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58B1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158B1
KR101652158B1 KR1020140057503A KR20140057503A KR101652158B1 KR 101652158 B1 KR101652158 B1 KR 101652158B1 KR 1020140057503 A KR1020140057503 A KR 1020140057503A KR 20140057503 A KR20140057503 A KR 20140057503A KR 101652158 B1 KR101652158 B1 KR 10165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ank
wastewater
neutraliz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662A (ko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4005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1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는 중화조와, 상기 중화조를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상기 중화조와 연통 연결되는 유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중화조 내부와 연통 연결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친 오폐수가 침전조로 배출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화조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는 수조형 유닛 및 상기 수조형 유닛의 외면에 설치대와 설치브래킷을 통하여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유닛은 상부 일측 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증속관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 및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일측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 상에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로 구성된 교반-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수조형 유닛은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되 상측에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와 축상 연결되는 임펠러가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상기 배출구와 연통관에 의해 연통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가압부상조의 유입관과 연결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측 바닥으로부터 침전되는 침전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러지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의 화학적 처리는 폐수의 성상 및 공정의 종류에 따라 목적이 다양한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화학침전에 의한 미세한 현탁물질 및 COD제거,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pH조절, CN-의 산화처리, Cr+6의 환원처리, N 및 P제거 및 소독과 경도제거 등을 들 수 있는데, 물리적 처리와 마찬가지로 단독처리 공정보다는 상황에 따라 복합적으로 병용하는 오폐수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
상기 오폐수 처리 시스템은 먼저 오폐수를 최초로 포집하는 체류조(이하, 저류조라고도 함)로부터 그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중화조를 경유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이동하게 하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서의 요부인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체류조와 침전조 사이에 적용되는 중화조와 가압부상조를 포함한다.
이때,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중화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단계(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치기 위해 3개의 공간 마련을 위한 격벽(110)이 구획되어야 하고, 각 공간으로 투여되는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약품이 잘 섞이도록 대류를 일으키는 교반장치(120)가 필요하며, 상기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약품들은 고체상태로 되어 있어 약품의 정량투여와 습기에 의해 엉겨붙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pH미터(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약품투여장치가 부설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중화조(100)를 거쳐 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친 오폐수는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가압부상조(미도시) 거치면서 부유물과 침전슬러지를 1차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중화조(100)와 가압부상조를 거친 후에는 침전조(200)로 유입되어 비중이 큰 이물질은 응집되어 슬러지화되어 하부 배출구로 배출되고 정화된 물은 자연배수되는 과정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가압부상조는 분리조 내부로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부유물을 미세기포와 함께 부상시킨 후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분리조;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상기 분리조 내부로 미세기포를 분사하는 공급수단; 상기 분리조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는 제거수단; 및 상기 분리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중화조와 가압부상조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오폐수 처리장치는 중화조가 지상 또는 지하의 설치면적이 커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 공간마다 교반을 위한 장치가 따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막대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형 유닛을 포함하는 중화조가 적용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되되, 수조형 유닛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축 상 연결되어 수조형 유닛의 수조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 번 절곡된 임펠러가 구비됨으로써 파이프형 유닛을 경유하여 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교반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는 중화조와, 상기 중화조를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상기 중화조와 연통 연결되는 유입관이 구비되어 상기 중화조 내부와 연통 연결되는 가압부상조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상조를 거친 오폐수가 침전조로 배출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화조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는 수조형 유닛 및 상기 수조형 유닛의 외면에 설치대와 설치브래킷을 통하여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유닛은 상부 일측 단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증속관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 및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일측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 상에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로 구성된 교반-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수조형 유닛은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되 상측에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와 축상 연결되는 임펠러가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상기 배출구와 연통관에 의해 연통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가압부상조의 유입관과 연결되는 배출관이 구비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측 바닥으로부터 침전되는 침전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러지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상조는 분리조 내부로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부유물을 미세기포와 함께 부상시킨 후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처리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분리조;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상기 분리조 내부로 미세기포를 분사하는 공급수단; 상기 분리조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는 제거수단; 및 상기 분리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유닛은 상기 수조형 유닛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며, 상기 수조형 유닛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는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유닛은 이웃하는 파이프형 유닛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연결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편, 상기 파이프형 유닛 중, 상기 수조형 유닛의 외부 후면에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의 배출구는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부를 향하여 상기 연통관에 의해 상기 수조와 연통 연결됨이 양호하다.
