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83B1 -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83B1
KR101644183B1 KR1020140002226A KR20140002226A KR101644183B1 KR 101644183 B1 KR101644183 B1 KR 101644183B1 KR 1020140002226 A KR1020140002226 A KR 1020140002226A KR 20140002226 A KR20140002226 A KR 20140002226A KR 101644183 B1 KR101644183 B1 KR 10164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nt
food composition
huangchi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811A (ko
Inventor
김승
박세은
김대원
오하나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황칠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를 들면 고지혈증, 알쯔하이머 질환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고지혈증 등의 노인성 질환의 예방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노인성 질환의 예방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참여기업에 의한 노인 복합 질환 맞춤형 기능성 식품 소재의 대량생산기술 개발에 의한 지역소득원 및 생물산업에 대한 전문인력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senile dimentia comprising Dendropanax morbifera Lev. ex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를 들면 고지혈증, 알쯔하이머 질환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사망률은 고지혈증, 혈전증,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이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질병에 의한 사망률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세계 의약품시장 중 심혈관질환 기표제의 시장규모가 약효군 별로 볼 때 제 1위(약 21%)를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가 되었고, 2018년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14% 이상)에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20% 이상)로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 100명 중 8~9명이 치매 환자이며, 2000년도에 25만명 정도였으나 2011년 말 기준 50만 명으로 12년 사이에 치매 환자가 두 배 증가하였다.
한편, 21세기 생명공학의 발달, 건강에 대한 욕구 증대 등으로 식품에 대한 건강과 안정성 지향이 급속히 강조되면서 식품에 대한 인식이 점점 바뀌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건강기능식품은 의약품과 달리 질병상태의 치료가 목적이 아니라 생체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유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지 시작하였고, 최근 소득증가와 소비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식품에 대하여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각종 자료에서 향후 고령 인구의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단순 수명 연장에서 건강 수명의 증가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심혈관질환과 더불어 산업화로 인한 환경 오염물질의 증가, 스트레스, 노령인구의 증가 등은 이러한 건강 수명에 대한 중요한 화두이다.
현재 완치보다는 증상을 호전시키기 위해 많은 약물이 사용되고 있지만 사용 범위와 시기의 제한성, 부작용 등으로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농촌에서는 현재 농산물의 수입개방으로 인하여 농가에서는 적당한 유망작목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물다양성 협약에 의해 유전 자원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크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직접 혈전에 작용하고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가격의 혈전분해제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5999호(2003.09.26)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을 대상으로 기능성 물질을 탐색하여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황칠나무의 추출물이 노인성 질환의 예방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없음을 발견하고 이것이 노인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건강 식품으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을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에탄올 60~90%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삭제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고지혈증 등의 노인성 질환의 예방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노인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식품으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참여기업에 의한 노인 복합 질환 맞춤형 기능성 식품 소재의 대량생산기술 개발에 의한 지역소득원 및 생물산업에 대한 전문인력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다.
도 1은 황칠 추출물의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의 결과도.
도 2는 황칠 추출물의 TBA 플레이트 에세이의 결과도.
도 3은 고지혈증 유발 쥐에서 황칠 추출물의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을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에탄올 60~90%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삭제
황칠나무는 그 학명이 Dendropanax morbifera Lev.로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는 천연보호림이며,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교목으로 겨울에도 낙엽이 지지 않으며, 세계적으로도 귀한 난지성 수목으로, 우리나라에는 1속 1종 밖에 없으며 서남해안 및 제주도, 진도, 장흥, 완도, 해남, 거제도 등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특히 전라남도가 전국 재배량의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10년생 이상의 수목들이 대량 재배되고 있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예전부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수피에 상처를 주면 수지액이 흘러나오는데 이러한 수지액을 황칠이라 부른다. 그 樹皮에서 나오는 黃漆은 찬란한 금빛을 띄어서 예전부터 황칠은 황제의 갑옷, 금속 장신구 등의 외간을 황금색으로 장식하는 진귀한 도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안식향을 함유하여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탁월한 신비한 나무로 주목을 받아 왔다.
