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152B1 -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152B1
KR102393152B1 KR1020200100599A KR20200100599A KR102393152B1 KR 102393152 B1 KR102393152 B1 KR 102393152B1 KR 1020200100599 A KR1020200100599 A KR 1020200100599A KR 20200100599 A KR20200100599 A KR 20200100599A KR 102393152 B1 KR102393152 B1 KR 102393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pair
pieces
inner shell
golf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087A (ko
Inventor
장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파크골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파크골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파크골프
Priority to KR102020010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1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2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with a specified number of layers
    • A63B37/0075Three piece balls, i.e. cover, intermediate layer an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6Hollow; Gas-fill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7Layers interlocking by means of protrusions or inserts, latti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5/00Apparatu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4Balls
    • B29L2031/546Golf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골프 보다 좁은 공간에서도 경기가 가능한 파크 골프에 사용되는 파크 골프공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크 골프공은 한 쌍의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쉘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공동코어를 다층으로 둘러싸고 있어 타격 시 멀리 날아가지 않으면서도 타격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경쾌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쉘을 형성하는 반구편 결합면의 배향방향이 상이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돌기에 의하여 인접하는 다층 쉘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타격 시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한 쉘 경계면에서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Park golf ball having multiple shells with different orienta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골프 보다 좁은 공간에서도 경기가 가능한 파크 골프에 사용되는 파크 골프공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쉘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공동코어를 다층으로 둘러싸며, 각각의 쉘을 형성하는 반구편 결합면의 배향방향이 상이한 파크 골프공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주 5일제 시행으로 여가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취미 및 동호회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데, 골프 역시 저변 인구가 확대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골프는 야외에서 자연과 함께 즐길 수 있고 경기에 체력이 많이 소요되지 않아 노년에도 경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드라이버, 우드, 퍼터 등 다수의 클럽이 필요하여 장비 구입에 다수 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라운딩 비용에도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1홀 당 평균 6~7km의 거리가 필요하여 시내와 떨어진 근교에 경기장이 마련됨에 따라 경기를 위하여 야외로 이동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와 같은 골프의 장점을 누리면서 비용 및 이동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파크 골프(Park Golf) 경기가 개발되어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파크 골프는 골프와 마찬가지로 18홀 코스에서 가장 적은 스트로크를 사용하여 공을 홀에 넣는 경기로, 여러 개의 클럽을 사용하는 골프와 달리 말렛(반달 모양의 헤드) 형태의 단일한 클럽을 사용하고, 1홀 당 거리가 수십m~100m에 불과하여 넓지 않은 도심의 공원이나 유휴지에서도 즐길 수가 있다.
거리가 짧은 파크 골프의 특성상, 타격되는 파크 골프공도 타격 시 멀리 날아가지 않도록 일반 골프공에 비하여 2배 정도 무거운 80~95g 중량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파크 골프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2606호, 등록특허 제10-0844257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코어와 코어 외층을 둘러싸는 다층의 커버를 사출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코어와 다층의 커버로 형성되는 골프공은 타격 시 둔탁하고 무거운 타격감이 느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조 시 코어 핵을 중심으로 다층의 커버를 사출 형성하는 과정에서, 금형 내부로 주입되는 수지 용융액의 압력으로 인하여 코어를 둘러싸는 커버가 중심에 정렬되어 성형되지 않고, 일 측으로 편심되어 성형되는 경우가 많아, 타격한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가지 않곤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2606호(발명의 명칭 : 골프공)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4257호(발명의 명칭 : 단거리 골프공 제조방법)
본 발명은 타격 시 멀리 날아가지 않으면서도 타격 시 경쾌하고 가벼운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고, 골프공의 중심에 다수 층이 정렬되어 제조하여 타격 시 원하는 방향으로 날아갈 수 있는 파크 골프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반구공(半球空)이 마련된 한 쌍의 제1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쉘, 내부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2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쉘을 둘러싸는 중간쉘 및, 중간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3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중간쉘을 둘러싸는 외부쉘을 구비하며, 한 쌍의 제1,2,3 반구편의 결합면은 상호 경사지게 배향되는 파크 골프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반구편의 결합면에는 상호 용착 결합되는 용착돌기와 용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쉘 또는 중간쉘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돌출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돌기는 내부쉘의 중심을 지나는 원주 상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쉘의 지지돌기는 한 쌍의 제1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쉘은 한 쌍의 다른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내부쉘과 외부쉘 사이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쉘 및 