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081Y1 -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081Y1
KR200363081Y1 KR20-2004-0019472U KR20040019472U KR200363081Y1 KR 200363081 Y1 KR200363081 Y1 KR 200363081Y1 KR 20040019472 U KR20040019472 U KR 20040019472U KR 200363081 Y1 KR200363081 Y1 KR 200363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tank
facility
rotating member
power gene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희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합자회사 우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19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0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되기 위한 물에 포함된 부유물을 쉽고 편리하게 제거하는 정수장 침사조의 이물질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되는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침사조를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이 형성되는 정수장의 침사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와; 상기 침사조의 바닥에 고정되는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원동회전부재와 종동회전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걸름판과; 상기 걸름판에 밀착되는는 이송구와;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서 시설물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구에 의해서 이동되는 부유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부유물을 외부로 이동시큰 이물질배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Do floating matter exclusion chapter of cleaning bed Tank that sink}
본 고안은 정수되기 위한 물에 포함된 부유물을 쉽고 편리하게 제거하는 정수장 침사조의 이물질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로 사용되기 위해 정수되기 위해 정수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는 잔존하는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수장에 형성된 침사조에서 서서히 이동하면서 자연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다음 단계인 약품처리조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침사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에서 침전되는 각종 이물질은 침사조의 바닥면으로 자연 낙하하면서 가라앉아 바닥면에 침전물이 퇴적되며, 침전되지 않는 부유물은 유입수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계속 이동되기 때문에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지만 별도 장치가 없어 인력으로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쉽고 편리하게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되는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침사조를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이 형성되는 정수장의 침사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작동되는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가 형성되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와;
상기 침사조의 바닥면과 근접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원동회전부재와 종동회전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침사조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걸림구가 상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부유물이 부착되며, 침사조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면 상부까지 형성되는 걸름판과;
상기 걸름판이 형성되는 방향의 이송부재에 고정되어 걸름판을 따라 상승되며, 걸름판의 걸림구 사이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구와;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서 시설물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구에 의해서 이동되는 부유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부유물을 외부로 이동시큰 이물질배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구가 부유물이 걸리는 걸름판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구가 다수개의 걸림구로 형성되는 걸름판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구가 경사면을 따라 부유물을 상승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구에 의해서 상승된 부유물이 경사면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이물질배출기로 낙하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침사조 200 : 시설물
300 : 동력발생부재 310 : 원동회전부재
320 : 종동회전부재 400 : 이송부재
500 : 이송구 600 : 걸름판
610 : 걸림구 700 : 경사면
710 : 배출구 800 : 이물질배출기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장의 침사조(100)에 설치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침사조(100)의 상부에는 침사조(100)를 관찰하는 시설물(200)이 설치되며, 상기 시설물(200)에는 전원이 연결되면 회전되는 모터로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300)를 형성하며, 동력발생부재(300)가 형성되는 시설물(200)의 일측에는 상기 동력발생부재(300)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310)를 형성한다.
동력발생부재(300)에 의해서 회전하는 원동회전부재(310)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를 연결하여 원동회전부재(310)에 의해서 이송부재(400)가 이동되도록 형성하며, 침사조(100)의 하부에는 종동회전부재(320)를 형성하여 이송부재(400)가 원동회전부재(310)와 종동회전부재(320)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동력발생부재(300)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310)와 종동회전부재(320)는 스프로킷으로 형성하고 이송부재(400)는 체인으로 형성하여 이송부재(400)가 원동회전부재(310)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로울러 등의 다른 회전부재와 이송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동력발생부재(300)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310)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이송부재(400)에서 침사조(100)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흐르는 방향에는 도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걸림구(610)가 상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걸름판(600)을 형성한다.
유입수가 흐르는 방향에 형성되는 걸름판(600)의 걸림구(61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구(61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며, 걸름판(600)의 하단부는 침사조(100)의 바닥면(110)과 밀착되고 상단부는 침사조(100)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면보다 높게 형성하여 침사조(100)로 유입되는 모든 유입수가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사이를 통과하여 다음 단계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침사조(100)의 바닥면(110)에서 유입수의 수면 상부까지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에 고정되어 이송부재(400)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구(500)를 밀착시켜 형성한다.
이송부재(400)에 고정되어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사이사이에 밀착되는 이송구(5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판(600)과 밀착되는 면을 요철(凹凸)로 형성한다.
침사조(100)의 바닥면(110)에서 유입수의 수면 상부까지 연장되면서 형성되는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상부에는 침사조(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시설물(200) 까지 연장되는 경사면(700)을 형성한다.
