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081B1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081B1
KR101651081B1 KR1020160050070A KR20160050070A KR101651081B1 KR 101651081 B1 KR101651081 B1 KR 101651081B1 KR 1020160050070 A KR1020160050070 A KR 1020160050070A KR 20160050070 A KR20160050070 A KR 20160050070A KR 101651081 B1 KR101651081 B1 KR 10165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tank
float
sedi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진
조규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프엔텍
주식회사 거록
이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프엔텍, 주식회사 거록, 이창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프엔텍
Priority to KR102016005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F15/000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01F3/0424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2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 B01F35/121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using a brush for cleaning out rests of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전단에 배치된 응집조로부터 응집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부상처리조;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을 부상시키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 중 부상된 부상물을 제거하는 부상물제거기;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부상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유출하면서, 상기 응집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을 분리제거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로서,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생활이 편리해진 반면에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문제점 중 하나로 많은 양의 폐기물이다. 이러한 폐기물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켜 자연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폐기물 처리 장치나 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상술된 폐기물에는 다양한 것이 있는데, 이들 중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와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폐수, 그리고, 농사 및 가축 사육에 따른 농축산폐수 등은 하천과 지하수는 물론 토양을 오염시켜 인류는 물론 동식물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오폐수가 자갈, 모래, 숯 등의 여과재를 통과하게 하는 물리적인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정화처리시설은 하수 및 오폐수에 부유하는 슬러지(오염물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다.
특히, 정화처리시설에 있어서 응집조에서 응집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질을 응집하여 응집물로 만든 후, 부상처리조에서 부상시켜 제거하는데, 응집물 모두가 부상되지 않거나 부상되더라도 다시 침전됨으로써, 응집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이 처리수와 함께 유출됨에 따라 정화효율을 떨어뜨리며, 아울러 처리수유출관을 막히게 하고, 나아가 부상처리조의 하부에 침전물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용해수공급관이 이물질에 의해 자주 막히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상기 부상처리조는 응집물 중 부상된 부상물(부상된 슬러지)을 부상물제거기로 제거하는데, 이때 부상처리조에 수용된 원수는 부상물제거기가 작동되는 유효높이와 대응되는 일정수위를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조에는 수위조절을 위해 수문 또는 밸브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수문 또는 밸브는 수위를 낮추도록 유동시키는 처리수의 유출량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즉, 일례로서 상기 수문은 설치폭이 작아서 수위조절을 위한 유출량이 현저히 낮기 때문에,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수위조절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처리수의 정화효율을 높이면서 처리수유출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용해수공급관을 청소하면서,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조절하는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전단에 배치된 응집조로부터 응집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부상처리조;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을 부상시키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 중 부상된 부상물을 제거하는 부상물제거기;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부상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유출하면서, 상기 응집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을 분리제거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처리수를 유출하며, 유입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침전물이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측으로 통과되는 통과홀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처리수유출관; 및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측 하부에서 외부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침전물을 배출하며, 상기 처리수유출관의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침전물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기 통과홀과 대응되게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침전물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처리수유출관과 침전물배출관 각각은,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상처리조는 내부에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상방 경사진 경사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는, 상기 경사가이드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커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처리수유출관은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경사가이드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침전물배출관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외부 측 부위에 배출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기체를 포함한 용해수를 발생시키는 용해수발생기; 상기 용해수발생기로부터 상기 부상처리조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부상처리조 내부 측 부위에 기포발생노즐이 형성된 용해수공급관; 및 상기 용해수공급관의 내부를 크리닝하는 크리닝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부재는, 상기 용해수공급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크리닝축; 상기 크리닝축에 장착되며, 상기 크리닝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크리닝솔; 및 상기 크리닝축을 축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크리닝축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나뉘고 유니버셜조인트로 이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용해수공급관에는 공급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용해수공급관과 연결되며, 역세밸브가 장착된 역세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로부터 상기 처리수유출관으로 연결된 제1 조절칸, 상기 제1 조절칸과 격벽으로 나눠진 제2 조절칸으로 이루어진 수위조절조;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왕복 회동되면서 상기 제1 조절칸의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를 가진 수위조절부재;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와이어를 상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폭이 상기 격벽의 폭과 동일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2 구동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수위측정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를 데이터로 하여 상기 제2 구동부재가 작동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부상처리조에서 원수로부터 부상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면서 응집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을 분리제거하는 배출수단이 구성됨으로써, 처리수유출관 내부와 부상처리조의 하부의 침전물을 제거함에 따라, 처리수의 정화효율을 높이면서 처리수유출관이 막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닝부재가 구성됨으로써, 용해수공급관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위조절조에서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가 격벽의 폭과 동일함으로써,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기포발생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기포발생수단에서 크리닝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수위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부상처리조의 수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기포발생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기포발생수단에서 크리닝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부상처리조(100), 기포발생수단(200), 부상물제거기, 및 배출수단(40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부상처리조(100)는 전단에 배치된 응집조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응집조는 오염물질이 포함된 원수(1)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질을 응집시켜 응집물(2)로 만든다.
