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12B1 -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 Google Patents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12B1
KR101644612B1 KR1020160027930A KR20160027930A KR101644612B1 KR 101644612 B1 KR101644612 B1 KR 101644612B1 KR 1020160027930 A KR1020160027930 A KR 1020160027930A KR 20160027930 A KR20160027930 A KR 20160027930A KR 101644612 B1 KR101644612 B1 KR 101644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slide
shaft
ar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래
황명환
양도근
설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주)테크맥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주)테크맥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16002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hock-absorbers or springs
    • B64C25/62Spring shock-absorbers;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64C27/10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arranged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32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64C2201/024
    • B64F2700/623
    • B64F2700/62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결합되는 암, 상기 암의 타측으로 본체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날개로 구성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형성된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끼움홈이 포함되는 끼움축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 일측으로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며 타측으로 제1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부에 형성된 끼움축의 끼움홈에 위치되면서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이 포함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는 고정홈과 상측으로 제1턱과 제2턱이 포함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된 끼움축에 결합되면서 이동홀에 위치되어 제1턱의 방향과 제2턱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멈춤쇠로 구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를 이,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날개가 부착된 암부를 연결부를 통해 간편하게 본체와 암부를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동,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탈, 부착이 쉬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경제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The remote-controlled unmanned flying device}
본 발명은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에서 날개가 결합되는 암을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하면서 사용자가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246046호와 같은 무인비행장치의 하측에 랜딩 스키드를 설치하여 상기 랜딩 스키드를 통해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랜딩 스키드에 설치된 로드셀을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면서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무인비행장치를 지지하는 랜딩 스키드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상기 로드셀을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착륙시 무인비행장치의 속도 등을 원활하게 제어하여 무인비행장치의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하게 착륙시키게 되더라도 랜딩 스키드가 항상 고정된 형태로만 되어 있어, 무인비행장치를 항상 편평한 곳에서만 위치시킨 후 이륙시키거나 착륙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인비행장치를 놓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지면이 울퉁불퉁한 곳에는 무인비행장치를 위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무인비행장치의 이륙시나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로드셀의 제작 및 유지보수 등의 비용증가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되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무인비행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편리한 탈, 부착을 통해 이동 및 관리의 편리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유지보수 및 교체가 편리하도록 하여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랜딩장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무인비행체를 지면에 편리하게 거치시킴은 물론, 랜딩장치를 사용자가 원터치 형태로 쉽게 펼쳐지도록 하거나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면서 파손을 예방하고, 무인비행체의 착륙시나 거치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최소화하거나 소멸시켜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한 무인비행체의 파손 또는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리의 강도 등을 향상시켜 다리의 파손을 예방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도록 하여 제작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우수한 경제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 결합되는 암, 상기 암의 타측으로 본체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날개로 구성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형성된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끼움홈이 포함되는 끼움축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 일측으로 상기 본체에 고정결합되며 타측으로 제1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부에 형성된 끼움축의 끼움홈에 위치되면서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이 포함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이 결합되는 고정홈과 상측으로 제1턱과 