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84B1 - 조립식 드론 - Google Patents

조립식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84B1
KR102274684B1 KR1020200035996A KR20200035996A KR102274684B1 KR 102274684 B1 KR102274684 B1 KR 102274684B1 KR 1020200035996 A KR1020200035996 A KR 1020200035996A KR 20200035996 A KR20200035996 A KR 20200035996A KR 102274684 B1 KR102274684 B1 KR 10227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ody part
coupling
main body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무
차앨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샘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샘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샘코
Priority to KR102020003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06Frames; Stringers; Longerons ; Fuselage sections
    • B64C1/061Frames
    • B64C1/063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e.g. foldable tail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02Undercarriages
    • B64C25/06Undercarriages f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11/00Modular constructions of airplanes or 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드론로써, 보다 상세하게 샤프트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중공으로 너트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측면에 상기 허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암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드론{Detachable drone}
본 발명은 조립식 드론으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드론을 필요에 따라 분리하고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조립식 드론에 관한 것이다.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산불 감시, 물품 배달, 농약 살포 등 점차 사용 분야가 확장되고 일반인들의 취미용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는 드론은 회전익이 장착된 복수 개의 암이 사방으로 뻗어나간 형태의 무인항공기로써, 두 개의 회전익으로 구성되는 듀얼콥터, 세 개의 회전익으로 구성되는 트리콥터, 네 개의 회전익으로 구성되는 쿼드콥터, 여섯 개의 회전익으로 구성되는 헥사콥터, 여덟 개의 회전익으로 구성되는 옥토콥터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듀얼콥터, 트리콥터, 쿼드콥터, 헥사콥터 및 옥토콥터 등은 각각의 형태에 따라 상대적인 장점 및 단점을 가지나 이러한 드론의 구성은 그 형태의 변경이 불가한 것이 일반적이어서 목적 및 용도에 맞는 형태의 드론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형태의 드론을 구비하여야 하며, 동일한 형태의 드론인 경우에도 장착되는 회전익의 크기 및 개수 등에 따라 상대적인 장점 및 단점이 발현되므로 드론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는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결국 구입 비용이 증가 되는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또한, 사방으로 뻗어나간 복수 개의 암은 드론의 크기 및 부피를 확장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드론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저하 시키며, 충돌 등에 의하여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612호의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에는 암부를 원터치 형태로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되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무인비행체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고, 암부의 편리한 탈, 부착을 통해 이동 및 관리의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은 물론, 유지보수 및 교체가 편리하도록 하여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인비행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복수개의 암을 사용자가 하나하나 분리 및 조립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며, 숙련되지 않은 경우 분리하거나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헥사콥터 및 옥토콥터 등과 같이 암의 수가 많아질수록 소요되는 시간은 더욱 증가하게 되기 마련이다. 또한, 사용자는 암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모터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조립해야하고, 조립이 완벽하게 되지 않은 경우 비행에 지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드론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4612호(2016.08.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드론을 필요에 따라 분리하고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고, 비행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조립식 드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에 있어서, 샤프트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중공으로 형성되며, 너트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측면에 상기 허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암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개의 암부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익과 각각의 기저부에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보관 시, 상기 결합부에 의해 회동하여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허브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각각의 측면에 상기 복수개의 암부가 각각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허브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회전익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탠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링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스탠드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하부 일측에 상기 허브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허브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허브를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본체부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보관 시, 복수개의 암부가 결합부에 의해 회동하여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허브를 교체함으로써, 회전익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본체부와 스탠드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휴대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은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 시, 돌출부가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내하고, 회전익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회전익의 회전방향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부, 허브 및 스탠드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암부가 허브를 기준으로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스탠드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허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허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암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비행 시 암부와 허브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보관 시 암부와 허브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의 결합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10)에 있어서, 샤프트(110)가 구비되는 본체부(100)와 중공으로 형성되며, 너트(120)에 의해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되는 허브(200)와 상기 허브(200)의 측면에 상기 허브(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암부(3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탠드(400)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200)를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즉, 종래의 드론과는 달리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10)은 상기 허브(200)를 상기 본체부(100)와 분리하는 것만으로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상기 본체부(100)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내부에는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와 배터리(도면 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하기 회전익(310)을 제어하여 상기 드론(10)이 정상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하기 회전익(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기 회전익(310)의 회전을 제어하며, 상기 배터리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원판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면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10)가 마련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너트(12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를 