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757B1 -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757B1
KR101174757B1 KR1020100070134A KR20100070134A KR101174757B1 KR 101174757 B1 KR101174757 B1 KR 101174757B1 KR 1020100070134 A KR1020100070134 A KR 1020100070134A KR 20100070134 A KR20100070134 A KR 20100070134A KR 101174757 B1 KR101174757 B1 KR 10117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mbrane
plate
fil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862A (ko
Inventor
최환엽
Original Assignee
(주)한영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영계기 filed Critical (주)한영계기
Priority to KR1020100070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7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수도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수, 지표수, 우수(雨水) 등의 용수에 함유된 미생물, 유기물,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분리ㆍ제거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음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수도용 정수장치는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용수를 간단한 장치로서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청소 및 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수도용 정수장치{water purifying device for simplified water service}
본 발명은 간이수도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수, 지표수, 우수(雨水) 등의 용수에 함유된 세균, 부유물, 중금속 및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분리ㆍ제거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음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는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시설이 갖추어지지 못한 지역에서는 간이 상수도 장치를 설치하여 계곡수나 지하수 등의 용수를 여과하여 음용수로 이용하고 있다.
통상 간이 상수도 장치는 용수를 수조에 담아두어 용수에 함유된 큰 이물질을 침전시켜 제거하고, 자갈과 모래 등으로 이루어지는 여과층을 통과시켜 작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 상수도 장치는 이물질 제거능력에 한계가 있어서 미세한 입자나 미생물들은 제거하지 못하며, 오랜 기간 정수하게 되면 여과층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정수기능이 저하되고 상기 여과층 청소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특히, 취수원이 다양한 오염원에 노출되어 있어서 정수된 물도 비위생적인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활성탄 필터, 자외선 처리, 약품투입, 분리막 이용 등의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상기 방법들은 유입수의 수질 변동에 대하여 처리수의 수질변화가 심하여 음용하기에 부적당할 경우가 발생하고, 유입수의 탁도가 높아지는 경우 내부 자재를 교환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설치 및 유지관리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실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여러 가지 간이 정수시설이 개발되어 있지만 설치비가 비싸며, 가정용 정수기를 확대한 방식, 또는 대규모 정수처리시설을 축소한 방식들이어서 고가일 뿐 만 아니라 관리에도 문제점이 많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이 지하수, 지표수, 우수 등의 용수로부터 음용수를 얻고자 하는 여러 시도들은 실용화되기에는 비용과 효율성 측면에서 아직 미흡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수도시설이 갖추어 지지 못한 지역에서 지하수, 지표수, 우수 등의 용수을 음용수로 적합하게 정수하기 위하여 간단한 장치로서 용수에 함유된 세균 및 고형물을 효율적으로 분리ㆍ제거하고, 간단하게 제거하기 어려운 중금속을 제거하며, 유지관리가 용이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갖는 믹서몸체(11)와 상기 믹서몸체(11) 내부에 충전재(12)가 내장되며, 상기 믹서몸체(11) 하부에 용수가 인입되는 용수유입관(13)과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관(14)과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5)과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16)이 설치되고, 상기 믹서몸체(11)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17)과 인입된 용수를 여과기(20)로 배출하는 1차이송관(18)이 설치되어, 용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응집시키고 금속성분을 산소와 결합하는 라인 믹서(10); 내부공간을 갖는 여과기몸체(21)와 상기 여과기몸체(21) 내부에 스크린(22)이 내장되며, 상기 여과기몸체(21) 하부에 상기 1차이송관(18)이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몸체(21)의 상부에 인입된 용수를 분리막(30)으로 배출하는 2차이송관(23)이 설치되어,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응집되고 산화되어 부피가 커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20); 및 내부공간을 갖는 분리막몸체(31), 상기 분리막몸체(31) 내부에 막(32)이 내장되며, 상기 분리막몸체(31)의 하부에 상기 2차이송관(23)이 연결되고, 상기 분리막몸체(31)의 상부에 음용수가 배출되는 음용수배출관(33)이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20)에서 제거하지 못한 부피가 작은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분리막(30);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12)는 제1판(12a) 가장자리의 서로 대향하는 가로 또는 세로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 표면에 제2판(12b1)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고, 상기 제2판(12b1)이 설치된 제1판(12a) 표면의 이면에 제3판(12b2)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며, 상기 제1판(12a)과 제2판(12b1) 및 제3판(12b2)이 접합되는 선상 중심에서 수직연장선 위에 4개의 제4판(12c1, 12c2, 12c3, 12c4) 가로 및 세로 가장자리가 접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의 접합 되지 않고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의 선단은 동일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은 서로 끼워맞춤 구조 또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며, 각 판의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및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 폴리황산알루미늄,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 