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28B1 -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28B1
KR101642928B1 KR1020150091520A KR20150091520A KR101642928B1 KR 101642928 B1 KR101642928 B1 KR 101642928B1 KR 1020150091520 A KR1020150091520 A KR 1020150091520A KR 20150091520 A KR20150091520 A KR 20150091520A KR 101642928 B1 KR101642928 B1 KR 10164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flocculation
dischar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161A (ko
Inventor
인석신
Original Assignee
인석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석신 filed Critical 인석신
Publication of KR2015008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때,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천공장치에 사용된 작업수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응집바디와, 상기 응집바디로 작업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와, 상기 제1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응집바디의 내부로 작업수가 토출될 수 있게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는 응집유닛과, 상기 응집바디로부터 토출된 작업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작업수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내부에 배수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로와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부와, 상기 배수통로를 통해 유입된 작업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여과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수장치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작업이 이루어질 때, 천공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이 함유된 물을 정수하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을 천공하는 천공작업을 수행할 때 천공기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천공 작업이 수행되는 지중에 물을 공급한다. 이렇게 공급된 물은 천공 과정에서 형성되는 토사 및 지중의 이물질들을 포함한 상태로 지상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지상으로 배출된 물이 별도의 여과 없이 하수구로 유입되는 경우, 물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하수구가 막히거나 하수가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작업수를 천공작업에 재투입하기도 하는데,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수를 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중으로 재공급하는 경우 천공작업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공작업을 위해 공급된 작업수를 하수로 보내거나 천공작업에 재사용하는 경우 모두 지상으로 배출된 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정수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027431호에는 천공기용 정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선행기술의 천공기용 정수장치는 작업수가 배출되는 가이드관과, 가이드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내부공간을 가지는 보체와, 본체에 설치되어 가이드관을 통해 배출되는 작업수를 유도 배출하기 위한 슈트를 구비한 케이스와, 슈트에 연결되어 기름과 물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의 천공기용 정수장치는 이물질의 입자가 미세한 경우 여과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어 정수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027431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천공기를 이용한 지중의 천공 작업시 천공기로부터 배출되는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천공 작업에 사용된 작업수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응집바디와, 상기 응집바디로 작업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와, 상기 제1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응집바디의 내부로 작업수가 토출될 수 있게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이송관을 포함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는 응집유닛과, 상기 응집바디로부터 토출된 작업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작업수가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내부에 배수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로와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부와, 상기 배수통로를 통해 유입된 작업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여과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응집유닛은 상기 응집바디의 내부에서 층상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있으며 작업수가 상기 응집바디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된 회전토출부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토출부는 상기 작업수가 상기 응집바디의 내부에서 응집바디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곡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 제2 단턱이 형성되어 상하로 상호 적층될 때 상기 제1, 제2 단턱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된 환형부재와, 상기 환형부재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부재에는 상기 유입구가 내외주면을 관통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부재와, 상기 상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하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부재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하부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의 하단과 상기 하부부재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수평판을 포함하는 찬넬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판에는 렌싱 가공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부부재로 유입되는 작업수가 난류유동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류방지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수단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축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상기 경사부의 내주면을 향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와, 이 연장부재의 단부에 상기 경사부의 내면에 쌓인 이물질을 긁어내도록 결합된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부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거름수단 및 상기 스크래퍼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침강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배출구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천공작업에 사용된 후 배출되는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하천수의 오염, 천공장치의 사용수명 단축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정수장치의 응집유닛과, 여과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응집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4는 응집유닛의 단면도,
도 5는 여과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6은 여과유닛의 거름수단을 도시한 부분절단 분리사시도,
도 7은 여과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장치(20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 박스 형태의 케이스(201) 내부에 설치되는 응집유닛(210)과 여과유닛(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응집유닛(210)은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가 유입되어 상기 응집제에 의해 이물질의 응집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응집유닛(210)은 상하로 연장된 내부 중공을 가진 응집바디(211)와,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를 응집바디(21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연장된 제1 공급부(212)와, 제1 공급부(212)로부터 응집바디(211)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공급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응집바디(211)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소정의 중공을 갖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이며, 하단부에는 여과유닛(220)으로 작업수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응집바디(211)는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토출구의 상부에는 토출구로 작업수가 토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공급부(212)는 상술한 것처럼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를 응집바디(21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응집바디(21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제2 공급부(213)는 제1 공급부(21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응집바디(211)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공급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급유로를 갖는 이송관(214)과, 상기 이송관(214)에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토출부(215)를 포함한다.