결합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샤프트(110)는 상기 허브(200)의 중공으로 삽입된 후, 상기 너트(120)가 상기 샤프트(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상기 너트(12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하기 통신부(13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합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샤프트(110)에 상기 허브(200), 너트(120) 및 하기 통신부(130)를 결합하면, 상기 샤프트(11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샤프트(110)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상기 허브(200), 너트(120) 및 하기 통신부(13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는 GPS모듈(도면 미도시) 및 송신부(도면 미도시) 를 구비한 통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30)는 상기 샤프트(1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드론(10)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 또는 상기 사용자의 드론 조정기(도면 미도시)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론 조정기를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하기 회전익(310)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부(130)가 위치정보신호를 송신하면, 상기 드론 조정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론(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샤프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수커넥터(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200)는 상기 허브(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허브(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상기 허브(200)의 상측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암커넥터(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가 결합되면, 상기 수커넥터(140)와 암커넥터(230)가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돌출되어 단을 형성하는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5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15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50)은 상기 수커넥터(14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커넥터(140)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200)는 상기 허브(200)의 하부 일측에 상기 허브(200)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고정홈(2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240)은 상기 돌출부(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응되는 지점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부(151)가 삽입된 경우, 상기 허브(200)가 상기 허브(200)의 외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없이 매끄러운 외주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의 결합 시, 상기 돌출부(151)가 상기 고정홈(24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회전익(310)의 회전방향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가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151)와 고정홈(240)이 맞물리는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를 배열한 상태로 상기 허브(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에 상기 샤프트(110)가 삽입되고 상기 너트(120)가 조여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가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51)와 고정홈(240)이 맞물리는 지점을 기준으로 설정하여, 하기 회전익(310)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하기 회전익(310)이 정상적인 전기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하기 회전익(310)의 정회전과 역회전 설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돌출부(151)와 고정홈(240)을 기준으로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허브(200)의 중공 내주면는 상기 샤프트(110)와 결합되는 나사산(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허브(200)의 하부면에는 상기 프레임(15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도면 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0)와 허브(2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허브(200)가 마련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200)는 중앙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 내에 상기 샤프트(11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본체부(100)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드론(10)의 비행이 필요한 경우, 상기 허브(200)가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드론(10)의 보관 및 이송이 필요한 경우, 상기 허브(200)가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허브(200)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각각의 측면에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가 각각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허브(200)를 교체함으로써, 하기 회전익(310)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허브(200)를 교체함으로써, 하기 회전익(31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드론(10)의 용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허브(200)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드론(10)은 쿼드콥터로 활용할 수 있고, 상기 허브(200)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드론(10)은 헥사콥터로 활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허브(200)를 교체하는 것만으로 듀얼콥터, 트리콥터, 쿼드콥터, 헥사콥터 및 옥토콥터 등을 구현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드론(10)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허브(200)는 상기 허브(200)의 측면의 중앙부에 각각 구비되는 홀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홀부(250)는 하기 회전익(310)과 상기 본체부(100)의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도면 미도시)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홀부(250)는 상기 암부(300)와 허브(200)가 결합된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암부(300)의 지름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는 상기 허브(200)의 측면에 상기 허브(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길이가 긴 막대형상이며, 단면은 원형이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익(310)과 각각의 기저부에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320)를 포함하고, 보관 시, 상기 결합부(320)에 의해 회동하여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결합부(320)와 허브(200)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힌지핀(321)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부(320)와 허브(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롤러핀(322)과 상기 롤러핀(322)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롤러핀(322)을 안내하는 슬롯(323)과 상기 롤러핀(322)을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324) 및 상기 결합부(320)와 허브(200)의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부(32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힌지핀(321)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결합부(320)의 하측 중앙부에 빈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330)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힌지핀(321)은 상기 결합부(320)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힌지핀(321)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부(320)의 양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암부(300)와 허브(200)의 결합 시, 상기 개방부(330)에 하기 플랜지(220)가 놓인 상태에서 상기 힌지핀(321)이 하기 힌지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암부(300)가 상기 허브(20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롤러핀(322)은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힌지핀(321)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슬롯(32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324)에 의해 일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핀(322)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기 수직롤러홀(222) 또는 수평롤러홀(223)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슬롯(323)은 상기 결합부(320)의 양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롤러핀(3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324)는 상기 롤러핀(322)의 중앙부를 측면에서 가압하여, 상기 롤러핀(322)이 상기 힌지핀(321)과 인접한 지점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325)는 상기 결합부(320)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기 걸이부(213)에 걸리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허브(200)는 상기 허브(200)와 암부(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210) 및 플랜지(22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플랜지(220)는 탄성소재로 상기 허브(200)의 각각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220)는 상기 허브(200)의 측면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힌지홀(221)을 포함한다. 