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32B1 -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32B1
KR101267732B1 KR1020100017604A KR20100017604A KR101267732B1 KR 101267732 B1 KR101267732 B1 KR 101267732B1 KR 1020100017604 A KR1020100017604 A KR 1020100017604A KR 20100017604 A KR20100017604 A KR 20100017604A KR 101267732 B1 KR101267732 B1 KR 10126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filtration
floating
fl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140A (ko
Inventor
심주현
권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9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집조에서 응집제로 응집 입자를 폐수 내에 형성한 후 부상 여과조에서 상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 막으로 여과하여 정수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응집조에서 처리된 폐수를 분리조를 통해 복수의 부상 여과조로 응집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 공급하여 여과 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적 응집제로 응집조에서 응집된 입자를 여과막으로 효율적으로 여과시켜 처리함으로써 정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여과막의 청소 시간 및 청소 횟수를 줄여 정수 처리량을 증대시키고, 처리 용수의 수질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Apparatus for Chemaical Cohesion of Wastewater}
본 발명은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응집제로 응집된 응집 입자를 여과 막으로 여과하여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에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포함되며, 그 중 인(P)을 함유하고 있는 폐수는 질산염이나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폐수는 하수도로 집수된 후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되어 상수도를 통해 재활용되고 있다.
상기한 폐수의 정수 처리 작업 중 인이나, 유기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응집조에서 화학적 응집제를 투여하는 화학 응집 처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응집된 입자를 1차 여과하여 처리함으로써 정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화학적으로 응집된 입자를 크기 별로 분류하여 처리함으로써 정수 처리 효율을 더 증대시키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와;
상기 부상 여과조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를 포함한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부상 여과조의 여과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응집조의 배출구에서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에서 농축조로 연결되는 폐수 처리관부재와, 상기 폐수 처리 관부재에서 상기 응집조의 배출구와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와 농축조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1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 분출 기기가 내부에 구비된 제 1 부상 여과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2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된 제 2 부상 여과조와;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및 제 2 부상 여과조의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를 포함한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응집조에서 화학적 응집 처리된 폐수를 저장하여 응집 입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와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조는 상부 측에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로 연결되는 제 1 배출구가 구비되고, 하부 측에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 연결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로는 작은 크기의 응집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는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내로 공급되는 응집 입자보다 큰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여과 막은 제 1 여과 막보다 공극이 크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및 제 2 부상 여과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여과 막 및 제 2 여과 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조의 상부 측 제 1 배출구에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1 연결 관부재와;
상기 분리조의 하부 측 제 2 배출구에서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2 연결 관부재와;
상기 농축조에서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 및 제 2 연결 관부재로 연결되는 제 3 연결 관부재와;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3 밸브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4 밸브를 더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적 응집제로 응집조에서 응집된 입자를 여과막으로 효율적으로 여과시켜 처리함으로써 정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여과막의 청소 시간 및 청소 횟수를 줄여 정수 처리량을 증대시키고, 처리 용수의 수질을 안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10)와, 상기 응집조(10)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여과 막(20a)이 상부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20)를 포함한다.
또, 상기 부상 여과조(20)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응집조(10) 내의 폐수를 교반시켜 화학적 응집제로 응집 효과를 향상시키는 교반 기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 기기(40)는 상기 응집조(10) 내에서 회전되는 날개부(41)와, 상기 날개부(41)를 회전시키는 모터부(42), 상기 모터부(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교반 기기(40) 및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 제 1 개폐 밸브(22) 및 제 2 개폐 밸브(23)의 작동을 전자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부상 여과조(20)에는 상기 여과 막(20a)의 상부에 여과 막(20a)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응집조(10)로 연결되어 응집조(10)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 막(20a)은 다수의 공극을 가지는 섬유 여과상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응집제로 응집된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는 상기 부상 여과조(20) 내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부로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31) 및 상기 복수의 분사 노즐(31)을 연결하며 각 분사 노즐(31)로 공기를 공급하는 헤더(32)와, 상기 헤더(32)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는 상기 여과 막(20a)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여과 막(20a)의 공극을 막는 응집 입자를 제거하는 역세 작업에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여과 막(20a)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응집조(10)의 배출구에서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유입구에서 농축조(90)로 연결되는 폐수 처리 관부재(21)와, 상기 폐수 처리 관부재(21)에서 상기 응집조(10)의 배출구와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22)와,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유입구와 농축조(90)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23)를 더 포함한 것이다.