황산제2철 및 염화제2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22)의 구멍크기는 100~150메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막(32)은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수도용 정수장치는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용수를 간단한 장치로서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청소 및 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수도용 정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라인 믹서에 내장되는 충전재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간이수도용 정수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정수장치(100)는 라인 믹서(line mixer:10), 여과기(strainer:20) 및 분리막(membrane:30) 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하수, 지표수, 우수(雨水) 등을 취수원으로 한 용수(用水)를 상기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함유된 이물질을 단계별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 라인 믹서(10)는 인입되는 용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응집시키고 금속성분을 산소와 결합시켜 차후 여과공정에서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믹서몸체(11), 상기 믹서몸체(11)에 내장되고 인입되는 용수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충전재(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라인 믹서(10)에는 공기 또는 산소가 공급되어 용수 중의 금속성분을 산화시키고, 후공정인 여과기(20) 및 분리막(3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폭기의 효과를 발휘하여 운전의 안정성을 유지한다.
상기 충전재(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판의 가로 및 세로 중심선이 서로 수직 교차된 형태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판(12a) 가장자리의 서로 대향하는 가로 또는 세로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 표면에 제2판(12b1)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고, 상기 제2판(12b1)이 설치된 제1판(12a) 표면의 이면에 제3판(12b2)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며, 상기 제1판(12a)과 상기 제2판(12b1) 및 제3판(12b2)이 접합되는 선상 중심에서 수직연장선 위에 4개의 제4판(12c1, 12c2, 12c3, 12c4) 가로 및 세로 가장자리가 접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의 접합 되지 않고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의 선단은 동일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은 서로 끼워맞춤 구조이거나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으며, 각 판의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부채꼴형 등 모양에 제한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충전재(12)는 물에 부식되지 않고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 중에서 수지종류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라인 믹서(10) 하부에는 지하수, 지표수, 우수 등의 취수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용수가 인입되는 용수유입관(13)과 상기 용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응집하기 위한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관(14)이 설치되며, 상기 응집제공급관(14)은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응집제로는 폴리염화알루미늄(polyaluminium chloride:PAC), 폴리황산알루미늄(polyaluminum sulfate:PAS),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polyaluminum (hydroxide) chloride silicate:PACS),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polyaluminum silicate sulfate:PASS), 황산제2철(ferric sulfate), 염화제2철(ferric chloride) 등이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몸체(11) 하부에는 인입되는 용수에 함유된 금속성분을 산화시켜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또는 산소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5)과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이물질배출관(16)이 설치된다.
상기 믹서몸체(11) 상부에는 상기 공기공급관(15)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또는 산소와 용수에 함유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배출관(17)과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처리된 용수를 여과기(20)로 이송하기 위한 1차이송관(18)이 설치된다.
여과기(20)는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응집되고 산화되어 부피가 커진 이물질을 1차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여과기몸체(21), 상기 여과기몸체(21)에 내장되고 인입되는 용수에 함유된 큰 부피의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스크린(screen: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기(20)는 원뿔(cone)형, Y형, T형, 버킷(bucket)형 등 형태에 제약받지 아니하고, 상기 스크린(22) 청소가 용이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22)은 인입되는 용수에 함유된 큰 입자의 이물질과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응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멍크기(pore size)는 100~150메시(mesh)가 바람직하데, 100메시 미만이면 중간크기의 이물질이 통과하여 이후 공정인 분리막(30)의 부하를 증가시켜 상기 분리막(30)의 청소가 빈번하게 되고, 150메시를 초과하면 스크린(22) 전후의 압력손실이 커지고 스크린(22) 청소를 자주 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여과효율을 좀더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22)으로 카트리지 필터(cartridge filter)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유지관리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기 여과기(20)는 스크린 세척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여과기(auto strainer)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여과기몸체(21)의 하부에는 상기 1차이송관(18)이 연결되어 상기 라인 믹서(10)를 통과한 용수가 인입되고, 상기 여과기몸체(21)의 상부에는 큰 이물질이 제거된 용수를 분리막(30)으로 이송하기 위한 2차이송관(23)이 연결된다.