더욱이, 상기 파이프형 유닛은 상기 파이프와 제1, 2증속관으로 이뤄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임펠러는 상기 구동모터와 축 상 연결되되 축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외향 다수 번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임펠러는 상기 축의 하단부에 상하방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열로 구비됨이 양호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원형 코일은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용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나선형 라인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교반봉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면적 외향 확장되는 교반돌기가 더 형성되는 구조로 적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및 상기 설치케이스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가이드판은 상기 설치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이 상기 설치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파이프형 유닛을 포함하는 중화조가 적용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에 가압부상조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거나 가압부상조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파이프형 유닛과 수조형 유닛으로 이루어진 중화조가 적용되되, 수조형 유닛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와 축 상 연결되어 수조형 유닛의 수조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 번 절곡된 임펠러가 구비됨으로써 파이프형 유닛을 경유하여 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교반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오폐수 유입과 유출 흐름을 나타낸 평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저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내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구동하는 임펠러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8b는 도 8a의 교반-산기관 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성형되는 교반가이드판들을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교반-산기관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오폐수 유입과 유출 흐름을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저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중화조의 수조형 유닛 내부 중앙에 구비되어 회전구동하는 임펠러를 나타낸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교반-산기관 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성형되는 교반가이드판들을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교반-산기관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이하, 체류조라고도 함)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는 중화조(100)와, 상기 중화조(100)를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상기 중화조(100)와 연통 연결되는 유입관(501)이 구비되어 상기 중화조(100) 내부와 연통 연결되는 가압부상조(5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상조(500)를 거친 오폐수가 침전조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폐수의 처리를 위한 장치이며, 물론 상기 중화조(100)를 거친 오폐수가 상기 가압부상조(500)를 거치지 않고 침전조로 오폐수가 배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화조(100)를 거친 오폐수가 상기 가압부상조(500)를 거쳐 침전조로 오폐수가 배출되도록 사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상기 중화조(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는 수조형 유닛(300) 및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면에 설치대(201)와 설치브래킷(202)을 통하여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2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파이프(210)와, 제1증속관(220)과, 제2증속관(230)과, 제1전자밸브(240)와, 제2전자밸브(250)와, 제3 전자밸브(260) 및 교반-산기관(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210)는 상부 일측 단부에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1)와 배출구(212)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증속관(220)은 상기 유입구(211)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21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증속관(230)은 상기 제1증속관(220)과 상기 배출구(212)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21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전자밸브(240)는 상기 제1증속관(220)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220) 상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2전자밸브(250)는 상기 제1증속관(220)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2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3 전자밸브(260)는 상기 제2증속관(230)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23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교반-산기관(270)은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일측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2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71)와 상기 케이스(2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272)과 상기 축(272) 상에 상기 축(2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273)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원형 코일(273)은 상기 축(2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교반-산기관(270)은 교반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산기는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으며, 물론 교반과 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상기 파이프(210)와 제1, 2증속관(220, 230)으로 이뤄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210)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2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샘플링-에어벤트(280)는 샘플링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에어벤트의 기능은 적용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물론 샘플링과 에어벤트의 기능이 다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200)에서 상기 파이프(210)와, 제1증속관(220)과, 제2증속관(230)과, 제1전자밸브(240)와, 제2전자밸브(250)와, 제3 전자밸브(260)와, 교반-산기관(270) 및 샘플링-에어벤트(280)의 구성은 설치대(201) 상에 의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파이프(210)는 외면을 고정시키는 상기 설치대(101) 상에 구비되는 설치브래킷(102)에 의해 상기 설치대(101) 상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200)에서의 교반-산기관(270)은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2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71a)와, 상기 케이스(271a)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275a) 및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276a, 27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반가이드판(276a, 276b)은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277a)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277a)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278a)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276a)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277b)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277b)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278b)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276b)이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200)에서의 교반-산기관(270)은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2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71")와, 상기 케이스(2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272") 및 상기 샤프트(272") 상에 상기 샤프트(272")의 길이방향에 나선형 라인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2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교반봉(273")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면적 외향 확장되는 교반돌기(274")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200)에서의 교반-산기관(270)은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2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71')와, 상기 케이스(2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272') 및 상기 샤프트(272') 상에 상기 샤프트(2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용 코일(2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용 코일(173')은 지그재그 타입으로 코일이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지그재그 타입의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조형 유닛(300)은 크게 분류하면, 수조(310)와, 슬러지배출수단(36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조(3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되 상측에 구동모터(320)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320)와 축상 연결되는 임펠러(330)가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의 상기 배출구(212)와 연통관(390)에 의해 연통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가압부상조(500)의 유입관(501)과 연결되는 배출관(340)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조(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임펠러(330)는 상기 구동모터(320)와 축 상 연결되되 축(325)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된다.
