상의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퍼옥사이드 개시제 혼합물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퍼옥사이드 개시제에 대한 다른 퍼옥사이드 개시제의 중량비가 1:0~8.0으로 혼합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이다.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상기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혼합물은 (A) 디알킬퍼옥시 디카보네이트계 화합물, (B) 알킬퍼옥시 피발레이트계 화합물, (C) 알킬퍼옥시 알킬헥사노에이트계 화합물 및 (D) 디알킬 퍼옥사이드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A) : (B) : (C) : (D) = e : f : g : h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로써, 상기 e, f, g, h는 0~8.0 범위이고, 적어도 어느 하나는 0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으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들간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는 디알킬퍼옥시 디카보네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Di-butyl peorxy-dicarbonate등을 들 수 있고, 알킬퍼옥시 피발레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t-Amyl peroxypivalate, t-Butyl peroxypivalate 등을 들 수 있고, 알킬퍼옥시 알킬헥사노에이트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t-Amyl peroxy-2-ethylhexanoate, t-Butyl peroxy-2-ethylhexanoate, Ter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등을 들 수 있으며, 디알킬 퍼옥사이드계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D-t-butyl peroxide, Di-t-Amyl peroxi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퍼옥사이드계 개시제의 첨가농도는 50~3,000ppm 이다.
첨가농도가 50ppm 미만인 경우에는 중합시 반응온도가 낮아 EVA 공중합체 수지로의 전환율이 낮고 분자량 control이 쉽지 않으며, 3,000pp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시 반응온도가 높아 수지가 분해될 우려가 있으며, 비닐아세테이트가 분해되어 반응기를 부식시키는 초산이 발생하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합온도는 200~300℃ 이다.
중합온도가 200℃ 미만이면 EVA 공중합체 수지로의 전환율이 낮고 원하는 분자량, 분자량 분포를 얻지 못하며, 300℃를 초과하면 분해반응이 일어나 반응기가 부식되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합압력은 2500~3000kg/cm2 이다.
중합압력이 2500kg/cm2 미만이면 반응이 불충분하거나 작업 안정성이 떨어지고, 3000kg/cm2을 초과하면 고압펌프의 성능한계로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공중합체 수지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합시간은 2~20분 이다.
중합시간이 2분 미만이면 EVA 공중합체 수지로의 전환율이 낮고 분자량이 낮아 바람직하지 않고, 20분을 초과하면 압력 조절이 용이치 않아 gel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에틸렌 단량체 72중량%에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 28중량%를 관형반응기에 주입하고 라디칼 발생 개시제로 Di(2-ethylhexyl) peroxy-dicarbonate, t-Butyl peroxy pivalate, t-Butyl peroxy-2-ethylhexanoate, Ter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혼합물(20/20/30/30) 1200ppm 을 첨가한 후 고압펌프를 활용 관형반응기 (tubular reactor)에 압송하고 반응압력 2650kg/cm2, 반응온도 235℃의 중합조건으로 EVA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EVA 수지의 MI는 17.2 이고 분자량 분포는 4.06 이었다.
실시예 2
중합조건을 실시예1과 표1을 같이하되 반응 온도를 250℃로 상향하고 반응압력은 2600kg/cm2으로 하향하여 EVA를 생산하였다. 제조된 EVA수지의 MI는 26.8이고 분자량 분포는 4.36 이었다.
비교예 1~2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를 활용한 통상의 EVA 수지 제조 방법으로 에틸렌 단량체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량체에 라디칼 발생 개시제와 분자량 조절제, 반응압력 2000kg/cm2이하 반응온도 220~260℃의 중합조건으로 제조된 상업용 EVA 수지와 비교하였다.
위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건으로 제조된 EVA 수지의 물성을 하기 물성 측정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제조된 EVA 수지를 이용하여, 하기 필름 및 sheet제조 조건에 따라 필름 및 Sheet을 성형하여 가공성과 수축율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중합 조건을 실시예 1과 같이 하되 반응 온도를 240℃로 상향하고 반응압력은 2600 kg/cm2으로 하향하여 EVA를 생산하였다. 제조된 EVA수지의 MI는 20.3이고 분자량 분포는 4.42 이었다.
물성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EVA 수지의 제반 물성의 측정은 하기의 방법 및 기준으로 행하였다.
1) 용융흐름지수 측정: ASTM D1238에 따라서 190℃, 2.16kg에서 측정하였다.
2) VA 함량 측정: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로 측정하였다.