즉, 폐수는 응집조(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날개부(41)의 회전으로 응집조(10) 내로 투입된 응집제와 원활히 반응하여 응집 입자가 발생되게 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응집조(10)에서 처리된 후 상기 폐수 처리관부재를 통해 상기 부상 여과조(20)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폐수는 상기 부상 여과조(2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여과 막(20a) 상부에 구비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배출되기 전 여과 막(20a)을 통과하면서 응집 입자가 걸러져 정화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폐수를 상기 응집조(10)와 상기 부상 여과조(20)를 거쳐 여과 처리할 경우에 상기 제 1 개폐 밸브(22)는 열리고 상기 제 2 개폐 밸브(23)는 닫혀 폐수가 상기 응집조(10)에서 부상 여과조(20)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여과 처리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여과 막(20a)의 공극에 응집 입자가 끼어지면서 공극이 막히게 되어 여과 처리 효율이 저하되므로 주기적으로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에서 분출된 공기로 여과 막(20a)의 공극에 낀 응집 입자를 제거하는 역세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역세 작업 중에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22)는 닫히고, 역세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개폐 밸브(23)가 열려 상기 부상 여과조(20)의 폐수를 상기 농축조(90)로 배출시켜 슬러지로 농축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응집 처리된 폐수를 부상하여 여과 막(20a)을 통과시켜 여과 처리함으로써 폐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고, 제철 공장과 같은 공장 내에서 발생한 폐수를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적 응집 처리하여 배출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인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10)와, 상기 응집조(10)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1 여과 막(61)이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 분출 기기(30)가 내부에 구비된 제 1 부상 여과조(60)와, 상기 응집조(10)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2 여과 막(71)이 상부에 구비된 제 2 부상 여과조(70)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응집조(10) 내의 폐수를 교반시켜 화학적 응집제로 응집 효과를 향상시키는 교반 기기(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반 기기(40)는 상기 응집조(10) 내에서 회전되는 날개부(41)와, 상기 날개부(41)를 회전시키는 모터부(42), 상기 모터부(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교반 기기(40) 및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 제 1 밸브(83) 및 제 2 밸브, 제 3 밸브(85), 제 4 밸브(86)의 작동을 전자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에는 상기 제 1 여과 막(61)의 상부에 제 1 여과 막(61)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응집조(10)로 연결되어 응집조(10)에서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여과 막(61) 및 제 2 여과 막(71)은 다수의 공극을 가지는 섬유 여과상을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응집제로 응집된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는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내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부로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제 1 분사 노즐(31a)과, 상기 복수의 제 1 분사 노즐(31a)을 연결하며 각 분사 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 1 헤더(32a)와,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 내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부로 공기를 분출하는 복수의 제 2 분사 노즐(32a)과 상기 복수의 제 2 분사 노즐(32a)을 연결하며 각 분사 노즐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 2 헤더(32b)와, 상기 제 1 헤더(32a)와 제 2 헤더(32b)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33)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는 상기 제 1 분사 노즐(31a)로 상기 제 1 여과 막(61)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상기 제 1 여과 막(61)의 공극을 막는 응집 입자를 제거하고, 상기 제 2 분사 노즐(32a)로 상기 제 2 여과 막(71)으로 공기를 분출하여 상기 제 2 여과 막(71)의 공극을 막는 응집 입자를 제거하는 역세 작업에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응집조(10)에서 화학적 응집 처리된 폐수를 저장하여 응집 입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와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조(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조(50)는 상부 측에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로 연결되는 제 1 배출구(51)가 구비되고, 하부 측에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로 연결되는 제 2 배출구(52)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로는 작은 크기의 응집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로는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내로 공급되는 응집 입자보다 큰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여과 막(71)은 제 1 여과 막(61)보다 공극이 크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여과 막(61) 및 제 2 여과 막(71)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분리조(50)의 상부 측 제 1 배출구(51)에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1 연결 관부재(80)와;
상기 분리조(50)의 하부 측 제 2 배출구(52)에서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2 연결 관부재(81)와;
상기 농축조(90)에서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80) 및 제 2 연결 관부재(81)로 연결되는 제 3 연결 관부재(82)와;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80)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83)와;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81)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84)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82)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80)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3 밸브(85)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82)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81)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4 밸브(86)를 더 포함한다.
