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888B1 - 다목적 용수탱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용수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888B1
KR101642888B1 KR1020160004404A KR20160004404A KR101642888B1 KR 101642888 B1 KR101642888 B1 KR 101642888B1 KR 1020160004404 A KR1020160004404 A KR 1020160004404A KR 20160004404 A KR20160004404 A KR 20160004404A KR 101642888 B1 KR101642888 B1 KR 10164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filtration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주)파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레인 filed Critical (주)파워레인
Priority to KR102016000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888B1/ko
Priority to EP16885190.5A priority patent/EP3290358B1/en
Priority to PCT/KR2016/005117 priority patent/WO2017122878A1/ko
Priority to US15/576,955 priority patent/US10094097B2/en
Priority to CN201680001486.8A priority patent/CN107182207B/zh
Priority to JP2016568439A priority patent/JP635083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E03B1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without air regulators, i.e. without air inlet or outlet valves; water tanks provided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3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or inclined rotation or symmetry axis submerged i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B01F2215/005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용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수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에 약액을 혼합하는 경우, 그 용수와 약액을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용수탱크에서 배출되는 교반액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용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봉을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과봉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용수탱크의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소량의 용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다목적 용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용수가 채워지는 용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100)에 소량의 용수가 남는 경우,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용수와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여과홈(130)이 상기 용수탱크의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여과수단(2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130)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결합구(210)의 내측에 걸림되고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여과봉(220)과, 상기 결합구(21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결합구(2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유동배관부(250)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동배관부(250)은, 상기 연결커플러(230)에 연결되는 연결관(251)과, 상기 연결관(251)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22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22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253)과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25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52)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253)과 용수배출배관(254)에는 각각 차단밸브(2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용수탱크{MULTIPURPOSE WATERTANK}
본 발명은 다목적 용수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수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에 약액을 혼합하는 경우, 그 용수와 약액을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용수탱크에서 배출되는 교반액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용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봉을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여과봉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용수탱크의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소량의 용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는 다목적 용수탱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수탱크는 사용 중 물탱크 내부 하단에 각종 불순물 및 이물이 적층되며, 용수를 배수 시 상기 불순물 등과 함께 잔류량이 남게 되어 세균번식의 온상이 되고, 용수탱크 내부의 완벽한 청소에도 많은 어려움과 번거러움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용수탱크에서 용수 여과방식은 용수탱크 밖에서 호스와 여과망을 연결하여 용수탱크에 투입 후 흡입, 흡입된 용수를 별도의 여과기를 통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여과 효율이 떨어지며 장치의 무리가 따라 압력이 저하되거나 모터의 고정이 잦고, 인력으로 여과작업을 수행하므로 산재 발생빈도 역시 높다.
또한, 용수탱크 내부를 청소시에 청결한 세척을 위하여 세척제(약액)을 사용할 경우, 세척액 잔류성분이 용수탱크 내부에 남게 되어 건강 및 환경에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등록특허 제10-0802602호의 다목적 만능 물탱크에서는 물탱크의 하부에 불순물, 각종 이물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여과부에 여과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역세척수단을 구비한 다목적 물탱크를 제공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탱크에 설치되는 여과부에 여과된 이물의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함은 물론 여과부의 물탱크의 장기간 사용시 여과부에 지속적인 이물의 흡착으로 인해 용수의 여과에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여과부의 교체가 보수가 어려워 사용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수탱크에 수용된 용수나 교반액의 배출을 원활히 하면서 배출되는 용수나 교반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봉을 용수탱크의 하부에 교체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여과봉의 유지관리 및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고,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교반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용수탱크에 형성된 수용여과홈으로 모이도록 하여 소량의 용수와 함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게 함으로써 용수탱크의 청결상태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용수탱크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용수나 교반액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현상을 방지하고, 용수탱크에 수용된 용수와 약액을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용수가 채워지는 용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여과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에 소량의 용수가 남는 경우, 그 용수탱크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용수와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여과홈이 상기 용수탱크의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여과수단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여과수단은, 상기 용수탱크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결합구의 내측에 걸림되고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기 수용여과홈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여과봉과, 상기 결합구를 수용한 상태로 그 결합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유동배관부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과봉은 상기 수용여과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망과, 상기 메쉬여과망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구에 걸림되되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가 형성된 걸림구와, 상기 메쉬여과망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여과홈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 바닥면에는, 용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로 분출되어 상기 용수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교반하는 교반분출노즐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교반분출노즐부는, 상기 배출여과수단이 설치된 방향과 마주하는 상기 용수탱크의 배면 내부에 설치되되 그 용수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를 상기 배출여과수단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교반노즐과, 상기 배출여과수단이 설치된 방향의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용여과홈을 기준으로 좌우양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의 측면 