즉, 상기 힌지홀(221)은 상기 플랜지(220)의 중심에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홀(221)에는 상기 힌지핀(321)이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220)는 상기 힌지홀(221)의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직롤러홀(222)과 상기 힌지홀(221)의 하부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롤러홀(2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직롤러홀(222)은 상기 허브(200)의 외부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평롤러홀(223)은 상기 허브(200)의 하부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0)는 복수개로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에 각각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암부(300)의 단부를 잡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210)는 상기 허브(200)의 상부면에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지면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이부(213)와 상기 허브(20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걸이부(213)를 지지하는 핀(211)과 상기 걸이부(213)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12)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걸이부(213)는 ‘ㄱ’자 형상으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325)가 상기 걸이부(213)의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암부(300)가 회동하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핀(211)은 상기 허브(200)의 상부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이부(213)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동하거나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212)은 상기 핀(21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걸이부(213)를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이부(213)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회동하거나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212)에 의해 상기 걸이부(213)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설정된 범위만큼 회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드론(10)의 사용시에는, 상기 힌지핀(321)이 상기 힌지홀(221)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핀(322)이 상기 수직롤러홀(222)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부(325)가 상기 걸이부(213)에 걸려 상기 암부(300)가 상기 허브(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핀(321)은 상기 힌지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암부(300)가 상기 힌지핀(321)을 축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롤러핀(322)은 상기 수직롤러홀(222)에 삽입되어 상기 암부(300)가 이동하거나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325)는 상기 걸이부(213)에 걸려 상기 암부(300)가 이동하거나 회동하지 않도록 2차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후, 상기 드론(10)의 보관시에는, 상기 힌지핀(321)이 상기 힌지홀(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핀(322)이 상기 수직롤러홀(222)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걸림부(325)가 상기 걸이부(213)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암부(300)가 상기 힌지핀(321)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롤러핀(322)을 상기 수직롤러홀(222)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탄성부(324)의 탄성력보다 더 큰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플랜지(2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직롤러홀(222)이 변형되어 상기 롤러핀(322)을 상기 수직롤러홀(2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213)를 상기 스프링(212)의 탄성력보다 더 큰 외력을 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325)가 회동하여 상기 걸이부(213)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롤러핀(322)이 상기 수평롤러홀(223)에 삽입되어, 상기 암부(300)가 이동하거나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10)은 상기 드론(10)의 비행 시, 상기 암부(300)를 회동시켜 상기 암부(300)가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보관 시, 상기 결합부(320)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암부(300)가 상기 허브(2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허브(200)와 암부(300)의 종방향 부피를 감소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탠드(400)가 마련된다. 상기 스탠드(4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론(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드론(10)의 착륙 시에도 상기 드론(10)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4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크(410)와 상기 링크(41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420)와 상기 링크(4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4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60)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돌기(420)가 상기 결합홈(16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와 스탠드(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160)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420) 또한 상기 결합홈(160)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에 복수개의 상기 스탠드(400)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드론(10)의 자중에 따라 상기 스탠드(400)를 결합하는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조립식 드론(10)은 상기 허브(200)를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200)를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론(10)은 도 1과 같이 상기 본체부(100), 허브(200) 및 스탠드(400)를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드론(1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며, 도 10과 같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드론(10)의 결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암부(300)를 회동시켜 상기 드론(10)의 종방향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드론(1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드론
100 : 본체부
110 : 샤프트
120 : 너트
130 : 통신부
140 : 수커넥터
150 : 프레임
151 : 돌출부
160 : 결합홈
161 : 버튼부
200 : 허브
210 : 지지부
211 : 핀
212 : 스프링
213 : 걸이부
220 : 플랜지
221 : 힌지홀
222 : 수직롤러홀
223 : 수평롤러홀
230 : 암커넥터
240 : 고정홈
250 : 홀부
300 : 암부
310 : 회전익
320 : 결합부
321 : 힌지핀
322 : 롤러핀
323 : 슬롯
324 : 탄성부
325 : 걸림부
330 : 개방부
400 : 스탠드
410 : 링크
420 : 결합돌기
430 : 발부

Claims (5)

  1. 샤프트;가 구비되는 본체부;
    중공으로 형성되며, 너트;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측면에 상기 허브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암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허브를 상기 본체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암부를 한 번에 상기 본체부에 결합할 수 있어, 결합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되,
    상기 스탠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링크;
    상기 링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링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스탠드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암부는,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익; 및
    각각의 기저부에 상기 허브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보관 시, 상기 결합부에 의해 회동하여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각각의 측면에 상기 복수개의 암부가 각각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허브를 교체함으로써, 상기 회전익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단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브는,
    상기 허브의 하부 일측에 상기 허브의 중심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 시,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부와 허브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드론.