이에 따라, 응집된 응집물(2)을 포함한 원수(1)는, 응집조의 후단에 배치된 부상처리조(100)로 유동하여 부상처리조(100)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은 부상처리조(100)에서 부상물제거기에 의한 응집물(2) 제거를 위해, 응집물(2)을 부상시키도록 기포(3)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은 용해수발생기(210), 용해수공급관(220), 및 크리닝부재(230)를 구비한다.
상기 용해수발생기(210)는 기체를 포함한 용해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기체를 물에 용해시켜 용해수를 만들 수 있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용해수 발생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용해수공급관(220)은 용해수발생기(210)로부터 부상처리조(100) 내부까지 연장되며, 부상처리조(100) 내부 측 부위에 기포발생노즐(220a)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용해수발생기(210)로부터 용해수가 용해수공급관(220)을 통해 부상처리조(100) 내부로 공급되고, 아울러 공급 시 기포발생노즐(220a)을 통해 미세하게 파쇄된 기포(3)로서 부상처리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부재(230)는 용해수공급관(220)의 내부를 크리닝하도록 구성되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포발생노즐(220a)을 막고, 용해수공급관(220) 내부에 끼이거나, 내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부재(230)는 크리닝축(231), 크리닝솔(232), 및 제1 구동부재(233)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크리닝축(231)은 용해수공급관(22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크리닝솔(232)은 크리닝축(231)에 장착되며, 크리닝축(23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구동부재(233)는 크리닝축(231)을 축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닝축(231)으로부터 용해수공급관(220)의 외부 측으로 연장되면서 절곡 또는 굴곡된 구조를 지닌 회전손잡이가 활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손잡이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는 수동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 구동부재(233)는 다른 일례로서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동구성으로서 크리닝축(231)과 연결되어 크리닝축(231)을 축회전시키는 모터가 활용될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크리닝축(23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나뉘고 유니버셜조인트(234)로 이어진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용해수공급관(220)이 일직선으로 연장배치되지 않고 일부분이 절곡된 배치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러한 용해수공급관(220)의 절곡부위 내에 배치되면서도 축회전 구동을 전달할 수 있도록, 크리닝축(231)이 복수 개의 단위축(231a)으로 이어지면서 이음구성으로서 유니버셜조인트(234)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용해수공급관(220)에는 공급밸브(221)가 장착되며, 상기 기포발생수단(200)은 용해수공급관(220)과 연결되며 역세밸브(241)가 장착된 역세관(2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크리닝부재(230)로 용해수공급관(220)을 청소할 때에는 용해수공급관(220)의 공급밸브(221)를 잠근 상태로 하고, 청소가 완료된 다음에는 역세밸브(241)를 열어서 용해수공급관(220)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역세관(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나아가, 상기 용해수공급관(2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용해수공급관(220)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용해수공급관(220)을 통해 용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상물제거기는 부상처리조(100)에서 응집물(2) 중 부상된 부상물(2a)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상물제거기는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상처리조(100)의 원수(1) 수면에서 이동하면서 부상물(2a)을 밀어서 부상물처리칸(330)으로 넘기는 부상물제거부(310)와, 상기 부상물제거부(31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20)를 구비하는데,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원수(1)에 부상된 부상물(2a)을 제거하는 구성이라면 종래의 어떠한 제거구성도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배출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수단(400)은 부상처리조(100)에서 원수(1)로부터 부상물(2a)이 제거된 처리수를 유출하면서, 응집물(2) 중 비부상된 침전물(2b)을 분리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응집물(2)은 응집조에서 응집제를 투입하여 오염물질을 응집하여 생성된 것을 지칭하며, 부상물(2a)은 응집물(2) 중 부상처리조(100)에서 부상된 것을 지칭하고, 침전물(2b)은 응집물(2) 중 부상처리조(100)에서 