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115B1 - 골프공 - Google Patents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115B1
KR101643115B1 KR1020157032432A KR20157032432A KR101643115B1 KR 101643115 B1 KR101643115 B1 KR 101643115B1 KR 1020157032432 A KR1020157032432 A KR 1020157032432A KR 20157032432 A KR20157032432 A KR 20157032432A KR 101643115 B1 KR101643115 B1 KR 101643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
dimples
repetitive
cover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606A (ko
Inventor
준 이치노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5013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4Two piece balls, i.e. cov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63B37/00065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located around the pole or the equa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6Arrangement or layout of dimp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07Non-circular dimples
    • A63B37/0011Grooves or 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04Surface depressions or protrusions
    • A63B37/002Specified dimple 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23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14Special su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공은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그들 사이에 그리고 커버의 외측 표면을 따라 이음선을 한정하는,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제2 반구형 절반부를 포함한다. 이음선은 비-평탄형이며 그리고, 커버의 외측 표면을 따라 진동하는,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을 포함한다. 반복적 파동의 각 사이클은 2π 라디안 위상을 구비하며, 그리고 중간 섹션이 π 의 정수배인 위상 각도들에서 반복적 파동 내부에 삽입된다. 각 중간 섹션은 외측 구형 표면을 따라 직선형 표면 윤곽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골프공{GOLF BALL}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골프공 및 골프공을 위한 이음선 윤곽에 관한 것이다.
골프는, 정확한 경로를 따라 스윙되는 클럽으로 공을 반복적으로 타격하는 것을 수반하는 레크리에이션 게임이다. 공이 클럽에 의해 타격되었을 때, 공은 통상적으로, 특정 비행 경로/궤적을 가로지르도록 공중에 뜨게 될 것이며, 그리고 특정 회전 속도(spin rate)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골프공 설계에서, 복수의 딤플이, 일반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그리고 적절하게 타격될 때 더 긴 비행 궤적을 생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골프공의 외측 표면 상에 포함된다. 딤플들 사이의 상호작용 및 접근하는 기류는, 공의 양력(lift), 항력(drag), 및 비행 안정성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영향의 일관성은 공 둘레의 딤플 패턴의 균일한 분포 및/또는 대칭성에 의존한다.
골프공들은, 통상적으로 구형 형상으로 사출 성형되거나 압축 성형되는, 중합체 재료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성형 공정들 중 어느 하나에서, 2개의 금형(금형의 2개의 절반부)이 공통의 경계부에서 만날 수 있으며, 그리고 공의 정확한 형상을 형성하는 공동(void)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알고 있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 기술을 사용하여, 공은 이러한 공동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공이 금형들로부터 제거될 때, 공은, 금형들 사이의 경계부에 형성되었을 수 있는, 성형 잔재물(molding flash) 또는 다른 과잉의 재료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성형 잔재물은 골프공의 "적도(equator)"에 또는 그에 가깝게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성형 잔재물은, 골프공에 표면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코팅 공정에 들어가기 이전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전통적인 공정들에서, 잔재물은, 절단, 연마, 샌딩(sanding), 연마 매체와 함께 회전시킴(tumbling), 및/또는 극저온 잔재물 제거(cryogenic deflashin)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공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정들은, 잔재물이 공의 단지 평면형의 딤플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즉, "평평한 영역 ")으로부터 연장될 때에만, 예외적으로 실행하기에 쉽고 더욱 일관적이다. 그에 따라, 금형들의 공통의 경계부는, 공의 둘레에 그어지는 그리고 딤플들이 전혀 없는, 이음선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윤곽은, 적절하게 설계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을 경우, 공의 비행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골프공은, 외측 구형 표면 및 외측 구형 표면 상에 배치되는 비-평탄형 이음선을 포함한다. 이음선은 비-평탄형이며 그리고 커버의 외측 표면을 따라 진동하는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integral number of cycles of a repeating wave)을 포함한다. 반복적 파동의 각 사이클은 2π 라디안 위상을 구비하며, 그리고 복수의 중간 섹션이, π의 정수배인 위상 각도들에서 삽입되는 중간 섹션을 갖도록, 반복적 파동 내부에 삽입된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π*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과 동등한 파동의 위상 각도들에서, 상기 반복적 파동 내부에 삽입된다.