회전토출부(215)는 이송관(214)의 공급유로와 연통되어서 공급유로로부터 작업수가 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토출부(215)는 토출되는 작업수가 응집바디(211)의 내부에서 응집바디(2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방향으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곡선형태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토출부(215)는 이송관(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토출부(215)들의 사이에는 공급유로와 연통되고 작업수가 이송관(21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송관(214)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관통홀(216)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수는 제1 공급부(212)를 거쳐 제2 공급부(213)를 통해 응집바디(211)의 내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전토출부(215)와 관통홀(216)을 통해서 응집바디(211)의 내부로 토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토출부(215) 및 관통홀(216)들은 이송관(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토출부(215)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토출되는 회전토출영역과 관통홀(216)을 통해 방사상의 방향으로 작업수가 토출되는 직선토출영역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교호적으로 위치하게 되며, 작업수가 응집바디(211) 내에서 난류유동을 하게 됨에 따라 응집바디(211)의 길이가 짧아도 응집제에 의해 이물질들이 상호 응집될 수 있는 충분한 응집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응집바디(211)를 통과한 작업수는 응집바디(211)의 하부 토출구를 통해 응집바디(211)의 외부로 토출되고, 분기관(217)을 통해서 네 개의 여과유닛(220)으로 각각 이동하여 응집된 이물질이 걸러지는 여과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여과유닛(220)은 하우징(221)과, 하우징(22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거름수단(240)을 구비한다.
하우징(221)은 상부부재(222)와, 상부부재(22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부재(224)를 포함하는데, 하부부재(224)는 상부부재(222)로부터 하방으로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통부(225)와, 원통부(2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0)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부재(222)와 하부부재(224)는 플랜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부재(222)에는 응집유닛(210)을 통과한 작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기관(217)과 연결되는 유입홀(22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부재(222)의 상부에는 유입홀(223)을 통해 유입된 작업수가 하부부재(224)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난류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류방지홀(229)이 형성되어 있는 찬넬(2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찬넬(226)은 유입홀(223)을 통해 유입된 작업수가 머무르게 되는 소정의 저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부부재(224)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부재(224)의 내주면과 나란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측면판(227)과, 이 측면판(227)의 하단과 하부부재(224)의 내주면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판(22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수평판(228)에 상기 난류방지홀(229)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수는 상기 난류방지홀(229)을 통해서만 하부부재(224)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이 난류방지홀(229)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작업수의 유속이 느려지게 되고, 작업수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들은 응집제에 의해 응집이 이루어짐에 따라 하부부재(224) 내에서 침강하게 된다. 상기 찬넬(226)에 형성되는 난류방지홀(229)은 랜싱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부재(224)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부(230)는 상술한 것처럼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게 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이물배출구(231)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이물질을 배출 및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파이프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송파이프 또는 상기 하부부재(224)의 하단에는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미도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수단(240)은 유입홀(223)을 통해 하부부재(224)로 유입된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221)의 내부에 수직상으로 적층되어 내부에 배수통로(245)를 형성하는 날개부(241)와, 날개부(241)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수부재(251)와, 날개부(241)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크래퍼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날개부(241)는 도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수직상으로 적층되는 환형부재(242)와, 환형부재(24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거름날개(247)를 구비한다. 