즉, 폐수는 응집조(10) 내로 유입되어 상기 날개부(41)의 회전으로 응집조(10) 내로 투입된 응집제와 원활히 반응하여 응집 입자가 발생되게 처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폐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응집조(10)에서 처리된 후 상기 분리조(50)로 저장되고, 상기 분리조(50)에서 폐수 중 크기가 작은 응집 입자를 포함한 일부 폐수를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80)를 통해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로 유입시키고, 크기가 큰 응집 입자를 포함한 일부 폐수를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81)를 통해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는 유입된 폐수를 상부 측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면서 각각 제 1 여과 막(61)과 제 2 여과 막(71)을 통과시켜 각각 응집 입자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한 여과 처리 과정에서는 상기 제 3 밸브(85)와 제 4 밸브(86)가 각각 닫혀 상기 분리조(50)에서 분리된 폐수가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로 응집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되어 공급되고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 및 제 2 부상 여과조(70)의 배출구를 통해서만 여과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또 상기 여과 처리 과정이 반복되면 상기 제 1 여과 막(61) 및 제 2 여과 막(71)의 공극에 응집 입자가 끼어지면서 공극이 막히게 되어 여과 처리 효율이 저하되므로 주기적으로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를 작동시켜 상기 공기 분출 기기(30)에서 분출된 공기로 여과 막의 공극에 낀 응집 입자를 제거하는 역세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의 역세 작업 중에는 상기 제 1 밸브(83)는 닫히고, 역세 작업이 완료되면 제 3 밸브(85)가 열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의 폐수를 상기 농축조(90)로 배출시켜 슬러지로 농축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70)의 역세 작업 중에는 상기 제 2 밸브(84)는 닫히고, 역세 작업이 완료되면 제 4 밸브(86)가 열려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의 폐수를 상기 농축조(90)로 배출시켜 슬러지로 농축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응집 처리된 폐수를 상기 분리조(50)를 통해 응집 입자 크기에 따라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60)와 제 2 부상 여과조(70)로 분리하여 여과 처리함으로써 이 경우 크기가 큰 응집 입자 처리에 걸리는 수두는 감소에 의한 플럭스(Flux) 증가로 유량이 증가되고 작은 입자는 작은 공극의 여과 막을 사용하므로 부유고형물의 제거 효율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폐수를 응집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여 여과 처리함으로써, 여과 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의 주기를 늘려 역세 작업에 따른 작업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많은 양의 폐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응집조 20 : 부상 여과조
30 : 공기 분출 기기 40 : 교반 기기
50 : 분리조 60 : 제 1 부상 여과조
70 : 제 2 부상 여과조 80 : 제 1 연결 관부재
81 : 제 2 연결 관부재 82 : 제 3 연결 관부재
83 : 제 1 밸브 84 : 제 2 밸브
85 : 제 3 밸브 86 : 제 4 밸브
90 : 농축조

Claims (9)

  1. 삭제
  2.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가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된 부상 여과조와;
    상기 부상 여과조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와;
    상기 부상 여과조의 여과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의 배출구에서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에서 농축조로 연결되는 폐수 처리관부재와, 상기 폐수 처리 관부재에서 상기 응집조의 배출구와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개폐 밸브와, 상기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와 농축조의 유입구 사이에 장착되어 폐수 처리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개폐 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4. 삭제
  5. 폐수를 저장하며 응집제가 투입되어 폐수 내의 미세 입자를 응집시키는 응집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1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되고, 공기 분출 기기가 내부에 구비된 제 1 부상 여과조와;
    상기 응집조에서 응집 처리된 폐수 중 일부가 분리 유입되며 폐수 내의 응집 입자를 여과하는 제 2 여과 막이 상부에 구비된 제 2 부상 여과조와;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및 제 2 부상 여과조의 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공기 분출 기기와;