각각의 중간 섹션은, 외측 구형 표면을 따르는 직선형의 표면 윤곽을 갖는다. 골프공은 제1 극 및 제2 극을 더 포함하는 가운데, 이음선은 제1 극과 제2 극 사이에 배치된다. 직선형 표면 윤곽들은, 제1 극과 제2 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을 따라 배치되는 곡률 중심(center of curvature)을 갖는, 단일 곡률(single degree of curvature)로 특징지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복수의 중간 섹션 각각은 동일 평면상에 놓이며 그리고 이들은 함께 집합적으로 이음 평면을 한정한다. 반복적 파동은, (2π (m-1), π(2m -1))(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이음 평면의 제1 측부 상에서 연장된다. 부가적으로, 반복적 파동은, (π (2m -1), 2πm)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이음 평면의 제2 측부 상에서 연장된다. 하나의 특정 배열 형태에서, 반복적 파동은 사인 곡선이다.
골프공은, 외측 구형 표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딤플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음선은 어떠한 딤플들과도 교차하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복수의 딤플의 하위 세트가, 이음 평면이 딤플들의 이러한 하위 세트 내부의 각 딤플과 교차하도록, 이음선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골프공은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는, 이들 사이에 그리고 커버의 외측 표면을 따라 이음선을 한정하는,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제2 반구형 절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형태에서, 복수의 중간 섹션은 커버의 공통 원주를 따라 정렬될 것이다. 복수의 딤플의 하위 세트가, 복수의 중간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가 하위 세트 내부의 각 딤플과 교차하도록, 이음선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배열 형태에서, 이음선은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을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각각의 개별적인 섹션은 제1 직선형 부분, 제1 아치형 부분, 제2 직선형 부분 및 제2 아치형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 형태에서, 제1 아치형 부분은,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의 각각에 대해, 제1 직선형 부분과 제2 직선형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2 직선형 부분은,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의 각각에 대해, 제1 아치형 부분과 제2 아치형 부분 사이에 배치된다.
각 섹션의 제1 직선형 부분 및 제2 직선형 부분은, 커버의 원주를 따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아치형 부분은 제1 반구형 절반부에 대해 오목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아치형 부분은 제1 반구형 절반부에 대해 볼록형일 수 있을 것이다.
커버의 외측 표면은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며, 그리고 이음선은 어떠한 딤플과도 교차하지 않는다. 복수의 딤플 중 하나가, 반복적 섹션들 각각에 대한 제1 아치형 부분 및 제2 아치형 부분 각각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이음선의 각 섹션의 제1 직선형 부분 및 제2 직선형 부분이 커버의 공통 원주를 따라 정렬되는 경우, 원주는 이음선의 아치형 부분들 내부에 배치되는 각 딤플과 교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상의 특징들 및 이점들 그리고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읽을 때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들에 대한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코어 및 커버를 구비하는 골프공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반복적 딤플 패턴을 구비하는 골프공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은 골프공의 외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이음선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복합 이음선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 도면이다.
도 5는, 이음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는, 골프공의 외측 표면 상에 배치되는 이음선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여러 도면들에서 유사한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골프공(10)의 개략적 단면도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0)은, 커버(14)에 의해 한정되는 외측 구형 표면(12)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골프공(10)은, 중간 층(17)을 경유하여 코어(16)를 둘러싸는 커버(14)를 갖는, 3-피스 구조(three-piece construction)를 구비한다. 임의의 경우에, 각 층(코어 및 커버를 포함함)은, 모든 층이 공통의 구형 중심(18)을 공유하도록 모든 다른 층과 실질적으로 동심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각 층의 질량 분포는, 각 층 및 전체로서의 공에 대한 질량 중심이 공통 구형 중심(18)과 일치하도록, 균일할 수 있을 것이다.