상측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방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교반노즐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수유동배관부은, 상기 연결커플러에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과 상기 용수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으로 이루어진 분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과 용수배출배관에는 각각 차단밸브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에는, 중공부가 상기 수용여과홈의 바닥면과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여과홈의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류배출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의 하측면 외부에는, 용수탱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다리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수탱크의 하부를 경사지게 하고, 용수가 배출되는 방향에 설치된 배출여과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용수나 교반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되어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현상을 방지되고, 상기 배출여과수단의 여과봉이 용수탱크의 하부에 교체가능하게 설치됨으로서 여과봉의 유지관리 및 신속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수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교반분출노즐부에 의해 용수와 약액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고, 수용여과홈으로 모이게되는 이물질을 소량의 용수와 함께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어 용수탱크의 청결상태를 지속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측단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에 배출여과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여과봉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유동배관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에 잔류량배출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에 의한 용수의 흐름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에 의한 용수의 흐름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에 설치되는 플로트밸브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면', '배면', '측면',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저면상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측단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에 배출여과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의 여과봉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수유동배관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에 잔류량배출배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에 의한 용수의 흐름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분출노즐부에 의한 용수의 흐름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원통형 또는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용수를 자동으로 수위에 맞추어 투입되도록 플로트밸브(141)를 구비한 용수투입관(140)이 용수탱크(100)의 상부로 배관설치된다.
이때, 상기 용수투입관(140)에는 별도의 탱크청소용밸브(142)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용수탱크의 내부를 살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에 용도별 약액(가루형태의 농약이나 액상형태의 농약 등)을 넣고 교반한 후, 배출여과수단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교반액이 배출됨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사용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그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관수, 방제, 방역, 액비살포 등 원하는 용도별로 장기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용수탱크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여과홈에 교반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축적되면 잔류배출배관을 통해 그 이물질을 소량의 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수탱크 내 약액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탱크 깨끗한 청소가 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봉의 역세척으로 인해 여과봉의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상기 여과봉이 분리가능함에 따라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봉의 역세척으로 인해 용수탱크의 수용여과홈에 축적된 이물질을 잔류배출배관으로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용수탱크의 내부상태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수투입관(140)을 통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용수가 투입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로트밸브(141)에 의해 용수가 만수위가 되면 자동으로 용수공급이 중단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를 설명함에 있어 이하에서는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용수탱크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는 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로트밸브(141) 및 후술되는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을 전면, 상기 배출여과수단(200)과 마주하는 방향을 배면, 상기 용수탱크의 전면과 배면을 상호 연결하는 면부를 측면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100)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100)에 소량의 용수가 남는 경우, 그 용수탱크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용수가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여과홈(130)이 상기 용수탱크(100)의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여과수단(2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용수가 수용되면 수용된 용수는 상기 경사면(120)에 의해 중앙부로 모이게 되고, 그 중앙부로 모인 용수는 상기 수용여과홈(1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의 배출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용수가 소량 남게 되는 경우, 용수와 함께 이물질이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상기 수용여과홈(130)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용된다.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이 수용되어 이물질이 일정량 축적되면 후술되는 잔류배출배관(40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용수탱크의 내부 이물질의 지속적인 축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130)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여과봉(220)과, 상기 결합구(2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커플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결합구(210)는 중공형 부재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수용여과홈(130)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봉(220)이 상기 결합구(21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여과봉(220)의 일측단이 상기 결합구(210)의 내측에 걸림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봉(220)은 상기 결합구(2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결합구(210)의 내측에 걸림되고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봉(220)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망(221)과, 상기 메쉬여과망(221)의 길이방향 일측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구(210)에 걸림되되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224)가 형성된 걸림구(223)와, 상기 메쉬여과망(221)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구(2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여과망(221)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수용여과홈(130)으로 유입되어 그 수용여과홈의 바닥면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상기 메쉬여과망(221)에 과도하게 흡착되어 용수의 여과성능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구(223)는 상기 메쉬여과망(221)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의 결합구(210)의 내측에 걸림되는 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구(223)에는 상기 파지구(224)가 설치되어 있어 여과봉의 교체 및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커플러(230)는 상기 결합구(210)를 수용한 상태로 그 결합구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유동배관부(25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용수유동배관부(250)는 상기 연결커플러(230)에 연결되는 연결관(251)과, 상기 연결관(251)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22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22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253)과,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25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52)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253)과 용수배출배관(254)에는 각각 차단밸브(255)가 설치된다.