분리막(30)은 용수에 함유된 이물질 중 상기 여과기(20)에서 제거하지 못한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내부공간을 갖는 분리막몸체(31), 상기 분리막몸체(31)에 내장되고 인입되는 용수에 함유된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막(membrane: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막의 종류에는 역삼투막(reverse osmotic membrane:RO),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membrane:NF),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membrane:UF),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membrane:MF) 등이 있는데, 용수를 음용수로 이용할 목적으로는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이 적당하다.
상기 분리막몸체(31)의 하부에는 상기 2차이송관(23)이 연결되어 상기 여과기(20)를 통과한 용수가 인입되고, 상기 분리막몸체(31)의 상부에는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 음용수가 배출되는 음용수배출관(33)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다음과 같이 운전된다.
지하수, 지표수, 우수 등의 용수가 용수유입관(13)을 통하여 라인 믹서(10)의 믹서몸체(11) 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용수는 상기 믹서몸체(11) 내부를 상방향으로 흐르는 동안 응집제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되는 응집제와 혼합되어 용수 중의 부유물질이 응집되어 뭉치게 되고, 공기공급관(15)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하여 용수 중의 금속성분이 금속산화물로 전환되면서 입자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상기 믹서몸체(11)에 내장되어 있는 다수 개의 충전재(12)에 의하여 용수, 응집제 및 공기의 흐름이 분산되고 유로가 길어지게 되어 서로 잘 혼합되고 접촉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즉, 용수, 응집제 및 공기의 혼합효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라인 믹서(10)의 규모를 작게 하여도 응집과 산화가 충분히 이루어지므로 라인 믹서(10)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운전 중 믹서몸체(11) 상부 내부의 공기는 공기배출관(17)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1차이송관(18)을 통하여 여과기(20)로 이송되며, 하부 내부의 이물질은 이물질배출관(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한다.
상기 라인 믹서(10)를 통과한 용수는 1차이송관(18)을 통하여 여과기(20)의 하부로 이송되고, 상기 여과기(20)을 상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내장된 스크린(22)에 의하여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응집되고 산화되어 크기가 커진 이물질을 1차 제거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22)의 구멍크기에 따라 달라지나, 용수 중 약 100㎛를 초과하는 크기의 이물질이 상기 여과기(20)에서 제거되고, 상기 스크린(22)은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이물질에 의하여 용수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 필터를 설치하여 좀더 작은 크기의 이물질, 예를 들어 5㎛ 크기까지 제거할 수 있으며, 자동여과기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스크린을 세척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여과기(20)에서 이물질이 1차 제거된 용수는 2차이송관(23)을 통하여 분리막(30)의 분리막몸체(31) 하부로 이송되고, 상기 분리막몸체(31)에 내장된 막(32)을 통과하는 동안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다.
상기 막(32)은 취수원에 따라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이 사용되어 용수 중 약 0.01㎛를 초과하는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막(32)을 역세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운전 중에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역세장치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라인믹서(10)에 공급된 공기 중의 산소는 원수 중의 중금속을 산화하여 입자를 증가시켜서 여과기(20) 또는 분리막(30)에서의 중금속 제거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1차이송관(18)을 통하여 여과기(20)에 인입된 공기는 여과기(20)의 막힘 현상을 저감시켜 여과기의 청소주기를 연장시키고, 또한 분리막(30)의 막힘 현상을 제어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인다.
상기 분리막(30)을 통과하여 용수 중의 작은 크기의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 음용수는 상기 분리막(30) 상부에 설치된 음용수배출관(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3개의 정사각형판의 가로 및 세로 중심선이 서로 수직 교차하도록 제조되고 재질이 수지인 충진재가 다수 내장된 라인 믹서를 설치하고, 상기 라인 믹서에 공기와 응집제인 폴리염화알루미늄 및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을 공급한 상태에서 25℃의 지하수를 1㎏/㎠의 압력으로 공급하였다.
