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14B1 -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14B1
KR101644614B1 KR1020160027932A KR20160027932A KR101644614B1 KR 101644614 B1 KR101644614 B1 KR 101644614B1 KR 1020160027932 A KR1020160027932 A KR 1020160027932A KR 20160027932 A KR20160027932 A KR 20160027932A KR 101644614 B1 KR101644614 B1 KR 101644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arm
shaft
engaging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래
황명환
양도근
설윤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주)테크맥스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주)테크맥스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Priority to KR102016002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1/00Propellers, e.g. of ducted type; Features common to propellers and rotors for rotorcraft
    • B64C11/46Arrangements of, or constructional features peculiar to, multiple propellers
    • B64C11/48Units of two or more coaxial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64C27/10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arranged coaxially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65
    • B64F2700/626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측면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암, 상기 암의 타측 끝부분으로 결합되어 본체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익, 상기 암의 일측 끝부분으로 형성되어 본체와 암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형성된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된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형성된 결합판에 결합되는 돌출축과 슬롯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의 측면으로 이동축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랜딩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암부를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The one-touch type remote-controlled unmanned flying device}
본 발명은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으로 조정되는 무인비행장치의 이동 및 비행, 착륙시 발생되는 진동에 따른 배터리의 파손, 접촉불량이나 비행장치의 흔들림 등을 최소화하면서 무인비행장치를 안전하게 비행, 이륙, 착륙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안전성 등을 향상시키고, 원터치형태로 분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향상시킨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게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246046호와 같은 무인비행장치의 하측에 랜딩 스키드를 설치하여 상기 랜딩 스키드를 통해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랜딩 스키드에 설치된 로드셀을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면서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무인비행장치를 지지하는 랜딩 스키드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상기 로드셀을 통해 무인비행장치의 착륙시 무인비행장치의 속도 등을 원활하게 제어하여 무인비행장치의 충격을 완화시켜 안전하게 착륙시키게 되더라도 랜딩 스키드가 항상 고정된 형태로만 되어 있어, 무인비행장치를 항상 편평한 곳에서만 위치시킨 후 이륙시키거나 착륙시켜야 하기 때문에 무인비행장치를 놓기 위한 넓은 공간이 필요함은 물론, 지면이 울퉁불퉁한 곳에는 무인비행장치를 위치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무인비행장치의 이륙시나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로드셀의 제작 및 유지보수 등의 비용증가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암부를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랜딩장치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고정형으로 설치하거나 원터치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랜딩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랜딩장치를 통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파손을 예방하고, 지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암부 및 랜딩장치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 관절부, 랜딩장치를 따로 분리하여 이동, 보관할 수 있고 교체 및 유지보수가 필요한 장치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우수한 경세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암, 상기 암의 타측 끝부분으로 결합되어 본체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익, 상기 암의 일측 끝부분으로 형성되어 본체와 암을 결합시킬 수 있는 연결부로 구성된 암부와, 상기 암부에 형성된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된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형성된 결합판에 결합되는 돌출축과 슬롯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의 측면으로 이동축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랜딩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암부를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어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본체와 암을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자에게 우수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랜딩장치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고정형으로 설치하거나 원터치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랜딩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랜딩장치를 통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이, 착륙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하게 제거하여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파손을 예방하고, 지면의 상태에 상관없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지면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암부 및 랜딩장치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암, 관절부, 랜딩장치를 따로 분리하여 이동, 보관할 