제2턱이 포함되는 이동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 상기 제2연결부에 형성된 끼움축에 결합되면서 이동홀에 위치되어 제1턱의 방향과 제2턱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멈춤쇠로 구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를 이,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날개가 부착된 암부를 연결부를 통해 간편하게 본체와 암부를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동,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탈, 부착이 쉬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경제성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제2연결부의 제1턱과 제2턱의 높이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본체와 암이 작은 힘으로도 쉽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본체와 암의 분해시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해야지만 분해가 가능하여 본체와 암이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에 형성된 고정부 및 결합부를 통해 랜딩장치를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으며, 결합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에 의해 다리가 자중에 의해 쉽게 펼쳐지거나 접혀지지 않게 되어 다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랜딩장치를 통해 무인비행체를 지면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에 형성된 받침대를 통해 무인비행체의 착륙이나 지면에 거치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원활하게 최소화시키거나 소멸시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무인비행체의 파손이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에 케이스 및 보조다리를 추가로 형성하여 결합부 및 다리의 강도를 상승시켜 다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본체, 암부, 연결부, 랜딩장치의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랜딩장치에 케이스 및 보강클램프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다리에 대한 강도를 높이며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충격 또는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랜딩장치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본체와 암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랜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형성된 랜딩장치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형성된 랜딩장치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와 10의 결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형성된 랜딩장치의 다리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인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형성된 랜딩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암부(20), 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비행 및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 및 전원장치(도면에 미도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움직임 등을 위한 배터리(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현재 드론(도면에 미도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현재 일반적으로 드론 등과 같이 무인비행장치(도면에 미도시)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카메라(도면에 미도시)와 같이 현재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구성도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암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이, 착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암(21)이 탈, 부착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암(21)의 타측 끝부분에 헬리콥터의 날개와 같은 회전날개(2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암(21) 및 회전날개(22)의 형상이나 모양 및 수량은 사용자의 목적에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암(21) 및 회전날개(22)는 현재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것도 사용이 가능하며, 암(21)과 회전날개(22)의 구조 등은 현재 무인비행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나 형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회전날개(22)의 제어를 위해 본체(10)에 형성된 장치와 회전날개(22)는 전기적인 장치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전기적인 장치는 암(21)의 내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3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암부(20)의 사이로 위치되어 암부(20)를 본체(10)에서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암부(20)에 형성된 암(21)의 일측으로 제1연결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20)의 타측으로 제2연결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가 탈, 부착되면서 본체(10)에서 암(21)이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2)의 상측으로 레버와 같이 회전하면서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켜, 본체(10)와 암부(20)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멈춤쇠(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본체(10)의 타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32)와 암(21)의 일측방향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31)는 볼트 또는 핀과 같은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본체(10)와 암(21)에 각각 고정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쉽게 본체(10) 및 암(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31)과 제2연결부(32)는 암(21)과 본체(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암(21)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암(21)과 같이 사각형의 프레임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31)에는 암(21)의 