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4191A - 골프공 - Google Patents

골프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4191A
KR20040074191A KR1020030009880A KR20030009880A KR20040074191A KR 20040074191 A KR20040074191 A KR 20040074191A KR 1020030009880 A KR1020030009880 A KR 1020030009880A KR 20030009880 A KR20030009880 A KR 20030009880A KR 20040074191 A KR20040074191 A KR 20040074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inner core
impact
cor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비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비아
Priority to KR102003000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4191A/ko
Priority to PCT/KR2004/000310 priority patent/WO2004085006A1/en
Publication of KR2004007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2Special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51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 A63B37/0055Materials other than polybutadienes; Constructional details with non-spherical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5Cores
    • A63B37/006Physical properties
    • A63B37/0064Diame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63B37/0077Physical properties
    • A63B37/0097Layers interlocking by means of protrusions or inserts, lattic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시 내부에서 발광기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이 타격부위에서 공의 중심부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중심측 내부에 내핵과 외핵으로 구성된 구형의 내부 코어와, 그 내부 코어의 외측에 위치하며 합성수재재로 충진되는 외부 코어와, 그 외부 코어의 외주면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표면부와, 그 내부 코어의 내핵에 내장 설치되어 적정 압력이상의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진동력에 의해 자체 발광하는 발광부로 대별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날씨에서도 골프공의 타구 진행방향 및 낙하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격력이 중심측으로 직접 전달되어 스핀율이 저하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골프공{a golf ball}
본 발명은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볼의 타격시 타격력이 중심측 내핵으로 직선으로 전달되도록 함과 아울러, 시야의 확보를 위해 발광기능을 구비하도록 한 골프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은 통상 그 구조에 따라 원피스공과 투피스공 및 쓰리피스공으로 구분되고, 그중 원피스(one piece)공은 전체가 고무와 수지의 복합 고탄성체로 구성되고, 투피스(two piece)공은 합성고무와 강화표면부의 이중구조를 가지며, 쓰리피스(three piece)공은 공의 중심부분에 고무실을 감아서 코어를 이중구조로 함과 아울러 그 외측으로 표면부를 씌운 것이다.
통상의 골프공은 공통적으로 외주면에 음각무늬의 요입홈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된 딤플(Dimpl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골프채의 타격시 공기저항을 줄여 비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종래 골프공의 일 예로 개시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2-7836호 "골프공"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인 내부코어(10)와 탄성체인외부코어(20) 및 표면부(30)로 구성되며, 그 외부코어(20)에는 그 내주부로부터 외주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보강부재(40)가 삽입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구조에 따른 골프공은 클럽의 스윙시에 클럽의 헤드와 충돌력이 직접으로 전달되므로, 그 충돌될 부위에서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임팩트시의 반발력과 탄발력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골프공이 날아가기전의 시간이 단축되어 기존의 것과 비교하여 비거리가 상대적으로 늘어나게 되는 유용한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골프공은 골프공의 재질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그 구조가 개량되어 왔으나, 골프 클럽 헤드와 부딪히는 임팩트 동작시 그 충격 에너지가 골프공 내부의 코어측으로 잘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골프공의 임팩트시 그 충격력에 의해 골프공의 외주부 형상이 변형되어 경기자의 의도된 타구방향과는 다르게 수평으로 휘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의 라운딩중 시간이 경과된 야간시 혹은 안개가 깔려 시야가 양호하지 못할 경우, 타구의 진행방향을 알 수 없게 되어 골프 경기의 진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타구의 진행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골프클럽의 타격시에도 그 타격부위의 형태가 최소로 변형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골프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쓰리피스구조의 골프공을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골프공의 일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골프공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골프공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골프공의 다른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골프공의 충격전달부재와 가이드부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발광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골프공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골프공 100 : 내부 코어
200 : 외부 코어 300 : 충격전달부재
330 : 돌기부 350 : 가이드부재
400 : 표면부 500 : 발광부
510 : 케이스 520 : 배터리
530 : 발광소자 540 : 진동스위치
542 : 전극봉 544 : 전극판
545 : 스프링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구형의 내부 코어와,
상기 내부 코어의 외측에 적정 두께로 충진되고 외측면에 표면부로 마감되는 외부 코어와,