수 있고 교체 및 유지보수가 필요한 장치만 별도로 분리하여 교체 및 유지보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우수한 경세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인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암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도 6과 7은 본 발명인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서 결합부재가 제1실시일 경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8 내지 11은 본 발명인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서 결합부재가 제2실시일 경우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부(10), 관절부(20), 랜딩장치(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암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비행을 위한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 및 전원장치(도면에 미도시), 외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장치(도면에 미도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움직임 등을 위한 배터리(도면에 미도시) 등이 포함되는 본체(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현재 드론(도면에 미도시)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얼마든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움직임을 위해 현재 무인비행기(도면에 미도시) 등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장치(도면에 미도시)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본체(1)의 측면에는 바 형태의 암(11)이 결합될 수 있는 구멍 또는 암(11)과 유사한 형태인 바 형태의 돌출장치와 같은 연결장치(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측면으로는 본체(1)의 착륙 및 이륙을 위한 헬리콥터의 프로펠러(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회전익(12)이 형성된 암(11)이 하나 이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익(12)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의 암(11)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익(12)은 현재 드론 등에서 일반적인 방법이나 장치로 암(11)에 결합되어 있으면서 작동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암(11)의 내부에는 회전익(12)을 가동 또는 중지시킬 수 있는 커넥터와 같은 전기장치(도면에 미도시)가 본체(1)로부터 배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11)은 본체(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보관 및 이동, 유지관리 등의 편리성을 위해 본체(1)에서 암(11)이 탈, 부착될 수 있도록 본체(1)와 암(11)의 사이로 연결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3)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11)에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제1결합부(14)와, 일측은 결합부재 등을 통해 본체(1)의 측면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제1결합부(14)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15)와, 상기 제2결합부(15)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본체(1)에서 암(11)을 탈, 부착할 수 있도록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를 탈, 부착시킬 수 있는 멈춤쇠(16)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는 암(11)의 일측으로 결합부재(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암(11)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끼움홈(14aa)이 포함되는 걸림축(14a)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림축(14a)은 상, 하로 2개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14aa)은 걸림축(14a)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되면서 걸림축(14a)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4)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4)는 암(11)에 결합부재를 통해 암(11)에 고정결합되며, 제2결합부(15)는 본체(1)에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결합되어 있으면서,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가 서로 결합되면서 본체(1)와 암(11)을 탈,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부(15)에는 상기 제1결합부(14)에 형성된 걸림축(14a)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결합되는 고정축(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고정축(15a)에는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과 대응되는 지점에 고정축(15a)의 둘레면 중 둘레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면(15a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결합부(15)에는 고정축(15a)이 고정되는 구멍(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5)의 상측으로 멈춤쇠(16)가 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홀(15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홀(15b)은 멈춤쇠(16)가 이동홀(15b)을 따라 상기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슬롯형태 또는 'c'자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홀(15b)을 따라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후술할 삽입부(16a)가 이동홀(15b)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턱(p1, p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의 턱(p1)에 삽입부(16a)가 걸리면서 멈춤몸체(16d)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멈춤쇠(16)가 이동홀(15b)의 일측방향에 있을 경우에는 본체(1)와 암(11)이 잠긴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멈춤쇠(16)가 이동홀(15b)의 타측방향에 있을 경우에는 본체(1)와 암(11)이 풀린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턱(p1, p2) 중에서 일측에 형성된 턱(p1)은 타측에 형성된 턱(p2)에 비해 크기 및 간격이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멈춤몸체(16d)가 이동홀(15b)의 일측방향에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멈춤쇠(16)가 이동홀(15b)의 일측에 형성된 턱(p1)에 견고히 걸리도록 하여, 멈춤쇠(16)가 외부의 약한 힘이나 자중에 의해 쉽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본체(1)에서 암(11)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며, 