골프공(10)의 커버(14)는, 압축 성형 또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코어(16)를 둘러싸기 위해 협력하는, 제1 반구형 절반부(20) 및 제2 반구형 절반부(22)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반구형 절반부(20) 및 제2 반구형 절반부(22)는, 외측 표면(12)을 따라 연장되는 이음선(24)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음선(24)은, 과잉의 커버 재료가 2개의 성형 다이 사이로부터 약간 배출되는, 커버 제작의 부산물일 수 있을 것이다. 바꿔 말하면, 제작 도중에, 잔류하는 성형 잔재물이 2개의 성형 다이가 만나는 경계부에서 공(10)의 표면(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 잔재물은 후속의 공정들을 통해 제거될 수 있지만, 그러한 공정들은, 이음선(24)/잔재물이 공(10)의 평면 영역(즉, 딤플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상에 잔류할 때, 실행하기 더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골프공(100)은, 제1 반구형 절반부(2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극(26) 및 제2 반구형 절반부(22)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극(28)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극(26) 및 제2 극(28)은 개별적으로 공(10)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공(10)의 주축(30)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음선(24)은 제1 극(26) 및 제2 극(2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주축(30)의 둘레에 그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골프공(10)이, 예를 들어, 총 280개 내지 432개의 딤플, 그리고 일부 예에서 총 300개 내지 392개의 딤플, 그리고 전형적으로 총 292개 내지 320개의 딤플을 포함하는, 임의의 요구되는 수의 딤플들(32)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딤플들(32)은, 적어도 4개의 상이한 딤플 유형, 그리고 일부 배열 형태에서, 4개 내지 16개의 상이한 딤플 유형, 또는 심지어 5개 내지 12개의 상이한 딤플 유형을 포함하도록 크기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으로서, 딤플이, 예를 들어, 딤플 깊이, 딤플 반경, 딤플 직경, 딤플 단면 형상(예를 들어, 단일 반경, 이중 반경, 다각형 형상, 작은 면이 있는 내부 표면들, 등), 딤플 체적, 딤플 표면적, 등과 같은, 임의의 의미 있는 방식으로 다른 딤플과 상이한 경우, 딤플이 다른 딤플과 상이한 "유형"의 것이다.
하나의 특정 배열 형태에서, 골프공(10)은, (a) 제1 직경(예를 들어, 2 내지 3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1 딤플; (b)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예를 들어, 3 내지 3.6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2 딤플; (c)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예를 들어, 3.2 내지 3.8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3 딤플; (d) 제3 직경보다 큰 제4 직경(예를 들어, 3.4 내지 4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4 딤플; 그리고 (e) 제4 직경보다 큰 제5 직경(예를 들어, 3.6 내지 4.4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5 딤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제5 직경보다 큰 제6 직경(예를 들어, 4 내지 6mm 의 범위 이내)을 갖는 제6 딤플을 포함하는, 더 많은 딤플 유형들이 딤플 패턴 내에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5개의 딤플 유형이 존재하는 일부 예의 공들에서, 이러한 예의 공들은, 제1 딤플 유형의 적어도 36개의 딤플; 제2 딤플 유형의 적어도 24개의 딤플; 제3 딤플 유형의 적어도 54개의 딤플; 제4 딤플 유형의 적어도 30개의 딤플; 및 제5 딤플 유형의 적어도 246개의 딤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6개의 딤플 유형이 존재하는 일부 예의 공들에서, 공들은, 제1 딤플 유형의 적어도 18개의 딤플; 제2 딤플 유형의 적어도 12개의 딤플; 제3 딤플 유형의 적어도 6개의 딤플; 제4 딤플 유형의 적어도 36개의 딤플; 제5 딤플 유형의 적어도 270개의 딤플; 및 제6 딤플 유형의 적어도 18개의 딤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제공되는 골프공(10)의 평면도(50)에 일반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커버(14)의 외측 표면(12) 상에 배치되는 딤플들(32)은, 각 반구형 절반부 내의 N(N은 2 내지 10의 범위 이내의 정수)개의 반복적 섹터(52) 내에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정수 'N'은, 예를 들어, 2 내지 8 사이, 또는 심지어 3 내지 6 사이일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제공되는 구체적인 예에서, 각 절반부는 극(예를 들어, 극(26)) 둘레에서 반복되는 3개의 섹터(52)를 포함하며(각 섹터(52)는 공 둘레의 120°를 커버함), 전체 공(10) 표면(12) 상에 총 6개의 섹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의 딤플 배열에서의 각각의 개별적인 섹터(52)는, 대칭선(LS)(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됨)을 포함하며, 그리고 그러한 섹터 내부의 대칭선(LS)의 일 측부 상의 개별적인 딤플들(및 딤플 부분들)은, 동일한 섹터(52) 내부의 대칭선(LS) 타 측부 상의 개별적인 딤플들(및 딤플 부분들)과 거울 상(mirror)으로 배열된다. 