비부상된 것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수단(400)은 처리수유출관(410)과 침전물배출관(42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처리수유출관(410)은 부상처리조(10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배치어 처리수를 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처리수유출관(410)은 유입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침전물(2b)이 상기 부상처리조(100)의 내측으로 통과되는 통과홀(410a)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수유출관(410)은 부상처리조(100)에서 부상물(2a)이 제거된 처리수를 유출하되, 이때 처리수에 포함된 침전물(2b)은 통과홀(410a)을 통해 부상처리조(100)의 내측으로 다시 보냄으로써 유출시키는 처리수에서 침전물(2b)이 제거됨에 따라, 처리수의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배출관(420)은 부상처리조(100)의 내측 하부에서 외부로 연장배치되어 침전물(2b)을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침전물배출관(420)은 처리수유출관(410)의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침전물(2b)이 인입되는 인입구(420a)가 통과홀(410a)과 대응되게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리수유출관(410)의 통과홀(410a)을 통하여 처리수유출관(410)으로부터 나온 침전물(2b)은, 하측에 배치된 침전물배출관(420)의 인입구(420a)를 통해 침전물배출관(420)으로 인입된다. 나아가, 부상처리조(100)에서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물(2b)도 침전물배출관(420)의 인입구(420a)를 통해 침전물배출관(420)으로 인입된다.
아울러, 상 침전물배출관(420)은 부상처리조(100)의 외부 측 부위에 배출밸브(421)가 장착됨으로써, 침전물배출관(420) 내에 침전물(2b)이 가득 차면 일정 시간 동안 배출밸브(421)를 열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침전물배출관(420) 내에 침전물(2b)이 가득 차는 것은 부상처리조(100)의 수위가 올라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는데, 부상처리조(100)의 수위는 침전물배출관(420)에 침전물(2b)이 가득 찬 후 처리수유출관(410)까지 침전물(2b)이 쌓이면 처리수유출관(410)이 막힘에 따라 적정 수위를 넘어서 올라가게 된다.
나아가, 상술된 처리수유출관(410)과 침전물배출관(420) 각각은, 바람직하게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처리수유출관(410)은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처리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복수 개의 침전물배출관(420)은 처리수유출관(410)의 통과홀(410a)을 통해 나와서 가라앉는 침전물(2b)과 함께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하부로 가라앉는 침전물(2b) 모두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상처리조(100)는 내부에서 원수(1)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상방 경사진 경사가이드(101)가 형성되는데, 부상처리조(100)에 원수(1)가 유입되면서 경사가이드(101)에 의해 상측으로 유동됨에 따라, 원수(1)에 포함된 응집물(2)도 용이하게 부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경사가이드(101)의 하측 부분은 응집물(2)이 기포(3)에 의해 부상물(2a)이 되기 때문에 비부상된 침전물(2b)의 양이 거의 없으며, 경사가이드(101)로부터 멀어질수록 부상처리조(100)의 하부 측으로 가라앉는 침전물(2b)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전물배출관(420)의 인입구(420a)는, 경사가이드(101)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커지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경사가이드(101)로부터 멀어질수록 많아지는 침전물(2b)을 효과적으로 인입시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수유출관(410)은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데, 만약 일례로서 상기 유입구가 처리수유출관(410)에서 부상처리조(100) 내측의 길이방향 끝단에만 형성된다면, 부상처리조(100)의 전체적인 범위에 대한 처리수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상기 유입구가 처리수유출관(410)에서 상부에 형성된다면, 침천물이 처리수유출관(410) 내로 쉽게 인입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처리수유출관(410)은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410b)가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부상처리조(100)의 전체적인 범위에 대한 처리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하측으로 가라앉는 침천물이 처리수유출관(410) 내로 쉽게 인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유출관(410)의 유입구(410b)는 경사가이드(101)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작아지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부상처리조(100) 내에서 경사가이드(101)로부터 멀어질수록 많아지는 침전물(2b)이 유입구(410b)를 통해 최대한 인입될 수 없도록 한다.