길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열되는 끼움축(31b)과, 상기 끼움축(31b)의 둘레를 따라 파여진 형태의 끼움홈(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32)는 제1연결부(31)에 형성된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결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되며 일부 둘레면이 절개된 절개면(32a)이 포함되는 고정축(32b)이 수직방향인 일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32b)의 둘레 임의의 지점에 절개면(32a)이 형성될 때, 상기 절개면(32a)은 고정축(32b)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절개면(32a)이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위치될 경우에는 끼움홈(31a)과 고정축(32b) 간에 절개면(32a)에 의한 공간이 발생하여, 고정축(32b) 및 끼움축(31b)이 맞닿지 않고 쉽게 유동되면서 제1, 2연결부(31, 32)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32b)의 절개면(32a)이 끼움홈(31a)에서 벗어날 경우 고정축(32b)의 둘레면이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밀착되어 끼움축(31b) 및 고정축(32b)이 회전되지 않고 잠김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면(32a)은 후술할 멈춤쇠(33)가 제1턱(p1) 또는 제2턱(p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멈춤쇠(33)가 제2턱(p2)에 위치되었을 때, 제1, 2연결부(31, 32)가 쉽게 풀릴 수 있도록 절개면(32a)이 끼움홈(31a)에 위치되도록 고정축(32b)의 전체 둘레면에서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32a)이 형성되는 지점을 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측으로 상기 고정축(32b)이 결합되는 고정홈(32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양측에 제1턱(p1)과 제2턱(p2)이 형성되면서 제1턱(p1)과 제2턱(p2)을 서로 연결시키는 장공 또는 슬롯, 'c'자와 같이 길게 형성되는 이동홀(32d)이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홀(32d)의 양측으로 제1턱(p1)과 제2턱(p2)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멈춤쇠(33)가 이동홀(32d)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홀(32d)을 따라 제1턱(p1)의 방향과 제2턱(p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제1턱(p1) 또는 제2턱(p2)에 걸리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홀(32d)의 양측으로 제1턱(p1)과 제2턱(p2)을 형성하여, 상기 멈춤쇠(33)가 제1턱(p1)의 방향에 위치할 경우에는 본체(10)와 암부(20)가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멈춤쇠(33)가 제2턱(p2)의 방향에 위치할 경우에는 본체(10)와 암부(20)가 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멈춤쇠(33)가 위치한 곳에 따라 본체(10)와 암부(20)의 잠김상태나 풀림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턱(p1)의 방향에 멈춤쇠(33)가 위치하게 되면 본체(10)와 암부(20)가 잠김 상태로 되고, 제2턱(p2)의 방향에 멈춤쇠(33)가 위치하게 되면 본체(10)와 암부(20)가 풀린 상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턱(p1)과 제2턱(p2) 중에서 상대적으로 제1턱(p1)이 제2턱(p2)에 대해 높이나 크기가 더 큰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멈춤쇠(33)가 제1턱(p1)에 위치하게 되었을 경우 멈춤쇠(33)가 자중이나 외부의 약한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어 본체(10)와 암부(20)의 잠김상태가 풀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멈춤쇠(33)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거나 크기가 더 큰 제1턱(p1)에 걸리게 되면서 본체(10)와 암부(20)가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며, 멈춤쇠(33)가 제2턱(p2)에 위치하였을 경우 약한 힘으로도 멈춤쇠(33)가 제2턱(p2)에서 빠져나와 원활하게 제1턱(p1)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멈춤쇠(33)는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고정축(32b)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32b)을 기준으로 이동홀(32d)에서 제1턱(p1)의 방향과 제2턱(p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일측으로 상기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고정축(32b)이 결합되는 삽입홈(33a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33a1)의 인접한 지점에 장공 또는 슬롯형태의 슬라이드홈(33a2)이 포함된 몸체(33a)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몸체(33a)가 제2연결부(32)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고정축(32b)을 기준으로 몸체(33a)가 이동홀(32d)을 따라 제1턱(p1)의 방향과 제2턱(p2)의 사이로 슬라이드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33a)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3a2)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33a2)의 일측과 타측으로 슬라이드되며, 하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33b1)가 제2연결부(32)의 이동홀(32d)에 결합되어 제1턱(p1)과 제2턱(p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턱(p1) 및 제2턱(p2)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가 잠기거나 풀리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33b)의 일측으로 스프링(s)이 결합되는 스프링축(3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축(33c)의 스프링(s)의 압축 및 풀림시 스프링(s)이 뒤틀어지거나 비틀리지 않고 일정한 직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슬라이드부(33b)가 결합되는 몸체(33a)의 내부에는 스프링축(33c)이 끼워지는 축홈(33a3)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슬라이드부(33b)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스프링축(33c)이 축홈(33a3)에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축(33c)에 결합된 스프링(s)의 일측이 슬라이드홈(33a2)의 측면에 밀착도록 하여, 슬라이드부(33b)에 가했던 힘의 제거시 스프링(s)의 탄성에 슬라이드부(33b)가 원활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축(33c)이 슬라이드홈(33a2)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몸체(33a)의 내부에 축홈(33a3)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33a)에 축홈(33a3)을 추가로 형성할 때, 슬라이드부(33b)와 