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131B1 -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 Google Patents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131B1
KR101644131B1 KR1020130085542A KR20130085542A KR101644131B1 KR 101644131 B1 KR101644131 B1 KR 101644131B1 KR 1020130085542 A KR1020130085542 A KR 1020130085542A KR 20130085542 A KR20130085542 A KR 20130085542A KR 101644131 B1 KR101644131 B1 KR 10164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group
temperature
composition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4684A (ko
Inventor
이승현
토마스 찰스 서터
크리슈나 발랑트라푸
엘리쎄 라고드킨
조지 라일스 아텐스
엔리크 다니엘 고메즈
키아라쉬 바흐쇼우리
Original Assignee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더 펜 스테이트 리서어치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더 펜 스테이트 리서어치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롬 앤드 하스 일렉트로닉 머트어리얼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3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1/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polysulf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3Hetero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sulfur or selene, e.g. polythioph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Abstract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용융된 후,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고; 용융 공정 및 동일한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으로 결정화된 다른 동일한 조성물의 결정도량의 최소 2배량의 결정도를 가지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티오펜 및 올리고티오펜/폴리티오펜 혼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도성 유기 폴리머 및 반전도성(semiconducting) 유기 폴리머는 태양 전지와 더불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예: 컴퓨터, 텔레비젼 세트 등) 등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가요성(flexible) 및 비가요성(non-flexible) 기판을 갖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형태로 이들 디바이스에 사용된다.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및 롤-투-롤(roll-to-roll) 프린팅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용이한 제작의 조합, 용액-공정용(solution-processable) 전도성 및 반전도성 폴리머의 기계적 가요성과 순조로운 전하 이동성은 전자기기 산업을 변형시키는 잠재성을 지닌다. 디지털 전자기기에 폴리머를 적용함에 있어서의 과제는, 다수의 공액 폴리머(conjugated polymer)의 반결정성(semi-crystalline) 성질로 인해 내재하는 폴리머 필름의 전기적 특성의 복잡성이다.
반전도성 공액 폴리머 내의 전자 이동성은 사슬내(intrachain) 및 사슬간(interchain) 전하 운반체 호핑 이벤트(hopping event)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전하 운반체는 π-π 스태킹(stacking)과 같은 분자간 오버래핑 전자 밀집구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사슬 사이를 호핑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하 운반체 이동성은 박막 구조의 다양한 측면, 예컨대, 유닛 셀에서 결정도, 결정의 배향, 전자 구름 오버랩 및 폴리머의 질서 있는 영역 간의 연결성에 의존한다.
반전도성 폴리머 막 내에서 전하 운반을 제한하는 요소 중 하나는 타이 사슬(tie chain)이다. 타이 사슬은 폴리머의 인접한 결정 영역으로 연결하기 위해 무정형 영역(amorphous region)을 메우는 폴리머 사슬이다. 따라서, 운반체 이동성 및 전하 호핑 이벤트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결정도의 양을 증가시키고 타이 사슬의 수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발명은 위치규칙적(regioregular) 폴리알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용융된 후,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고; 용융 공정 및 동일한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으로 결정화된 다른 동일한 조성물의 결정도량의 최소 2배의 결정도량을 갖는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발명은,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용매에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용액을 기판상에 분포시키는 단계;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용융시키는 단계; 및 용융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유리전이온도와 융점 사이의 온도로 퀀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막 제조 방법이다.
본원의 위치규칙적(regioregular) 폴리알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결정도가 높고 전자 이동성이 양호하며, 이러한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은 가요성이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에 유용하다.
도 1은 두 상이한 퀀칭(결정화) 온도(각각 100 및 150 ℃)에서 (a) 위치규칙적 폴리(3-헥실티오펜-2,5-디일) (P3HT) 및 (b) 폴리[2,5-비스(3-헥사데실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 (PBTTT)의 등온 결정화(isothermal crystallization)를 나타내는 결정도 대 퀀칭 시간의 그래프이다.
