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114A -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 Google Patents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114A
KR20220009114A KR1020200087428A KR20200087428A KR20220009114A KR 20220009114 A KR20220009114 A KR 20220009114A KR 1020200087428 A KR1020200087428 A KR 1020200087428A KR 20200087428 A KR20200087428 A KR 20200087428A KR 20220009114 A KR20220009114 A KR 20220009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rone
coupling device
device body
pano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9546B1 (ko
Inventor
노원일
Original Assignee
노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원일 filed Critical 노원일
Priority to KR102020008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09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8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 B64C25/10Undercarriages non-fixed, e.g. jettisonable retractable, foldable, or the like
    • B64C25/18Operating mechanisms
    • B64C25/26Control or locking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06Apparatus mounted on flying objec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B64C2201/12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카메라와 드론의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장치에 복수의 고도측정센서와 카메라보호용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도측정센서의 고도측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작동되면서 카메라와 지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Drone combination device for panoramic shooting camera and drone equipped with it}
본 발명은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카메라와 드론의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장치에 복수의 고도측정센서와 카메라보호용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도측정센서의 고도측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작동되면서 카메라와 지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무인 항공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무인 항공기는 무인 항공기의 소리나 소음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드론(drone)으로 지칭된다. 이하에서는 무인 항공기를 '드론'이라 지칭한다. 드론은 고정익 드론, 프로펠러형 드론 등이 있다.
드론은 초기에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카메라 등을 장착하고 실종자 수색, 산불감시, 차량추적, 각종 설비의 점검, 항공사진 촬영 등에 활용되고 심지어 드론을 활용한 택배도 가능하게 되었다. 드론은 넓은 지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드론은 넓은 지역 내를 이동하면서 특정 대상을 감시하거나 임의의 지역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 촬영에 따라 구성되는 이미지들은 해당 지역의 3D 맵핑 구성에도 이용 가능하다.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어, 드론은 다양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을 통해 위험한 곳, 접근 어려운 곳 등의 촬영이나 감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드론을 이용하여, 지형을 파노라마 기법으로 촬영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지형촬영용 드론은 일반적으로, 드론의 하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가 360°회전하면서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노라마 촬영용 드론은 카메라가 하부에 달려있어, 착륙과정에서 지면과의 충돌로 카메라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주로 손을 이용하여 드론을 이착륙시켰다. 이 과정은 불편함을 초래했을 뿐만 아니라, 드론 날개에 의해 사용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지면 착륙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었다.
해당 분야와 관련된 기술로써, 접이식 다리가 설치된 종래의 드론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4614호에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본체의 측면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암, 상기 암의 타측 끝부분으로 결합되어 본체를 이륙 또는 착륙시킬 수 있는 회전익, 상기 암의 일측 끝부분으로 형성되어 본체와 암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면서 암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끼움홈이 포함되는 걸림축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결합되며 끼움홈의 대응되는 지점에 절개면이 포함되는 고정축과 상측으로 이동홀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이동홀의 일측과 타측으로 이동하는 멈춤쇠로 이루어진 연결부로 구성된 암부; 상기 암부에 형성된 암의 일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된 관절부; 상기 관절부에 형성된 결합판에 결합되는 돌출축과 슬롯홈이 형성된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부, 상기 동력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에서 상, 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의 측면으로 이동축이 형성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된 랜딩장치;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의 하부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접이식 다리에 의해 상기 카메라의 파손 및 사용상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드론은 일반적으로 수상에서 떠오르는 드론도 있고, 거치대에서 떠오르는 드론도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만 착륙용 다리를 필요로 하고 평상시에는 착륙용 다리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착륙형태가 다양한 여러 종류 드론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고도측정센서가 구비되지 않고, 접이식 다리가 수동이기 때문에, 비행 중 다리가 항상 펼쳐져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를 설치하고 촬영할 때, 상기 다리가 카메라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614호(2016.08.01.공고),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와 드론의 사이에 결합되는 결합장치에 복수의 고도측정센서를 설치하고, 복수의 카메라보호용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도측정센서의 고도측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작동되면서 카메라와 지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드론연결부와 카메라연결부가 형성되어 드론과 카메라를 연결하는 결합장치본체; 상기 결합장치본체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보호용다리; 상기 결합장치본체에 결합되어 결합장치본체의 고도정보를 측정하는 고도측정센서 및, 상기 고도측정센서에서 전달된 고도측정정보를 통해 일정 조건 하에 카메라보호용다리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본체에는 카메라보호용다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는 카메라의 크기에 맞춰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도측정센서는 다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고도측정센서가 지면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지면각도를 통해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는, 카메라와 드론의 사이에 결합되며, 복수의 고도측정센서를 설치하고, 복수의 카메라보호용다리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도측정센서의 고도측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작동되면서 카메라와 지면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촬영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카메라의 크기에 맞춰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면각도에 따라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에 카메라가 결합되고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다.