3) 평균 분자량 (Mw, Mn 및 Mz) 측정: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4) Tan δ: 수지의 점탄성 측정을 위하여 TA사 ARES 기기를 이용하여 100℃도에서 frequency sweep 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로 G’, G” 을 구하고 G”/G’인 Tan δ을 구하여 Frequency를 X축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5) 열 수축률: 두께 450micro의 Sheet를 10 X 10 cm로 자른 후 80℃ oven에 넣고 5분간 유지한 후 꺼내서 상온에서 냉각한 후 MD, TD 방향의 길이를 측정하여 수축율을 측정하였다.
필름 제조 조건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EVA 수지를, 스크류 직경이 40mm이며, T-다이 폭이 300mm인 단축 압출기에서 압출기 온도를 100℃로 하고, 스크류 회전속도를 50rpm으로 하여, 두께가 50㎛인 필름을 제조하였다. 필름 폭을 측정하여 Neck in을 측정하였다. Film 폭이 클수록 Neck in 이 적어 양호한 것이다.
Sheet 제조 조건
EVA수지를 이용하여 압출기를 통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압출기 온도 및 T-다이 온도는 100℃를 유지하였으며 시트의 생산 선속도는 2.5m/min을 유지하였다. 제조된 시트의 두께는 0.45 mm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반응형태 Tubular Tubular Tubular Autoclave Tubular
MI 17.2 26.8 12.7 21.9 20.3
VA 함량 % 27.4 26.8 27.5 27.5 27.8
GPC


Mn 19,000 17,300 23,300 19,900 17,400
Mw 77,200 75,400 104,800 89,500 76,900
Mz 200,200 198,500 353,200 281,600 200,150
MWD 4.06 4.36 4.50 4.50 4.42
ARES
(100℃)

Zero viscosity 2.3.E+0.5 1.6.E+0.5 5.4E+0.5 2.4E+0.5 2.4.E+0.5
n*
(ω=0.1)
1.6.E+0.5 1.2.E+0.5 2.4E+0.5 1.4E+0.5 1.6.E+0.5
STI 14.6 12.4 20.7 14.8 15.8
Tan δ식 만족여부 O O X X X
필름 폭 mm 265 268 268 268 265
수출율(%)
MD 1.5 1.5 15 5 4
TD 0 0 3 0.5 1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Tan δ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필름의 가공시의 Neck in 특성은 양호한 반면 매우 낮은 수축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알 수 있듯이 MI가 다른 경우에도 Tan δ 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사한 Neck in 수준에서 동일한 수축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반면 Autoclave 제품을 보면 분자량 분포가 넓다 하더라도 Tan δ 식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축율이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일한 Tubular 공정이고, 비교예 3와 같이 동일한 분자량 분포 수준이라 하더라도 Tan δ 식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Neck in 특성이 양호하나 수축율이 실시예 대비 높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25~33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써,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100℃에서 Rheometer로 측정되는 Tan δ 값이 frequency(rad/s)영역 1 이하에서 하기 <식 1>을 만족하고,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Z 평균분자량(Mz)이 220,000g/mo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Mw/Mn)가 4.0 초과 4.5 미만이며,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190℃, 2.16kg에서 6~3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에틸렌 모노머 67~75중량% 및 비닐아세테이트 모노머 25~33중량%를 관형반응기에 투입하는 단계;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를 50~3,000ppm 농도로 첨가하는 단계; 및
    중합온도 200~300℃, 중합압력 2500~3000kg/cm2 및 중합시간 2~20분 동안 중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는 디알킬퍼옥시 디카보네이트계 화합물, 알킬퍼옥시 피발레이트계 화합물, 알킬퍼옥시 알킬헥사노에이트계 화합물 및 디알킬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퍼옥사이드계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퍼옥사이드 개시제 혼합물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퍼옥사이드 개시제에 대한 다른 퍼옥사이드 개시제의 중량비가 1:0~8.0으로 혼합되고, 하기 <식 1>을 만족하며,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Z 평균분자량(Mz)이 220,000g/mo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Mw/Mn)가 4.0 초과 4.5 미만이며,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190℃, 2.16kg에서 6~3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식 1>
    1.85*Ln(MI)/(0.72*In(frequency)+3.12) < Tan δ < 2.33*Ln(MI)/(0.72*In(frequency)+2.8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개시제 혼합물은 (A) 디알킬퍼옥시 디카보네이트계 화합물, (B) 알킬퍼옥시 피발레이트계 화합물, (C) 알킬퍼옥시 알킬헥사노에이트계 화합물 및 (D) 디알킬 퍼옥사이드계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A) : (B) : (C) : (D) = e : f : g : h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로써,
    상기 e, f, g, h는 0~8.0 범위이고, 적어도 어느 하나는 0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20140172201A 2014-12-03 2014-12-03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5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01A KR101645100B1 (ko) 2014-12-03 2014-12-03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MYPI2015703334A MY171763A (en) 2014-12-03 2015-09-22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resin for solar cell encapsulant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S201531366A ES2573028B1 (es) 2014-12-03 2015-09-24 Resina de un copolímero de etilvinilacetato para una lámina encapsulante de células solares y el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la misma