상기 외부 코어의 내부에 방사선상으로 다수개 삽입되어 타격력을 상기 내부 코어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충격전달부재를 구비한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부재의 하단 중심부가 근접된 다른 충격전달부재의 하단 중심부와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구형의 내부 코어와,
상기 내부 코어의 외측에 적정 두께로 충진되고 외측면에 표면부로 마감되는 외부 코어와,
상기 내부 코어의 내핵에 내장 설치되어 적정 압력이상의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전기가 인가되어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외부 코어의 내부에 방사선상으로 다수개 마련되고 양단부가 상기 내부 코어와 표면부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 지지되어 타격력을 상기 발광부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원추형의 충격전달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위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요소는 상기 내부 코어가 그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핵과 그 내핵을 감싸는 외핵의 이중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격전달부재가 그 중심부가 근접되는 다른 충격전달부재의 중심부에 대해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충격전달부재의 하단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가 돌출 형성된 것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요소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내핵의 중앙에 내장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태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와, 상기 내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배터리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에 전기를 인가시키는 진동스위치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외에도, 상기 진동스위치는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봉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극판과, 상기 전극봉의 외측으로 동일축상에 복수회 권회되게 설치되고 전극판을 거쳐 발광소자에 접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은 도 2 및 도 9를 참조, 중심측 내부에 내핵(110)과 외핵(120)으로 구성된 구형의 내부 코어(100)와, 그 내부 코어(100)의 외측에 위치하며 합성수지재로 충진되는 외부 코어(200)와, 그 외부 코어(200)의 외주면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표면부(400)와, 그 내부 코어(100)의 내핵(110)에 내장 설치되어 적정 압력 이상의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진동력에 의해 자체 발광하는 발광부(500)로 대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충격전달부재(300)는 각 하단부의 중심부가 외부 코어(200)에 삽입되어 근접된 다른 충격전달부재(300)의 삽입된 하단 중심부와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골프공의 임팩트 타격시 그 타격력이 타격부위에서 공의 중심부측, 즉 내부 코어(100)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충격전달부재(300)의 외주연에는 외부의 충격에너지를 내부 코어(100)측으로 용이하게 전달시키기 위해 적정 경사각을 갖는 확장면(310)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격전달부재(300)는 그 재질이 발광부(500)로부터 발생된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해 투명 혹은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를 채용하는 것이다.
그 충격전달부재(300)는 대략 그 형태가 원추형의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6에서와 같이 각 상단부의 중심부가 상기한 표면부(400)의 정삼각형 표면의 꼭지점부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과, 도 5에서와 같이 정삼각형의 중앙부위에 딤플(410)의 기능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충격전달부재(300)의 외측에는 대략 삼각뿔 형상의 가이드부재(350)가 결합되며, 그 결합시 충격전달부재(300)의 양단부는 가이드부재(350)의 상,하 양측으로 일정부위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그 가이드부재(350)는 단부가 정삼각형 표면의 형상을 갖게 되므로, 표면부(400)의 일부위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 충격전달부재(300)는 하단부에 가이드부재(350)의 내주면과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돌기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그외에도, 외부 코어(200)는 합성수지를 순차적으로 몰딩하여 다층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 정삼각형 표면의 각 꼭지점들과 그 꼭지점들을 잇는 각 변들은 중심점과의 반경이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발광부(500)는 내핵(110)의 중앙에 내장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태의 케이스(510)와, 그 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배터리(520)와, 그 케이스(5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530; 발광다이오드, L.C.D등)와, 내핵(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너지에 의해 배터리(5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발광소자(530)에 전기를 인가시키는 진동스위치(540)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 진동스위치(540)는 케이스(510)의 외측면에 각각 마련되어 진동에너지에 의해 온/오프작동되는 스위치로서, 그 구성이 배터리(5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봉(542)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극판(544)과, 그 전극봉(542)의 외측으로 동일축상에 복수회 권회되게 설치되고 전극판(544)을 거쳐 발광소자(530)에 접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45)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골프공(1)의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대칭되는 금형(610,620)으로 상,하측의 내핵(110)을 각각 제조한 후에 그 내핵(110)의 내부공간에 발광부(500)가 내장되도록 수용 설치하고, 이어서 그 내핵(110)의 상,하측을 밀봉시켜 구형의 형상을 갖도록 한 후에, 그 구형의 내핵(110)의 외측으로 양측 분할된 외핵(120)을 덮어서 봉합시키며, 그 외핵(120)의 지지공(122)에 충격전달부재(300)의 단부를 삽입시킨 후에 표면부(400)로 덮어 씌워 마감한다.