도 2는 (a) P3HT 및 (b) PBTTT로부터 제조되는 TFT에 대한 소스-드레인(source-drain) 전류 대 게이트 전압(gate voltage)의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퀀칭 시간의 함수로 두 상이한 온도(100 및 150 ℃)에서 퀀칭된 (a) P3HT 및 (b) PBTTT 막의 홀 이동성(hole mobility)을 나타내는 4개의 그래프이다. 홀 이동성은 (c) P3HT 및 (d) PBTTT 막에 대한 도 1의 데이터에서 결정되었듯이 결정도의 상대도(relative degree)의 작용이다. 결정도는 각 폴리머에서 관찰된 가장 높은 결정도로 정규화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및"과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전이 용어 "포함하는"은 전이 용어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및 "구성되는"을 포괄하고, "포함하는"으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을 개시한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 (PAT),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 (PBTTT), 또는 이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펜)은 위치규칙적 폴리(3-헥실티오펜) (P3HT)을 포함하고,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은 폴리[2,5-비스(3-헥사데실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는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의 결정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상기 방법은 폴리머 막을 용융시키고, 이어서 용융된 폴리머 막을 융점 아래의 상이한 온도로 퀀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로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로 폴리머 막을 퀀칭한다. 이것들을 5 내지 1000초간 상기 온도로 어닐링한다.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폴리머 막을 용융 온도의 100 내지 175 ℃ 아래의 온도로 퀀칭하고, 이것들을 상기 온도에서 5 내지 1000초간 어닐링한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퍼센트 결정도는 결정화의 다른 방법에서 보고된 것보다 적어도 50%가 높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용융 단계 및 동일한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방법으로 결정화된 다른 동일한 조성물의 결정도량의 적어도 2배의 결정도량을 갖는다. 이러한 고결정성 샘플은 높은 수준의 전자 이동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박막 트랜지스터에 유용하게 한다. 전도성 및 반전도성 폴리머가 가요성이기 때문에, 이들을 가요성 또는 비가요성 기판에 분포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다양한 다른 응용분야에 유용하게 된다.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은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올리고머;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호모폴리머;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올리고머, 폴리티오펜 호모폴리머 또는 폴리티오펜 이오노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갖는 폴리티오펜 코폴리머; 폴리티오펜 이오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다른 전기 전도성 폴리머 또는 다른 전기 절연성 폴리머들과 공중합될 수 있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코폴리머는 블록 코폴리머, 교대(alternating) 코폴리머, 교대 블록 코폴리머, 스타(star) 블록 코폴리머, 또는 이들 폴리티오펜 코폴리머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배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호모폴리머는 일반적으로 몰당 10,000 그램 이상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올리고머는 몰당 10,000 그램 미만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다.
위치규칙적 폴리머는 각 반복 유닛이 모노머의 동일한 이성체로부터 유래되는 것들이다.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3-치환 티오펜의 중합 또는 다르게 3-위치에서 폴리티오펜을 치환함으로써 유래된다. 3-치환 티오펜의 비대칭은 2개의 모노머가 2- 및 5-위치 사이에 연결된 경우 3개의 커플링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들은 2,5' 또는 헤드-태일(head-tail) (HT) 커플링, 2,2' 또는 헤드-헤드 (HH) 커플링 또는 5,5' 또는 태일-태일 (TT) 커플링이다. 이 3개의 커플링은 하기 화학식 (I) 내지 (IV)에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구별되는 트라이어드(triad)를 이룬다.
하기 구조식 (I)은 HT-HT 커플링을 갖고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1
(I),
하기 구조식 (II)는 HH-TH 커플링을 가지며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2
(II),
하기 구조식 (III)은 HH-TT 커플링을 갖고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3
(III),
하기 구조식 (IV)는 TT-HT 커플링을 갖는다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4
(IV).