황칠나무는 인간의 질병의 치유 및 예방에 유용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최근 들어 다양한 기능성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전문적인 제품화기술 및 마케팅 지원을 통하여 충분히 건강기능식품 및 웰빙식품으로 고부가가치화 제품을 개발 할 수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황칠나무의 유익한 성분을 노인성 질환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이루어진 것이다.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는 황칠나무 잎을 세척한 후, 60~90% 메탄올에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만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세절한 후, 에탄올 60~90%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거나, 또는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이를 용기에 넣고 황칠나무와 물을 중량을 기준으로 1:1~5중량부로 혼합하여 고압멸균솥에 넣고 95 ~ 125℃의 온도에서 2 ~ 5 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여 농축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물은 천연 식물추출물로서 무독성이고, 항고지혈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고지혈증, 파킨슨 병 등의 예방을 위한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의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노인성 질환의 예방을 위한 식품을 적용할 수 있는 질환으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고지혈증, 알쯔하이머 질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질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그러한 질병, 상태 및 이상으로부터 고통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개인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경구제, 환제, 파우치제, 또는 드링크제 등의 음료수의 형태로 제형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환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 재료를 더블콘 혼합기 등의 혼합기에서 20분 이상 혼합한 후, 연합기를 사용하여 연합하고, 통상의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한 후 약 30℃ 전후에서 건조하고, 이를 코팅하고 포장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팅시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95% 주정에 용해한 후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건조기상에서 30 ± 2℃에서 1 시간 이상 수분 함량 5%이하로 건조하여 포장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의 복용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개인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1캡슐 450mg 당 20mg∼100mg으로 성인 기준으로 1일 6캡슐 복용량으로 할 수 있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범위 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원하는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통상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 또는 감미료, 예를 들면 벌꿀, 맥아, 글리세린, 홍삼, 산수유, 복령, 숙지황, 가시오가피, 동충하초, 자몽 추출물, 감초, 맥류약엽분말, 서양산사자추출물, 세인트존스워트, 셀레늄효모, 비타민 C, 구연산, 니코틴산,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사카린, 펙틴, 말리톨, 솔비톨, 자일리톨, 구아검, 탈지분유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하여 기호도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80% 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의 건조된 잎 3 kg을 70% 메탄올 3 ℓ에 침지하여 1주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만 분리하였다.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황칠추출물 135 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채취한 황칠나무의 잎을 세척 후 건조하여 3kg을 세절한 후, 90% 에탄올 5 리터에 넣고 실온에서 2 주 동안 침출시키고 이를 여과하고, 이 과정을 반복하여 여액을 합한 후 농축시켜 황칠나무 추출물 135g을 분말로 얻었다.
실시예 3: 황칠나무의 잎 추출물의 제조
황칠나무의 잎을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하여 세절한 다음 주정과 1:1~5의 비율로 배합하여 25~ 30℃의 온도에서 일주일 동안 침출시켜 황칠나무 추출액을 얻었다.
실시예 4: 건강식품 제제
제형의 형태(정제)
황칠나무 추출물(실시예 1) 10 mg
락토오스 60 mg
전분 15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5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mg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는 그 예를 상기에 나타낸 정제의 유효 성분으로써 상기 건강 식품의 용도이다.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통상의 장용성 피복(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당코팅 또는 피막 코팅을 갖는 정제 또는 연질캅셀 형태이다.
실시예 5: 환제 제조
실시예 1의 황칠 추출분말 5%(이하, 중량기준), 꿀 31%, 맥아분말 14.95%, 글리세린 11%, 홍삼분말 10%, 산수유분말 7%, 복령분말 7%, 가시오가피분말 7%, 숙지황농축액 5%, 동충하초분말 2% 및 자몽종자추출물 0.05%을 더블콘 혼합기에서 25분 동안 혼합한 후, 연합기를 사용하여 연합하고,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한 후 약 30℃ 전후에서 건조하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95% 주정에 용해한 후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고, 건조기 상에서 30 ± 2℃에서 1 시간 동안 수분 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포장(PS)하여 내용량이 3.5g인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음료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황칠추출물 100 g에 구연산 20g, 아스파탐 17 g 및 비타민 C 30 g을 첨가한 후 나머지를 정제수로 첨가하여 음료수 10 ℓ를 제조하여 저온 살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음료수는 종래의 음료수 제품과 입안 감촉, 맛 그리고 종합평가 면에서 양호한 반응을 얻었다.
실시예 7: 단백질 정량
실시예 1에 따른 황칠추출물의 단백질 정량은 공지된 Lowry 등의 방법에 의한 BCA 단백질정량 kit (Pierce Co.,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표준 단백질은 소혈청알부민(BSA)을 사용하였다. 에탄올을 이용한 황칠 추출물은 1.108㎍/㎕의 단백질 밀도(protein density)를 보였다.