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는 드론연결부(102)와 카메라연결부(104)가 형성되어 드론(D)과 카메라(C)를 연결하는 결합장치본체(100)와,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장치본체(1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보호용다리(110);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에 결합되어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측정하는 고도측정센서(120) 및, 상기 고도측정센서(120)에서 전달된 고도측정정보를 통해 일정 조건 하에 카메라보호용다리(100)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장치본체(100)는 상면에 드론연결부(102)가 형성되고, 하면에 카메라연결부(104)가 형성되며, 내측에 제어부와 모터 등을 설치하는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장치본체(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형태라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다. 가장 적절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의 드론연결부(102)에는 드론(D)이 결합되며,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의 카메라연결부(104)에는 카메라(C)가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본체(100)는 드론(D)과 카메라(C) 사이에서 양자 간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론연결부(102)와 카메라연결부(104)는 다양한 실시가 적용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나사산돌기와 나사산홈의 형태로 나타나 있으나, 이 외에도, 드론연결부(102)와 카메라연결부(104)는 나사산돌기, 나사산홈, 강제끼움돌기, 강제끼움홈 또는 고정집게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C)는 지면을 향해 회전하면서 360°로 파노라마 촬영을 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C)는 결합장치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에는 카메라보호용다리(120)가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카메라보호용다리(120)의 수직방향 회동이 안정적으로 이뤄지기 위하여, 결합장치본체(100)에는 카메라보호용다리(120)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0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06)은 결합장치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장치본체(10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장치본체(10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상기 결합장치본체(100)의 내부공간, 즉, 가이드홈(106)의 내측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장치본체(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다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의 착륙시 안정성을 갖도록 최소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적절하게는 4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결합장치본체(10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직육면체 각 측면에 하나씩 형성되어 총 4개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절곡부(1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수평으로 뻗은 드론(D)의 날개축의 밑면에 안정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착륙 시, 지면에 용이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드론(D)의 비행 중에는 결합장치본체(100)에 대해 상측으로 회동되어, 카메라(C)가 지상을 파노라마 촬영하는데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드론(D)의 착륙 시에는 결합장치본체(100)에 대해 하측으로 회동되어, 결합장치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카메라(C)가 지면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결합장치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는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미도시)의 구동은 제어부(미도시)가 담당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고도측정센서(120)로부터 전달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미도시)의 구동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고도측정센서(120)는 결합장치본체(100)에 결합되어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고도측정센서(120)는 결합장치본체(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도측정센서(120)는 레이저 방식을 이용하여 지면에 대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도측정센서(120)는 드론(D)이 하강하면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가 낮아지면, 결합장치본체(100)가 일정 고도 이하로 내려왔음을 제어부(미도시)로 알리고, 제어부(미도시)는 고도측정센서(120)로부터 전달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카메라보호용다리(110)를 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C)가 지면과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드론(D)이 비행하면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가 높아지면, 결합장치본체(100)가 일정 고도 이상으로 상승되었음을 제어부(미도시)로 알리고, 제어부(미도시)는 고도측정센서(120)로부터 전달된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정보를 이용하여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카메라보호용다리(110)를 상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카메라(C)의 지상에 대한 파노라마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드론(D)의 날개축 밑면에 밀착됨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나뭇가지나 전깃줄 등에 걸려 추락하는 사고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C)는 결합장치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결합장치본체(100)의 카메라연결부(104)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지상의 사진 또는 영상을 파노라마로 촬영하기 위하여 결합장치본체(100)의 하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C)는 360°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방향의 회전축과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모두 구비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카메라(C)는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카메라(C)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론(D)은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론(D)은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형태가 일치하도록 직접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시중에 판매되는 것을 사용할 경우, 결합장치본체(100)에 형성되는 드론연결부(102)는 고정집게 형태인 것이 시중의 드론(D)과 결합하기 용이할 것이다.