이후에, 외부로 돌출된 충격전달부재(300)의 단부를 커팅하여 마무리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공정을 거쳐 완성된 본 발명의 골프공은 골프 클럽의 타격시 충격력이 충돌부위에서 충격전달부재(300)를 통해 내부 코어(100)의 내핵(110)측으로 전달되고, 그 타격력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비행하면서 양력과 항력을 받게 된다.
그 타격에너지가 클럽 헤드로부터 골프공에 전달되면, 타격부위의 표면부(400)에서 충격전달부재(300) 및 외부 코어(200)를 통해 내부 코어(100)측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충격력은 골프공의 비행에 필요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내부 코어(100)측으로 전달된 충격력에 반발하는 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반발력은 내핵(110)측으로부터 충격전달부재(300)를 통해 외측으로 전달되므로, 타격부위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된다.
또한, 타격시의 타격에너지는 진동스위치(540)의 스프링부재(545)에 전달되므로, 그 스프링부재(545)가 충격에 의해 중앙에 위치한 전극봉(542)과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터리(520)의 전류가 전극판(544)을 통해 발광소자(530)에 전류를 인가시켜 발광시키게 된다.
이때, 발광소자(530)로부터 발생되는 빛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인 충격전달부재(30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발광되어 골프공의 진행방향을 식별가능하도록 인식시켜줌과 아울러, 낙하지점의 지면에 부딪히는 충격력에 의해 다시 발광되므로 경기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 골프공의 발광시간은 발광소자(530)에 전류가 인가되는 대략 2~10초 사이가 될 것이나, 더 바람직하게는 전극판(544)에 별도의 집전부(550)를 마련하여 발광시간을 더 늘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타격시 발광기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력이 타격부위에서 공의 중심부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골프공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야간이나 흐린 날씨등의 시야가 양호하지 못할 때 골프공의 진행방향 및 낙하지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격부위에서 변형력이 발생되지 않아 스핀율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구형의 내부 코어(100)와,
    상기 내부 코어(100)의 외측에 적정 두께로 충진되고 외측면에 표면부(400)로 마감되는 외부 코어(200)와,
    상기 외부 코어(200)의 내부에 방사선상으로 다수개 삽입되어 타격력을 상기 내부 코어(100)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충격전달부재(300)를 구비한 골프공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부재(300)의 하단 중심부가 상기 외부 코어(200)에 근접 삽입된 다른 충격전달부재(300)의 하단 중심부와 정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부재(300)는 외주면에 적정 경사각을 갖는 확장면(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코어(100)는 그 중심부에 위치하는 내핵(110)과 그 내핵(110)을 감싸는 외핵(120)의 이중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부재(3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삼각뿔 형상의 가이드부재(3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50)는 각각의 일면이 상호 밀착되어 면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전달부재(300)는 하단 외주면에 상기 가이드부재(350)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복수개의 돌기부(33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7. 내부 중심에 위치하는 구형의 내부 코어(100)와,
    상기 내부 코어(100)의 외측에 적정 두께로 충진되고 외측면에 표면부(400)로 마감되는 외부 코어(200)와,
    상기 내부 코어(100)의 내핵(110)에 내장 설치되어 적정 압력이상의 충격에너지가 전달될 경우 전기가 인가되어 발광하는 발광부(500)와,
    상기 외부 코어(200)의 내부에 방사선상으로 다수개 마련되어 타격력을 상기 발광부(500)측으로 직접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발광부(50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한 충격전달부재(3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0)는 상기 내핵(110)의 중앙에 내장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태의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는 배터리(520)와,
    상기 케이스(5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광소자(530)와,
    상기 내핵(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너지에 의해 상기 배터리(520)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발광소자(530)에 전기를 인가시키는 진동스위치(5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위치(540)는 상기 배터리(5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봉(542)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극판(544)과,