도 6은 도 1의 수처리장치에서 수위조절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6의 수위조절수단에 의해 부상처리조의 수위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부상처리조(100)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위조절수단(500)은 수위조절조(510), 수위조절부재(520), 제2 구동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수위조절조(510)는 부상처리조(100)로부터 처리수유출관(410)으로 연결된 제1 조절칸(510a), 상기 제1 조절칸(510a)과 격벽(511)으로 나눠진 제2 조절칸(510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위조절부재(520)는 격벽(511)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부(521), 상기 고정부(521)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부(521)의 상측으로 왕복 회동되면서 제1 조절칸(510a)의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522)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2 구동부재(530)는 회동부(522)의 상단부와 와이어(531)로 연결되며, 회동부(522)를 회동시키도록 와이어(531)를 상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일례로서 와이어(531)를 권취 및 권출하는 윈치가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위조절수단(500)에서, 상기 회동부(522)는 폭이 제1 조절칸(510a)과 제2 조절칸(510b) 사이에 배치된 격벽(511)의 폭과 동일함으로써, 수위조절을 위한 유출량을 크게 함에 따라, 신속하면서도 원활한 수위조절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수위조절수단(500)은 부상처리조(100)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5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측정센서(540)는 제2 구동부재(53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제2 구동부재(530)는 수위측정센서(540)에 의해 측정된 수위를 데이터로 하여 작동제어됨으로써, 부상처리조(100)의 수위를 계속해서 적정 수위로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부상처리조(100)에서 원수(1)로부터 부상물(2a)이 제거된 처리수를 배출하면서 응집물(2) 중 비부상된 침전물(2b)을 분리제거하는 배출수단(400)이 구성됨으로써, 처리수유출관(410) 내부와 부상처리조(100)의 하부의 침전물(2b)을 제거함에 따라, 처리수의 정화효율을 높이면서 처리수유출관(410)이 막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리닝부재(230)가 구성됨으로써, 용해수공급관(220)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위조절조(510)에서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522)가 격벽(511)의 폭과 동일함으로써, 부상처리조(100)의 수위를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원수 2 : 응집물
2a : 부상물 2b : 침전물
3 : 기포 100 : 부상처리조
101 : 경사가이드 200 : 기포발생수단
210 : 용해수발생기 220 : 용해수공급관
221 : 공급밸브 230 : 크리닝부재
231 : 크리닝축 231a : 단위축
232 : 크리닝솔 233 : 제1 구동부재
234 : 유니버셜조인트 240 : 역세관
241 : 역세밸브 310 : 부상물제거부
320 : 구동부 330 : 부상물처리칸
400 : 배출수단 410 : 처리수유출관
410a : 통과홀 410b : 유입구
420 : 침전물배출관 420b : 인입구
421 : 배출밸브 500 : 수위조절수단
510 : 수위조절조 510a : 제1 조절칸
510b : 제2 조절칸 511 : 격벽
520 : 수위조절부재 521 : 고정부
522 : 회동부 530 : 제2 구동부재
531 : 와이어 540 : 수위측정센서

Claims (13)

  1. 전단에 배치된 응집조로부터 응집물을 포함한 원수가 유입되는 부상처리조;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을 부상시키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응집물 중 부상된 부상물을 제거하는 부상물제거기; 및 상기 부상처리조에서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부상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유출하면서, 상기 응집물 중 비부상된 침전물을 분리제거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기체를 포함한 용해수를 발생시키는 용해수발생기; 상기 용해수발생기로부터 상기 부상처리조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부상처리조 내부 측 부위에 기포발생노즐이 형성된 용해수공급관; 및 상기 용해수공급관의 내부를 크리닝하는 크리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크리닝부재는, 상기 용해수공급관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크리닝축; 상기 크리닝축에 장착되며, 상기 크리닝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 크리닝솔; 및 상기 크리닝축을 축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처리수를 유출하며, 유입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상기 침전물이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측으로 통과되는 통과홀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처리수유출관; 및
    상기 부상처리조의 내측 하부에서 외부로 연장배치되어 상기 침전물을 배출하며, 상기 처리수유출관의 하측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침전물이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기 통과홀과 대응되게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침전물배출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유출관과 침전물배출관 각각은,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나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처리조는 내부에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상방 경사진 경사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인입구는, 상기 경사가이드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유출관은 상기 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처리조는 내부에서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상방 경사진 경사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는, 상기 경사가이드로부터 멀어질수록 폭방향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배출관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외부 측 부위에 배출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축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나뉘고 유니버셜조인트로 이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수공급관에는 공급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상기 용해수공급관과 연결되며, 역세밸브가 장착된 역세관;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로부터 상기 처리수유출관으로 연결된 제1 조절칸, 상기 제1 조절칸과 격벽으로 나눠진 제2 조절칸으로 이루어진 수위조절조;
