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482B1 -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482B1
KR102247482B1 KR1020190130258A KR20190130258A KR102247482B1 KR 102247482 B1 KR102247482 B1 KR 102247482B1 KR 1020190130258 A KR1020190130258 A KR 1020190130258A KR 20190130258 A KR20190130258 A KR 20190130258A KR 102247482 B1 KR102247482 B1 KR 10224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algae
screen unit
impurities
screen
transfe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490A (ko
Inventor
유춘남
Original Assignee
유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춘남 filed Critical 유춘남
Priority to KR102019013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4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녹조에 대하여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과 녹조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탈수 및 건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거되는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하여 탈수 및 건조처리하면서 협잡물 및 녹조 내의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수집함 내에 수집하여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한 수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Removal apparatus for water-bloom and floating waste}
본 발명은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녹조에 대하여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과 녹조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탈수 및 건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수거되는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하여 탈수 및 건조처리하면서 협잡물 및 녹조 내의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수집함 내에 수집하여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한 수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조는 플랑크톤이 대량 번식하여 물색을 녹색으로 변화시키는 현상으로, 주로 남조류가 원인이 되어 강이나 하천 및 호소 등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남조류는 부영양화돼 수질이 나쁜 호수에서 여름에 서식하는 식물 플랑크톤으로, 여름에 대량 번식해 수면에 뜨면 녹색을 띠므로 녹조(綠潮)현상이라 부르고 있다.
이와 대비하여, 편모조류와 규조류에 의해 바다가 붉게 물드는 현상을 적조(赤潮, red tide)라 부른다.
한편, 녹조가 번식하면 물속의 용존 산소량이 감소, 적조와 마찬가지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고 물에서 썩는 냄새가 나 어업에 피해를 준다.
또한, 독소를 가진 남조류가 많은 녹색의 호숫물을 마시면 간에 손상이 가거나 구토, 복통이 일어나며 많이 마시면 죽을 수도 있다.
그리고 수역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먹이사슬구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녹조는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유해적조(HAB : harmful algal-bloom : 어패류의 식중독을 일으키는 패독 현상을 포함함)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녹조현상은 이미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되어 왔고, 녹조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황토, 약품 등을 지속적으로 투입하여 일시적으로 녹조를 제거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4대 강 사업으로 인해 녹조현상이 더욱 심해져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수원 오염, 어류 폐사, 악취발생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약품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공지 기술로는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24170호 2013. 01. 14.등록.)에서 보는 바와 같은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녹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약품을 이용한 제거방법은 지속적으로 약품을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임시적인 방편에 불가하며, 특허문헌 1의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 또한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 구입 비용이 매우 높아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가 아닌 깊이가 깊은 강이나 하천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을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기에는 매우 많은 전력이 소모되므로 유지비용이 매우 높아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녹조 제거를 위한 장치는 단순히 녹조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협잡물에 대한 제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녹조제거를 위한 가동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폭이 협소한 수로 등에 설치시 선택적으로 협잡물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24170호 2013.01.14.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녹조에 대하여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과 녹조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과 함께 탈수 및 건조구조를 더 적용함으로써 수거되는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하여 탈수 및 건조처리하면서 협잡물 및 녹조 내의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수집함 내에 수집하여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한 수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과 하판의 사이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가 고정되며, 길이방향 중앙 및 후방 측에 통공이 관통형성되는 부력선; 상기 부력선의 전방 측 상부로부터 외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부력선 전방 측 상면으로부터 한 쌍으로 돌출되는 설치대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수면으로부터 수중에 걸쳐 부유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블록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1스크린유닛; 상기 부력선의 중앙 측 상부로부터 중앙의 통공을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중앙의 통공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1스크린유닛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2스크린유닛; 상기 부력선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후방의 통공을 통해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후방의 통공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2스크린유닛의 스크린망보다 작은 메쉬 타입으로 제공되어 제2스크린유닛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3스크린유닛; 상기 부력선의 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협잡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협잡물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 컨베이어; 상기 부력선의 중앙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2스크린유닛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 컨베이어; 상기 부력선의 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걸려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 컨베이어; 상기 부력선의 폭 방향 일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부력선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협잡물이송 컨베이어; 상기 부력선의 폭 방향 타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와 제3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부력선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녹조이송 컨베이어;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수집하는 협잡물수집함;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의 후방 폭 방향 타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수집하는 녹조수집함; 및 상기 부력선의 후방 측 상면 중앙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제3스크린유닛, 제1이송 컨베이어, 제2이송 컨베이어, 제3이송 컨베이어, 협잡물이송 컨베이어, 녹조이송 컨베이어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스크린유닛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블록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스크린블록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로 밀착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이어 맞물린 상태로 축 연결되면서 스크린블록을 순환회전시키도록,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크린유닛의 스크린블록은 상, 하단에 중공의 봉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 대하여 상호 맞물리게 크랭크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하연결부 및 상기 상,하연결부의 후단에 상, 하단이 연결되는 판 상으로 제공되며, 장방형의 통수공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판부를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상기 