상기 본체(1)와 암(11)을 잠글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체(1)에 암(11)에 끼울 때 강한 힘을 제공하지 않아도 이동홀(15b)의 타측에 형성된 턱(p2)에서 간편하게 삽입부(16a)가 이격되면서 본체(1)와 암(11)이 편리하게 결합되면서 잠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멈춤쇠(16)는 상기 고정축(15a)에 축결합되면서 상기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멈춤쇠(16)에는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이동홀(15b)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홀(15b)을 따라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으로 움직일 수 있는 삽입부(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부(16a)의 상측으로 돌출부(16b)가 결합부재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6b)의 일측으로 스프링(16cc)이 결합되는 스프링축(1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15a)에 결합되면서 하측으로 삽입부(16a)가 결합되고 내측으로 돌출부(16b) 및 스프링축(16c)이 위치되면서 상기 돌출부(16b) 및 스프링축(16c)이 움직일 수 있는 유격홀(16dd)이 포함되는 멈춤몸체(16d)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멈춤몸체(16d)의 내측으로 유격홀(16dd)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유격홀(16dd)에서 돌출부(16b)와 스프링축(16c)이 유격홀(16dd)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b)가 유격홀(16dd)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돌출부(16b)에 결합된 스프링축(16c)도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돌출부(16b)가 움직이게 되면 상기 돌출부(16b)의 하측에 위치된 삽입부(16a)도 돌출부(16b)와 같이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돌출부(16b)를 유격홀(16dd)을 따라 일정한 힘을 가하여 돌출부(16b)을 움직였다 돌출부(16b)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축(16c)에 결합되는 스프링(16cc)의 탄성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스프링(16cc)의 일측은 멈춤몸체(16d)에 형성된 유격홀(16dd)의 끝 부분에 밀착되어 있으며 타측 끝 부분은 돌출부(16b)에 밀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6b)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돌출부(16b) 및 멈춤몸체(16d)를 간편하게 파지하면서 힘을 가하여, 돌출부(16b)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삽입부(16a), 돌출부(16b) 및 멈춤몸체(16d)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16e)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최초에 상기 멈춤쇠(16)에 형성된 스프링축(16c)에 결합된 스프링(16cc)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16b) 및 상기 돌출부(16b)에 결합된 삽입부(16a)가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이동홀(15b)의 일측에 밀착되어 멈춤쇠(16)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위치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고정축(15a)의 둘레면이 제1결합부(14)의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멈춤쇠(16)가 회전하지 못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 후, 사용자가 손잡이(16e)에 힘을 가해 손잡이(16e)에 고정된 돌출부(16b)를 멈춤몸체(16d)에 형성된 유격홀(16dd)을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돌출부(16b)에 결합된 스프링축(16c)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면서 상기 스프링축(16c)에 결합되어 있던 스프링(16cc)이 압축되고, 상기 돌출부(16b) 및 상기 돌출부(16b)에 결합된 삽입부(16a)가 유격홀(16dd)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삽입부(16a)가 유격홀(16dd)의 간격만큼 유격할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6a)가 이동홀(15b)의 일측에 밀착되어 있다가 유격홀(16dd)의 간격만큼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16a)가 이동홀(15b)의 일측에서 이격될 수 있게 되면서 멈춤몸체(16d)가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사용자는 멈춤몸체(16d)를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축(15a)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16a)가 이동홀(15b)의 일측에 있다가 멈춤몸체(16d)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면서 이동홀(15b)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사용자가 멈춤몸체(16d)에 힘을 가해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축(15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고정축(15a)에 형성된 절개면(15aa)이 걸림축(14a)의 끼움홈(14aa)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과 고정축(15a)의 사이로 절개면(15aa)만큼의 공간이 발생하여, 그 공간으로 인해 제1결합부(14)에 형성된 걸림축(14a)의 끼움홈(14aa)과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고정축(15a) 간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걸림축(14a)과 고정축(15a)이 이격되어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를 분리시키면서 본체(1)와 암(11)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본체(1)와 암(11)을 결합시킬 때에는 본체(1)의 측면으로 암(11)을 배열하면서 제1결합부(14)를 제2결합부(15)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서 본체(1)와 암(11)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멈춤쇠(16)에 형성된 스프링(16cc)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16b)가 손쉽게 움직이면서 제2결합부(15)의 고정축(15a)이 제1결합부(14)의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끼워지면서 절개면(15aa)이 없는 고정축(15a)의 둘레가 끼움홈(14aa)에 밀착되면서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가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본체(1)와 암(11)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절부(2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부(10)에 형성된 암(11)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1)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판(21)은 사각파이프 형태로 형성된 암(11)의 전면과 후면으로 위치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21)은 결합부재 등을 통해 