상기 식에서, R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다. 적절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그룹은 식 -(R3O)p-를 갖는 것들로서, 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 1 내지 50이다. 예시적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그룹,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그룹, 폴리부틸렌옥사이드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모든 HH 구조, 모든 TT 구조, 모든 HT 또는 모든 T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폴리티오펜에 나타난 바와 같이 HH 또는 TT 구조가 HT 또는 TH 구조에 결합되는 경우, 적어도 HH, TT, HT 또는 TH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2 블록과 공중합되는 HH, TT, HT 또는 TH 구조 중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블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은 적어도 5 이상의 반복 유닛을 갖고, 제 1 블록에 포함되는 구조는 제 2 블록에 포함되는 구조와 동일하지 않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갖는 폴리알킬티오펜이다: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5
(V)
상기 식에서, R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다. 적절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그룹은 식 -(R3O)p-를 갖는 것들로서, 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 1 내지 50이다. 예시적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그룹,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그룹, 폴리부틸렌옥사이드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일 구체예로서, R은 2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R은 헥실 그룹이고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은 폴리(3-헥실티오펜)이다. 화학식 (V)에 있어서, n은 5 내지 10,000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학식 (V)의 폴리알킬티오펜은 다른 전기 절연성 폴리머와 공중합하여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전기 절연성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아세탈,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릴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설폰,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케톤 케톤, 폴리벤족사졸, 폴리프탈리드, 폴리아세탈, 폴리무수물,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티오에테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케톤, 폴리비닐 할라이드, 폴리비닐 니트릴, 폴리비닐 에스테르, 폴리설포네이트, 폴리설파이드, 폴리티오에스테르, 폴리설폰, 폴리설폰아미드, 폴리우레아, 폴리포스파진, 폴리실라잔 등 또는 이들 전기 절연성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들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하기 화학식 (VI)의 구조를 갖는 폴리알킬티오펜의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6
(VI)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다. 적절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그룹은 식 -(R3O)p-를 갖는 것들로서, 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 1 내지 50이다. 예시적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그룹,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그룹, 폴리부틸렌옥사이드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VI)에 있어서, n은 5 내지 1000이고 m은 5 내지 1000이다. n 대 m의 비는 100:1 내지 5:1 및 1:5 내지 1:100로 변할 수 있다. 화학식 (VI)의 블록 코폴리머는 디블록, 트리블록 또는 교대 블록 코폴리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로서, R1 및 R2은 헥실 그룹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R1은 헥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이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은 하기 화학식 (VII)의 구조를 갖는 폴리알킬티오펜의 교대 코폴리머일 수 있다: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7
(VII)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다. 적절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그룹은 식 -(R3O)p-를 갖는 것들로서, 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 1 내지 50이다. 예시적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그룹,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그룹, 폴리부틸렌옥사이드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VII)에 있어서, n은 5 내지 10,000이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로서, R1 및 R2는 헥실 그룹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R1은 헥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이다.
다른 구체예로서,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VIII)의 구조를 갖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포함한다.
Figure 112013065408281-pat00008
(VIII)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다. 적절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그룹은 식 -(R3O)p-를 갖는 것들로서, 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며, 바람직하게 1 내지 50이다. 예시적인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그룹,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그룹, 폴리부틸렌옥사이드 그룹,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화학식 (VIII)에 있어서, n은 5 내지 10,000이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로서, R1 및 R2는 헥실 그룹이다.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로서, R1은 헥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이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은 몰당 10,000 내지 100,00 그램, 바람직하게 몰당 25,000 내지 75,000 그램, 보다 바람직하게 몰당 45,000 내지 55,000 그램의 수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로서,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또는 반전도성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우선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적절한 온도에서 용매에 용해시킨다. 용매는 임의의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즉, 용매는 무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용해시키기에 적합한 용매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카복실 에스테르; 클로로하이드로카본, 지방족 또는 아르알리파틱 에테르, 또는 이들 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이다. 효과적인 용매의 예로는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등 또는 이들 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들 수 있다.
용매 내의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중량 퍼센트는,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 및 용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wt%이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 및 용매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2 내지 30시간 동안, 바람직하게 4 내지 30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 8 내지 14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60 내지 100 ℃의 상승된 온도에서 5 내지 120분간 교반하고, 캐스팅(casting)한다.
상기 상승된 온도는 일반적으로 용매의 기화 온도 미만이고,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분해 온도 미만이다.
이어서, 현재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기판 상에 분포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다. 폴리머는,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래이 코팅(spray coating), 스핀 캐스팅(spin casting), 커튼 코팅(curtain coating), 닥터-블레이딩(doctor-blading), 또는 이들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조합한 방법으로 기판 상에 분포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스핀 캐스팅으로 기판 상에 분포시킨다. 스핀 캐스팅은 30초 내지 5분간, 바람직하게 45초 내지 90초간, 500 내지 5,000 rpm(분당 회전), 바람직하게 750 내지 1,250 rpm의 속도로 수행한다.
기판은 실리콘 기판, 쿼츠 기판, 폴리머 기판 등이다. 이어서, 스핀 캐스팅된 막을 갖는 기판을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융점을 넘는 온도로 30초 내지 5분간, 바람직하게 45초 내지 2분간 가열하여,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용융시킨다.