요구된다면, 대칭선들을 포함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섹터(52)가, 예를 들어 대칭선들을 포함하는 섹터들이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가운데, 절반부의 딤플 패턴 내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은, 공 상의 딤플들의 각각의 인식가능한 섹터가 대칭선을 포함해야만 한다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섹터(53)는 구형 삼각형 영역이다. 요구되는 경우(비록 요구되지 않지만), 이러한 섹터들(52) 중 적어도 일부가 공통의 지점 또는 심지어 공통의 측부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조에서, 섹터들(52)은 해당 반구의 공통 극 지점(26)에서 만난다. 대안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섹터들(52)은 공통의 지점을 공유할 필요가 없고(예를 들어, 구형 삼각형들은 극 지점(26)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될 수 있음), 및/또는 이들은 공통 에지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예를 들어, 다른 상이한 섹터들이, 동일한 딤플 패턴을 구비하는 섹터들(52) 사이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음).
하나의 반구형 절반부(20) 상의 딤플 패턴(즉, 딤플 레이아웃 및 배열)이 반대편 반구형 절반부(22) 상의 딤플 패턴과 동일할 수 있는 가운데, 딤플들(32)은 반드시 이음선(24)을 가로지르는 거울 상으로 배열될 필요는 없다. 개별적인 절반부 상의 딤플 패턴들은 이음선(24)을 가로질러 서로로부터, 2° 내지 90°의, 5° 내지 60°의, 5° 내지 45°의, 10° 내지 45°의, 10° 내지 30°의, 그리고 심지어 15° to 30°의 범위 이내의 치우침 양만큼, 회전방향으로 치우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제조 공정과 무관하게, 커버(14)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과 같은 전통적인 커버 층 재료를 포함하는, 이오노머 재료들(예를 들어, Wilmington, Del 소재, E.I. DuPont Company 로부터 입수가능한 SURLYN®),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함유 재료들,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요구되는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골프공 제품에서, 이러한 커버 층(14)은, 44 내지 60 쇼어 D의 범위 이내의 표면 경도 및 0.6 내지 2.0 mm의 범위 이내의 공칭 두께(즉, 딤플들(31)이 없는 위치에서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표면 경도 값들은, 표준 시험 방법 "ASTM D-2240"을 사용하여, "공 상의"(공의 커버 층(14)의 노출된 외측 표면(12) 상의), 딤플(32)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경도 측정은, 커버 층(14)의 외측 표면(12)에 대한 (경우에 따라) 마감 재료들의 적용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설계의 골프공(10)의 측면도(60)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10)은, 제1 반구형 절반부(20), 제2 반구형 절반부(22), 및 개별적인 제1 반구형 절반부(20)와 제2 반구형 절반부(22) 사이에 배치되는 이음선(24)을 포함한다. 제1 반구형 절반부(20)는 제1 극(26)을 포함하고, 제2 반구형 절반부는 제2 극(28)을 포함하며, 그리고 주축(30)이 제1 극(26)과 제2 극(28)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3에 예시된 이음선(24)은, 비록 그 자체는 비-평탄형이지만, 공(10)의 평면 영역(즉, 어떠한 딤플(32) 또는 다른 표면 특징부들과 교차하지 않음) 상에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선(24)은, 반복적 파동(66)의 섹션들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직선형 섹션(64)을 구비하는 복합 파동(962)과 유사할 수 있을 것이다. 반복적 파동(66)은, 골프공(10)의 외측 표면(12)을 따라 진동하는, 주기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복합 파동(62)의 구조를 더 양호하게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인 반복적 파동(66)은 정수개의 완전한 사이클들(68)을 포함하는 가운데, 각 사이클은 2π 라디안 위상(70)을 구비한다. 복합 파동(62)을 형성하기 위해, 반복적 파동(66)은 π의 정수배로 분할되며, 그리고 각 분할에 직선형 섹션(64)이 삽입된다. 도 4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복합 파동(62)이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사이클(72)을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각 섹션/사이클(72)은 예를 들어, 순서화된 배열로, 제1 아치형 부분(74), 제1 직선형 부분(76), 제2 아치형 부분(78), 및 제2 직선형 부분(80)을 포함한다. 