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배출배관(254)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상기 여과봉(220)의 역세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모두 사용한 후, 상기 여과봉(220)의 세척시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을 거쳐 상기 여과봉(220)의 내부로 유동하여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봉(220)에 흡착된 이물질을 떨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용수배출배관(254)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100)에는, 중공부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과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류배출배관(4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한 후, 일정량의 용수만이 상기 용수탱크(100)에 남아 있게 되면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잔류배출배관(40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수용된 이물질이 소량의 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봉(220)을 역세척한 후,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이물질과 세척용수가 수용된 경우 상기 잔류배출배관(400)을 개방하여 상기 여과봉(220)으로부터 떨어내진 이물질과 세척용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수용된 용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여야 하므로 상기 잔류배출배관(400)의 중공부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잔류배출배관(400)을 통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교반액의 잔류량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른 용도 및 다른 혼합물을 교반하여 사용하는 경우, 이전에 사용된 교반액과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용수펌프(미도시)에 의해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분출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분출노즐부(30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측에 용수와 특정 성분(농약 등)을 교반하는 경우 별도의 교반장치 없이 상기 교반분출노즐부(300)에서 분출되는 용수에 의해 용수와 농약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탱크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반기능의 추가로 인해 사용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반분출노즐부(300)는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과 마주하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배면 내부에 설치되되 그 용수탱크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를 상기 배출여과수단(200) 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교반노즐(310)과,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의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용여과홈(130)을 기준으로 좌우양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100)의 측면 상측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방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교반노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교반노즐(310,320)은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에 설치되는 분배부(330)에서 분배되는 분배배관(340)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으로, 용수펌프에서 펌핑된 용수는 상기 분배부(330)를 통해 상기 분배배관(340)으로 분배되어 상기 제1,2교반노즐(310,320)을 통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분출된다.
상기 제1교반노즐(310)에서 분출된 용수는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의 용수탱크 전면방향으로 분출되고, 상기 제2교반노즐(320)에서 분출된 용수는 상기 용수탱크의 측면 상측방향으로 분출됨으로써 용수탱크의 내측에 수용된 용수전체의 교반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용수탱크의 내부에 용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특정 성분(농약 등)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경우, 용수탱크의 바닥면에서부터 수면까지 상기 제1,2교반노즐(310,320)에 의해 상기 용수탱크에 수용된 용수 전체를 교반하게 됨으로써 교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면 외부에는 용수탱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다리(500)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즉, 육면체 형상의 용수탱크인 경우 그 용수탱크의 하부에 직선형의 상기 지지다리(500)가 형성되어 상기 용수탱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고, 상기 용수탱크(100)가 원통형인 경우 그 용수탱크의 외부 하측면에서 상기 지지다리(500)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수탱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다리(500)는 상기 용수탱크(100)를 사출하여 제조시, 상기 용수탱크(10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100)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의 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량 확인파이프(600)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용수탱크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 하측면 또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용수탱크의 내부에 상기 수용여과홈도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용수탱크 110: 개폐덮개
120: 경사면 130: 수용여과홈
140: 용수투입관 141: 플로트밸브
142: 탱크청소용밸브 200: 배출여과수단
210: 결합구 220: 여과봉
221: 메쉬여과망 223: 걸림구
224: 파지구 225: 지지구
230: 연결커플러 250: 용수유동배관부
251: 연결관 252: 분기부
253: 용수유입배관 254: 용수배출배관
255: 차단밸브 300: 교반분출노즐부
310: 제1교반노즐 320: 제2교반노즐
330: 분배부 340: 분배배관
400: 잔류배출배관 500: 지지다리
600: 확인파이프

Claims (7)

  1.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용수가 채워지는 용수탱크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100)에 소량의 용수가 남는 경우,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용수와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여과홈(130)이 상기 용수탱크의 중앙부에서 상기 배출여과수단(2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130)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결합구(210)와, 상기 결합구(2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단이 상기 결합구(210)의 내측에 걸림되고 길이방향 타측단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여과봉(220)과, 상기 결합구(21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결합구(2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수유동배관부(250)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동배관부(250)은, 상기 연결커플러(230)에 연결되는 연결관(251)과, 상기 연결관(251)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22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22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253)과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254)으로 이루어진 분기부(252)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253)과 용수배출배관(254)에는 각각 차단밸브(25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봉(220)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망(221)과, 상기 메쉬여과망(221)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결합구(210)에 걸림되되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224)가 형성된 걸림구(223)와, 상기 메쉬여과망(221)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구(2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용수펌프에 의해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분출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교반하는 교반분출노즐부(3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분출노즐부(300)는,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과 마주하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배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를 상기 배출여과수단(200)방향으로 분출하는 제1교반노즐(310)과, 상기 배출여과수단(200)이 설치된 방향의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수용여과홈(130)을 기준으로 좌우양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용수펌프로부터 펌핑된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100)의 측면 상측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상향경사지게 마련되는 제2교반노즐(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에는, 중공부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과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류배출배관(4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면 외부에는, 상기 용수탱크(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다리(500)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용수탱크.