스프링축(33c)이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부(33b)와 스프링축(33c)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축홈(33a3)이 슬라이드홈(33a2)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몸체(33a)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힘에 의해 슬라이드홈(33a2)에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33b)에는 사용자가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드부(33b)를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33b)의 상측으로 사용자의 손이 밀착되는 손잡이(33d)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 또는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20)에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원활한 이, 착륙을 위해 지면에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원활하게 거치시킬 수 랜딩장치(40)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랜딩장치(40)는 암부(20)에 형성된 암(21)에 결합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0)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결합부(42)와, 상기 결합부(42)에 결합되어 결합부(42)와 같이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쳐지며 지면에 밀착되는 다리(4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41)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20)의 암(21)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2연결부(32)의 이동홀(32d)과 같이 양측으로 제1슬라이턱(41a)과 제2슬라이드턱(41b)이 포함되는 회전슬라이드홈(41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41)도 연결부(30)와 같이 암부(20)의 암(21)에 결합되는 것으로 암부(20)의 제1연결부(31) 또는 제2연결부(32)와 같이 사각형의 프레임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42)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1)에 형성된 회전슬라이드홈(41c)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슬라이드홈(41c)의 내부에서 제1슬라이드턱(41a)의 방향이나 제2슬라이드턱(41b)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결합축(42a)과, 상기 결합축(42a)에 연결되어 결합축(42a)을 슬라이드시킬 수 있도록 보조스프링(ss)이 결합되는 누름손잡이(42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손잡이(42b)에 형성된 보조스프링(ss)의 타측이 결합부(42)의 내부면에 밀착고정되어, 누름손잡이(42b)의 작동에 의해 보조스프링(ss)이 압축되거나 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결합부(42)에 형성된 결합축(42a)이 누름손잡이(42b)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결합홈(42c)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다리(43)가 결합되는 다리홈(4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42)에는 결합축(42a)과 누름손잡이(42b)의 결합부분의 외측으로 결합축(42a) 및 누름손잡이(42b)의 강도를 높이면서 결합부분을 보호하여, 상기 결합축(42a)과 누름손잡이(42b)의 결합부분의 파손을 예방하면서 이물질 등의 유입을 예방할 수 있는 케이스(42e)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다리(4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에 형성된 다리홈(42d)에 일체형 또는 고정부재를 통해 탈,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43a)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43a)의 하측으로 지면에 밀착되는 받침대(43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43)는 결합부(42)에 결합되어 결합부(42)의 회전에 의해 다리(43)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3a)의 탄성에 의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접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스프링(43a)의 상부는 다리(43)의 내부 임의의 지점에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탄성스프링(43a)의 하부는 받침대(43b)가 결합되면서 다리(43)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탄성스프링(43a)의 탄성에 의해 받침대(43b)가 상, 하로 유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다리(43)에는 탄성스프링(43a)이 위치되는 하측 내부와 외부의 지점을 2중으로 형성하여 다리(43)의 강도를 높이면서 탄성스프링(43a)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으며, 탄성스프링(43a)이 다리(43)에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고정부재(43)가 다리(43)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보강클램프(43c)를 다리(43)의 외측으로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탄성스프링(43a)을 다리(43)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다리(43)에서 쉽게 분리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3a)도 고정부재와 같이 다리(43)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정부재를 다리(43)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보강클램프(43c)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32)에 결합되는 다리(4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며, 본 발명에서는 다리(43)가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에 형성되는 스프링(s), 랜딩장치(40)에 형성되는 보조스프링(ss) 및 탄성스프링(43a)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일반적인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스프링의 형태가 아닌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면서 어떠한 재질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이 랜딩장치(4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수동으로 원터치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암부(20), 연결부(30), 랜딩장치(40) 간의 구성의 결합 및 분리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부재가 사용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본체(10)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암부(20)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측면으로는 연결부(30)에 형성된 제2연결부(32)가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암부(20)의 암(21)의 일측으로 제1연결부(31)가 고정결합되어 있어 제1, 2연결부(31, 32)를 이용하여, 본체(10)와 암부(20)를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연결부(32)의 상측에 결합된 멈춤쇠(33)를 고정축(32b)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2연결부(32)의 이동홀(32d)에 형성된 제1턱(p1)의 방향이나 제2턱(p2)의 방향에 위치시킨다.