상기 환형부재(242)는 복수개가 상호 적층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외주면으로부터 일정길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제1 단턱(243)과, 하부에 내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입된 제2 단턱(244)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환형부재(242)는 상기 제1, 제2 단턱(244)들이 상호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직 연장될 수 있으며, 결합된 환형부재(242)의 내부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정수된 작업수가 배출되는 배수통로(245)가 형성된다. 또한 환형부재(242)의 측면에는 환형부재(242)의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유입구(246)가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름날개(247)는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의 침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환형부재(24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거름날개(247)는 환형부재(242)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삿갓 형태가 된다. 날개부(241)들이 수직상으로 적층되면 각 환형부재(242)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246)는 거름날개(247)들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하우징(22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작업수가 상기 유입구(246)를 향해 이동할 때 상하로 적층된 거름날개(247)의 사이공간을 통과해야 한다. 거름날개(247)가 가장자리에서 유입구(246)를 향해 연장될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수의 유속이 느리며 작업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의 침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름날개(247)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작업수와 거름날개(247)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거름날개(247)의 상면 또는 하면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수부재(251)는 배수통로(245)로 유입된 작업수를 하우징(22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적층되는 날개부(241)들 중 최상단 날개부(24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수부재(251)와, 배수부재(251)를 감싸도록 배수부재(251)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252)를 포함한다. 배수부재(251)는 상부부재(22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하단부에 환형부재(242)의 제2 단턱(244)과 동일한 형태의 단턱이 마련되어 있어서 날개부(241)의 상부에 결합된다. 배수부재(251)가 거름수단(240)과 결합되면 배수부재(251)의 내부는 배수통로(245)와 연통된다.
상기 커버(252)는 상부부재(222)의 상측에 용접되어 있으며, 커버(252)의 일측에는 커버(252)로 유입된 작업수가 배출되는 배수관(25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260)는 거름수단(240)들이 상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하고, 또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배수부재(251)와 연결되는 회전축(261)과, 이 회전축(261)의 상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로킷(262)과, 상부부재(222)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64)와, 구동모터(264)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263)과, 구동스프로킷(263)과 종동스프로킷(262)을 연결하는 체인(265)을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264)의 구동력이 구동스프로킷(263)과 종동스프로킷(262)을 통해 회전축(261)에 전달되고, 이 회전축(261)이 환형부재(242)와 연결된 배수부재(251)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61)이 회전할 때, 날개부(24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날개부(241)와 배수부재(251)가 회전함으로써 작업수가 유입구(246)를 통해 배수부재(251)의 내측으로 유입되기까지 거름날개(247)와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래퍼부(270)는 날개부(241)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연결축(266)의 하단에 형성된 보스(271)와, 이 보스(271)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연장부재(272)와, 연장부재(272)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크래퍼(27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크래퍼(273)는 경사부(23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상기 스크래퍼부(270)는 연결축(266)에 연결되어 회전축(261)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게 되며, 이렇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크래퍼(273)가 경사부(230)의 내벽에 침강된 이물질을 긁어내어 이물질이 경사부(230)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2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천공과정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이 포함된 작업수는 응집유닛(210)으로 공급되며, 응집유닛(210)으로 공급되기 전에 이물질들의 응집을 위한 응집제를 투입한다. 응집유닛(210)에서는 작업수가 토출되는 토출위치가 응집바디(2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격되어 층상교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짧은 시간동안 응집제에 의한 이물질의 응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후 여과유닛(220)으로 토출된다.
여과유닛(220)으로 유입된 작업수는 찬넬(226)을 거쳐 하우징(221)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며, 찬넬(226)에 의해 난류유동이 방지된다.