실시예 8: 급성 독성 시험
실시예 1에 따른 황칠추출물의 실험동물에 대한 독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실험용동물은 4, 5주령의 체중 105±4g의 수컷과 95±3g의 암컷의 SD계 래트 60 마리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추출물과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상기 래트들을 온도 22±2℃, 상대습도 53±2% 및 형광등 조명(09:00 점등-18:00 소등)의 명암사이클, 150-300 Lux의 조도 조건을 갖춘 실험실 사육 상자에서 약 1주일 정도의 기간에 걸쳐 순화시킨 다음, 건강한 동물들만을 선택하여 평균 체중이 일치하도록 각 군으로 나누고 일일 1회 20ml/kg의 양으로 14일 동안 강제 경구투여한 다음,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에 관하여 점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험기간 동안 체중에 있어서 5% 이내의 변화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시료의 양을 시험동물에 투여가능한 최대량인 kg당 20ml의 최고 농도를 선정하였음에도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아 개략의 치사량 산출은 불가하였으므로 LD50은 20ml/kg B.W.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이한 일반증상이나 부검시 특이한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상기 조성물은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9: 혈액 클롯 분해 분석
혈액을 공급받아 미리 질량을 측정해놓은 여러 개의 튜브에 각각 0.5 ml씩 담고 37℃에서 45분 동안 반응시켜 클롯을 형성하고, 클롯을 형성시킨 후 혈청 층을 완전히 제거하고 클롯 질량 측정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의 황칠 추출물을 반응시켜 혈액 클롯 분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황칠 추출물의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의 결과도이다. 대조군은 인산염 완충액만을 포함한 것이고, 황칠 추출물은 100 μg을 포함하였다.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에서 황칠 추출물 100 μg이 피브린 클롯을 약 65 % 분해시켰다. 마우스 혈액 클롯을 이용한 in vitro 실험결과를 통해 황칠 추출물의 마우스의 혈액에서 형성된 클롯을 직접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혈전분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지질분해 효과
(1) TBA 플레이트 에세이
실시예 1의 황칠 추출물 10 μl을 트리부티린 0.1 ml 및 아가 0.1 g을 포함하는 TBA(tributyrin agar) 플레이트에 3mm 환을 만들어 침적시킨 후 37 ℃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후 황칠추출물이 분해시킨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황칠 추출물의 TBA(tributyrin agar) 플레이트 에세이를 수행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황칠 추출물의 TBA 플레이트 에세이의 결과도이다. 완충액은 인산염 완충액만을 함유한 것이고, 황칠 추출물은 10 μg을 포함하였다. 위 결과로 부터 황칠 추출물 10 μg은 지질을 분해시켜 환 주위에 clean zo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황칠 추출물이 지질 성분을 직접적으로 분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지질분해효소 합성기질을 이용한 지질 분해 활성 에세이
효소 활성측정은 4-nirtophenyl palmitate, 4-nitrophenyl butryrate를 사용한 colorimetric 방법(Stuer et al., 1986)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의 황칠 추출물 1 mg을 1 ml의 50 mM 인산염 완충액(pH 6.0)에 녹이고 10 μl의 기질 용액(2-propanol에 녹인 100 mM p-nitrophenyl butyrate(pNPB))을 첨가한 후 10분 동안 30 ℃에서 반응시켰다. 2000 g로 4 ℃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지질분해효소 활성은 생성된 p-nitrophenol의 양을 410 nm에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효소 1 unit의 정의는 1분당 1 μM의 p-nitrophenol을 생산하는 효소의 양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질 지질분해 활성(mU/ml)
p-nitrophenyl butyrate 6860
p-nitrophynyl palmitate 99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황칠 추출물은 p-nitrophenyl butyrate 기질에서는 6860 mU/ml, p-nitrophynyl palmitate 기질에서는 990 mU/ml의 지질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을 통해 황칠 추출물이 지질 성분을 직접적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리파아제와 같은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각 기질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3) 효소 분석
4-nirtophenyl palmitate, 4-nitrophenyl butryrate의 기질들을 이용하였고 Hanes-Woolf plot과 Woolf-Augustinsson-hofstee plot을 이용하여 Vmax (mU/min/ml), Km (μM), Kcat (s-1), Kcat/Km (μM-1 s-1)을 산출하였다. 황칠 추출물 100 μg을 100 μl의 50 mM 인산염 완충액(pH 6.0)에 녹이고 1 μl의 기질 용액(2-propanol에 녹인 10 mM p-nitrophenyl butyrate(pNPB))을 첨가한 후 10분 동안 410 nm에서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기질 Vmax
(mU/min/ml)
Km
(μM)
Kcat
(s-1)
Kcat/Km (μM-1s-1)
p-nitrophenyl butyrate 6860 1580 171.5 0.1085
p-nitrophynyl palmitate 990 3880 24.75 0.0064
운동 변수는 Hanes-Woolf plot 및 Woolf-Augustinsson-hofstee plot 분석에 의해 얻었다. Km 및 Vmax는 각각 plot x 및 y intercepts로 부터 계산하였다. 촉매 속도 상수(Kcat)는 식 Vmax/[Eo]로 부터 유도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로 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황칠 추출물(100 μg)은 각 기질에서 Vmax, Km, Kcat, Kcat/Km 값을 확인하였으며 그 수치는 각 기질에서 p-nitrophenyl butyrate (6860 mU/min/ml, 1580 μM, 171.5 s-1, 0.1085 μM-1s-1), p-nitrophynyl palmitate (990 mU/min/ml, 3880 μM, 24.75 s-1, 0.0064 μM-1s-1) 의 효소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11: 항고지혈효과 시험