그런 후, 상기 암부(20)의 암(21)을 이동시키면서 암(21)에 결합된 제1연결부(31)가 제2연결부(32)의 내부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을 결합할 때, 제1연결부(31)에 형성된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제2연결부(32)의 고정축(32b)이 결합될 때까지 제1연결부(31)를 제2연결부(32)의 내측으로 밀어 넣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가 결합되면, 제2연결부(32)의 상측에 위치된 멈춤쇠(33)를 고정축(32b)을 기준으로 회전키면서 이동홀(32d)의 제1턱(p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멈춤쇠(33)에 형성된 슬라이드부(33b)의 걸림돌기(33b1)가 제1턱(p1)에 걸리도록 하여, 제1턱(p1)에서 멈춤쇠(33)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가 견고히 결합되면서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고정축(32b)이 제1연결부(31)에 형성된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멈춤쇠(33)가 쉽게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를 결합할 때, 상기 멈춤쇠(33)를 제2턱(p2)의 방향에 위치하여 회전축(31b)과 고정축(32b) 간의 공간이 발생하도록 하여, 그 공간을 통해 회전축(31b)과 고정축(32)이 쉽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멈춤쇠(33)가 제1턱(p1)의 방향에 위치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일정한 제1, 2연결부(31, 33)를 파지하면서 힘을 가하게 되면,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체(10)의 측면으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암부(20)를 연결부(30)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본체(10)에서 암부(20)를 분리시킬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와 암부(20)가 결합되어 풀리지 않은 상태는 멈춤쇠(33)가 이동홀(32d)의 제1턱(p1)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으면서, 슬라이드부(33b)의 걸림돌기(33b1)가 제1턱(p)에 걸리게 되며, 고정축(32b)의 둘레면에서 절개면(32a)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제1연결부(31)의 끼움홈(31a)에 끼워져 고정축(32b)과 끼움홈(31a)이 서로 밀착되면서 고정축(32b) 및 멈춤쇠(33)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본체(10)와 암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멈춤쇠(33)에 헝성된 슬라이드부(33b)를 본체(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부(33b)가 몸체(33a)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3a2)의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드홈(33a2)을 따라 본체(1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부(33b)에 형성된 걸림돌기(33b1)가 제1턱(p1)에서 이격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부(33b)에 연결된 스프링축(33c)이 본체(1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스프링축(33c)에 결합된 스프링(s)이 압축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드부(33b)에 형성된 걸림돌기(33b1)가 제1턱(p1)에서 이탈될 수 있게 멈춤쇠(33)를 고정축(32b)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2턱(p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멈춤쇠(33)를 제2턱(p2)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멈춤쇠(33)가 결합되어 있는 고정축(32b)이 동시에 제자리에서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고정축(32b)에서 일부 둘레면이 절개된 절개면(32a)이 같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절개면(32a)이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축(32b)의 절개면(32a)과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그 공간을 통해 끼움축(31b)과 고정축(32b)을 여유롭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끼움축(31b)에서 고정축(32b)을 분리시키게 되면, 상기 끼움축(31b)이 포함된 제1연결부(31)와 고정축(32b)이 포함된 제2연결부(32)가 서로 분리되게 되면서 본체(10)와 암부(20)가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제1, 2연결부(31, 32)를 분리시키기 위해 멈춤쇠(33)에 형성된 슬라이드부(33b)를 본체(1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서 멈춤쇠(33)를 제2턱(p2)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제1, 2연결부(31, 32)를 분리하고 슬라이드부(33b) 또는 손잡이(33d)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사용자의 힘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축(33c)의 스프링(s)이 다시 벌어지면서 상기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부(33b) 및 손잡이(33d)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체(10)에서 암부(20)를 결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분해, 조립하여 편리하게 이동, 보관,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조립한 후, 비행을 위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거치시킬 때,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안전한 설치를 위하여 암부(20)에 랜딩장치(40)를 추가로 분해 및 조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암부(20)에 형성된 암(21)의 임의의 지점에 랜딩장치(40)의 고정부(41)를 고정부재 등을 이용하여 고정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암부(20)에 랜딩장치(40)를 결합할 때, 암부(20)를 먼저 본체(10)에 결합하기 전에 암부(20)에 랜딩장치(40)를 먼저 결합한 후, 상기 암부(20)는 본체(10)에 결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1)의 하측으로 결합부(42)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42)에 형성된 결함홈(42c)에 결합축(42a)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축(42a)에 