걸름판(600)의 상부에서 시설물(200) 까지 연장되는 경사면(700)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를 따라 이동되는 이송구(500)가 걸름판(600)의 상부로 상승될 때 이송구(500)의 단부가 경사면(700)과 밀착된 상태에서 상승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걸름판(600)의 상부에서 시설물(200) 까지 형성되는 경사면(700)이 끝나는 단부에는 이송구(500)를 따라 이동되는 부유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배출구(710)를 형성하며, 배출구(710)의 하부에는 이물질배출기(80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걸름판(600)은 침사조(100)의 바닥면(110)에서 유입수의 수면보다 위쪽까지 형성되어 있어 침사조(100)로 유입되는 모든 유입수가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은 모두 걸름판(600)의 걸림구(610) 사이에 걸린다.
유입수가 침사조(100)에서 계속 이동되면서 걸름판(600)의 걸림구(610)에 부유물이 쌓이면 동력발생부재(3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원동회전부재(310)를 회전시켜 이송부재(400)가 원동회전부재(310)와 종동회전부재(320)의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이동되며, 이송부재(400)가 이동되면 걸름판(600)의 걸림구(610)와 밀착된 이송구(500)가 걸름판(600)을 따라 상승하면서 걸름판(600)의 걸림구(610)에 걸린 부유물을 같이 상승시킨다.
걸름판(600)의 걸림구(610)에 걸린 부유물이 회전되는 이송부재(400)에 고정된 이송구(500)에 의해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면서 걸름판(600)의 상부까지 이동되면 이송구(500)가 걸름판(600)의 걸림구(610)에 걸린 부유물과 함께 상승되면서 경사면과 밀착되어 계속 상승한다.
이때, 부유물을 이송구(500)와 경사면(700)이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상승된다.
이송구(500)가 이송부재(400)에 의해서 계속 상승하면서 경사면(700)의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구(710)에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착하면 부유물의 하중에 의해서 부유물이 자연적으로 경사면(700)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710)로 떨어지면서 배출구(710)의 하부에 형성된 이물질배출기(800)로 낙하되며, 이물질배출기(800)로 낙하된 부유물은 침사조(100)의 외부로 이동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수개의 걸림구로 형성되는 걸름판에 걸리는 부유물을 이송구로 신속하게 제거하기 때문에 부유물이 포함된 유입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모터로 형성되는 동력발생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프로킷으로 형성되는 원동회전부재와 종동회전부재에 의해 체인으로 형성되는 이송부재가 이동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고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되는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침사조를 관리하기 위한 시설물이 형성되는 정수장의 침사조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작동되는 동력발생부재와;
    상기 동력발생부재가 형성되는 시설물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재에 의해서 회전되는 원동회전부재와;
    상기 침사조의 바닥면과 근접되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원동회전부재와 종동회전부재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에서 침사조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이동되는 방향에 다수개의 걸림구가 상부로 연장되면서 형성되어 부유물이 부착되며, 침사조에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면 상부까지 형성되는 걸름판과;
    상기 걸름판이 형성되는 방향의 이송부재에 고정되어 걸름판을 따라 상승되며, 걸름판의 걸림구 사이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구와;
    상기 걸름판의 상부에서 시설물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이 끝나는 단부에 형성되어 이송구에 의해서 이동되는 부유물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된 부유물을 외부로 이동시큰 이물질배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2004-0019472U 2004-07-08 2004-07-08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363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72U KR200363081Y1 (ko) 2004-07-08 2004-07-08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472U KR200363081Y1 (ko) 2004-07-08 2004-07-08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081Y1 true KR200363081Y1 (ko) 2004-09-23

Family

ID=4943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472U KR200363081Y1 (ko) 2004-07-08 2004-07-08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522A1 (ko) * 2012-06-29 2014-01-03 In Suk Shin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522A1 (ko) * 2012-06-29 2014-01-03 In Suk Shin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KR101318263B1 (ko)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KR102247482B1 (ko)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CN209128169U (zh) 一种污水沉淀再循环装置
KR200363081Y1 (ko) 정수장 침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827506B1 (ko) 취수장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620102B1 (ko)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417549Y1 (ko)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JP4135341B2 (ja) 凝集沈殿方法並びに沈殿装置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3689162B2 (ja) 汚水池における揚砂装置
CN111018249A (zh) 污水强化预处理一体化设备
KR101038684B1 (ko) 다층 수평관 액체 침전장치
JPS63185413A (ja) 槽底沈澱物の除去装置
KR200364170Y1 (ko) 정수장 침사조의 이물질 인양장치
KR100693281B1 (ko)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KR100574380B1 (ko) 원심유동법에 의한 침전물 분리장치
CN209668847U (zh) 螺旋预处理反应罐
KR200440841Y1 (ko) 침사 인양장치
KR20050033406A (ko)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 제거 및 종합 전처리 장치
KR100605742B1 (ko) 굴절식 경사판과 이를 이용한 침강장치
CN207024709U (zh) 一种双层平流沉淀池
KR200221274Y1 (ko) 경사판과 유동상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170509B1 (ko) 슬러지 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