상기 라인 믹서에 공급된 응집제, 공기 및 물은 내장된 충진재를 통과하는 동안 혼합ㆍ접촉한 후 물은 약간의 공기와 함께 여과기로 이송되고, 대부분의 공기는 공기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간헐적으로 이물질배출관을 개폐하여 상기 라인 믹서 하부에 침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여과기에는 130메시의 스크린을 설치하여 상기 여과기에 인입된 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상기 스크린에 의해 제거되도록 한 후 분리막으로 이송하였다.
분리막에는 한외여과막을 설치하여 상기 분리막에 인입된 물을 상기 한외여과막으로 미세입자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음용수를 제조하고, 상기 음용수를 외부의 용기로 보내어 저장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에서 라인 믹서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응집제와 지하수만을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용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에서 라인 믹서를 설치하지 않고, 지하수를 여과기로 바로 공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용수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되는 음용수의 유량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 106LMH(실시예), 95LMH(비교예 1) 및 80LMH(비교예 2)로 나타났다.
상기 LMH는 제조된 음용수의 량(ℓ)을 분리막 면적(㎡)×시간(hr)으로 나눈 값이다.
상기 결과에서, 라인 믹서에 공기를 공급한 실시예가 공급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유량이 많은 이유를 살펴보면, 실시예에서는 물에 함유된 금속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금속산화물로 되어 입자가 커지게 되고, 상기 크기가 커진 금속산화물이 여과기에서 제거됨으로써 분리막의 부하를 감소시키는데 비하여, 비교예 1에서는 금속성분이 여과기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분리막에서 제거됨으로써 분리막의 세공(細孔)을 막아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응집제가 혼합되지 않아 지하수 중의 부유물질과 미세입자의 이물질이 응집되지 못하여 여과기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분리막에서 제거됨으로써 상기에서와 같이 금속성분과 함께 분리막의 세공을 막아 유량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 더하여 실시예에서 라인 믹서에 공급된 공기는 물과 밀도가 다르므로 여과기의 스크린 및 분리막의 막에 부딪힐 때 유체의 흐름에 변화를 주게 되고, 이로 인해 스크린 및 막의 막힘현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 라인 믹서에 공급된 지하수와 분리막을 통과한 음용수의 수질을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에 의거 분석한 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502499903-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를 통과한 음용수가 지하수에 비하여 수질이 전체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부유물질을 나타내는 탁도가 매우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라인 믹서에서 산화 및 응집의 효과로 고품질의 음용수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려지기 쉬운 지하수, 지표수, 우수 등을 본 발명의 간이수도용 정수장치를 이용하여 음용할 수 있는 깨끗한 물로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다.
10:라인 믹서, 11:믹서몸체, 12:충전재, 12a:제1판, 12b1:제2판, 12b2:제3판, 12c1, 12c2, 12c3, 12c4:제4판, 13:용수유입관, 14:응집제공급관, 15:공기공급관, 16:이물질배출관, 17:공기배출관, 18:1차이송관, 20:여과기, 21:여과기몸체, 22:스크린, 23:2차이송관, 30:분리막, 31:분리막몸체, 32:막, 33:음용수배출관, 100:정수장치

Claims (6)

  1. 내부공간을 갖는 믹서몸체(11)와 상기 믹서몸체(11) 내부에 충전재(12)가 내장되며, 상기 믹서몸체(11) 하부에 용수가 인입되는 용수유입관(13)과 응집제를 공급하는 응집제공급관(14)과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5)과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배출관(16)이 설치되고, 상기 믹서몸체(11) 상부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17)과 인입된 용수를 여과기(20)로 배출하는 1차이송관(18)이 설치되어, 용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응집시키고 금속성분을 산소와 결합하는 라인 믹서(10);
    내부공간을 갖는 여과기몸체(21)와 상기 여과기몸체(21) 내부에 스크린(22)이 내장되며, 상기 여과기몸체(21) 하부에 상기 1차이송관(18)이 연결되고, 상기 여과기몸체(21)의 상부에 인입된 용수를 분리막(30)으로 배출하는 2차이송관(23)이 설치되어, 상기 라인 믹서(10)에서 응집되고 산화되어 부피가 커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여과기(20); 및
    내부공간을 갖는 분리막몸체(31), 상기 분리막몸체(31) 내부에 막(32)이 내장되며, 상기 분리막몸체(31)의 하부에 상기 2차이송관(23)이 연결되고, 상기 분리막몸체(31)의 상부에 음용수가 배출되는 음용수배출관(33)이 설치되어, 상기 여과기(20)에서 제거하지 못한 부피가 작은 이물질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분리막(30);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재(12)는 제1판(12a) 가장자리의 서로 대향하는 가로 또는 세로 중심을 연결하는 선상 표면에 제2판(12b1)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고, 상기 제2판(12b1)이 설치된 제1판(12a) 표면의 이면에 제3판(12b2)의 가장자리가 수직으로 접합 설치되며, 상기 제1판(12a)과 제2판(12b1) 및 제3판(12b2)이 접합되는 선상 중심에서 수직연장선 위에 4개의 제4판(12c1, 12c2, 12c3, 12c4) 가로 및 세로 가장자리가 