이어서, 용융된 스핀 캐스팅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각각의 폴리티오펜의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로 퀀칭한다. 폴리(3-헥실티오펜)에 대하여 유리전이온도는 0 ℃이고, 용융 온도는 230 ℃이다. 이어서, 용융된 스핀 캐스팅된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융점의 50 내지 175 ℃, 바람직하게 75 내지 160 ℃ 아래의 온도로 퀀칭한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의 가열 및 퀀칭은 불활성 가스 또는 불활성 가스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대기에서 실시한다. 퀀칭은 초당 20 ℃ 내지 40 ℃의 속도로 수행한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으로부터 제조된 결정성 박막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에 사용된다. 일 구체예로서, 이들 박막을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이 포함된 기판 상에 분포시켜 박막 트랜지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규칙적 폴리티오펜 및/또는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알킬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을 사용하여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는 디스플레이 응용분야, 태양 전지, 광전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정성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저렴하고, 다른 공지의 방법보다 높은 수준의 결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저전력 소비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이와 같은 결정성 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용융 및 그 후의 퀀칭과 어닐링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유사한 막보다 적어도 50%, 바람직하게 적어도 75% 및 보다 상세하게 적어도 100% 우수한 결정성 수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로서 예시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고결정성 샘플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 상업적 및 과학문헌으로부터 입수가능한 다른 유사 결정성 생성물과 결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시예는 또한 상술된 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는 고수준의 결정도를 보인다. 전기 특성이 또한 하기에 설명되는 하부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위치규칙적 폴리(3-헥실티오펜-2,5-디일) (P3HT) (96% H-T 위치규칙적, Mn (수평균분자량) = 50 kg/mol, 다분산도 = 2.0, Merck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 및 위치규칙적 폴리[2,5-비스(3-헥사데실티오펜-2-일)티에노(3,2-b)티오펜] (PBTTT) (Mn = 50 kg/mol, 다분산도 = 1.9, Merck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의 용액을 N2 글로브 박스에서 무수 클로로벤젠 (Sigma-Aldrich)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P3HT을 사용하여 제조된 용액을 최소 12 시간동안 교반하고, 사용전에 완전히 용해되도록 30초동안 75 ℃로 가열하였다. PBTTT가 클로로벤젠에 용해되도록 하기 위해, 용액을 12시간 교반 후 5분간 90 ℃로 가열하였다. 10 mg/mL 용액으로부터 필름을 1분동안 1000 rpm으로 기판상에 스피닝하였다. 기판은 실리콘 (Si) 웨이퍼 기판으로 구성되었다.
X-선 회절 (XRD) 실험을 이용하여 상대 결정도를 측정하였다. 실리콘 (100) 웨이퍼 기판 (Silicon Sense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을 아세톤 및 이소프로판올 알콜에서 각각 20분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세정한 후, UV-O 세정을 10분간 행하였다. X-선 측정을 펜실베니아 주립 대학의 재료특성화 실험실에서 2 차원 검출기를 이용하여 Rigaku DMAX-Rapid 마이크로 회절계로 수행하였다. x-선 파장, λ는 1.54Å이었다. 데이터 수집동안 샘플을 록킹(rocking) (+/- 0.2o)하고, P3HT에 대해 (100) 피크 및 PBTTT 샘플에 대해 (200) 피크를 유지하여 록킹 곡선을 얻었다. +/- 0.019 Å-1q 창 (q = 4π Sin(Θ/2)/λ)으로 적분하여 강도를 방위각 (Θ) 함수로서 얻었다. 해당 브래그 피크에서 멀리 있는 강도를 사용하여 록킹 곡선 데이터에서 선형 백그라운드를 제하였다.
게이트 유전체 (캐패시턴스 = 10.6 nF/Cm2, Process Specialties사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로서 300 nm-두께의 열적으로 성장시킨 실리카 (SiO2) 층과 게이트 전극으로서 고농도 도핑된 p-형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여 하부-접촉, 하부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였다. 웨이퍼를 아세톤에서 20분 초음파처리하고, 이어 이소프로판올에서 20분 초음파처리하여 세정하였다. 채널 폭 220 마이크로미터 (㎛) 및 길이 20 ㎛의 통상적인 이중층 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금 공급원 및 드레인 전극 (두께 각각 ~100 나노미터 (nm))을 침착시켰다.
x선 회절 또는 트랜지스터 측정 (스핀 코팅 후)을 위한 샘플을 온도를 240 ℃로 설정한 보정된 디지털 핫플레이트에 1분간 두어 스핀 케스트 필름을 용융시켰다. 이어서 즉시 샘플을 100 또는 150 ℃의 온도 (결정화 온도)로 설정된 다른 핫플레이트에 위치시키고 (퀀칭), 시간의 함수 (결정화 시간)로 어닐링하였다. 필름을 전이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은 2초 미만이었다. 모든 용해, 스핀 코팅, 열 어닐링 및 전기적 측정은 질소 글로브-박스에서 질소의 불활성 분위기하에 수행되었다.