KR1020160004404A 2016-01-13 2016-01-13 다목적 용수탱크 KR10164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404A KR101642888B1 (ko) 2016-01-13 2016-01-13 다목적 용수탱크
EP16885190.5A EP3290358B1 (en) 2016-01-13 2016-05-13 Multi-purpose water tank
PCT/KR2016/005117 WO2017122878A1 (ko) 2016-01-13 2016-05-13 다목적 용수탱크
US15/576,955 US10094097B2 (en) 2016-01-13 2016-05-13 Multi-purpose water tank
CN201680001486.8A CN107182207B (zh) 2016-01-13 2016-05-13 多功能水箱
JP2016568439A JP6350838B2 (ja) 2016-01-13 2016-05-13 多目的用水タン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404A KR101642888B1 (ko) 2016-01-13 2016-01-13 다목적 용수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888B1 true KR101642888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404A KR101642888B1 (ko) 2016-01-13 2016-01-13 다목적 용수탱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4097B2 (ko)
EP (1) EP3290358B1 (ko)
JP (1) JP6350838B2 (ko)
KR (1) KR101642888B1 (ko)
CN (1) CN107182207B (ko)
WO (1) WO201712287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673B1 (ko) 2016-12-23 2017-07-06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EP3315025A1 (en) * 2016-11-01 2018-05-02 Powerrain Co.,Ltd. Multipurpose water tank having improved filtering function
KR20190021150A (ko) * 2018-03-08 2019-03-05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저수조의 수질개선시스템
KR101977712B1 (ko) * 2017-11-23 2019-05-14 김순태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KR20200104591A (ko) * 2019-02-27 2020-09-04 엠제이하이테크(주) 미세먼지 저감 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건축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6583B1 (nl) * 2015-07-21 2017-02-15 Pharmafilter B V Rioleringsput.
US11872506B2 (en) * 2018-07-07 2024-01-16 Paragon Water Systems, Inc. Water filter cartridge having an air vent
US11364456B2 (en) * 2019-03-01 2022-06-21 Brita Lp Container assembly
CN110206103B (zh) * 2019-04-19 2020-08-18 浙江双林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农村饮用水室外防腐水箱的安装方法
CN110981028B (zh) * 2019-12-26 2023-07-07 苏州仕净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工业纯水生产系统
US20210323836A1 (en) * 2020-04-16 2021-10-21 Arrow Plastic Manufacturing Co. Water dispensing and filtration system
KR102443136B1 (ko) * 2022-05-30 2022-09-14 주식회사 엠제이코리아 약품 보관 용기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73Y1 (ko) * 2001-11-09 2002-02-25 하나산업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부착형 물탱크
KR100802602B1 (ko) * 2006-12-15 2008-02-13 문미나 다목적 만능 물탱크
KR100825680B1 (ko) * 2006-12-19 2008-04-29 우영배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JP2014159856A (ja) * 2013-02-20 2014-09-04 Jfe Engineering Corp 貯留槽内低温液体の混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68A (en) * 1868-09-08 Improvement in oil-tanks
US868255A (en) * 1907-03-29 1907-10-15 Reuben B Disbrow Combined faucet and strainer.