보조스프링(ss)이 포함된 누름손잡이(42b)를 관통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42c)에 결합축(42a)이 결합되면, 상기 결합축(42a)을 고정부(41)에 형성된 회전슬라이드홈(41c)에 결합시키면서 고정부(41)와 결합부(42)를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결합부(42)의 하측에 형성된 다리홈(42d)에 다리(43)를 결합시키되, 받침대(43d)가 지면을 향하도록 하면서 다리홈(42d)에 다리(43)를 끼우고 고정부재를 이용해 고정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41)와 결합부(42)를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부(42)를 회전시켜 다리(43)가 최초로 접혀져 있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결합부(42)에 형성된 결합축(42a)이 고정부(41)의 회전슬라이드홈(41c)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슬라이드홈(41c)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턱(41a) 또는 제2슬라이드턱(41b)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부(42)에 결합된 다리(43)가 펼쳐지거나 접힌상태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42)의 결합축(42a)이 고정부(41)의 회전슬라이드홈(41c)에서 제1슬라이드턱(41a)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다리(43)가 펼쳐지게 되며, 상기 결합축(42a)이 제2슬라이드턱(41b)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다리(43)가 접히게 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축(42d)의 위치에 따라 다리(43)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제1, 2슬라이드턱(41a, 41b)의 방향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결합부(42)에서 결합축(42a)과 누름손잡이(42b)이 교차되는 부분에 케이스(42e)를 추가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결합축(42a)과 누름손잡이(42b)가 교차되는 지점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격이나 이물질 등에 의한 오작동 또는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암부(20)에 랜딩장치(40)를 결합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놓기 위해 랜딩장치(40)를 펼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랜딩장치(40)의 결합부(42)에 형성된 누름손잡이(42b)를 눌러 상기 누름손잡이(42b)에 포함된 보조스프링(ss)이 압축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손잡이(42b)와 연결되어 있던 결합축(42a)이 동시에 결합홈(42c)의 내부에서 상기 결합홈(42c)을 따라 누름손잡이(42b)가 이동된 방향으로 같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축(42a)이 최초 고정부(41)의 회전슬라이드홈(41c)의 제1슬라이드턱(41a) 또는 제2슬라이드턱(41b)에 걸리도록 위치되어 있다가, 상기 결합축(42a)이 상기 제1슬라이드턱(41a) 또는 제2슬라이드턱(41b)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회전슬라이드홈(41c)을 따라 이동하여, 최초에 결합축(42a)이 있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누름손잡이(42b)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누름손잡이(42b)에 포함된 보조스프링(ss)의 탄성에 의해 보조스프링(ss)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보조스프링(ss)의 탄성에 의해 결합축(42a)이 결합홈(42c)을 따라 이동하면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결합축(42a)이 회전슬라이드홈(41c)의 제1슬라이드턱(41a)이나 제2슬라이드턱(41b)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1슬라이드턱(41a)이나 제2슬라이드턱(41b)에 걸리게 되어 자중이나 외부의 약한 충격에도 쉽게 이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결합부(42)의 결합축(42a)이 고정부(41)의 회전슬라이드홈(41c)에서 제1슬라이드턱(41a)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다리(43)가 펼쳐지게 되며, 상기 결합축(42a)이 제2슬라이드턱(41b)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다리(43)가 접히게 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2결합축(42a)이 고정부(41)의 제2슬라이드턱(41b)에 위치되어 있게 되면서 다리(43)가 접혀져 있다가 상기 결합축(42a)이 제1슬라이드턱(41a)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결합부(42)에 결합된 다리(43)가 펼쳐지게 되어,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원활하게 지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비행이 완료되고,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이동이나 보관을 위해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다리(43)를 접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암부(20)에 랜딩장치(40)가 결합된 후,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비행을 위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위치시킬 때나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착륙시 받침대(43b)가 지면과 접촉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착륙속도 또는 사용자가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놓은 힘 등에 의해 받침대(43b)와 지면과의 접촉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받침대(43b)와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받침대(43b)로 전해지게 되는데, 상기 받침대(43b)가 연결되는 탄성스프링(43a)의 탄성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43a)이 상, 하로 유동하게 되면서,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가 지면과의 접촉시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이 최소화되거나 소멸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다리(43)에 보강클램프(43c)를 고정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43a)이 고정부재에 의해 다리(43)의 내부에 고정될 때, 상기 보강클램프(43c)가 다리(43)에서 고정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다리(43)에 고정결합되는 탄성스프링(43a)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보강클램프(43c)에 의해 탄성스프링(43a)이 다리(43)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본체(10)와 암부(20)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이동, 보관 및 유지보수나 교체가 