P3HT에 대한 (100) 피크 및 PBTTT 샘플에 대한 (200) 피크의 록킹 곡선을 측정하여 P3HT 및 PBTTT 박막 필름의 결정화 동력학을 결정하였다. 선형 백그라운드를 제한 후, 적분 강도가 샘플의 결정도이다. 도 1은 상이한 두 퀀칭 (결정화) 온도 (각각 100 및 150 ℃)에서 (a) P3HT 및 (b) PBTTT의 등온 결정화를 나타낸다. 결정도를 실험에서 얻은 각 폴리머의 최고 결정도에 정규화하였다. 결과는 P3HT 및 PBTTT 둘 모두에서 퀀칭 온도가 높을수록 결정화 속도가 더 빠르고 결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에 제한없이, 폴리머내 결정 성장 속도는 온도의 단조 함수가 아니다. 저온에서 사슬 이동성/확산이 제한 (확산-제어)되는 반면, 고온에서는 핵형성이 억제된다 (핵형성-제어). P3HT 및 PBTTT 결정화의 후기는 확산이 제한된다. 따라서, 퀀칭의 온도 증가는 사슬 이동을 높이고 따라서 결정형 성장 속도가 더 높아진다.
도 1에서 점선은 두개의 상이한 결정화 속도에 대해, 퀀칭 시간 변화로 동일한 결정도를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결정도가 동일하나 가공 이력이 다른 샘플 비교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접촉, 하부 게이트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조하여 P3HT 및 PBTTT를 통한 전하 이동에 대한 결정화 동력학 변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도 2는 (a) P3HT 및 (b) PBTTT로부터 제조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이 특성을 나타낸다. 각 경우, 활성층이 동일한 결정도를 가지도록 결정화 온도 및 시간을 주의하여 조절하였다. 도 2는 P3HT 및 PBTTT 두 장치 모두, 결정화 속도가 더 높은 샘플이 전류 수준, 및 이에 따른 이동도가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퀀칭 시간 및 결정도의 함수로서 고속 및 저속 결정화 동력학에 대한 P3HT 및 PBTTT 박막의 정공 이동도 (포화, VSD = -50 V에서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얻은)를 요약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공 이동도는 퀀칭 시간 및 결정도에 비례해 증가한다. 또한, P3HT 및 PBTTT 장치 둘 모두 정공 이동도는 언제나 결정화 속도가 더 빨라지면 더 높아진다. 이론에 상관임이 없이, 결정화 동력학과 전하 이동성 간 상관관계는 결정도 및 타이 사슬의 수 간의 상호연결성 변동 때문으로 판단된다. 활성층의 결정화 동력학이 빨라질수록 결정성 영역간 타이 사슬이 더 많아지고 따라서 장치내 전하 이동성이 더 높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 및 문헌에 기술된 다른 방법 (비교 실시예)으로 제조된 폴리알킬티오펜 샘플의 결정도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결과는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결과를 스핀 캐스팅하고, 240 ℃에서 용융되고 5분간 150 ℃로 퀀칭한 샘플로 정규화하였다. 스핀 캐스팅하고, 240 ℃에서 용융되고 5분간 150 ℃로 퀀칭한 샘플이 본 원에 기술된 모든 샘플에 대해 측정된 결정도중 최고의 결정도를 가졌다. 다른 모든 샘플의 결정도를 이러한 특정 샘플의 결정도에 대해 비율화하고,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데이터를 획득한 기준뿐 아니라 샘플이 적용된 처리 유형 및 샘플이 침전된 용매를 나타낸다. 결과 (표 1에서의)는 비교 샘플의 결정도 수준이 본 원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샘플에서 전개된 결정도에 적어도 50% 미만이었다.