하우징(221)의 하단은 개폐밸브에 의해 막혀있으므로 유입된 작업수는 하우징(221)의 내부공간에 저수되며 일정량의 작업수가 유입되면 배수관(253)과 연결되는 펌프를 작동시켜 작업수를 배수통로(245)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작업수가 배수통로(245)로 유입되기 위해 거름날개(247)를 지나 유입구(246)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유속이 느려지면서 작업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강하고, 이물질은 거름날개(247)에 유착된 상태로 잔류하거나 하우징(221)의 하부에 퇴적된다. 이렇게 정수된 작업수는 배수부재(251)와 배수관(2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하수구 또는 저장탱크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는 천공작업 중 발생하는 오염된 작업수의 여과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하수의 오염방지 또는 작업수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200; 정수장치
201; 케이스
210; 응집유닛 211; 응집바디
212; 제1 공급부 213; 제2 공급부
214; 이송관 215; 회전토출부
216; 관통홀 217; 분기관
220; 여과유닛 221; 하우징
222; 상부부재 223; 유입홀
224; 하부부재 225; 원통부
226; 찬넬 227; 측면판
228; 수평판 229; 난류방지홀
230; 경사부 231; 이물배출구
240; 거름수단 241; 날개부
242; 환형부재 243; 제1 단턱
244; 제2 단턱 245; 배수통로
246; 유입구 247; 거름날개
250; 배수부 251; 배수부재
252; 커버 253; 배수관
260; 회전구동부 261; 회전축
262; 종동스프로킷 263; 구동스프로킷
264; 구동모터 265; 체인
266; 연결축 270; 스크래퍼부
271; 보스 272; 연장부재
273; 스크래퍼

Claims (6)

  1. 천공 작업에 사용된 작업수를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
    응집제가 투입된 작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중공을 가진 응집바디(211)와, 상기 응집바디(211)로 작업수를 공급하는 제1 공급부(212)와, 상기 제1 공급부(212)와 연결되고 상기 응집바디(211)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 제2공급부(213)를 구비한 응집유닛(210);과
    상기 응집바디(211)로부터 토출된 작업수가 유입되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작업수가 유입되는 유입홀(223)이 형성된 하우징(221)과, 상기 하우징(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적층되어 내부에 배수통로(245)를 형성하며 상기 배수통로(245)와 하우징(221)의 내부공간이 연통되도록 유입구(246)가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날개부(241)와, 상기 배수통로(245)를 통해 유입된 작업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250)를 포함하는 거름수단(240)을 구비하는 여과유닛(220);을 포함하고,
    상기 응집유닛(210)의 제2공급부(213)는 응집바디(211)의 내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공급수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급유로를 갖는 이송관(214)과, 상기 이송관(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214)으로부터 곡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토출되는 공급수가 회전됨으로써 회전토출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회전토출부(215) 및 상기 회전토출부(215) 사이에 설치되고 이송관(214)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방사상의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급수에 의해 직선토출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관통홀(21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1)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제1, 제2 단턱(243)(244)이 형성되어 상하로 상호 적층될 때 상기 제1, 제2 단턱(243)(244)이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된 환형부재(242)와, 상기 환형부재(24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되 외측으로 연장될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거름날개(247)를 구비하고,
    상기 환형부재(242)에는 상기 유입구(246)가 내외주면을 관통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1)은 상부부재(222)와, 상기 상부부재(222)의 하부에 결합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원통부(225)와, 상기 원통부(225)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230)를 포함하는 하부부재(224)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부재(222)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내주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상부부재(222)에 형성된 측면판(227)과, 상기 측면판(227)의 하단과 상기 하부부재(224)의 내주면을 연결하는 수평판(228)을 포함하는 찬넬(226)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평판(228)에는 렌싱 가공되어 상기 유입홀을 통해 상기 상부부재(222)로 유입되는 작업수가 난류유동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난류방지홀(2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21)의 하부에는 침강된 물질이 배출되는 이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물배출구(231)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개폐밸브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91520A 2012-06-29 2015-06-26 정수장치 KR101642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1094 2012-06-29