간편하여, 사용자이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랜딩장치(40)에 형성된 고정부(41) 및 결합부(42)를 통해 다리(43)를 간편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됨으로써,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쉽게 설치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공정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도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제작, 수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이, 착륙시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다리(43)에 형성된 탄성스프링(43a)에 의해 최소화되거나 소멸되어 상기 본체(10) 등으로 그 충격이나 진동이 전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충격 또는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한 파손이나 오작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어, 그로 인한 경제적인 문제나 안전성 등의 문제를 최소화하거나 없앨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본체
20 : 암부
21 : 암 22 : 회전날개
30 : 연결부
31 : 제1연결부 31a : 끼움홈
31b : 끼움축
32 : 제2연결부 32a : 절개면
32b : 고정축 32c : 고정홈
32d : 이동홀
33 : 멈춤쇠 33a : 몸체
33a1 : 삽입홈 33a2 : 슬라이드홈
33b : 슬라이드부 33b1 : 걸림돌기
33c : 스프링축
40 : 랜딩장치
41 : 고정부 41a : 제1슬라이드턱
41b : 제2슬라이드턱 41c : 회전슬라이드홈
42 : 결합부 42a : 결합축
42b : 누름손잡이 42c : 결합홈
42d : 다리홈 42e : 케이스
43 : 다리 43a : 탄성스프링
43b : 받침대 43c : 보조클램프
100 :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Claims (7)

  1.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측면으로 결합되는 암(21), 상기 암(21)의 타측으로 본체(10)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날개(22)로 구성된 암부(20);
    상기 암부(20)에 형성된 암(21)의 일측으로 결합되며 끼움홈(31a)이 포함되는 끼움축(31b)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31), 일측으로 상기 본체(10)에 고정결합되며 타측으로 제1연결부(31)가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부(31)에 형성된 끼움축(31b)의 끼움홈(31a)에 위치되면서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32a)이 포함되는 고정축(32b)과 상기 고정축(32b)이 결합되는 고정홈(32c)과 상측으로 제1턱(p1)과 상기 제1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이 또는 크기가 작은 제2턱(p2)이 포함되는 이동홀(32d)이 형성되는 제2연결부(32), 상기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끼움축(31b)에 결합되면서 이동홀(32d)에 위치되어 제1턱(p1)의 방향과 제2턱(p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멈춤쇠(33)로 구성된 연결부(3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에 형성된 멈춤쇠(33)는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고정축(32b)이 결합되는 삽입홈(33a1)과 슬라이드홈(33a2)이 형성되는 몸체(33a), 상기 몸체(33a)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3a2)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연결부(32)에 형성된 이동홀(32d)에 끼워져 제1턱(p1)의 방향과 제2턱(p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걸림돌기(33b1)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33b), 상기 슬라이드부(33b)의 일측으로 돌출되되 스프링(s)이 결합되는 스프링축(33c)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에 형성된 멈춤쇠(33)의 몸체(33a)에는 스프링축(33c)이 결합되는 축홈(33a3)이 더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부(33b)의 상측으로 손잡이(33d)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20)에는 암(21)에 결합되며 양측으로 제1슬라이드턱(41a)과 제2슬라이드턱(41b)을 포함하는 회전슬라이드홈(41c)이 형성되는 고정부(41)와, 상기 고정부(41)에 결합되는 결합부(42), 상기 결합부(42)에 결합되는 다리(43)로 구성된 랜딩장치(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40)에 형성된 결합부(42)는 상기 고정부(41)에 형성된 회전슬라이드홈(41c)에 결합되어 제1슬라이드턱(41a)과 제2슬라이드턱(41b)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면서 제1슬라이드턱(41a)과 제2슬라이드턱(41b)에 걸리는 결합축(42a), 상기 결합축(42a)에 연결되어 결합축(42a)을 움직여 회전슬라이드홈(41c)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보조스프링(ss)이 포함되는 누름손잡이(42b), 상기 고정부(41)에 형성된 회전슬라이드홈(41c)에 대응되면서 누름손잡이(42b)의 작동에 의해 결합축(42a)이 슬라이드되는 결합홈(42c), 상기 다리(43)가 결합되는 다리홈(42d)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리(43)는 결합부(42)에 형성된 다리홈(42d)에 결합되고 내측으로 탄성스프링(43a)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탄성스프링(43a)의 하측으로 받침대(43b)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40)에 형성된 결합부(42)에는 케이스(42e)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며, 다리(43)에는 보강클램프(43c)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20160027930A 2016-03-08 2016-03-08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4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30A KR101644612B1 (ko) 2016-03-08 2016-03-08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30A KR101644612B1 (ko) 2016-03-08 2016-03-08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612B1 true KR101644612B1 (ko) 2016-08-01

Family

ID=5670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30A KR101644612B1 (ko) 2016-03-08 2016-03-08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12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6B1 (ko) * 2016-09-12 2016-12-06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무인비행체
CN106628125A (zh) * 2016-12-28 2017-05-10 中国航天电子技术研究院 一种多旋翼无人机用快拆式吸能起落架
CN107813930A (zh) * 2017-10-13 2018-03-20 南京涵曦月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装置操控的无人机控制系统