더욱이, 상기 임펠러(330)는 상기 축(32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외향 다수 번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상기 임펠러(330)는 상기 축(325)의 하단부에 상하방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열로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조(310)의 구성과, 상기 수조형 유닛(300)을 이루는 상기 슬러지배출수단(360)은 상기 수조(310) 내측 바닥으로부터 침전되는 침전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조(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중화조(100) 중 하나의 구성인 수조형 유닛(300)과 연통연결되는 유입관(501)이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가압부상조(500)는 분리조(510) 내부로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부유물을 미세기포와 함께 부상시킨 후 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압부상조(500)는 통상 분리조(510), 공급수단(520), 제거수단(530) 및 배출수단(540)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분리조(510)는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01)과 처리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5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수단(520)은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상기 분리조(510) 내부로 미세기포를 분사하는 것이고, 상기 제거수단(530)은 상기 분리조(510)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는 것이며, 상기 배출수단(540)은 상기 분리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중화조(100) 중 하나의 구성인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며,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는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유닛(200)은 이웃하는 파이프형 유닛(200)의 유입구(211)와 배출구(212)가 연결관(29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 중,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후면에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200)의 배출구(212)는 상기 수조(31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하여 상기 연통관(390)에 의해 상기 수조(310)와 연통 연결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로부터 오폐수가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을 거쳐 상기 수조(310)를 경유한 후에 상기 가압부상조(500) 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저류조로부터 오폐수가 상기 수조(310)를 먼저 거친 후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을 거쳐 상기 가압부상조(500) 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과 수조형 유닛(300)으로 이루어진 중화조(100)가 적용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100)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 가압부상조(500)를 경유하여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100)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형 유닛(200)을 포함하는 상기 중화조(100)가 적용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중화조로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친 후 가압부상조(500)를 경유하여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중화조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다수의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과 수조형 유닛(300)으로 이루어진 중화조(100)가 적용되되,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상부에 구비된 구동모터(320)와 축 상 연결되어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수조(310)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 번 절곡된 임펠러(3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을 경유하여 상기 수조(310)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대한 교반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중화조
200: 파이프형 유닛 201: 설치대
202: 설치브래킷 210: 파이프
211: 유입구 212: 배출구
220: 제1증속관 230: 제2증속관
240: 제1전자밸브 250: 제2전자밸브
260: 제3전자밸브 270: 교반-산기관
271, 271', 271", 271a: 케이스
272: 축 272', 272": 샤프트
273: 타원형 코일 273': 교반용 코일
273": 교반봉 274": 교반돌기
275a: 설치케이스 276a, 276b: 교반가이드판
277a, 277b: 흐름유도홈 278a, 278b: 흐름안내공
280: 샘플링-에어벤트
290: 연결관
300: 수조형 유닛 310: 수조
320: 구동모터 325: 축
330: 임펠러 340: 배출관
360: 슬러지배출수단 390: 연통관
500: 가압부상조
501: 유입관 502: 배출관
510: 분리조 520: 공급수단
530: 제거수단 540: 배출수단

Claims (12)

  1.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는 중화조(100)와, 상기 중화조(100)를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상기 중화조(100)와 연통 연결되는 유입관(501)이 구비되어 상기 중화조(100) 내부와 연통 연결되는 가압부상조(5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부상조(500)를 거친 오폐수가 침전조로 배출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화조(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는 수조형 유닛(300)과,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면에 설치대(201)와 설치브래킷(202)을 통하여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상부 일측 단부에 유입구(211)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 단부에는 배출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211)와 배출구(212)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210)와, 상기 유입구(211)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210)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220)과, 상기 제1증속관(220)과 상기 배출구(212)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210)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230)과, 상기 제1증속관(220)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220)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240)와, 상기 제1증속관(220)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220)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250)와, 상기 제2증속관(230)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230)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260) 및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일측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증속관(220) 또는 제2증속관(2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2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271a)와, 상기 케이스(271a)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275a) 및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275a)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276a, 276b)을 갖는 교반-산기관(270)이 구비되며,