    상기 응집조에서 화학적 응집 처리된 폐수를 저장하여 응집 입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와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분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리조는 상부 측에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로 연결되는 제 1 배출구가 구비되고, 하부 측에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 연결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로는 작은 크기의 응집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고,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로는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내로 공급되는 응집 입자보다 큰 입자를 포함한 폐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 여과 막은 제 1 여과 막보다 공극이 크게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및 제 2 부상 여과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여과 막 및 제 2 여과 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 및 제 2 부상 여과조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여과 막 및 제 2 여과 막을 청소하는 역세 작업 중 발생한 폐수를 저장하는 농축조와;
    상기 분리조의 상부 측 제 1 배출구에서 상기 제 1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1 연결 관부재와;
    상기 분리조의 하부 측 제 2 배출구에서 상기 제 2 부상 여과조의 유입구로 연결되는 제 2 연결 관부재와;
    상기 농축조에서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 및 제 2 연결 관부재로 연결되는 제 3 연결 관부재와;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1 밸브와;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에 장착되어 관로를 개폐하는 제 2 밸브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1 연결 관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3 밸브와;
    상기 제 3 연결 관부재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연결 관부재와의 연결 부분을 개폐하는 제 4 밸브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KR1020100017604A 2010-02-26 2010-02-26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KR10126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04A KR101267732B1 (ko) 2010-02-26 2010-02-26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604A KR101267732B1 (ko) 2010-02-26 2010-02-26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140A KR20110098140A (ko) 2011-09-01
KR101267732B1 true KR101267732B1 (ko) 2013-05-24

Family

ID=44951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604A KR101267732B1 (ko) 2010-02-26 2010-02-26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536A (ko) 2014-12-24 2016-07-05 금강실리테크(주) 여과막을 이용한 중수도의 전처리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536A (ko) 2014-12-24 2016-07-05 금강실리테크(주) 여과막을 이용한 중수도의 전처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140A (ko)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3130B2 (ja) 浄水装置および実施方法
JP5201481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濾材層の洗浄方法
US20120193298A1 (en) Platform technology for industrial separations
KR101156125B1 (ko) 용존공기 부상형 전처리장치
KR20090093781A (ko) 침지형 분리막과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융합형 정수처리장치
KR101802600B1 (ko)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것의 역세척 모듈 제어방법
KR100843656B1 (ko) 2단 침지형 막여과조를 이용한 고도정수처리장치
KR101576487B1 (ko) 가압공기부상법을 이용한 고효율 막여과 정수시스템 및 그 정수처리방법
KR100957423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정수장치
JP4099456B2 (ja) 廃液処理システム
KR101087502B1 (ko) 일체형 수처리 장치
KR20140096413A (ko) 차량 탑재형 오폐수 처리장치
KR101267732B1 (ko) 폐수의 화학 응집 처리 장치
GB2461119A (en) Water filter
KR200419211Y1 (ko) 침전장치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101205153B1 (ko) 폐수의 응집 처리 장치
JP3178632U (ja) 高速沈殿濾過装置
KR101174757B1 (ko)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US20060060517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JPH07232196A (ja) 高度水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796013B1 (ko) 역류필터형 여과조 및 이를 구비한 역류필터형 폐수정화장치
KR100761457B1 (ko) 침전장치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JP3766880B2 (ja) 水浄化装置および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