제2스크린유닛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망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스크린유닛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스크린망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으로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제2스크린유닛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2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상기 제1스크린유닛과 제3스크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스크린유닛의 상단부 하측과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중앙탈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앙탈수유닛은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유입호퍼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일직선상에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가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유입호퍼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녹조로부터 누적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 둘레를 따라 배출관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는 녹조를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가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유입호퍼는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에 의해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의 표면과 근접되는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3이송 컨베이어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상기 제3스크린유닛의 상단부 하측과 제3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후방탈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협잡물수집함으로 수집되는 협잡물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협잡물건조로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녹조수집함으로 수집되는 녹조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의 길이방향 후방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녹조건조로가 더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부력선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부력선 후방 측에는 축전지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기동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협잡물만 걷어내기 위한 용도의 사용시 상기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은 설치대 상에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한편, 승강수단의 작동을 통해 일정높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것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제1스크린유닛은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협잡물을 내포하는 수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프레임 중앙부분 일정길이에 걸쳐 외향 일정면적을 가지고 경사지게 판 상으로 확장되는 거름가이드 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스크린유닛은 선택적으로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될 수 있도록, 부력선 전방 양측에 설치고정되는 승강실린더로부터 출몰하는 로드의 단부가 한 쌍의 프레임에 대한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후방 측으로부터 각각 힌지연결되는 한편, 승강실린더의 로드에 대한 출몰을 통해 선택적으로 설치대를 통해 양측이 회전가능토록 축 고정설치되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측 부분이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녹조에 대하여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과 녹조를 제거시킬 수 있다.
둘째,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과 함께 탈수 및 건조구조를 더 적용함으로써 수거되는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하여 탈수 및 건조처리하면서 협잡물 및 녹조 내의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수집함 내에 수집하여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한 수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요부인 제1스크린유닛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요부인 제2이송 컨베이어와 중앙탈수유닛을 나타낸 측면예시도.
도 6은 도 5의 중앙탈수유닛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요부인 제1스크린유닛을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의 요부인 제2이송 컨베이어와 중앙탈수유닛을 나타낸 측면예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중앙탈수유닛을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녹조 발생지역의 수면에 부유토록 설치하여 강이나 하천 등에 발생하여 수면으로부터 수중으로 일정깊이에 이르기까지 정체되는 녹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되, 수면에 부유하는 협잡물에 대하여서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부력선(100), 제1스크린유닛(200), 제2스크린유닛(300), 제3스크린유닛(400), 제1이송 컨베이어(500), 제2이송 컨베이어(600), 제3이송 컨베이어(700),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 녹조이송 컨베이어(900), 협잡물수집함(800a), 녹조수집함(900a) 및 축전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력선(100)은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110)과 하판(120)의 사이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130)가 고정되며, 길이방향 중앙 및 후방 측에 통공(151, 152)이 관통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부로부터 외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부력선(100) 전방 측 상면으로부터 한 쌍으로 돌출되는 설치대(141)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수면으로부터 수중에 걸쳐 부유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블록(2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은 상기 부력선(100)의 중앙 측 상부로부터 중앙의 통공(151)을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중앙의 통공(151)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142)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1스크린유닛(200)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3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스크린유닛(400)은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후방의 통공(152)을 통해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후방의 통공(152)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143)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2스크린유닛(300)의 스크린망(310)보다 작은 메쉬 타입으로 제공되어 제2스크린유닛(300)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4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500)는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1스크린유닛(200)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협잡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협잡물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이송 컨베이어(500)는 특히, 협잡물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부(미부호)가 망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600)는 상기 부력선(100)의 중앙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2스크린유닛(300)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500)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이송 컨베이어(600)도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부(미부호)가 망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 컨베이어(7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3스크린유닛(400)을 통해 걸려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500)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제3이송 컨베이어(700)의 경우에도 제2이송 컨베이어(600)와 마찬가지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부(미부호)가 망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폭 방향 일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5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부력선(100)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는 제1이송 컨베이어(500)와 마찬가지로, 협잡물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부(미부호)가 망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폭 방향 타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600)와 제3이송 컨베이어(7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부력선(100)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경우에는 제2이송 컨베이어(600) 또는 제3이송 컨베이어(700)와 마찬가지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벨트부(미부호)가 망체로 제공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협잡물수집함(800a)은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수집하는 것이다.