    상기 교반가이드판(276a, 276b)은 상기 설치케이스(275a)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277a)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277a)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278a)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276a)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277b)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277b)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278b)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276b)이 상기 설치케이스(2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상기 파이프(210)와 제1, 2증속관(220, 230)으로 이루어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210)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조형 유닛(300)은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용적을 가지되 상측에 구동모터(320)가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모터(320)와 축상 연결되는 임펠러(330)가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의 상기 배출구(212)와 연통관(390)에 의해 연통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가압부상조(500)의 유입관(501)과 연결되는 배출관(340)이 구비되는 수조(310)와, 상기 수조(310) 내측 바닥으로부터 침전되는 침전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수조(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러지배출수단(360)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임펠러(330)는 상기 구동모터(320)와 축 상 연결되되, 축(325)의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축(32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외향 다수 번 절곡 형성되고, 상기 축(325)의 하단부에 상하방향 일정간격을 가지고 복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상조(500)는 분리조(510) 내부로 미세기포를 공급하여 부유물을 미세기포와 함께 부상시킨 후 이를 제거하는 것으로서, 오폐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501)과 처리된 오폐수를 배출하는 배출관(502)이 형성된 분리조(510);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여 상기 분리조(510) 내부로 미세기포를 분사하는 공급수단(520); 상기 분리조(510) 상부에 설치되어 부상한 부유물을 회수하는 제거수단(530); 및 상기 분리조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은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며,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전면, 좌측면, 후면에 각각 설치고정되는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유닛(200)은 이웃하는 파이프형 유닛(200)의 유입구(211)와 배출구(212)가 연결관(29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한편,
    상기 파이프형 유닛(200) 중, 상기 수조형 유닛(300)의 외부 후면에 설치고정되는 파이프형 유닛(200)의 배출구(212)는 상기 수조(310)의 개방된 상부를 향하여 상기 연통관(390)에 의해 상기 수조(310)와 연통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57503A 2014-05-14 2014-05-14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5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3A KR101652158B1 (ko) 2014-05-14 2014-05-14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3A KR101652158B1 (ko) 2014-05-14 2014-05-14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62A KR20150130662A (ko) 2015-11-24
KR101652158B1 true KR101652158B1 (ko) 2016-08-29

Family

ID=5484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03A KR101652158B1 (ko) 2014-05-14 2014-05-14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1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8202B (zh) * 2016-06-10 2019-02-12 江苏蓝天水净化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混凝混合装置
KR101757440B1 (ko) * 2017-01-24 2017-07-12 이제이콥부희 캐비테이션 펌프 유닛
CN107140722A (zh) * 2017-05-24 2017-09-08 成都市开悦化纤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制造的污水处理设备
CN107098512A (zh) * 2017-07-12 2017-08-29 安徽博森互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污水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KR100796330B1 (ko) * 2006-12-27 2008-01-21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KR100796330B1 (ko) * 2006-12-27 2008-01-21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62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6188B2 (en) Automat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8715498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reating well flow-back and produced water or other wastewater
KR101271212B1 (ko) 호소 내 조류제거 및 수질정화 장치
KR101710155B1 (ko) 부상 분리 시스템
KR101491001B1 (ko) 다단 부상분리장치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EP2305386A2 (en) Hydrocyclone flotation system and 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434528B1 (ko) 오폐수 처리 시스템
KR101278958B1 (ko) 폐수처리시스템
KR100637920B1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1020238B1 (ko) 나노 입자 공기 부상을 이용한 하ㆍ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46402B1 (ko)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KR101964830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FI119148B (fi) Laitteisto ja sen käyttö fosforin saostamiseksi jätevedestä
KR20130109631A (ko)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JP2007260614A (ja) 凝集反応装置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CN110678244B (zh)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系统以及其驱动方法
CN102933506A (zh) 废水生物净化的方法和装置
CN110831683A (zh) 压载絮凝和倾析集成式的水处理设备及相应方法
KR101278957B1 (ko) 폐수처리용 침전부상장치
KR20110114965A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절삭폐수 오일 분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