외부쉘은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반구공(半球空)이 마련된 한 쌍의 제1 반구편을 결합시켜 내부쉘을 성형하는 단계, 내부쉘의 외면을 감싸는 상부 및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제1 금형에 한 쌍의 제1 반구편 결합면이 상부 및 하부금형 결합면과 경사지도록 내부쉘을 안착한 후, 제1 금형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내부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2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는 중간쉘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중간쉘의 외면을 감싸는 상부 및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진 제2 금형에 한 쌍의 제1 반구편 및 제2 반구편 결합면이 제2 금형의 상부 및 하부금형 결합면과 경사지도록 상기 중간쉘을 안착한 후, 제2 금형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중간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3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는 외부쉘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크 골프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쉘 또는 중간쉘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상기 제1 금형 또는 제2 금형의 내벽에 지지시켜 금형 내부에 안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반구편을 열 또는 초음파 용착 결합시켜 내부쉘을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크 골프공은 한 쌍의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쉘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공동코어를 다층으로 둘러싸고 있어 타격 시 멀리 날아가지 않으면서도 타격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경쾌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쉘을 형성하는 반구편 결합면의 배향방향이 상이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돌기에 의하여 인접하는 다층 쉘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타격 시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한 쉘 경계면에서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크 골프공의 제조방법은 다층 쉘의 성형 시 수지 융용액에 의해 금형 내부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정렬 지지될 수 있어, 다층으로 성형되는 쉘이 편심되지 않고 구 중심에 정렬되어 균일한 두께로 성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크 골프공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크 골프공의 내부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크 골프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쉘의 내부가 개방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크 골프공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중간쉘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부쉘이 제1 금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외부쉘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쉘이 제2 금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되어", "포함되어",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 포함, 결합 또는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크 골프공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파크 골프공의 내부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파크 골프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크 골프공은, 내부에 공동(空洞.O)이 형성되는 내부쉘(100), 내부쉘을 둘러싸는 중간쉘(200), 및 중간쉘(200)을 둘러싸며 골프공의 외피를 형성하는 외부쉘(300)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내부가 개방된 내부쉘(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쉘(100)은 대응되는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결합된 내부에는 골프공의 중심인 내부 공동(O)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의 원형 테두리 결합면에는 용착돌기(130)와 용착홈(140)이 각각 형성되어 열 또는 초음파가 인가되어 용착 결합된다.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동(O)의 반경(Ro)은 내부쉘(100)의 전체 반경(R)에 대하여 0.4~0.9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부 공동(O)의 반경(Ro)이 0.4 미만이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경쾌하고 가벼운 타격감을 느끼기 어렵고, 내부 공동(O)의 반경(Ro)이 0.9를 초과하면 내부쉘(100)의 두께가 얇아 제조가 어렵다.
그리고, 내부쉘(100)의 외주면에는 인접하는 중간쉘(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지지돌기(150)가 형성되는데,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돌기(150)는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이 결합되어 형성되며, 내부쉘(1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돌기(150)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내부쉘(100)과 중간쉘(200)은 타격 충격에도 경계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돌기(150)는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타격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되도록 제1 지지돌기(150)는 내부쉘(100)의 중심을 지나는 원주 상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돌기(150)는 중간쉘(200)의 성형 시 금형내부로 주입되는 수지 용융액에 의하여 내부쉘(100)이 금형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지지함으로써, 중간쉘(200)이 내부쉘(100)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쉘(200)은 내부쉘(1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내부 커버로, 금형 내에 인서트된 내부쉘(100)의 둘레에 한 쌍의 제2 반구편(210,220)이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간쉘(200)은 인접하는 내부쉘(100)과 외부쉘(300)과 경계면을 형성함으로써, 구 형태로 일체로 형성되는 골프공과 비교하여 타격 시 진동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어, 경쾌하고 가벼운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쉘(200)의 외주면에는 내부쉘(100)과 마찬가지로, 외부쉘(300)과 결합되는 제2 지지돌기(230)가 형성된다. 제2 지지돌기(230)는 외부쉘(300)에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견고한 결합력과 중량이 증진되며, 또한 외부쉘(300)의 성형 시 금형 내에 안착되어 성형체가 내부로 주입되는 수지 용융액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정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돌기(230)는 상술한 내부쉘(100)의 중간쉘(2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돌기(15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타격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되도록 내부쉘(100)의 중심을 지나는 원주 상에 대칭되게 형성된다.