또한, 녹조수집함(900a)은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타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수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1000)는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면 중앙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제1스크린유닛(200), 제2스크린유닛(300), 제3스크린유닛(400), 제1이송 컨베이어(500), 제2이송 컨베이어(600), 제3이송 컨베이어(700),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전지(1000)는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일 측에 설치되는 태양광발전유닛이나 풍력발전유닛 등의 발전유닛(미도시)을 통해 전기를 축전시켜 앞서 설명한 구성들에 대한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서, 특히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블록(2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2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220)과, 스크린블록(210)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로 밀착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이어 맞물린 상태로 축 연결되면서 스크린블록(210)을 순환회전시키도록, 가이드레일(22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240)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2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은 통상의 제진기에서의 구동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스크린유닛(200)은 통상의 제진기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동스프로킷(S)과 연동되는 연동스프로킷(미도시)이 프레임(220) 하단 측에 엔드리스체인(240) 하단부 궤도 상에 맞물려 회전되게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의 스크린블록(210)은 상, 하단에 중공의 봉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 대하여 상호 맞물리게 크랭크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하연결부(211, 212) 및 상기 상,하연결부(211, 212)의 후단에 상, 하단이 연결되는 판 상으로 제공되며, 장방형의 통수공(215a)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판부(2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스크린블록(210)의 상,하연결부(211, 212) 중 하연결부(212) 측에 판부(215)와 단이 진 부분을 통해 협잡물이 걸러질 수 있으며, 특히 협잡물이 더욱 안정적으로 걸러질 수 있도록 상기 하연결부(212) 측의 판부(215)에 대한 단부 전면에 판부(215)와 직교하여 레이크부(미도시)가 더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협잡물을 내포하는 수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한 쌍의 프레임(220) 중앙부분 일정길이에 걸쳐 외향 일정면적을 가지고 경사지게 판 상으로 확장되는 거름가이드 판(220a)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서의,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3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3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320)과, 상기 스크린망(310)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3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3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3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은 통상의 제진기에서의 구동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2스크린유닛(300)은 스크린망(310)이 망체로 구비되는 점만 차이를 가지되 통상의 제진기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동스프로킷(S)과 연동되는 연동스프로킷(미도시)이 프레임(320) 하단 측에 엔드리스체인(340) 하단부 궤도 상에 맞물려 회전되게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서의 상기 제3스크린유닛(4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4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4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420)과, 상기 스크린망(410)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3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4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스크린유닛(300)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4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동수단은 통상의 제진기에서의 구동수단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3스크린유닛(400)은 스크린망(310)이 망체로 구비되는 점만 차이를 가지되 통상의 제진기와 유사한 것으로서, 구동스프로킷(S)과 연동되는 연동스프로킷(미도시)이 프레임(520) 하단 측에 엔드리스체인(440) 하단부 궤도 상에 맞물려 회전되게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제2스크린유닛(300)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2이송 컨베이어(600)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과 제3스크린유닛(3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의 상단부 하측과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600)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1110)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113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1110)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중앙탈수유닛(11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탈수유닛(1100)은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유입호퍼(1110)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일직선상에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가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중앙탈수유닛(1100)은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압출롤러(1130)의 길이방향 양단이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는 상부 설치판(미부호) 및 상부 설치판의 양측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단이 부력선(100)의 상판(11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설치판을 통하여 부력선(100)의 상판(11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중앙탈수유닛(1100)의 상기 유입호퍼(111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녹조로부터 누적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111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11) 둘레를 따라 배출관(1115)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111)는 녹조를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1113)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입호퍼(1110)는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에 