    상기 격벽의 상단부에 설치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측으로 왕복 회동되면서 상기 제1 조절칸의 수위를 조절하는 회동부를 가진 수위조절부재;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부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와이어를 상측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폭이 상기 격벽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부상처리조의 수위를 측정하며, 상기 제2 구동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수위측정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위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위를 데이터로 하여 상기 제2 구동부재가 작동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KR1020160050070A 2016-04-25 2016-04-25 수처리장치 KR10165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70A KR101651081B1 (ko) 2016-04-25 2016-04-25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70A KR101651081B1 (ko) 2016-04-25 2016-04-25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081B1 true KR101651081B1 (ko) 2016-08-26

Family

ID=5688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70A KR101651081B1 (ko) 2016-04-25 2016-04-25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77A (ko) 2016-11-29 2018-06-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용존 자수압 수중 기체 혼합 수처리 장치
KR101867931B1 (ko) * 2018-01-26 2018-06-1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연속세척 부상·침전·여과 장치
US10858721B1 (en) 2019-08-07 2020-12-08 Freeport Mineral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quid-organic particle separation
CN114100466A (zh) * 2021-10-28 2022-03-01 营口理工学院 一种环保型工业润滑剂及其制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539B1 (ko) * 2012-05-15 2013-01-23 주식회사 우성이앤씨 수처리장치
KR101378483B1 (ko) * 2014-01-24 2014-03-27 태림인더스트리(주) 부상분리장치
CN104085947A (zh) * 2014-07-19 2014-10-08 苏州创维晟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我清洁功能的自动化气浮池
KR20150029938A (ko) * 2013-09-11 2015-03-19 주식회사 다프엔텍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539B1 (ko) * 2012-05-15 2013-01-23 주식회사 우성이앤씨 수처리장치
KR20150029938A (ko) * 2013-09-11 2015-03-19 주식회사 다프엔텍 수처리 장치
KR101378483B1 (ko) * 2014-01-24 2014-03-27 태림인더스트리(주) 부상분리장치
CN104085947A (zh) * 2014-07-19 2014-10-08 苏州创维晟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我清洁功能的自动化气浮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677A (ko) 2016-11-29 2018-06-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효율 용존 자수압 수중 기체 혼합 수처리 장치
KR101867931B1 (ko) * 2018-01-26 2018-06-15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연속세척 부상·침전·여과 장치
US10858721B1 (en) 2019-08-07 2020-12-08 Freeport Mineral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quid-organic particle separation
US11359257B2 (en) 2019-08-07 2022-06-14 Freeport Mineral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quid-organic particle separation
US11898222B2 (en) 2019-08-07 2024-02-13 Freeport Minerals Corporaton System and method for liquid-organic particle separation
CN114100466A (zh) * 2021-10-28 2022-03-01 营口理工学院 一种环保型工业润滑剂及其制备装置
CN114100466B (zh) * 2021-10-28 2023-09-15 营口理工学院 一种环保型工业润滑剂制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188B2 (en) Autom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KR101651081B1 (ko) 수처리장치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JP4765045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KR20030042031A (ko) 물 처리 장치
JPH0349607B2 (ko)
JP6170552B2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4878252B2 (ja) ベルト型濃縮機
JP6381412B2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297293B1 (ko) 스컴 농축 기능을 구비한 부상 분리 장치
KR101189912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545538B1 (ko)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830393B1 (ko)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춘 원형 슬러지 수집설비
KR100975410B1 (ko) 슬러지 순환기능과 초고속 역세기능의 여과장치
JP2003080007A (ja) 凝集沈殿方法並びに沈殿装置
JP2001347103A (ja) 汚濁水処理装置
JP4215780B2 (ja) 汚濁水浄化装置
JPH10323683A (ja) 浄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4422865B2 (ja) 凝集沈殿装置
KR100978071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JP4455735B2 (ja) 凝集沈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