암(11)에 일체형으로 결합되거나 탈, 부착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1)의 하측으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원활하게 세울 수 있는 랜딩장치(30)를 고정할 수 있는 결합판(2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22)은 지지판(21)의 하측으로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상판(23)과, 상기 상판(23)의 하부 측면으로 결합부재 등을 통해 결합되고 내측으로 후술할 랜딩장치(30)에 형성된 돌출축(31a)이 결합되는 축홈(24a), 유선 또는 'c'자 등과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24b)이 포함된 측판(24)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판(24)은 지지판(21)과 같이 2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랜딩장치(3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절부(20)에 형성된 측판(24)에 결합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측판(24)의 사이로 측판(24)에 형성된 축홈(24a)에 축결합되는 돌출축(31a)이 형성되면서 상기 돌출축(31a)의 인접한 지점에 장공 또는 슬롯형태의 슬롯홈(31b)이 포함된 상부케이스(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31)의 내측으로 랜딩장치(30)를 축홈(24a)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부(32)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터(도면에 미도시) 및 감속기(도면에 미도시) 등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하여 형성하거나 둘 모두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동력부(32)는 상술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 및 감속기 외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것으로도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31)의 내측으로 위치되면서 동력부(32)에 연결되어 동력부(32)의 작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3)에 결합되어 회전축(3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3)에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부(34)에는 상기 회전축(33)에 결합되어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34a)와 상기 이동부(34a)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부케이스(31)에 형성된 슬롯홈(31b)에 끼워지면서 관절부(20)의 측판(2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4b)에 결합되어 슬라이드홈(24b)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케이스(31)를 회전시킬 수 있는 이동축(34b)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동력부(32)가 회전하면서 회전축(3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3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34)의 이동부(34a)가 회전축(33)을 따라 상, 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부(34)의 이동축(34b)이 관절부(20)의 측판(2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4b)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부케이스(31)를 접거나 펼쳐지게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31)의 내측으로는 상부케이스(31)의 내부에 위치되는 동력부(32) 및 회전축(33), 슬라이드부(34)를 상부케이스(31)의 내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k)를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고정부(k)는 상부케이스(31)에 볼트나 핀과 같은 부재(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지지대(35)가 결합되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36)를 통해 결합되는 제1다리(3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다리(37)의 하측으로 클램프(c)에 의해 결합되는 제2다리(38)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다리(38)에는 내측으로 스프링(도면에 미도시)과 같이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8a)가 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탄성다리(38b)가 결합되면서, 제2다리(38)의 내측에서 탄성부재(38a)의 탄성에 의해 상, 하로 슬라이될 수 잇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탄성다리(38b)의 상측으로 탄성부재(38a)의 상부가 일부 노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38a)의 상부가 제2다리(38)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게 되어, 상기 탄성부재(38a)의 탄성에 의해 탄성다리(38b)가 제2다리(38)의 상, 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탄성다리(38b)의 하측으로 부재를 통해 축결합되면서 축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고,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39)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제1다리(37)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36)는 제1결합부재(36a) 또는 제2결합부재(36b)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재(36a)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리(37)를 상부케이스(31)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결합부재(36b)는 상부케이스(31)에서 제1다리(37)를 탈, 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먼저, 상기 제1결합부재(36a)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부로 상부케이스(31)의 하부가 결합되면서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 내부 또는 외부로 제1다리(37)가 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2결합부재(36b)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내부 또는 외부로 상부케이스(31)의 하부가 부재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바디(36b1)와, 상기 바디(36b1)의 외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축결합되면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고리(36b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36b1)와 고리(36b2)의 사이로 위치되면서 고리(36b2)에 탄성을 제공하여 고리(36b2)가 집게(도면에 미도시)처럼 개폐될 수 있도록 한 탄성장치(36b3)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제2결합부재(36b)의 고리(36b2)를 파지하여 상기 고리(36b2)를 개폐시키면서 바디(36b1)의 하측으로 제1다리(37)를 끼우거나 분리시키고 상기 고리(36b2)에 제1다리(37)가 걸리거나 풀리도록 하여, 상부케이스(31)에서 