표 2는 상이한 용매로부터 침전되어 150 ℃의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결정도를 향상시킬 정도로 긴 시간동안 어닐링된 P3HT 샘플의 결정도가 최고 수준임을 나타낸다. 이들 샘플은 150 ℃에서 표 2에 예시된 시간동안 어닐링시키기 전에 그의 융점으로 가열되지 않았다. 긴 어닐링 시간 후에도, 표 2에 나타낸 샘플은 먼저 240 ℃에서 용융되고 이어 150 ℃에서 5분동안 어닐링된 P3HT 샘플이 나타낸 결정도의 63%에 불과한 결정도를 이루었을 뿐이다.
Principal Investigator 문헌 물질 어닐링
온도( ℃)
어닐링
시간
캐스팅
용매*
정규화된
결정도**
S. Grigorian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25(3),(2012), pp 2335-2341 P3HT 100, 150, 200 30 분 CF 0.29
S. Grigorian Solar Energy Materials & Solar Cells, 97,(2012), pp109-118 P3HT 50, 75, 100, 125 N.A. TL
J. Abad Chem. Mater., 16,( 2004), pp 4772-4776 P3HT 100, 10 시간 TCB,CF
H. Sirringhaus PHYSICAL REVIEW B 74, (2006), pp 115318 P3HT 100, 10 시간 TCB,CF
H. Sirringhaus Nature Materials 5(3), (2006), pp 222-228 P3HT 150, 30 분 CF 0.29
M. D. McGehee Macromolecules, 38, (2005), pp 3312-3319 P3HT 125, 60 분 CF,
크실렌
M. D. McGehee phys. stat. sol. (a) 205 (3), (2008), pp 488-496 P3HT 120, 150, 180 120 분 THF
S. Joshi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14(8), (2004), pp 757-764 P3HT 150, 5 분 CF 0.29
D. Neher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14(8), (2004), pp 757-764 P3HT 150, 5 분 DCB 0.48
D. Neher Fibers and Polymers, 1(1), 2000, pp 25-31 P3HT 120, 150, 170, 240 30 분 THF
C Seoul Adv. Funct. Mater. 2010, 20, pp 3519-3529 P3HT 160, 170, 180, 190, 200, 210, 220 45 분 CF
Zhenan Bao Macromolecules, 44, (2011), pp 2725-2734 P3HT 140, 50 분 CB
S. Lilliu J Mater Sci 44, (2009), pp 3192-3197 P3HT 110, 150 30 분 CF 0.29
G. F. Malgas Adv. Funct. Mater., 18,( 2008) pp 2373-2380 P3HT 140, 150 30 분 CB 0.48
A. M. Ballantyne Nano Lett., 11, (2011) pp 2071-2078 P3HT 150, 5 분 CB 0.43
* CF=클로로포름; TL=톨루엔; CB=클로로벤젠; TCB=트리클로로벤젠; DCB=디클로로벤젠
** 240 ℃에서 용융되고 이어 5분동안 150 ℃로 어닐링된 샘플에 대해 얻은 결정도로 정규화된 결정도.
물질 어닐링 온도 ( ℃) 어닐링
시간
캐스팅 용매* 정규화된
결정도**
P3HT 150 ℃ 720 분 CF 0.34
P3HT 150 ℃ 720 분 CB 0.52
P3HT 150 ℃ 360 분 DCB 0.57
P3HT 150 ℃ 720 분 TCB 0.63
* CF=클로로포름; CB=클로로벤젠; TCB=트리클로로벤젠; DCB=디클로로벤젠
** 240 ℃에서 용융되고 이어 5분동안 150 ℃로 어닐링된 샘플에 대해 얻은 결정도로 정규화된 결정도.

Claims (18)

  1.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용융된 후,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고; 용융 공정 및 동일한 조성물의 융점과 유리전이온도 사이의 온도로 냉각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방법으로 결정화된 다른 동일한 조성물의 결정도량의 최소 2배량의 결정도를 가지며,
    상기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이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갖는,
    조성물:
    Figure 112016007430207-pat00016

    상기 식에서,
    R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식 -(R3O)p-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다),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고,
    n은 5 내지 10,000이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이 폴리(3-헥실티오펜)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이 화학식 (VI)의 구조를 갖는 조성물:
    Figure 112013065408281-pat00010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식 -(R3O)p-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다),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고,
    n은 5 내지 1000이며,
    m은 5 내지 1000이고,
    여기에서, n 대 m의 비는 100:1 내지 5:1 및 1:5 내지 1:100으로 달라질 수 있다.