의해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의 표면과 근접되는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111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제3스크린유닛(400)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3이송 컨베이어(700)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스크린유닛(400)의 상단부 하측과 제3이송 컨베이어(700)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2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1210)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123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1210)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230)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후방탈수유닛(12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방탈수유닛(1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중앙탈수유닛(110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이하,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를 통해 이송되어 협잡물수집함(800a)으로 수집되는 협잡물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협잡물건조로(800b)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협잡물건조로(800b)는 통상의 열풍 건조기 타입으로서, 더욱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를 통해 이송되어 녹조수집함(900a)으로 수집되는 녹조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길이방향 후방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녹조건조로(900b)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녹조건조로(900b)도 앞서 설명한 협잡물건조로(800b)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열풍 건조기 타입으로서, 더욱 상 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부력선(100)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부력선(100) 후방 측에 축전지(10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1310) 및 모터(13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1320)를 포함하는 기동수단(13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기동수단(1300)은 방향조절을 위한 방향조작레버(미부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는 협잡물만 걷어내기 위한 용도의 사용시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 및 제3스크린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승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 및 제3스크린유닛(400)은 설치대(142, 143) 상에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한편, 승강수단의 작동을 통해 일정높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미도시)은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통상의 승강 조작을 위한 승강실린더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대(142, 14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대(142, 143) 상에 고정되는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 및 제3스크린유닛(40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서의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선택적으로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부력선(100) 전방 양측에 설치고정되는 승강실린더(1410)로부터 출몰하는 로드(1420)의 단부가 한 쌍의 프레임(220)에 대한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후방 측으로부터 각각 힌지연결되는 한편, 승강실린더(1410)의 로드(1420)에 대한 출몰을 통해 선택적으로 설치대(141)를 통해 양측이 회전가능토록 축 고정설치되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측 부분이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서,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은 상단부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310)의 표면을 털어주는 스크린 녹조 분리용 브러시(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은 스크린 녹조 분리용 브러시(B)를 통해 제2스크린유닛(300)의 스크링 망(310)에 걸러진 녹조를 제2이송 컨베이어(500) 측으로 효율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3스크린유닛(400)도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과 마찬가지로, 상단부 하측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린 망(310)의 표면을 털어주는 스크린 녹조 분리용 브러시(B)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도면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이송 컨베이어(500) 및 제3이송 컨베이어(600)의 말단 하측에도 이송되어 녹조이송 컨베이어(900) 측으로 낙하하는 녹조에 대한 효율적인 낙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컨베이어 녹조 분리용 브러시(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에 의하면,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이 적용됨으로써 녹조현상이 발생한 하천이나 강에 간편하게 부유토록 설치하여 제1스크린유닛을 통해 협잡물을 제거한 후 녹조에 대하여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을 통해 제거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과 녹조를 제거시킬 수 있다.
더욱이, 부력선, 제1스크린유닛, 제2스크린유닛 및 제3스크린유닛과 함께 탈수 및 건조구조를 더 적용함으로써 수거되는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하여 탈수 및 건조처리하면서 협잡물 및 녹조 내의 수분이 최소화된 상태로 수집함 내에 수집하여 협잡물 및 녹조에 대한 수집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부력선 110: 상판
120: 하판 130: 부구
141, 142, 143: 설치대 151, 152: 통공
200: 제1스크린유닛 210: 스크린블록
211, 212: 상,하연결부 215: 판부
215a: 통수공 220: 프레임
220a: 거름가이드 판 230: 가이드레일
240: 엔드리스체인 300: 제2스크린유닛
310: 스크린망 320: 프레임
330: 가이드레일 340: 엔드리스체인
400: 제3스크린유닛 410: 스크린망
420: 프레임 430: 가이드레일
440: 엔드리스체인 500: 제1이송 컨베이어
600: 제2이송 컨베이어 700: 제3이송 컨베이어
800: 협잡물이송 컨베이어 800a: 협잡물수집함
800b: 협잡물건조로 900: 녹조이송 컨베이어
900a: 녹조수집함 900b: 녹조건조로
1000: 축전지 1100: 중앙탈수유닛
1110: 유입호퍼 1111: 배출구
1113: 배출필터 1115: 배출관
1117: 기밀 패드 1130: 압출롤러
1200: 후방탈수유닛 1210: 유입호퍼
1230: 압출롤러 1300: 기동수단
1310: 모터 1320: 프로펠러
1410: 승강실린더 1420: 로드
B: 스크린 녹조 분리용 브러시
S: 구동스프로킷

Claims (15)