    상기 전극봉(542)의 외측으로 동일축상에 복수회 권회되게 설치되고 전극판(544)을 거쳐 발광소자(530)에 접지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재(545)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KR1020030009880A 2003-02-17 2003-02-17 골프공 KR20040074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880A KR20040074191A (ko) 2003-02-17 2003-02-17 골프공
PCT/KR2004/000310 WO2004085006A1 (en) 2003-02-17 2004-02-16 Golf b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880A KR20040074191A (ko) 2003-02-17 2003-02-17 골프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191A true KR20040074191A (ko) 2004-08-23

Family

ID=3309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880A KR20040074191A (ko) 2003-02-17 2003-02-17 골프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074191A (ko)
WO (1) WO20040850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795B1 (ko) * 2006-05-30 2006-09-06 정지영 변형 골프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9675B2 (en) 2012-04-25 2015-03-17 Nike, Inc. Golf ball core having radial appendages
US9586096B2 (en) 2013-07-05 2017-03-07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US10155137B2 (en) 2013-07-05 2018-12-18 Feng Tay Enterprises Co., Ltd Golf ball core
US9492716B2 (en) 2013-07-05 2016-11-15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US9573023B2 (en) 2013-07-05 2017-02-21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US9468814B2 (en) 2013-07-05 2016-10-18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US9283440B2 (en) 2013-11-08 2016-03-15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US9289656B2 (en) 2013-11-21 2016-03-22 Nike, Inc. Multi-layer golf ba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297A (en) * 1986-01-06 1990-09-18 Newcomb Nelson F Method of playing golf at night
DE19834607A1 (de) * 1998-07-31 2000-02-03 Eberhard Von Der Mark Golfball
US6398667B1 (en) * 2000-06-08 2002-06-04 Wilson Sporting Goods Co. Golf ball with lattice structure
KR20020007836A (ko) * 2000-07-19 2002-01-29 신덕호 골프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795B1 (ko) * 2006-05-30 2006-09-06 정지영 변형 골프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5006A1 (en) 200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2487A (en) Illuminated golf ball
KR20040074191A (ko) 골프공
WO2001037944A1 (en) Golf ball
US5868633A (en) Lighted novelty golf club with automated sound producing means
US20050261083A1 (en) Modified ball structure
KR100655869B1 (ko) 골프공의 딤플 내부 구조
KR101099479B1 (ko) 유도식 발광 골프공
US6302804B1 (en) Golf pu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070281803A1 (en) Modified golf ball
JP2005205091A (ja) ゴルフボール
KR102393152B1 (ko) 배향방향이 상이한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35744A (ko) 공동 코어와 다층 쉘 구조를 가지는 파크 골프공 및 이의 제조방법
US6416423B1 (en) Production method of golf ball
CN111467773B (zh) 一种击打后可以发光发声羽毛球
KR200413532Y1 (ko) 발광 골프공
CN116801957A (zh) 羽毛球
KR200391691Y1 (ko) 골프티
KR20040074192A (ko) 골프공의 딤플구조
CN219290604U (zh) 一种玩具水球
JP3095472U (ja) 発光ボール
KR200204709Y1 (ko) 야간 레저용 배드민턴 공
KR200176047Y1 (ko) 충격 흡수성능을 갖는 연습용 골프공
KR20020007836A (ko) 골프공
KR200427195Y1 (ko) 골프티
JP2003135642A (ja) ゴルフクラブのスイングチェ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