실험동물 랫트의 꼬리 정맥을 통해 채혈하고, 채혈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 정도 방치 후, 3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 시까지 -30℃에 보관하였다. Total cholesterol (총 콜레스테롤), TG (중성지방), HDL-C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VLDL-C(초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를 측정하여 항고지혈증 효과를 분석하고 Friedewald 식을 이용한 농도계산법으로 분석하였다.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랫트에 황칠추출물 원료를 첨가한 사료를 식이시켜 항고지혈증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고지혈증 유발 쥐에서 황칠 추출물의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C는 대조군으로서, 정상 랫트의 혈장이고, NC는 음성 대조군으로서 고지혈증 유발 쥐의 혈장이며, 샘플은 실험군으로서 황칠 추출물 (1 mg)을 공급한 고지혈증 유발한 랫트의 혈장이다.
도 3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사료만 식이시킨 control group (N, 일반식이)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는 107 mg/dL, HDL-cholestero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74.9 mg/dL, LDL-cholestero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10.7 mg/dL, VLDL-cholesterol (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21.4 mg/dL, TG (중성지방) 수치는 106.9 mg/dL로 측정되었다.
High-cholesterol 사료만 식이시킨 negative control group (NC, 고지혈증 유발 그룹)의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130.4 mg/dL, HDL수치는 68.9 mg/dL, LDL수치는 34 mg/dL, VLDL수치는 27.5 mg/dL, TG (중성지방) 수치는 118.9 mg/dL로 측정되었다. 이에 일반사료만 식이시킨 Normal group의 총콜레스테롤, HDL, LDL, VLDL, TG를 비교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약 21.9 % 증가하였고 HDL은 약 8 % 감소하였다. 또한, LDL은 약 317.8 배 증가하였고 VLDL와 TG는 25 %, 18 % 증가하였다.
고지혈증이 유발된 랫트에 황칠추출물 원료를 첨가한 사료를 식이 시킨 sample group의 결과에서 총콜레스테롤수치는 113.3 mg/dL, HDL수치는 70.3 mg/dL, LDL수치는 24.2 mg/dL, VLDL수치는 18.8 mg/dL, TG수치는 93.9 mg/dL로 측정되었다. 이에 일반사료를 식이시킨 control group 및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식이시킨 negative control group과 총콜레스테롤, HDL, LDL, VLDL, TG를 비교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VLDL, TG 수치는 정상수치로 회복되었고, LDL은 34 mg/dL에서 24.2 mg/dL로 다소 저하되었으며, 또한, 총콜레스테롤 및 HDL수치도 다소 저하되어 황칠추출물의 식이에 의한 회복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I(동맥경화 지수, Atherogenic index, (총콜레스테롤 - HD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HDL/LDL ratio, TC/HDL ratio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리스트 C NC 샘플
AI 0.4 0.9 0.6
총 콜레스테롤/HDL 비 1.43 1.89 1.61
HDL/LDL 비 6.97 2.03 2.9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랫트에 황칠추출물 원료를 첨가한 사료를 14일 동안 식이시킨 결과, 5 가지 모든 항목의 결과에서 혈행개선 효과(고지혈증 예방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 Total cholesterol/HDL ratio와 HDL/LDL ratio의 수치에서도 항고지혈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현재, 국내의 경우도 농촌 노동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휴경하는 논이 늘고 있는데 위와 같은 효능을 갖는 황칠 수액 등을 이용한 제품 다양화 기술을 연구하여 천연자원을 이용한 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면, 농가 소득의 향상은 물론 농수산물 수입 개방에 따른 국제 경쟁력 제고에도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리 고유의 천연물질인 황칠의 기능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황칠이 목재, 섬유, 화장품, 약품 등 다양한 재료에 응용될 수 있는 신기능성물질로서 개발된다면 농가소득증대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훌륭한 유망 작목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항고지혈 효과 검증가 검증됨으로써 건강지향성 식품에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발된 황칠 추출물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60대 이후의 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지향성 실버푸드 제품 개발하고, 퇴행성 신체기능의 예방, 억제 등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으로 활용하고, 노인성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부작용 없이 지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예방 중심의 헬쓰케어 산업에도 활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지역 참여기업에 의한 노인 복합 질환 맞춤형 기능성 식품 소재의 대량생산기술 개발에 의한 지역소득원 및 생물산업에 대한 전문인력의 고용 창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황칠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은
    황칠나무 잎 3 kg을 세척한 후, 60~90% 메탄올 3 ℓ에 침지시킨 후 3일 내지 15일 동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거나,
    채취한 황칠나무 잎을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하여 3kg을 세절한 후, 60~90% 에탄올 5 ℓ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1~3 주 동안 방치한 후 추출액을 분리하고, 얻은 추출액을 증발하여 농축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경구제, 환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또는 음료수의 형태인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140002226A 2014-01-08 2014-01-08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644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26A KR101644183B1 (ko) 2014-01-08 2014-01-08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226A KR101644183B1 (ko) 2014-01-08 2014-01-08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11A KR20150082811A (ko) 2015-07-16