US3392837A (en) * 1965-10-13 1968-07-16 William A. Sanzenbacher Water-conditioning unit
JPS60114022U (ja) * 1984-01-12 1985-08-01 スズキ株式会社 タンクのフイルタ−と導出パイプの連結装置
US4491520A (en) * 1984-02-22 1985-01-01 Jaye Richard C Filter for water jugs
US4700734A (en) * 1985-07-22 1987-10-20 Mccauley Robert G Water collecting and spring box and gauging system and holding tank
JPH1143192A (ja) * 1997-07-28 1999-02-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のフィルタ装置
KR100523855B1 (ko) * 2005-02-23 2005-10-25 주식회사 현진기업 계곡수를 이용한 음용수 취수 장치 및 방법
KR100770368B1 (ko) * 2006-04-08 2007-10-26 박형호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200450333Y1 (ko) * 2007-01-26 2010-09-24 (주)엠.브이 농약탱크
US20130233890A1 (en) * 2012-03-09 2013-09-12 Brian Melzer Filter for a beverage dispenser
KR101399261B1 (ko) * 2012-04-09 2014-05-30 변지연 비료살포를 겸한 휴대용 농축산 방역기
CN103693186B (zh) * 2013-12-31 2016-03-30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海水滤器
CN204485463U (zh) * 2015-01-17 2015-07-22 罗连章 一种水壶过滤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473Y1 (ko) * 2001-11-09 2002-02-25 하나산업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부착형 물탱크
KR100802602B1 (ko) * 2006-12-15 2008-02-13 문미나 다목적 만능 물탱크
KR100825680B1 (ko) * 2006-12-19 2008-04-29 우영배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JP2014159856A (ja) * 2013-02-20 2014-09-04 Jfe Engineering Corp 貯留槽内低温液体の混合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5025A1 (en) * 2016-11-01 2018-05-02 Powerrain Co.,Ltd. Multipurpose water tank having improved filtering function
CN107996543A (zh) * 2016-11-01 2018-05-08 能量雨株式会社 提高过滤功能的多功能用水水箱
KR101753673B1 (ko) 2016-12-23 2017-07-06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WO2018117435A3 (ko) * 2016-12-23 2018-08-16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1977712B1 (ko) * 2017-11-23 2019-05-14 김순태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KR20190021150A (ko) * 2018-03-08 2019-03-05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저수조의 수질개선시스템
KR101972106B1 (ko) * 2018-03-08 2019-04-24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저수조의 수질개선시스템
KR20200104591A (ko) * 2019-02-27 2020-09-04 엠제이하이테크(주) 미세먼지 저감 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건축물
KR102272904B1 (ko) * 2019-02-27 2021-07-05 엠제이하이테크(주) 미세먼지 저감 장치가 구비된 이동식 건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55904A1 (en) 2018-06-07
EP3290358A1 (en) 2018-03-07
JP2018512992A (ja) 2018-05-24
WO2017122878A1 (ko) 2017-07-20
CN107182207B (zh) 2019-06-14
CN107182207A (zh) 2017-09-19
EP3290358B1 (en) 2020-04-22
JP6350838B2 (ja) 2018-07-04
US10094097B2 (en) 2018-10-09
EP3290358A4 (en)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888B1 (ko) 다목적 용수탱크
US5609417A (en) Apparatus for mixing and circulating chemicals and fluids
KR100802602B1 (ko) 다목적 만능 물탱크
US10427076B2 (en)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KR101662749B1 (ko)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20110126304A (ko) 도로 제설을 위한 염화칼슘용액 제조용기의 자동세척장치
CN214940901U (zh) 一种建筑施工用排水装置
US6451270B1 (en) Brine maker with removable hopper
KR20150052999A (ko) 농약분무시스템용 고효율 농약 교반기
EP2314365B1 (en)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KR101535713B1 (ko)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CN210132639U (zh) 一种可调节建筑用轻型水泥搅拌装置
KR200463866Y1 (ko) 광역살포기의 약액공급장치
KR100873065B1 (ko) 지상에서 약액공급수단을 갖는 광역방제/살포기
CN218074820U (zh) 洗地机器人污水箱水路与基站污水箱水路的对接机构
JP3738277B2 (ja) 自洗式ストレーナ及び自洗式ストレーナを用いた曝気装置
CN217694357U (zh) 一种小型农业水肥喷灌装置
CN216931241U (zh) 水利灌溉管道连接装置
CN217188365U (zh) 一种饲料添加剂生产用过滤装置
JP2002247968A (ja) 生海苔洗浄機におけるタンク内洗浄装置
CN210076033U (zh) 一种具有防堵塞功能的水肥一体机
CN113413101A (zh) 一种具有可拆盛水盘的清洗基站
RU2057643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линяной суспензии
KR20120075783A (ko) 농업용수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