도 4는 사인 곡선과 대략 유사한 반복적 파동(66)을 예시하는 가운데, 다른 배열 형태들은, 주기적이며 그리고 2π 위상에 의해 특징지어질 수 있는, 톱니 파동, 삼각형 파동, 사다리꼴 파동, 반원형 파동, 또는 다른 반복적 파형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공(10)의 전체 원주 둘레에, 전체 사이클(72)이 정수 횟수를 반복하도록, 짝수의 직선형 섹션(64) 및 짝수의 반복적 파동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원주 둘레의 직선형 섹션(64)의 수는, 더욱 구체적으로, 4의 배수일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반복적 파동(66)의 하나의 사이클(68)의 파장은 직선형 섹션(64)의 길이와 대략 동등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복수의 직선형 섹션(64) 각각은 주축(30)을 따라 중심을 둔 단일 곡률을 갖는 위도(82)를 따라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공(10)의 위도(82)가 커버(14)의 외측 표면(12) 상에 배치되는 원형 기준일 수 있으며, 더불어 원형 기준 상의 각 지점은 2개의 극(26, 28)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등거리에 놓인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복수의 직선형 섹션(64) 각각은 공(10)의 "적도"로 지칭될 수도 있는, 제1 극(26) 및 제2 극(28) 사이에서 등거리에 놓이는 위도(82)를 따라 정렬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복수의 직선형 섹션(64) 각각은 동일 평면상에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음 평면"(즉, 이음 평면은, 위도(82)를 포함하는 및/또는 위도(82)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임)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반복적 파동(66)은, (2π (m-1), π(2m -1))(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이음 평면/위도(82)의 제1 측부 상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반복적 파동(66)은, (π (2m -1), 2πm)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이음 평면/위도(82)의 제2 측부 상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복적 파동의 인접한 섹션들이 이음 평면/위도(82)의 양 측부 상에서 진동할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면, 반복적 파동은, (2π (m-1), π(2m -1))(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제1 반구형 절반부(20)에 관해 오목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π (2m -1), 2πm)의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제1 반구형 절반부(20)에 관해 볼록형일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반복적 파동은 사인 곡선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이음선(24)에 바로 인접하게, 커버(14)의 외측 표면(12) 상에 배치되는 딤플들(90)의 하위 세트에 대해 이음선(24)을 예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바로 인접하게"는, 딤플들(90)과 이음선(24) 사이에 중간 특징부들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질적인 수의 딤플들이 명료함을 위해 도 5로부터 생략되었다는 것이 즉시 명백해야 할 것이다.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선(24)은 어떤 바로 인접한 딤플(90)과도 교차하지 않으며, 그리고 공(10)의 단일 연속적인 표면(12)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제1 반구형 절반부(20)의 딤플 패턴이 제2 반구형 절반부(22)의 딤플 패턴으로부터 각도(θ)만큼 치우치게 될 수 있지만, 딤플들(32)은 변화하는 유형들/크기들일 수 있다. 하나의 배열 형태에서, 각도(θ)는 대략 15° 내지 60° 사이일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딤플(92)이 반복적 파동(66)의 각 부분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음선(24)이 이러한 인접한 딤플들(92)을 각각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음 평면/위도(82)는, 이음선(24) 자체는 교차하지 않는 가운데, 반복적 파동(66)의 아치형 부분들에 인접한 딤플들과 각각 교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이음선 윤곽에 직선형 섹션들을 포함함에 의해, 후-제작을 위해 요구되는 연마/잔재물 제거의 양은 순수하게 사인 곡선형의 이음선 위에서 현저히 감소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분리선 내에 직선형 부분들이 존재함에 따라 버퍼링이 더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역으로, 반복적 파동(66)의 여러 부분은 여전히, 커버(14)의 2개의 반구형 절반부(20, 22) 사이에 고도의 상호 맞물림(interdigitation)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분리선을 따르는 버퍼링 대역폭이 더 좁아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상의 모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과 연관되는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주 이내에서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설계들 및 실시예들을 인지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포함되는 또는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는 모든 내용은, 제한으로서가 아닌, 단지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할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외측 구형 표면을 구비하는 골프공으로서,