  1. 수면에 부상되도록 상판(110)과 하판(120)의 사이에 대한 폭 방향 양측에 부구(130)가 고정되며, 길이방향 중앙 및 후방 측에 통공(151, 152)이 관통형성되는 부력선(100);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부로부터 외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상기 부력선(100) 전방 측 상면으로부터 한 쌍으로 돌출되는 설치대(141)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수면으로부터 수중에 걸쳐 부유하는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블록(2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1스크린유닛(200);
    상기 부력선(100)의 중앙 측 상부로부터 중앙의 통공(151)을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중앙의 통공(151)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142)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1스크린유닛(200)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3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2스크린유닛(300);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부로부터 후방의 통공(152)을 통해 하측으로 관통하면서 전방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후방의 통공(152) 양측에 돌출되는 설치대(143)를 통해 상단부 양측이 고정설치되며, 제2스크린유닛(300)의 스크린망(310)보다 작은 메쉬 타입으로 제공되어 제2스크린유닛(300)을 거친 수류에 잔존하는 녹조를 걸러내는 스크린망(410)이 구동수단을 통해 순환회전되는 제3스크린유닛(400);
    상기 부력선(100)의 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1스크린유닛(200)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협잡물이 안착되며, 안착된 협잡물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이송 컨베이어(500);
    상기 부력선(100)의 중앙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2스크린유닛(300)을 통해 걸러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500)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 컨베이어(600);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면에 설치되어 제3스크린유닛(400)을 통해 걸려져 낙하하는 녹조가 안착되며, 안착된 녹조에 대하여 수분을 하향 배출시키면서 제1이송 컨베이어(500)의 이송 방향과 대향되는 타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이송 컨베이어(700);
    상기 부력선(100)의 폭 방향 일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 컨베이어(5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부력선(100)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
    상기 부력선(100)의 폭 방향 타 측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600)와 제3이송 컨베이어(7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부력선(100)의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는 녹조이송 컨베이어(900);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일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협잡물을 수집하는 협잡물수집함(800a);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이송방향 단부 하측인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폭 방향 타 측에 안착설치되며,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를 통해 이송되어 낙하하는 녹조를 수집하는 녹조수집함(900a); 및
    상기 부력선(100)의 후방 측 상면 중앙에 설치되며, 축전수단을 통해 축전되어 제1스크린유닛(200), 제2스크린유닛(300), 제3스크린유닛(400), 제1이송 컨베이어(500), 제2이송 컨베이어(600), 제3이송 컨베이어(700),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하는 축전지(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블록(2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2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220)과,
    스크린블록(210)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로 밀착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이어 맞물린 상태로 축 연결되면서 스크린블록(210)을 순환회전시키도록, 가이드레일(22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240)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2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의 스크린블록(210)은 상, 하단에 중공의 봉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단 또는 하단 부분에 대하여 상호 맞물리게 크랭크 타입으로 형성되는 상,하연결부(211, 212) 및
    상기 상,하연결부(211, 212)의 후단에 상, 하단이 연결되는 판 상으로 제공되며, 장방형의 통수공(215a)이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관통형성되는 판부(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3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3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320)과,
    상기 스크린망(310)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3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340)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3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크린유닛(400)은 구동수단을 통해 스크린망(410)이 순환회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마주하는 면 상에 가이드레일(430)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프레임(420)과,
    상기 스크린망(410)의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30)에 안내되어 순환회전되는 엔드리스체인(440)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엔드리스체인(440)의 상단부 궤도 내측에 맞물려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구동스프로킷(S)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스크린유닛(300)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2이송 컨베이어(600)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과 제3스크린유닛(4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의 상단부 하측과 상기 제2이송 컨베이어(600)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1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1110)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113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1110)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중앙탈수유닛(1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탈수유닛(1100)은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유입호퍼(1110)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하향 일직선상에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가 맞닿아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유입호퍼(1110)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유입된 수분을 내포하는 녹조로부터 누적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 측 중앙부분에 배출구(1111)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111) 둘레를 따라 배출관(1115)이 외향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배출구(1111)는 녹조를 제외한 수분만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필터(11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호퍼(1110)는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에 의해 개방된 하단이 긴밀하게 폐쇄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130)의 표면과 근접되는 양측 하단에 기밀 패드(111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3스크린유닛(400)을 통해 걸러져 하향 낙하하는 녹조가 유입된 후 하향 제3이송 컨베이어(700) 측으로 낙하하면서 탈수처리되도록,