제1다리(37)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이에 더해, 상기 결합부재(36)를 제2결합부재(36b)의 형태로 형성할 경우 제1다리(37)가 상부케이스(31)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상기 고리(36b2)에 쉽게 걸릴 수 있는 걸림턱(37a)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결합부재(36a)는 제2결합부재(36b)에서 바디(36b1)만 있는 형태로 형성된 것과 유사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35)에 형성된 탄성다리(38b)에 의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위치시킬 때,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무게나 속도에 의해 지면과 마찰이 일어날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탄성부재(38a)가 흡수하여,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가 충격없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다리(38b)의 하측으로 축결합되는 받침대(39)가 지면의 경사도 및 지면의 평탄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어떠한 지면의 환경에서도 랜딩장치(30)가 편리하게 지면에 밀착되면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서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상부케이스(31) 및 지지부(35)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파이프 및 원형 파이프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암부(10)의 스프링(16cc)과 제2결합부재(36b)의 탄성장치(36b3) 및 제2다리(38)의 탄성부재(38a)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이나 스프링과 같이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나 재질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암부(10), 랜딩장치(30)의 내부에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전기장치(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암부(10) 및 관절부(20)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암부(10)에 형성된 본체(1)의 측면으로 하나 이상의 암(11)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본체(1) 및 암(11)에 형성된 연결부(13)를 이용하여 본체(1)에 암(11)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결합부(15)의 상측에 결합된 멈춤쇠(16)의 멈춤몸체(16d)를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이동홀(15a)의 타측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멈춤쇠(16)에 형성된 삽입부(16a)가 이동홀(15a)의 타측에 있는 턱(p1)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고정축(15a)에 형성된 절개면(15aa)이 제1결합부(14)의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위치되면서 절개면(15aa)과 끼움홈(14aa)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본체(1)에 결합된 제2결합부(15)에 제1결합부(14)를 원활하게 끼울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암(11)에 결합된 제1결합부(14)를 본체(1)에 형성된 제2결합부(15)에 끼우면서 제1결합부(14)의 걸림축(14a)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제2결합부(15)의 고정축(15a)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멈춤몸체(16d)를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멈춤몸체(16a)에 결합되는 삽입부(16a)를 이동홀(15b)의 일측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동홀(15b)의 일측에 형성된 턱(p1)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턱(p1)에서 삽입부(16a)가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축(15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끼움홈(14aa)에 위치해 있던 고정축(15a)의 절개면(15aa)이 회전하여 끼움홈(14aa)에서 벗어나면서 절개면15aa)이 형성되지 않은 고정축(15a)의 둘레면시 끼움홈(14aa)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고정축(15a) 및 멈춤쇠(16)가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가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홀(15b)의 타측에 형성된 턱(p2)은 일측에 형성된 턱(p1)에 비해 크기 및 간격이 작아 멈춤쇠(16)의 멈춤몸체(16d)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멈춤몸체(16d)에 연결된 삽입부(16a)가 원활하게 이동홀(15b)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멈춤쇠(16)가 이동홀(15b)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멈춤쇠(16)에 형성된 스프링(16cc)의 탄성에 의해 돌출부(16b)가 고정축(15a의 방향으로 밀리면서 이동홀(15b)의 일측의 턱(p1)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15a)이 걸림축(14a)의 끼움홈(14aa)에 견고히 밀착되어 상기 멈춤쇠(16)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본체(1)에 암(11)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암(11)의 일측으로 결합부재를 통해 관절부(20)에 형성된 지지판(21)의 암(11)의 양측으로 결합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판(21)의 하측으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판(22)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판(22)에 형성된 상판(23)과 측판(24)를 먼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고 그 후에 상판(23)을 지지판(21)에 결합하거나, 상판(23)을 지지판(21)의 하측으로 결합하고 상판(23)의 양측으로 측판(24)을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판(23)과 측판(24)을 결합할 때, 측판(2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4b)이 한 쌍의 측판(24)을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도록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측판(24)에 형성된 축홈(24a)에 랜딩장치(30)의 상부케이스(31)에 형성된 돌출축(31a)을 끼우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랜딩장치(30)를 측판(24)에 결합시킬 때, 한 쌍의 측판(24)의 사이로 먼저 랜딩장치(30)의 상부케이스(31)를 결합한 후, 측판(24)을 상판(23)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랜딩장치(30)에 형성된 상부케이스(31)의 내부에 동력부(32), 회전축(33)을 고정부(k)를 이용하여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부재(38a)가 포함된 탄성다리(38b)를 제2다리(38)의 내부로 결합하면서 부재를 통해 제2다리(38)에 탄성부재(38a)가 결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다리(38b)의 하측으로 받침대(39)를 결합한다.