    상기 외측 구형 표면 상에 배치되는 비-평탄형 이음선을 포함하며,
    상기 이음선은,
    골프공의 상기 외측 구형 표면을 따라 진동하는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으로서, 상기 반복적 파동의 각 사이클은 2π 라디안 위상을 구비하는 것인,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
    π*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과 동등한 파동의 위상 각도들에서 상기 반복적 파동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중간 섹션;
    을 포함하며,
    각각의 중간 섹션은, 상기 외측 구형 표면을 따르는 직선형 표면 윤곽을 구비하는 것인, 골프공.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극 및 제2 극을 더 포함함과 더불어, 상기 이음선은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외측 구형 표면을 따르는 상기 직선형 표면 윤곽은, 상기 제1 극과 상기 제2 극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에 중심을 둔 단일 곡률로 특징지어지는 것인, 골프공.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집합적으로 이음 평면을 한정하는 것인, 골프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파동은, (2π (m-1), π(2m -1))(여기서, m은 양의 정수)로 정의되는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상기 이음 평면의 제1 측부 상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반복적 파동은, (π (2m -1), 2πm)로 정의되는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상기 이음 평면의 제2 측부 상에서 연장되는 것인, 골프공.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파동은 사인 곡선인 것인, 골프공.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구형 표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딤플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이음선은 어떠한 딤플들과도 교차하지 않는 것인 골프공.
  7.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동일 평면 상에 놓이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집합적으로 이음 평면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의 딤플의 하위 세트가 상기 이음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이음 평면은 상기 하위 세트 내부의 각 딤플과 교차하는 것인, 골프공.
  8. 골프공으로서,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기 위해 협력하는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제2 반구형 절반부를 포함하는 커버로서,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상기 제2 반구형 절반부는, 이들 사이에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측 구형 표면을 따라 이음선을 한정하는 것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선은 비-평탄형이며 그리고
    상기 커버의 상기 외측 표면을 따라 진동하는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으로서, 상기 반복적 파동의 각 사이클은 2π 라디안 위상을 구비하는 것인, 정수횟수 사이클의 반복적 파동;
    π*n(여기서, n은 양의 정수)과 동등한 파동의 위상 각도들에서 상기 반복적 파동 내부에 삽입되는 복수의 중간 섹션
    을 포함하고,
    각각의 중간 섹션은, 상기 외측 구형 표면을 따르는 직선형 표면 윤곽을 구비하는 것인, 골프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파동은 사인 곡선인 것인, 골프공.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파동은, (2π (m-1), π(2m -1))(여기서, m은 양의 정수)로 정의되는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에 관해 오목형이며; 그리고
    상기 반복적 파동은, (π (2m -1), 2πm)로 정의되는 범위 이내의 위상 각도들에 대해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에 관해 볼록형인 것인, 골프공.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상기 커버의 공통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인, 골프공.