외부쉘(300)은 중간쉘(20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골프공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금형 내에 인서트된 중간쉘(200)의 둘레에 한 쌍의 제3 반구편(310,320)이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외부쉘(300)은 외부로 인식되는 미감을 향상하도록 투명 또는 특정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외부쉘(300)은 내부쉘(100,200)과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쉘(100,200)은 타격 시 내부로 진동을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가지는 수지로 형성되고, 외부쉘(300)은 경기 시 타격된 공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계수가 낮은 수지로 형성하여 지면으로부터 높게 반발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부쉘(100), 중간쉘(200), 및 외부쉘(300)은 각각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 제2 반구편(210,220), 및 제3 반구편(310,320)이 결합되어 내부공동(O)을 다층으로 둘러싸고 있어 타격 시 멀리 날아가지 않으면서도 타격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경쾌한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쉘(100,200,300)을 형성하는 제1,2,3 반구편의 결합면(S1,S2,S3)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향방향이 서로 달라 상호 경사지게 배향되고, 지지돌기(150,230)에 의하여 인접하는 내부쉘(100), 중간쉘(200), 및 외부쉘(300)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타격 시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한 쉘 경계면에서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크 골프공의 제조방법의 순서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반구공(空)이 형성된 제1 반구편(110,120)을 성형하는 단계(S110),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을 용착 결합하여 내부쉘(100)을 성형하는 단계(S120), 내부쉘(100)을 제1 금형 내부(500)에 안착하는 단계(S130), 제1 금형(500)의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내부쉘(100)의 외주면에 중간쉘(200)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S140), 중간쉘(200)이 성형된 성형체를 제2 금형(600)의 내부로 안착하는 단계(S150), 및 제2 금형(600)의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여 중간쉘(200)의 외주면에 외부쉘(300)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S160)를 거쳐 파크골프공을 제조한다.
S110 단계에서 내부쉘(100)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반구편(110,120)을 성형한다. 이때,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 각각에는 상호 결합을 위하여 결합면(S1)에 용착돌기(130)와 용착홈(140)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면(S1)의 외주에는 상호 결합되는 제1 지지돌기(150)가 성형된다.
S120 단계는 전 단계에서 성형된 한 쌍의 반구편(110,120)을 결합하는 단계로, 용착돌기(130)가 용착홈(140)에 끼워지도록 한 쌍의 반구편(110,120)을 가압한 상태에서 열 또는 초음파를 인가하여 용착돌기(130)가 용착홈(140)에 용융시킨다. 이를 통해 내부 공동(O)이 형성되는 내부쉘(100)이 성형된다.
이어지는 S130 단계는 조립된 내부쉘(100)을 상부 및 하부 금형(410,420)이 결합되는 제1 금형(400) 내부에 안착하는 단계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이 형성하는 결합면(S1)이 상부 및 하부 금형(410,420)의 결합면과 경사지게 안착하되, 제1 금형(40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 결합홈(400a)에 제1 지지돌기(150)를 삽입 결합하여 안착시킨다.
이어지는 S140 단계에서, 제1 금형(400)의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면 내부쉘(100)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2 반구편(210,2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중간쉘(200)이 사출성형 된다. 이때 수지 용융액의 주입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 지지돌기(150)에 의하여 내부쉘(100)이 제1 금형(400) 중앙 내부에 정렬 지지될 수 있어, 내부쉘(100)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중간쉘(200)이 성형된다.
다음의 S150 단계는 중간쉘(200)이 형성된 성형체를 상부 및 하부 금형(510,520)이 결합되는 제2 금형(600)의 내부로 안착하는 단계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이 형성하는 결합면(S1)과, 제2 반구편(210,220)이 형성하는 결합면(S2)이 상부 및 하부 금형(510,520)의 결합면과 경사지게 안착하되, 제2 금형(50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 결합홈(500a)에 제2 지지돌기(230)를 삽입 결합하여 안착시킨다.
이어지는 S160 단계에서, 제2 금형(500)의 내부로 수지 용융액을 주입하면 중간쉘(200)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3 반구편(310,320)이 일체로 결합되어 외부쉘(300)이 사출성형 된다. 이때, 마찬가지로 수지 용융액의 주입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 지지돌기(230)에 의하여 중간쉘(200)이 성형된 성형체가 제2 금형(500) 중앙 내부에 정렬 지지될 수 있어, 중간쉘(200)의 외주면에 균일한 두께로 외부쉘(300)이 성형된다. 외부쉘(300)은 투명 또는 특정한 색상으로 형성하여 골프공의 심미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골프공의 내부에 하나의 중간쉘(200)이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쉘(200)이 다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순차적으로 다층 쉘의 성형 시 수지 융용액에 의해 금형 내부에서 상하 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안정되게 정렬 지지될 수 있어, 다층으로 성형되는 쉘이 편심되지 않고 구 중심에 정렬되어 균일한 두께로 성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 : 내부쉘 110,120 : 한 쌍의 제1 반구편
130 : 용착돌기 140 : 용착홈
150 : 제1 지지돌기 200 : 중간쉘
210,220 : 한 쌍의 제2 반구편 230 : 제2 지지돌기
300 : 외부쉘 400 : 제1 금형
400a, 500a : 지지돌기 결합홈 410 : 제1 금형 상부
420 : 제2 금형 하부 500 : 제2 금형
510 : 제2 금형 상부 520 : 제2 금형 하부
O : 내부 공동
S1, S2, S3 : 한 쌍의 제1 반구편, 제2 반구편, 제3 반구편의 결합면

Claims (10)