다만, 상기 드론(D)의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날개축의 개수는 카메라보호용다리(110)와 일치하는 것이 좋은데,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상측으로 회동하여 날개축의 하측면에 접하는 것이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딱히 이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드론(D)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결합장치본체(100)에 결합되는 카메라(C)의 크기에 맞춰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110)에는 카메라사이즈측정센서(11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카메라의 크기에 맞춰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D)이 하강하여, 결합장치본체(100)의 고도측정센서(120)에 의해 고도 측정 정보가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면,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아래쪽으로 회동되기 시작한다. 이때, 카메라사이즈측정센서(114)는 카메라(C)가 설치된 방향을 향해 물체를 감지하기 시작하며, 카메라사이즈측정센서(114)에 의해 특정한 물체, 즉, 카메라(C)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하측으로 조금 더 회동한 다음 작동을 멈춘다.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작은 사이즈의 카메라(C) 크기에 맞춰, 상대적으로 넓은 각도를 갖는 상태로 회동이 멈추게 되면서 안정적인 착지를 도모하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의 사이즈가 클 경우, 카메라보호용다리(110)는 상대적으로 좁은 각도를 갖는 상태로 회동되면서, 카메라(C)의 하측까지 회동되어, 카메라(C)의 파손을 보호하게 된다.
또는, 카메라(C)의 크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C)의 사이즈를 판단하고, 다이얼(미도시)이나, 버튼(미도시) 등을 조작해 카메라(C)의 사이즈를 입력하면, 결합장치본체(100)의 착륙 시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하측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미리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도측정센서(120)는 다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고도측정센서(120)가 지면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전달된 지면각도를 통해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면각도에 따라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도측정센서(120)는 지면으로 레이저 등의 측정 수단을 이용해 지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지면의 각도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각각의 고도측정센서(120)로부터 전송된 지면의 각도 정보를 바탕으로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110)가 회동될 각도를 설정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각도에 따라 카메라보호용다리(110)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론(D)이 경사진 곳에서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 및 기능을 갖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부재 및 카메라(C)가 결합된 드론(D) 또한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상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하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드론(D)을 칭하는 것으로, 이 역시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기술적 사상과 동일한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결합장치본체 102: 드론연결부
104: 카메라연결부 106: 가이드홈
110: 카메라보호용다리 112: 절곡부
114: 카메라사이즈측정센서 120: 고도측정센서
C: 카메라 D: 드론
.