  12.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외측 표면은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이음선은 어떠한 상기 딤플들과도 교차하지 않는 것인, 골프공.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딤플의 하위 세트가,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가 상기 하위 세트 내부의 각 딤플과 교차하도록, 상기 이음선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인, 골프공.
  14.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간 섹션은 짝수의 중간 섹션인 것인, 골프공.
  15.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적 파동의 각 사이클은 파장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중간 섹션의 길이는 상기 반복적 파동의 하나의 사이클의 파장과 동일한 것인, 골프공.
  16. 골프공으로서,
    코어;
    상기 코어를 둘러싸기 위해 협력하는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제2 반구형 절반부를 포함하는 커버로서,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 및 상기 제2 반구형 절반부는, 이들 사이에 그리고 상기 커버의 외측 표면을 따라 이음선을 한정하는 것인,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선은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을 포함하는 가운데, 각각의 개별적인 섹션은 제1 직선형 부분, 제1 아치형 부분, 제2 직선형 부분 및 제2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골프공.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형 부분은, 상기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직선형 부분과 상기 제2 직선형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직선형 부분은, 상기 정수개의 반복적 섹션의 각각에 대해, 상기 제1 아치형 부분과 상기 제2 아치형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골프공.
  18.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섹션의 상기 제1 직선형 부분 및 상기 제2 직선형 부분은, 상기 커버의 원주를 따라 정렬되는 것인, 골프공.
  19.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형 부분은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에 대해 오목형이며; 그리고 상기 제2 아치형 부분은 상기 제1 반구형 절반부에 대해 볼록형인 것인, 골프공.
  20.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외측 표면은 복수의 딤플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이음선은 어떠한 상기 딤플과도 교차하지 않는 것인, 골프공.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딤플 중 하나가, 상기 반복적 섹션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1 아치형 부분 및 상기 제2 아치형 부분 각각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음선의 상기 각 섹션의 상기 제1 직선형 부분 및 상기 제2 직선형 부분이 상기 커버의 공통 원주를 따라 정렬되고,
    상기 원주는 상기 이음선의 상기 아치형 부분들 내부에 배치되는 각 딤플과 교차하는 것인, 골프공.
KR1020157032432A 2013-05-31 2014-05-27 골프공 KR101643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06,396 US20140357404A1 (en) 2013-05-31 2013-05-31 Golf ball
US13/906,396 2013-05-31
PCT/US2014/039487 WO2014193776A1 (en) 2013-05-31 2014-05-27 Golf b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606A KR20150132606A (ko) 2015-11-25
KR101643115B1 true KR101643115B1 (ko) 2016-07-26

Family

ID=5198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432A KR101643115B1 (ko) 2013-05-31 2014-05-27 골프공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40357404A1 (ko)
JP (1) JP2016522036A (ko)
KR (1) KR101643115B1 (ko)
CN (1) CN105407986A (ko)
WO (1) WO20141937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49B1 (ko) * 2013-04-04 2014-04-29 주식회사 볼빅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구상 다각형의 딤플 배열 구조를 갖는 골프공
US10933283B2 (en) * 2013-12-30 2021-03-02 Acushnet Company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US9566473B2 (en) * 2013-12-30 2017-02-14 Acushnet Company Dimple patterns for golf balls
JP6790497B2 (ja) * 2016-06-24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JP6790549B2 (ja) * 2016-07-26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
KR102364612B1 (ko) 2020-05-06 2022-02-18 주식회사 한국파크골프 공동 코어와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152B1 (ko) 2020-08-11 2022-05-02 주식회사 한국파크골프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300A1 (en) 2008-08-26 2010-03-04 Scott Cooper Mutli-layer golf ball having inner covers with non-planar parting lines