CN107878729A (zh) * 2017-11-17 2018-04-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桨组件及无人机
CN107902080A (zh) * 2017-12-18 2018-04-13 詹博傲 无人机结构以及具有隐身功能的无人机
CN108045570A (zh) * 2018-02-24 2018-05-18 冯林娟 一种多旋翼的无人机起落架
CN108216593A (zh) * 2017-12-31 2018-06-29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起落架及具有此起落架的无人飞行器
CN108791831A (zh) * 2018-06-17 2018-11-13 赖海燕 一种农业无人机降落防撞保护装置
CN109687627A (zh) * 2018-11-15 2019-04-26 江苏无线电厂有限公司 一种外转子直流无刷电机及动力系统
WO2019128401A1 (zh) * 2017-12-28 2019-07-04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起落架及具有该起落架的无人飞行器
CN110001935A (zh) * 2019-05-07 2019-07-12 广州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分所 一种无人机自主动平台起降辅助装置
KR102046106B1 (ko) 2018-10-12 2019-11-18 울산과학기술원 접이식 다중 회전익형 무인항공기
KR20200015959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네스앤텍 탈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드론
CN111959763A (zh) * 2020-08-14 2020-11-20 智翔通飞航空科技有限公司 直升机水平旋翼减震器
KR102225588B1 (ko) * 2020-10-22 2021-03-09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수상 운용이 가능한 1인용 개인 항공기
KR102274684B1 (ko) 2020-03-25 2021-07-08 주식회사 샘코 조립식 드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3476A (ja) * 2009-07-22 2012-12-27 エアロヴァイロ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航空機
JP2013531573A (ja) * 2010-05-26 2013-08-08 エアロヴァイロ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バッテリ式の無人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3476A (ja) * 2009-07-22 2012-12-27 エアロヴァイロ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航空機
JP2013531573A (ja) * 2010-05-26 2013-08-08 エアロヴァイロンメン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再構成可能なバッテリ式の無人機システム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16B1 (ko) * 2016-09-12 2016-12-06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무인비행체
CN106628125A (zh) * 2016-12-28 2017-05-10 中国航天电子技术研究院 一种多旋翼无人机用快拆式吸能起落架
CN107813930A (zh) * 2017-10-13 2018-03-20 南京涵曦月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装置操控的无人机控制系统
CN107813930B (zh) * 2017-10-13 2019-11-29 南京涵曦月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装置操控的无人机控制系统
CN107878729A (zh) * 2017-11-17 2018-04-06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桨组件及无人机
CN107878729B (zh) * 2017-11-17 2023-12-01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桨组件及无人机
CN107902080A (zh) * 2017-12-18 2018-04-13 詹博傲 无人机结构以及具有隐身功能的无人机
WO2019128401A1 (zh) * 2017-12-28 2019-07-04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起落架及具有该起落架的无人飞行器
CN108216593A (zh) * 2017-12-31 2018-06-29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起落架及具有此起落架的无人飞行器
CN108045570A (zh) * 2018-02-24 2018-05-18 冯林娟 一种多旋翼的无人机起落架
CN108045570B (zh) * 2018-02-24 2019-04-16 冯林娟 一种多旋翼的无人机起落架
CN108791831A (zh) * 2018-06-17 2018-11-13 赖海燕 一种农业无人机降落防撞保护装置
KR20200015959A (ko) 2018-08-06 2020-02-14 주식회사 네스앤텍 탈착 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드론
KR102046106B1 (ko) 2018-10-12 2019-11-18 울산과학기술원 접이식 다중 회전익형 무인항공기
CN109687627A (zh) * 2018-11-15 2019-04-26 江苏无线电厂有限公司 一种外转子直流无刷电机及动力系统
CN110001935A (zh) * 2019-05-07 2019-07-12 广州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分所 一种无人机自主动平台起降辅助装置
CN110001935B (zh) * 2019-05-07 2024-05-17 广州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分所 一种无人机自主动平台起降辅助装置
KR102274684B1 (ko) 2020-03-25 2021-07-08 주식회사 샘코 조립식 드론
CN111959763A (zh) * 2020-08-14 2020-11-20 智翔通飞航空科技有限公司 直升机水平旋翼减震器
KR102225588B1 (ko) * 2020-10-22 2021-03-09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수상 운용이 가능한 1인용 개인 항공기
WO2022085832A1 (ko) * 2020-10-22 2022-04-28 주식회사 아스트로엑스 수상 운용이 가능한 1인용 개인 항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612B1 (ko)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44614B1 (ko)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860021B1 (ko)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KR101456035B1 (ko)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KR101679716B1 (ko) 무인비행체
KR101644618B1 (ko) 원터치 탈, 부착형 무인비행장치
US10414483B2 (en) Tiltrotor articulated wing extension
KR101527544B1 (ko) 접이식 무인비행기
CN106904267B (zh) 无人机机臂机构及无人机
EP2767187B1 (en) Foldable table mechanism
KR101644529B1 (ko) 멀티콥터
CN107618651B (zh) 一种多旋翼无人机机臂遥控收放装置
CN204775993U (zh) 一种飞行器折叠翼装置
CN105000165A (zh) 一种折叠式无人机机臂锁紧装置
JP6228706B1 (ja) 無人航空機の離着陸台
CN209396027U (zh) 一种可折叠无人机
CN104802978A (zh) 一种飞行器折叠翼装置
CN108001695A (zh) 无人机的快拆装置
KR101669007B1 (ko) 무인비행기의 아암 결합장치
CN103129740B (zh) 动力舱整流罩的锁闭机构
CN207450232U (zh) 桨叶保护装置以及多旋翼飞行器
WO2022206852A1 (zh) 一种可倾转机翼及无人机
CN113002798B (zh) 一种便携式多姿态可自动收放旋翼无人机系统及其设计方法
WO2019041502A1 (zh) 无人飞行器的机臂组件及无人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