  5. 제 4 항에 있어서, R1 R2가 헥실 그룹인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R1이 헥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인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이 화학식 (VII)의 구조를 갖는 폴리알킬티오펜의 교대 코폴리머인 조성물:
    Figure 112013065408281-pat00011

    상기 식에서,
    R1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식 -(R3O)p-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다),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고,
    n은 5 내지 10,000이다.
  8. 제 7 항에 있어서, R1 R2가 헥실 그룹인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R1이 헥실 그룹이고, R2는 수소인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의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
  15.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을 용매에 용해하여 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용액을 기판상에 분포시키고;
    상기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을 용융시키고;
    상기 용융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을, 그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의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로 퀀칭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이 하기 화학식 (V)의 구조를 갖는,
    박막 제조 방법:
    Figure 112016007430207-pat00017

    상기 식에서,
    R은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그룹, 2 내지 20개의 탄소를 가지는 알킬렌알콕시 그룹, 식 -(R3O)p-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그룹(여기에서, R3은 (C2-C6)알킬 그룹이고, p는 1 내지 100이다),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콕시 그룹 또는 7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아르알킬 그룹이고,
    n은 5 내지 10,000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퀀칭이 용융 온도의 50 ℃ 내지 175 ℃ 아래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위치규칙적 폴리알킬티오펜을, 그 유리전이온도와 용융 온도 사이의 온도에서 어닐링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기판상에 분포된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30085542A 2012-07-20 2013-07-19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KR10164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54,729 US9881712B2 (en) 2012-07-20 2012-07-20 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13/554,729 2012-07-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910A Division KR101678837B1 (ko) 2012-07-20 2015-03-23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684A KR20140034684A (ko) 2014-03-20
KR101644131B1 true KR101644131B1 (ko) 2016-07-29

Family

ID=499457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542A KR101644131B1 (ko) 2012-07-20 2013-07-19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KR1020150039910A KR101678837B1 (ko) 2012-07-20 2015-03-23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9910A KR101678837B1 (ko) 2012-07-20 2015-03-23 고결정성 전기 전도성 폴리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제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1712B2 (ko)
JP (2) JP6366910B2 (ko)
KR (2) KR101644131B1 (ko)
TW (1) TWI5006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81712B2 (en) * 2012-07-20 2018-01-30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10600964B2 (en) * 2013-12-17 2020-03-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material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JP7025299B2 (ja) 2018-07-27 2022-02-24 日本Viam株式会社 フロアマット
CN115029784A (zh) * 2022-05-28 2022-09-09 郑州大学 一种聚噻吩纤维状单晶点阵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6706A (en) * 1993-10-06 1996-09-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ductive layere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829143B1 (en) 2003-11-21 2010-11-09 Nanosolar, Inc. Solvent vapor annealing of organic films
JP4887602B2 (ja) * 2003-12-16 2012-02-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機能素子の製造方法
US7834198B2 (en) 2005-01-19 2010-11-16 National University Of Corporation Hiroshima University Condensed polycyclic aromatic compound and use thereof
JP2007116115A (ja) * 2005-09-21 2007-05-10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半導体材料及び有機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7314908B2 (en) 2005-11-18 2008-01-01 Xerox Corporation Polythiophene processes
JP2009527924A (ja) * 2006-02-24 2009-07-30 プ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高性能ポリマー光起電力
GB0612929D0 (en) * 2006-06-29 2006-08-09 Univ Cambridge Tech High-performanc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dilute, crystalline-crystalline polymer blends and block copolymers
MY148477A (en) * 2006-07-21 2013-04-30 Plextronics Inc Sulfonation of conducting polymers and oled, photovoltaic, and esd devices
WO2008063731A2 (en) * 2006-09-01 2008-05-29 Carnegie Mellon University Purification methods and purified conjugated polymers
JP2010528119A (ja) * 2007-05-02 2010-08-19 プレックス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共役ポリマーのための溶媒システム
US20090181509A1 (en) 2008-01-14 2009-07-16 Xerox Corporation Polymer semiconductors with high mobility