    상기 제3스크린유닛(400)의 상단부 하측과 제3이송 컨베이어(700)의 이송방향 단부 상측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상부에 녹조가 유입되는 유입호퍼(12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호퍼(1210)의 하부에 한 쌍의 압출롤러(1230)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호퍼(1210)를 통해 유입된 녹조를 한 쌍의 상기 압출롤러(1230)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압착 탈수시켜 하향 안내하는 후방탈수유닛(1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를 통해 이송되어 협잡물수집함(800a)으로 수집되는 협잡물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협잡물이송 컨베이어(800)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협잡물건조로(800b)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를 통해 이송되어 녹조수집함(900a)으로 수집되는 녹조에 대하여 건조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녹조이송 컨베이어(900)의 길이방향 후방부분을 감싸도록 열풍 건조기 타입의 녹조건조로(900b)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부력선(100)이 선택적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부력선(100) 후방 측에는 축전지(10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1310) 및
    모터(13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1320)를 포함하는 기동수단(13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협잡물만 걷어내기 위한 용도의 사용시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 및 제3스크린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일정높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스크린유닛(300) 및 제3스크린유닛(400)은 설치대(142, 143) 상에 승강수단이 더 구비되는 한편, 승강수단의 작동을 통해 일정높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한 쌍의 프레임 사이로 협잡물을 내포하는 수류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프레임(220) 중앙부분 일정길이에 걸쳐 외향 일정면적을 가지고 경사지게 판 상으로 확장되는 거름가이드 판(220a)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크린유닛(200)은 선택적으로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될 수 있도록,
    부력선(100) 전방 양측에 설치고정되는 승강실린더(1410)로부터 출몰하는 로드(1420)의 단부가 한 쌍의 프레임(220)에 대한 하단으로부터 상향 일정거리 떨어진 후방 측으로부터 각각 힌지연결되는 한편,
    승강실린더(1410)의 로드(1420)에 대한 출몰을 통해 선택적으로 설치대(141)를 통해 양측이 회전가능토록 축 고정설치되는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측 부분이 수면 측으로 일정각도 회전,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KR1020190130258A 2019-10-18 2019-10-18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KR10224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58A KR102247482B1 (ko) 2019-10-18 2019-10-18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58A KR102247482B1 (ko) 2019-10-18 2019-10-18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90A KR20210046490A (ko) 2021-04-28
KR102247482B1 true KR102247482B1 (ko) 2021-05-03

Family

ID=7572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258A KR102247482B1 (ko) 2019-10-18 2019-10-18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878B1 (ko) * 2021-05-31 2022-04-14 하태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395020B1 (ko) * 2021-10-07 2022-05-09 주식회사 에이이 가압부상방식을 이용한 미세조류 회수장치
CN116116101B (zh) * 2023-04-04 2023-07-18 深圳市林科超声波洗净设备有限公司 一种工业污水处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397B1 (ko) 2000-11-13 2002-10-19 윤여균 조류제거선
KR101679047B1 (ko) 2015-07-24 2016-11-30 한국수자원공사 조류 제거용 수상콤바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70B1 (ko) 2012-04-12 2013-01-29 (주)탑스엔지니어링 침전지 녹조 제거 로봇
KR20170101487A (ko) * 2016-02-29 2017-09-06 정찬섭 해수의 여과시스템
KR20180031492A (ko) * 2016-09-20 2018-03-28 원형재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397B1 (ko) 2000-11-13 2002-10-19 윤여균 조류제거선
KR101679047B1 (ko) 2015-07-24 2016-11-30 한국수자원공사 조류 제거용 수상콤바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90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482B1 (ko)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AU2002328669B2 (en) An aquaculture system
US20060191828A1 (en) Aquaculture system
AU2002328669A1 (en) An aquaculture system
KR20180031492A (ko) 녹조 및 협잡물 제거 장치
CN107261609A (zh) 一种水体过滤净化装置
KR102080550B1 (ko) 조류수거용 선박
CN108325732B (zh) 一种油茶果预处理生产线
CN105498340A (zh) 一种水体固液分离方法与装置
CN103351090A (zh) 一种收集并处理浅水湖泊淤泥的方法及装置
US4113616A (en) Fish manure removal method
CN113186887A (zh) 一种河流漂浮物打捞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563299A (zh) 船载式藻水分离及尾水处理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454794A (zh) 一种清污船
KR102009621B1 (ko) 수중오염물 제거용 드론
KR101238428B1 (ko) 발전소의 냉각수용 제진기
CN206570136U (zh) 一种浸没式水体净化装置
CN205444145U (zh) 一种水体固液分离装置
CN210409617U (zh) 电动刮板式浮渣清理装置及配套的初沉池浮渣井
CN212548627U (zh) 一种蓝藻快速收集处理设备
CN114100237A (zh) 一种链板过滤式固液分离装置
GB2556038A (en) Separator apparatus and method
CN112607997A (zh) 一种污泥脱水干燥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60000687A (ko) 녹조 제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녹조제거방법
CN211359173U (zh) 海洋沙滩重质物料分离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