KR101644183B1 true KR101644183B1 (ko) 2016-07-29

Family

ID=5388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226A KR101644183B1 (ko) 2014-01-08 2014-01-08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04A (ko) 2018-11-28 2020-06-08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KR102165106B1 (ko) * 2019-04-05 2020-10-14 정혜린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5955A (ko) 2021-11-23 2023-05-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이용율이 향상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의 약학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386B1 (ko) * 2020-08-25 2022-08-03 윤경식 항산화제가 풍부하면서 콜레스테롤이 낮은 란을 얻을 수 있는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19B1 (ko) * 1998-06-30 2002-07-03 박호군 항암활성을가지는황칠나무추출물
KR100457970B1 (ko) 2002-03-22 2004-11-18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분획물 및 이를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0494482B1 (ko) * 2002-04-02 2005-06-10 주식회사 디피바이오텍 간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KR101077523B1 (ko) * 2009-12-15 2011-10-27 한국인스팜(주)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059128A (ko) * 2011-11-28 2013-06-05 이종수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PPAR α, γ 및 δ 활성물질 및 그 추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204A (ko) 2018-11-28 2020-06-08 농업회사법인 휴림황칠(주)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조성물
KR102165106B1 (ko) * 2019-04-05 2020-10-14 정혜린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변비 질환 개선용 환제 또는 과립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75955A (ko) 2021-11-23 2023-05-3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이용율이 향상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의 약학 제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11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akash et al. Acerola, an untapped functional superfruit: a review on latest frontiers
Soejarto et al. Tropical rain forests: potential source of new drugs?
Dixit et al. Medicinal properties of Moringa oleifera: A review
KR101697146B1 (ko) 큰엉겅퀴로부터 실리마린의 고효율 추출하는 방법
Sahu et al. Cucumis sativus (cucumber): A review on its pharmacological activity
KR101644183B1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예방용 식품 조성물
CN104982928A (zh) 一种红豆杉果保健酵素及其制备方法
Sulieman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varieties of tamarind (Tamarindus indica L), Sudan
Nyamien et al. Caffeine and phenolic compounds in Cola nitida (Vent.) Schott and Endl and Garcinia kola Heckel grown in Côte d'Ivoire
KR101253658B1 (ko) 팽화 발효 홍삼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507651B1 (ko) 전통주 효모 함유 천연발효효소복합액을 이용한 숙취해소, 알콜성간질환 또는 간기능 개선용 멀꿀발효물과 그 제조방법
KR20170015618A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기능성 주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60066718A (ko) 헛개나무 줄기와 열매를 포함하는 모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84821B (zh) 一种含红景天苷的植物的栽培方法及应用
EP2734215B1 (en) Improved process for pygeum extraction
Patra et al. Nutritional and antinutritional properties of Carissa carandas and Cordia dichotoma, two medicinally important wild edible fruits of Odisha
Ishwah et al. Nutritional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Raw and Boiled Hypocotyls of African Fan Palm (Borassus aethiopum)
KR20160095738A (ko) 황칠 발효 식초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Moirangthem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studies of leaf of Brassica juncea var. rugosa through sequential solvent extraction
KR101693752B1 (ko) 발효 도라지 사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8514A (ko) 목본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2526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Obianime et al. The phytoconstituents and the comparativ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Irvingia gabonensis seeds and proviron on the biochemical parameters of male guinea pi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