US8049209B2 (en) * 2008-04-11 2011-11-01 Xerox Corporation Thin-film transistors
CN102084436B (zh) * 2008-07-02 2012-10-17 巴斯夫欧洲公司 聚(5,5′-二(噻吩-2-基)苯并[2,1-b;3,4-b′]二噻吩)及其作为高性能可溶液加工半导体聚合物的用途
CN102217110B (zh) 2008-09-09 2014-06-04 技术研究及发展基金有限公司 用于有机半导体的基于衍生化富勒烯的掺杂剂
CN101515631B (zh) * 2009-03-24 2010-09-08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聚合物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JP5453869B2 (ja) * 2009-03-25 2014-03-26 東レ株式会社 有機半導体コンポジ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効果型トランジスタ
KR101763669B1 (ko) 2009-03-31 2017-08-0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반도체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유기 반도체 패턴 형성 방법
US8871884B2 (en) 2009-10-28 2014-10-28 University Of Washington Copolymer semiconductors comprising thiazolothiazole or benzobisthiazole, or benzobisoxazole electron acceptor subunits, and electron donor subunits, and their uses in transistors and solar cells
GB201013820D0 (en) 2010-08-18 2010-09-29 Cambridge Display Tech Ltd Low contact resistance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WO2012044778A1 (en) * 2010-09-29 2012-04-05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comprising poly(thiophenes)
KR101238183B1 (ko) * 2010-12-31 2013-03-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알킬티오펜을 포함하는 교대 공중합체와 이를 이용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JP5585916B2 (ja) * 2011-01-28 2014-09-10 国立大学法人山形大学 ポリチオフェン類の製造方法、及び新規なチオフェンモノマー
JP2013140923A (ja) * 2011-12-06 2013-07-18 Osaka Univ 有機半導体薄膜、及び有機薄膜太陽電池
US9881712B2 (en) * 2012-07-20 2018-01-30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polymer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10600964B2 (en) * 2013-12-17 2020-03-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Highly crystalline electrically conducting organic material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00690B (zh) 2015-09-21
TW201422712A (zh) 2014-06-16
KR20150041774A (ko) 2015-04-17
JP2018123337A (ja) 2018-08-09
KR101678837B1 (ko) 2016-11-23
US9881712B2 (en) 2018-01-30
JP6549277B2 (ja) 2019-07-24
JP6366910B2 (ja) 2018-08-01
KR20140034684A (ko) 2014-03-20
JP2014132553A (ja) 2014-07-17
US20140021413A1 (en)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iera‐Galindo et al. Organic semiconductor/polymer blend films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oudreault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oluble indolo [3, 2-b] carbazole derivatives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JP6549277B2 (ja) 高結晶質導電性ポリ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物品
Wang et al. Dual Imide-Functionalized Unit-Based Regioregular D–A1–D–A2 Polymers for Efficient Unipolar n-Channel Organic Transistors and All-Polymer Solar Cells
TWI534173B (zh) 稠合無規雙噻吩-乙烯共聚物
Vakhshouri et al. Effect of crystallization kinetics on microstructure and charge transport of polythiophenes
Feng et al. Fluorine-Substituted Dithienylbenzodiimide-Based n-Type Polymer Semiconductors for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Han et al. Solvent-dependent electrical properties improvement of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 based on disordered conjugated polymer/insulator blends
JP6263536B2 (ja) 半導体縮合チオフェンポリマーインク配合物
Otep et al. Diketopyrrolopyrrole–thiophene–methoxythiophene based random copolymers for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applications
Usta et al. Polymeric and Small‐Molecule Semiconductors for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US20170133597A1 (en) Semiconducting polymers with mobility approaching one hundred square centimeters per volt per second
JP2011040751A (ja) 半導体組成物
Jin et al. Precrystalline P3HT nanowires: growth-controllable solution processing and effective molecular packing transfer to thin film
KR101674477B1 (ko) 고 결정성 전기 전도성 유기 재료, 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Velusamy et al. Diselenophene‐Dithioalkylthiophene Based Quinoidal Small Molecules for Ambipolar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US10367144B2 (en) Stable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y incorporating an electron-accepting molecule
Fei et al. Surface-induced film structure for enhanced carrier transport of the conjugated/insulating polymer blends at a low semiconductor content
KR101735371B1 (ko) 전기 전도성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592733B1 (ko) 폴리사이오펜 박막의 분자결정성 향상 방법
Janasz et al. Organic Field‐Effect Transistors Based on Nanostructured Blends
Yang 5.2 Solution Deposition
Brennan et al. Recent advances in the synthesis of polyfluorenes as organic semiconductors
US20150170783A1 (en) Electrically conducting composite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Rieger et al. Curvature as design concept for semiconducting benzodithiophene-containing polymers in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