US20120157238A1 (en) 2010-12-15 2012-06-2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ball parting line configuration and mol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758A (en) * 1985-08-22 1987-03-31 Karsten Solheim Golf ball
JP4479865B2 (ja) * 1999-12-28 2010-06-09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成形金型及び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US6632150B1 (en) * 2001-12-21 2003-10-14 Callaway Golf Company Golf ball having a sinusoidal surface
JP2004089549A (ja) * 2002-09-03 2004-03-2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ルフボール用成形型及びゴルフボール製造方法
US7431670B2 (en) * 2004-03-10 2008-10-07 Acushnet Company Golf ball
US7422529B2 (en) * 2004-03-10 2008-09-09 Acushnet Company Mold for a golf ball
JP2009022606A (ja) * 2007-07-20 2009-02-05 Mizuno Corp ゴルフボールの成形型、及びゴルフボール
JP2009226115A (ja) * 2008-03-25 2009-10-08 Sri Sports Ltd ゴルフボール
US20100052219A1 (en) * 2008-09-02 2010-03-04 Takahiro Sajima Mold for golf balls
US20100179000A1 (en) * 2009-01-15 2010-07-15 Bridgestone Sports Co., Ltd. Golf ball mold and golf ball
US8556751B2 (en) * 2009-10-28 2013-10-15 Nike, Inc. Golf ball with projections adjacent dimples
JP2013526928A (ja) * 2010-04-28 2013-06-27 エアロ−エックス・ゴルフ・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公認スライス防止ボール
US8663033B2 (en) * 2010-08-20 2014-03-04 Nike, Inc. Golf balls including multiple dimple types and/or multiple layers of different hardnesses
US8979676B2 (en) * 2011-08-23 2015-03-17 Nike, Inc. Multi-core golf ball having increased initial velocity at high swing speeds relative to low swing spee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6300A1 (en) 2008-08-26 2010-03-04 Scott Cooper Mutli-layer golf ball having inner covers with non-planar parting lines
US20120157238A1 (en) 2010-12-15 2012-06-21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ball parting line configuration and m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7554A1 (en) 2016-03-10
US20140357404A1 (en) 2014-12-04
CN105407986A (zh) 2016-03-16
KR20150132606A (ko) 2015-11-25
WO2014193776A1 (en) 2014-12-04
JP2016522036A (ja)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115B1 (ko) 골프공
US7618333B2 (en) Golf ball
JP5036976B2 (ja) ゴルフボール
US5947844A (en) Golf ball and mold therefor
US7229363B2 (en) Golf ball
US20080317892A1 (en) Mold for a golf ball
US9950215B2 (en) Golf ball having non-planar parting line with non-circular dimples
JP5777342B2 (ja) 不均一なディンプルプロファイルを有するディンプルのクラスターを備えたゴルフボール
US9168422B2 (en) Dimple arrangement on the surface of a golf ball and the golf ball thereof
US9174088B2 (en) Golf ball having non-concentric parting line
IT9048127A1 (it) Configurazione perfezionalta delle fossette su una palla da golf.
JP2003190326A (ja) ゴルフボール
JP5019051B2 (ja) ゴルフボール
US20100197428A1 (en) Mold for a golf ball
US10556153B2 (en) Golf ball having non-planar parting line
US10786708B2 (en) Golf ball having non-planar parting line
JP4771091B2 (ja) ゴルフ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1673028B2 (en) Golf ball having non-planar parting line
US9873019B2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triangular concave sectors
US9421424B2 (en) Golf ball
US20180272193A1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00237351A (ja) ゴルフボ−ルの製造方法
US9440116B1 (en) Golf ball having surface divided by triangular concave sectors
US9782629B2 (en) Curvilinear golf ball dimp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100179000A1 (en) Golf ball mold and golf b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