그리고, 제1다리(37)와 제2다리(38)를 클램프(c)를 통해 결합하도록 하면서, 상기 제1결합부재(36a) 또는 제2결합부재(36b)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제1다리(37)를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재(36a)를 이용하여 상부케이스(31)와 제1다리(37)를 고정결합하는 방법과 제2결합부재(36b)를 이용하여 상부케이스(31)와 제1다리(37)를 탈, 부착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으로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암부(10), 관절부(20), 랜딩장치(30)를 결합한 후,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임의의 지면에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에 형성된 랜딩장치(30)를 펼치면서 상기 랜딩장치(30)의 받침대(39)가 지면에 닿도록 하면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38)의 탄성다리(38b)와 받침대(39)가 축결합되어 있어 상기 받침대(39)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면서 지면에 견고하게 접촉되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원격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이륙시키면서 랜딩장치(30)를 접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이륙시키고 랜딩장치(30)를 접을 경우 동력부(32)가 작동하면서 상기 동력부(32)에 연결된 회전축(33)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축(33)에 결합된 슬라이드부(34)가 회전축(33)의 움직임에 의해 슬라이드부(34)에 형성된 이동부(34a)가 회전축(33)에서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부(34a)의 양측에 형성되면서 측판(24)의 슬라이드홈(24b)에 결합된 이동축(34b)이 상기 슬라이드홈(24b)을 따라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측판(24)의 축홈(24a) 및 상부케이스(31)의 돌출축(31a)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랜딩장치(30)가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사용자는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목적에 알맞게 비행을 수행한 후, 관절부(20) 및 랜딩장치(30)를 상술한 반대방향으로 작동시켜 랜딩장치(30)를 펼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지면으로 착륙시키게 되면 상기 랜딩장치(30)의 받침대(39)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가 착륙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받침대(39)가 지면에 밀착될 때,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착륙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데, 상기 탄성다리(38b)에 형성된 탄성부재(38a)에 의해 탄성다리(38b)가 제2다리(38)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 하로 유동되면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착륙시 충격이나 진동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가 지면에 접촉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최소화하거나 소멸시키게 됨으로써,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흔들림 등의 현상을 방지하여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속품 등을 흔들림이나 흔들림에 의한 접촉, 결합불량 등의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39)가 다양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어, 지면이 경사지거나 울퉁불퉁하게 지면의 상태가 좋지 않더라도 받침대(39)가 지면과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지되면서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보다 안전하게 지면에 착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이동 또는 보관시킬 경우 암부(10), 관절부(20), 랜딩장치(30)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랜딩장치(30)에 형성된 결합부재(36)를 통해 지지대(35)를 분리시킬 수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36)가 제1결합부재(36a)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부재를 빼낼 수 있는 장비를 통해 상부케이스(31)에서 제1다리(37) 등을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6)가 제2결합부재(36b)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고리(36b2)에 힘을 가해 고리(36b2)를 열면서 고리(36b2)에 거치된 제1다리(37)의 걸림턱(37a)이 분리되도록 하여, 제1결합부재(36b)에서 제1다리(37)를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고리(36b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장치(36b3)의 탄성에 의해 고리(36b2)가 다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에서 암(11)을 분리시킬 경우에는 암(11)에 결합된 연결부(13)를 이용하여 본체(1)와 암(11)을 분리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멈춤쇠(16)에 형성된 손잡이(16e)를 본체(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손잡이(16e)에 연결된 돌출부(16b) 및 삽입부(16a)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면서 이동홀(15b)의 일측에 형성된 턱(p1)에서 삽입부(16a)가 벗어나게 되어, 상기 멈춤쇠(16)의 멈춤몸체(16d)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런 후, 상기 멈춤몸체(16d)를 이동홀(15b)의 타측(p2가 형성된 방향)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축(15a)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면서 