접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의 접합 되지 않고 서로 인접한 가장자리의 선단은 동일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판은 서로 끼워맞춤 구조 또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며, 각 판의 모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및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는 폴리염화알루미늄, 폴리황산알루미늄, 폴리수산화염화규산알루미늄, 폴리황산규산알루미늄, 황산제2철 및 염화제2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의 구멍크기는 100~15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막(32)은 한외여과막 또는 정밀여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KR1020100070134A 2010-07-20 2010-07-20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KR10117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34A KR101174757B1 (ko) 2010-07-20 2010-07-20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34A KR101174757B1 (ko) 2010-07-20 2010-07-20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62A KR20120008862A (ko) 2012-02-01
KR101174757B1 true KR101174757B1 (ko) 2012-08-17

Family

ID=4583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134A KR101174757B1 (ko) 2010-07-20 2010-07-20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42B1 (ko) 2019-11-25 2020-10-12 우태희 다중전극관으로 전기분해하는 정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09B1 (ko) * 2014-01-22 2014-09-29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형 음용수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015A (ja) * 1983-08-12 1985-02-27 Suido Kiko Kk 渦流によるろ過方法及びその充填フインろ材
JPH1015307A (ja) * 1996-06-28 1998-01-20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水の凝集濾過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0975144B1 (ko) 2010-04-28 2010-08-11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015A (ja) * 1983-08-12 1985-02-27 Suido Kiko Kk 渦流によるろ過方法及びその充填フインろ材
JPH1015307A (ja) * 1996-06-28 1998-01-20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水の凝集濾過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0975144B1 (ko) 2010-04-28 2010-08-11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다공성 여재를 이용한 하천수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942B1 (ko) 2019-11-25 2020-10-12 우태희 다중전극관으로 전기분해하는 정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62A (ko)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017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601488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A3005192A1 (en) Standardized oilfield water treatment device and process using physical method
MX2015003479A (es) Procedimiento de tratamiento de agua que comprende flotacion combinada con filtracion por gravedad, y equipo correspondiente.
KR20120047198A (ko) 자동 역세척 사이클을 구비하는 물 여과 장치
CN105645663A (zh) 一种絮凝-逆流臭氧气浮-生物过滤的水处理组合方法及所用装置
KR100450486B1 (ko) 빗물 여과장치와 이를 이용한 중수도 처리 시스템
CA2742251A1 (en) Method for the filtration of a bioreactor liquid from a bioreactor; cross-flow membrane module, and bioreactor membrane system
KR101174757B1 (ko) 간이수도용 정수장치
KR101161327B1 (ko) 막여과에 의한 방류수 수질 개선형 정수시스템
WO2017159303A1 (ja) 高硬度排水の処理方法
WO2019150604A1 (ja) 石炭排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40121600A (ko) 상향류 섬유볼 여과장치
CN205892904U (zh) 用于自动处理污水的一体化设备
KR20090075292A (ko)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원처리방법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KR200471174Y1 (ko) 초고속 여과기능과 미세여재의 회수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1075955B1 (ko) 흡착분리를 이용하여 방류수 중의 총인을 제거하는 장치
KR101091092B1 (ko) 2단 응집 직여과 정수장치
KR101889710B1 (ko) 하폐수 재이용수 생산시스템
CN105084596A (zh) 一种循环式雨水综合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109867377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JP2008000680A (ja) 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水処理方法
KR101527466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4474749B (zh) 多级分舱高效介质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