JP2015188768A JP6280901B2 (ja) 2014-12-03 2015-09-25 太陽電池封止材シート用エチレンビニルアセテート共重合体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1510671811.9A CN105669886B (zh) 2014-12-03 2015-10-15 用于太阳电池密封片的乙烯醋酸乙烯酯共聚物树脂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201A KR101645100B1 (ko) 2014-12-03 2014-12-03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67A KR20160066867A (ko) 2016-06-13
KR101645100B1 true KR101645100B1 (ko) 2016-08-02

Family

ID=5608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201A KR101645100B1 (ko) 2014-12-03 2014-12-03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80901B2 (ko)
KR (1) KR101645100B1 (ko)
CN (1) CN105669886B (ko)
ES (1) ES2573028B1 (ko)
MY (1) MY1717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9689A (zh) * 2016-12-19 2018-06-29 上海海优威新材料股份有限公司 光伏组件高温封装用的胶膜及其制备方法
KR102055982B1 (ko) * 2017-10-20 2020-01-22 한화토탈 주식회사 태양광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그 제조방법 및 태양전지 봉지재용 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5708A1 (en) * 2012-12-20 2014-06-26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copolymerizing ethylene and esters of vinyl alcoh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7131B2 (ja) * 1996-10-30 2005-07-27 日本ユニカー株式会社 耐熱性および機械的特性に優れる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100456392B1 (ko) * 2001-02-01 2004-11-10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가교발포체용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그의 용도
KR101187466B1 (ko) * 2010-08-12 2012-10-02 삼성토탈 주식회사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
JP5995838B2 (ja) * 2011-04-14 2016-09-21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太陽電池封止用樹脂シート、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2216B1 (ko) * 2011-04-22 2013-01-16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후 안정성이 향상된 태양전지 봉지재용 eva 시트의 제조방법
JP2013105802A (ja) * 2011-11-11 2013-05-30 Sumitomo Chemical Co Ltd 太陽電池用封止シート
JP2013159777A (ja) * 2012-02-09 2013-08-19 Asahi Kasei Chemicals Corp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
CN102965039A (zh) * 2012-12-17 2013-03-13 无锡量紫谷新材料科技发展有限公司 太阳能电池转光eva胶膜及其制备方法
FR3001832B1 (fr) * 2013-02-06 2015-02-20 Arkema France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polymerique fluide pour l'encapsulation de modules photovoltaiques
JP2014192280A (ja) * 2013-03-27 2014-10-06 Toray Ind Inc 太陽電池封止材シート用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組成物、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封止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封止材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5708A1 (en) * 2012-12-20 2014-06-26 Basell Polyolefine Gmbh Process for copolymerizing ethylene and esters of vinyl alcoh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867A (ko) 2016-06-13
ES2573028B1 (es) 2016-10-25
JP6280901B2 (ja) 2018-02-14
CN105669886A (zh) 2016-06-15
ES2573028A1 (es) 2016-06-03
CN105669886B (zh) 2018-01-30
MY171763A (en) 2019-10-28
JP2016108537A (ja)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183B1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수지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태양전지 봉지재용 시트
CA3003311C (en) A photovoltaic module
KR101187466B1 (ko)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
JP2019065295A (ja) 層エレメントの層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US11584814B2 (e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19065294A (ja) 層エレメントの層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KR101748971B1 (ko)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지
KR101298417B1 (ko) 내백화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및 이의 필름
KR101645100B1 (ko) 태양전지 봉지재 시트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EP3539996B1 (e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349450B1 (ko) 태양전지 봉지재용 수지 조성물
JP6173400B2 (ja) 太陽電池封止材シート用エチレンビニルアセテート共重合体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7226B1 (ko) 태양전지 모듈 봉지재용 수지 조성물
KR20200023629A (ko) 광전지 애플리케이션용 중합체 조성물
KR20180055560A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47231B1 (ko)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05247689A (zh) 太阳能电池用密封膜用组合物、其制造方法和太阳能电池用密封膜
KR101927002B1 (ko)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CN110730803A (zh) 用于光伏应用的聚合物组合物
JP2013159777A (ja) 太陽電池封止材用樹脂
US20240124665A1 (en) Polyethylene copolymers and terpolymers for solar cell encapsulation and methods thereof
KR20170077603A (ko) 이축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KR20160054845A (ko) 열접착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