  5. 삭제
KR1020200035996A 2020-03-25 2020-03-25 조립식 드론 KR10227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96A KR102274684B1 (ko) 2020-03-25 2020-03-25 조립식 드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996A KR102274684B1 (ko) 2020-03-25 2020-03-25 조립식 드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84B1 true KR102274684B1 (ko) 2021-07-08

Family

ID=7689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96A KR102274684B1 (ko) 2020-03-25 2020-03-25 조립식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8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45026A1 (en) * 2012-11-28 2014-05-29 Hans Skjersaa Unmanned Aerial Device
US20150232181A1 (en) * 2010-08-26 2015-08-20 Leptron Industrial Robotic Helicopters, Inc. Helicopter with multi-ro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20150259066A1 (en) * 2012-10-19 2015-09-17 Aeryon Labs Inc. Hover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60144954A1 (en) * 2014-11-26 2016-05-26 Skymetro UAV Technology Inc.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44612B1 (ko) 2016-03-08 2016-08-01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US20170152035A1 (en) * 2015-11-30 2017-06-01 Ewatt Technology Co., Ltd. Multi-Rotor Structure Applied to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197703A1 (en) * 2016-01-12 2017-07-13 Zenon Dragan Multi-rotor uav with compact folding rotor arms
US20170369169A1 (en) * 2016-06-24 2017-12-2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ving multi-rotor type rotary wing
US20180155031A1 (en) * 2016-04-29 2018-06-0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for delivering a parcel via a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0008706A1 (ja) * 2018-07-06 2020-01-09 Terra Drone株式会社 情報収集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無人航空機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32181A1 (en) * 2010-08-26 2015-08-20 Leptron Industrial Robotic Helicopters, Inc. Helicopter with multi-rotors and wireless capability
US20150259066A1 (en) * 2012-10-19 2015-09-17 Aeryon Labs Inc. Hovering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40145026A1 (en) * 2012-11-28 2014-05-29 Hans Skjersaa Unmanned Aerial Device
US20160144954A1 (en) * 2014-11-26 2016-05-26 Skymetro UAV Technology Inc.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152035A1 (en) * 2015-11-30 2017-06-01 Ewatt Technology Co., Ltd. Multi-Rotor Structure Applied to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197703A1 (en) * 2016-01-12 2017-07-13 Zenon Dragan Multi-rotor uav with compact folding rotor arms
KR101644612B1 (ko) 2016-03-08 2016-08-01 주식회사 일렉버드유에이브이 원격조정 무인비행장치
US20180155031A1 (en) * 2016-04-29 2018-06-0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for delivering a parcel via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70369169A1 (en) * 2016-06-24 2017-12-28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ving multi-rotor type rotary wing
WO2020008706A1 (ja) * 2018-07-06 2020-01-09 Terra Drone株式会社 情報収集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無人航空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581B2 (en) Multi-rotor UAV with compact folding rotor arms
US10434885B2 (en) Landing platfor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6550715B1 (en) Miniatur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S9121221B2 (en) Cord-winding assembly of a window blind
CN205440846U (zh) 无人机及其机臂折叠机构
US20160009381A1 (en) System for fast fixing an accessory to a drone body
KR101644529B1 (ko) 멀티콥터
EP2772429A1 (en) Four-rotor aircraft
US11299368B2 (en) Self-retracting reel
KR102274684B1 (ko) 조립식 드론
CN109911174A (zh) 一种可快速拆装机翼的固定翼无人机
CN100449152C (zh) 电风扇组件及风扇组装方法
EP3247477B1 (en) A toy comprising a rotor
CN112340001A (zh) 无人机
CN210618461U (zh) 可驻扎于峭壁的无人机
CN208809443U (zh) 陀螺以及磁吸陀尖
WO2019227445A1 (zh) 机架及无人机
CN109088284B (zh) 壁面插座
CN218806708U (zh) 一种共轴无人机的旋翼结构
KR200493040Y1 (ko) 하나의 날개를 가지며 전 방향에서 확인 가능한 신호를 표시하는 드론
KR101220990B1 (ko) 회전 전원공급선을 이용한 전기비행기의 전원공급장치
CN219458222U (zh) 一种便携式弹性转接线
CN107745820A (zh) 一种无人机降落机构
CN114056538B (zh) 全框式球形无人机
CN215155745U (zh) 吊舱快拆结构及无人飞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