고정축(15a)에 형성된 절개면(15aa)이 걸림축(14a)의 끼움홈(14aa)의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축(15a)의 절개면(15aa)과 걸림축(14a)의 끼움홈(14aa)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게 되면서 그 공간으로 인해 제1결합부(14)와 제2결합부(15)를 분리시키면서 본체(1)에서 암(11)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손잡이(16e)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멈춤쇠(16)에 형성된 스프링(16cc)에 의해 손잡이(16e), 돌출부(16b) 및 삽입부(16a)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원터치 형태로 간편하게 탈, 부착하거나 고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100)를 편리하게 이동, 보관하면서 교체,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우수한 경제성 및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암부
11 : 암 12 : 회전익
13 : 연결부
20 : 관절부
21 : 지지판 22 : 결합판
30 : 랜딩장치
31 : 상부케이스 32 : 동력부
33 : 회전축 34 : 슬라이드부
35 : 지지대
100 :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Claims (7)

  1. 본체(1)의 측면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암(11), 상기 암(11)의 타측 끝부분으로 결합되어 본체(1)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익(12), 상기 암(11)의 일측 끝부분으로 형성되어 본체(1)와 암(11)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암(11)의 일측으로 결합되면서 암(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끼움홈(14aa)이 포함되는 걸림축(14a)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14), 상기 제1결합부(14)에 형성된 끼움홈(14aa)에 결합되며 끼움홈(14aa)의 대응되는 지점에 절개면(15aa)이 포함되는 고정축(15a)과 상측으로 이동홀(15b)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15), 상기 제2결합부(15)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고정축(15a)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는 멈춤쇠(16)로 이루어진 연결부(13)로 구성된 암부(10);
    상기 암부(10)에 형성된 암(11)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21), 상기 지지판(21)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판(22)으로 구성된 관절부(20);
    상기 관절부(20)에 형성된 결합판(22)에 결합되는 돌출축(31a)과 슬롯홈(31b)이 형성된 상부케이스(31), 상기 상부케이스(31)의 내부에 위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32), 상기 동력부(3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33), 상기 회전축(33)에 결합되어 회전축(33)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3)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이동부(34a)의 측면으로 이동축(34b)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34),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35)로 구성된 랜딩장치(30);
    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10)에 형성된 멈춤쇠(16)는 상기 제2결합부(15)에 형성된 이동홀(15b)에 끼워져 이동홀(15b)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되는 삽입부(16a), 상기 삽입부(16a)가 고정결합되는 돌출부(16b), 상기 돌출부(16b)의 일측으로 위치되되 스프링(16cc)이 결합되는 스프링축(16c), 상기 제1결합부(14)에 형성된 고정축(15a)에 결합되어 고정축(15a)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하측으로 삽입부(16a)가 결합되고 내측으로 돌출부(16b)와 스프링축(16c)이 위치되는 유격홀(16dd)이 형성되어 돌출부(16b)와 스프링축(16c)이 유격홀(16d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멈춤몸체(16d), 상기 멈춤몸체(16d)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돌출부(16b)에 결합되어 돌출부(16b)와 동시에 움직이는 손잡이(16e)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20)에 형성된 결합판(22)은 지지판(21)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상판(23), 상기 상판(23)의 측면으로 결합되면서 내부로 상기 랜딩장치(30)에 형성된 상부케이스(31)의 돌출축(31a)이 결합되는 축홈(24a)과 상부케이스(31)의 슬롯홈(31b)과 대응되는 슬라이드홈(24b)이 포함되는 측판(24)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30)의 지지대(35)는 상기 상부케이스(31)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36), 상기 결합부재(36)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1다리(37), 상기 제1다리(37)의 하측으로 결합되면서 내측으로 탄성부재(38a)가 포함되는 탄성다리(38b)가 결합되는 제2다리(38), 상기 제2다리(38)의 하측으로 축결합되면서 지면에 밀착되는 받침대(39)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30)에 형성된 결합부재(36)는 상측으로 상부케이스(31)가 고정결합되고 하측으로 제1다리(37)가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36a) 또는 상측으로 상부케이스(31)가 결합되는 바디(36b1), 상기 바디(36b1)의 일측이나 양측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제1다리(37)에 거치되는 고리(36b2), 상기 바디(36b1)와 고리(36b2) 사이에 위치되어 고리(36b2)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36b3)로 