KR1020120071094 2012-06-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25A Division KR20140004581A (ko) 2012-06-29 2013-07-01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161A KR20150082161A (ko) 2015-07-15
KR101642928B1 true KR101642928B1 (ko) 2016-07-26

Family

ID=497835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25A KR20140004581A (ko) 2012-06-29 2013-07-01 정수장치
KR1020130076723A KR20140004580A (ko) 2012-06-29 2013-07-01 정수장치
KR1020150091520A KR101642928B1 (ko) 2012-06-29 2015-06-26 정수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25A KR20140004581A (ko) 2012-06-29 2013-07-01 정수장치
KR1020130076723A KR20140004580A (ko) 2012-06-29 2013-07-01 정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140004581A (ko)
WO (2) WO2014003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083B1 (ko) * 2014-08-20 2015-02-04 정지호 침사물에 포함된 모래 및 협잡물의 분리 배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5988B2 (ja) * 2001-02-21 2006-10-18 株式会社クボタ 凝集反応槽
JP2006326445A (ja) * 2005-05-25 2006-12-07 World Chemical Co Ltd 回収クーラントなどの廃液含有成分の分離回収装置及び方法
KR100852011B1 (ko) * 2007-04-20 2008-08-12 인석신 정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918B1 (ko) * 1995-02-20 1998-04-15 김지수 정수처리 장치
JP2001038105A (ja) * 1999-07-28 2001-02-13 Ishitake:Kk 排水処理用反応沈殿槽
KR200363081Y1 (ko) * 2004-07-08 2004-09-23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364170Y1 (ko) * 2004-07-08 2004-10-08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정수장 침사조의 이물질 인양장치
KR20060029765A (ko) * 2004-10-04 2006-04-07 한국수자원공사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KR200378894Y1 (ko) * 2004-12-17 2005-03-16 박성덕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0668478B1 (ko) * 2005-11-02 2007-01-12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815248B1 (ko) * 2006-11-09 2008-03-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집-여과 일체형 하향식 정화처리장치
KR101103052B1 (ko) * 2009-09-10 2012-01-05 (주)성인 천공기용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5988B2 (ja) * 2001-02-21 2006-10-18 株式会社クボタ 凝集反応槽
JP2006326445A (ja) * 2005-05-25 2006-12-07 World Chemical Co Ltd 回収クーラントなどの廃液含有成分の分離回収装置及び方法
KR100852011B1 (ko) * 2007-04-20 2008-08-12 인석신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81A (ko) 2014-01-13
WO2014003523A1 (ko) 2014-01-03
KR20140004580A (ko) 2014-01-13
KR20150082161A (ko) 2015-07-15
WO2014003522A1 (ko) 201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809B1 (ko) 우회수가 역세척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회수 제어 기능이 있는 프레임형 디스크 필터
CA2608798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from aqueous fluids
JP6127316B2 (ja) 分離洗浄処理装置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KR101642928B1 (ko) 정수장치
KR101022636B1 (ko) 특히 액체로부터 고체를 분리하기 위한 역류 필터 시스템
CN210302752U (zh) 一种含油污水沉淀池
KR200482610Y1 (ko) 와류 발생 구조를 갖는 폐수 처리장치
KR100519680B1 (ko)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KR200171325Y1 (ko) 하·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인양·제거장치
KR10151728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KR101784886B1 (ko)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KR101205400B1 (ko) 스크린부에 부착된 협잡물의 제거와 제거된 협잡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제거장치
KR20140093378A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100852011B1 (ko) 정수장치
JP4242994B2 (ja) 濾過装置
KR20120106173A (ko) 협잡물 종합 처리기
KR200427978Y1 (ko) 폐수처리설비의 에어 리프트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1267732B1 (ko)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CN212396113U (zh) 一种工业废水多级处理装置
JP3797557B2 (ja) 浮上ろ材を用いたろ過装置
JP3216255U (ja) 溢流壁を備えた水処理装置
CN114409145B (zh) 一种农药污染土壤修复用废水处理设备
JP4702769B2 (ja) 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