  1. 내부에 반구공(半球空)이 마련된 한 쌍의 제1 반구편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쉘과, 상기 내부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2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내부쉘을 둘러싸는 중간쉘 및 상기 중간쉘의 외주면에 한 쌍의 제3 반구편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중간쉘을 둘러싸는 외부쉘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제1,2,3 반구편의 결합면은 상호 경사지게 배향되는 파크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내부쉘(100)은 한 쌍의 제1 반구편(110,120)의 원형 테두리 결합면에는 용착돌기(130)와 용착홈(140)을 형성하되, 외주면에는 인접하는 중간쉘(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지지돌기(150)를 내부쉘(1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중간쉘(200)은 외주면에 외부쉘(300)과 결합되는 제2 지지돌기(230)를 형성하되, 중간쉘(20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지지돌기(150)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타격 충격에도 견고한 결합이 유지될 수 되도록 내부쉘(100)의 중심을 지나는 원주 상에 대칭되게 형성하며;
    상기 외부쉘(300)은 중간쉘(200)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골프공의 외면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중간쉘(200)의 둘레에 한 쌍의 제3 반구편(310,320)이 사출되어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하되, 외부로 인식되는 미감을 향상하도록 투명 또는 특정한 색상으로 형성하고, 내부쉘(100) 및 중간쉘(200)과 서로 다른 탄성계수를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크 골프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내부쉘(100), 중간쉘(200), 외부쉘(300)을 각각 형성하는 제1,2,3 반구편의 결합면(S1,S2,S3)을 배향방향이 서로 달라 상호 경사지게 배향되고, 제1 지지돌기(150)와 제2 지지돌기(230)에 의하여 인접하는 내부쉘(100), 중간쉘(200), 및 외부쉘(300)이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타격 시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한 쉘 경계면에서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크 골프공.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00599A 2020-08-11 2020-08-11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3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99A KR102393152B1 (ko) 2020-08-11 2020-08-11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99A KR102393152B1 (ko) 2020-08-11 2020-08-11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87A KR20220020087A (ko) 2022-02-18
KR102393152B1 true KR102393152B1 (ko) 2022-05-02

Family

ID=8049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99A KR102393152B1 (ko) 2020-08-11 2020-08-11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941B1 (ko) 2022-03-31 2022-10-14 케이트레이드 주식회사 파크골프공의 제조방법
KR102450940B1 (ko) 2022-03-31 2022-10-25 케이트레이드 주식회사 파크골프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949B2 (ja) * 1997-03-19 2006-12-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を用いた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KR100777567B1 (ko) * 2007-06-12 2007-11-28 정지영 단거리 비상 골프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257B1 (ko) 2007-06-11 2008-07-07 정지영 단거리 골프공 제조방법
US20140357404A1 (en) 2013-05-31 2014-12-04 NIKE. Inc. Golf ball
US20150007932A1 (en) * 2013-07-05 2015-01-08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golf ball
KR101939886B1 (ko) * 2016-12-30 2019-01-17 최종일 구슬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8949B2 (ja) * 1997-03-19 2006-12-20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射出成形金型を用いた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KR100777567B1 (ko) * 2007-06-12 2007-11-28 정지영 단거리 비상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87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152B1 (ko)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892470B (zh) 包括选择性控制球杆头声音的结构的高尔夫球杆和球杆头
US5674133A (en) Structure of golf club head
US5242168A (en) Golf club head
JP3453024B2 (ja) ゴルフボール
KR20200119693A (ko) 파크골프용 골프채 헤드 제조방법
JP3130865U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2364612B1 (ko) 공동 코어와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155981A (ja) ウッド形ゴルフクラブ
JPH06154368A (ja) アイアン型ゴルフクラブの頭部の改良
US9272188B2 (en) Multi-layer golf ball with bladder core
CA2446190A1 (en) A ba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ll
JP2006247124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070281803A1 (en) Modified golf ball
KR20120095910A (ko) 리그라인드 재료로 이루어진 골프 클럽
JP2015517851A (ja) 半径方向に延在する突起を有するゴルフボールコア
KR20040074191A (ko) 골프공
US20170361178A1 (en) Golf club head
JP2009178182A (ja) グラウンドゴルフ・パークゴルフ用のクラブ
JP3227649U (ja) バットスリーブ及びバット
JP4718907B2 (ja) 樹脂製ボール
JP2004033618A (ja) 球技用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9325A (ja) 樹脂製ボール
KR102432249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저비거리 골프공 및 그 제조방법
US5569093A (en) Hollow plastic pin with varying wall thick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