구성되는 제2결합부재(36b)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30)에 형성된 결합부재(36)가 제2결합부재(36b)로 형성될 경우, 제1다리(37)에는 고리(36b2)에 거치되는 걸림턱(37a)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20160027932A 2016-03-08 2016-03-08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44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32A KR101644614B1 (ko) 2016-03-08 2016-03-08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932A KR101644614B1 (ko) 2016-03-08 2016-03-08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614B1 true KR101644614B1 (ko) 2016-08-01

Family

ID=5670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932A KR101644614B1 (ko) 2016-03-08 2016-03-08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377A (zh) * 2016-08-09 2016-10-12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无人机起落架收放系统及无人机
CN106275367A (zh) * 2016-11-02 2017-01-04 山东萌萌哒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t支架无人机
KR101857140B1 (ko) 2018-01-11 2018-06-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드론
WO2020135448A1 (zh) * 2018-12-24 2020-07-02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飞行器
KR20210072372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나르마 드론 랜딩 기어
CN113086194A (zh) * 2021-04-17 2021-07-09 合肥市方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回波机载激光扫描数据的智慧城市数据集合系统及方法
KR20220009114A (ko) 2020-07-15 2022-01-24 노원일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53A (ko) * 2014-06-19 2015-12-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멀티콥터
KR200479365Y1 (ko) * 2015-09-01 2016-01-19 주식회사 나라항공기술 농약 용기가 구비된 드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853A (ko) * 2014-06-19 2015-12-3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멀티콥터
KR200479365Y1 (ko) * 2015-09-01 2016-01-19 주식회사 나라항공기술 농약 용기가 구비된 드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377A (zh) * 2016-08-09 2016-10-12 哈尔滨工业大学(威海) 一种无人机起落架收放系统及无人机
CN106275367A (zh) * 2016-11-02 2017-01-04 山东萌萌哒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t支架无人机
KR101857140B1 (ko) 2018-01-11 2018-06-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드론
WO2020135448A1 (zh) * 2018-12-24 2020-07-02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飞行器
KR20210072372A (ko)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나르마 드론 랜딩 기어
KR20220009114A (ko) 2020-07-15 2022-01-24 노원일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CN113086194A (zh) * 2021-04-17 2021-07-09 合肥市方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回波机载激光扫描数据的智慧城市数据集合系统及方法
CN113086194B (zh) * 2021-04-17 2024-02-20 合肥市方升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回波机载激光扫描数据智慧城市数据集合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614B1 (ko)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44612B1 (ko)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US10899441B1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US20200331598A1 (en) Multicopter-assis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 fixed-wing aircraft
KR101527544B1 (ko) 접이식 무인비행기
KR101644618B1 (ko) 원터치 탈, 부착형 무인비행장치
KR101860021B1 (ko)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CA2997790C (en) Compact unmanned rotary aircraft
KR101456035B1 (ko)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의 로터암장치
CN105366048B (zh) 多旋翼无人飞行设备
CN205615703U (zh) 无人机折叠机臂
CN105366032B (zh) 具有折叠组件的无人机
KR101644529B1 (ko) 멀티콥터
US20170241474A1 (en) System and method of rotating rotor blades from a distance
WO2018076470A1 (zh) 无人飞行器
CN209396027U (zh) 一种可折叠无人机
EP3675701B1 (en) Vacuum cleaner tool having a rotatable duct for moving between a use position and storage position on a vacuum cleaner
CN103129740B (zh) 动力舱整流罩的锁闭机构
US20210047023A1 (en) Propeller mounting structure, propeller, power packag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20180091349A (ko) 드론용 에어 드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