Claims (5)

  1. 드론연결부와 카메라연결부가 형성되어 드론과 카메라를 연결하는 결합장치본체;
    상기 결합장치본체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며, 결합장치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보호용다리;
    상기 결합장치본체에 결합되어 결합장치본체의 고도정보를 측정하는 고도측정센서 및,
    상기 고도측정센서에서 전달된 고도측정정보를 통해 일정 조건 하에 카메라보호용다리의 작동을 명령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본체에는 카메라보호용다리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보호용다리는 카메라의 크기에 맞춰 회동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측정센서는 다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고도측정센서가 지면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전달된 지면각도를 통해 각각의 카메라보호용다리가 회동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5. 제1항의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카메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KR1020200087428A 2020-07-15 2020-07-15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KR10237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28A KR102379546B1 (ko) 2020-07-15 2020-07-15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428A KR102379546B1 (ko) 2020-07-15 2020-07-15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114A true KR20220009114A (ko) 2022-01-24
KR102379546B1 KR102379546B1 (ko) 2022-03-25

Family

ID=80049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428A KR102379546B1 (ko) 2020-07-15 2020-07-15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6662B1 (ja) * 2022-10-31 2023-03-28 樹 堀井 ドローン傾斜着陸装置
CN117533536A (zh) * 2024-01-08 2024-02-09 西安绿环林业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林地调查用全景航拍无人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14B1 (ko) 2016-03-08 2016-08-01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54544B1 (ko) * 2016-03-31 2016-09-06 주식회사 케바드론 착륙 및 보관 기능이 구비된 무인 항공기
JP2019006356A (ja) * 2017-06-28 2019-01-1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飛行体、集荷支援装置、集荷制御方法、集荷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116748A (ko) *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JP2019206333A (ja) * 2017-11-06 2019-12-05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14B1 (ko) 2016-03-08 2016-08-01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원터치형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KR101654544B1 (ko) * 2016-03-31 2016-09-06 주식회사 케바드론 착륙 및 보관 기능이 구비된 무인 항공기
JP2019006356A (ja) * 2017-06-28 2019-01-17 エスゼット ディージェイアイ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z Dji Technology Co.,Ltd 飛行体、集荷支援装置、集荷制御方法、集荷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9206333A (ja) * 2017-11-06 2019-12-05 株式会社エアロネクスト 飛行体及び飛行体の制御方法
KR20190116748A (ko) * 2018-04-05 2019-10-15 (주)비씨디이엔씨 폴딩 가능한 랜딩기어 및 이를 구비한 무진동 짐벌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6662B1 (ja) * 2022-10-31 2023-03-28 樹 堀井 ドローン傾斜着陸装置
CN117533536A (zh) * 2024-01-08 2024-02-09 西安绿环林业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林地调查用全景航拍无人机
CN117533536B (zh) * 2024-01-08 2024-04-19 西安绿环林业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林地调查用全景航拍无人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546B1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9546B1 (ko) 파노라마 촬영 카메라용 드론 결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드론
AU2016352014B2 (en) Unmanned moving vehicle piloting method and unmanned moving vehicle watching device
US11780565B2 (en) Rotary wing aircraft
JP6224061B2 (ja) 水位測定システムおよび水位制御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水位測定方法および水位制御方法
CN108351650B (zh) 一种对飞行器的飞行控制方法、装置及飞行器
US8544788B1 (en) Aerostat assembly
JP6390013B2 (ja) 小型無人飛行機の制御方法
CN105242685B (zh) 一种伴飞无人机航拍系统及方法
WO2014203593A1 (ja) 遠隔操縦無人飛行体の制御システム
JP6539073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飛行ロボット
JP6539072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飛行ロボット
KR101651600B1 (ko)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한 자동 착륙 기능을 갖는 무인 비행용 드론
US1116786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14062789A (ja) 写真計測用カメラ及び航空写真装置
JP2010006089A (ja) ライフライン等の施設の被災、損傷、劣化状況の空撮装置
US20150239557A1 (en) Self balancing airborne observational apparatus
CN104061910A (zh) 基于gps接收器和双摄像机的森林着火点定位方法
CN103730864A (zh) 无人机电力线路巡检的协同控制方法
KR102151353B1 (ko) 굴뚝용 대기오염측정 드론장치
JP4670052B2 (ja) 飛翔ロボット操縦装置および飛翔ロボット操縦方法
KR102135939B1 (ko) 드론 장착용 촬영장치
TWI675680B (zh) 無人機滅火裝置及滅火方法
KR101954748B1 (ko) 목표지점 좌표 추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45635A1 (zh) 一种无人机的可动摄像装置
KR102100111B1 (ko) 고공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