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712B1 -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712B1
KR101977712B1 KR1020170157030A KR20170157030A KR101977712B1 KR 101977712 B1 KR101977712 B1 KR 101977712B1 KR 1020170157030 A KR1020170157030 A KR 1020170157030A KR 20170157030 A KR20170157030 A KR 20170157030A KR 101977712 B1 KR101977712 B1 KR 10197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anel
main body
suppor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태
Original Assignee
김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태 filed Critical 김순태
Priority to KR1020170157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26Hoppers, i.e. containers having funnel-shaped discharge sections
    • B65D88/28Construction or shape of discharge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542Ramp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0Manholes; Inspection openings;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4Legs, e.g.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을 이루는 패널에 의해 유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유류 유입구(120)와 유류 배출밸브(20)가 형성되는 본체(10)로 이루어지는 유류 저장통(1)에 있어서, 상기 유류가 저장되는 공간에 하부패널(105)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를 형성하는 패널과 상기 하부패널(30) 사이의 거리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됨으로써, 침전되는 이물질이 하부로 모여지게 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하부패널(30)의 하부에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여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과 침전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DEVICE FOR DISCHARGING FOREIGN MATERIAL IN THE OIL STORAGE TANK}
본 발명은 유류 저장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류가 저장되는 유류통의 하부에 하부패널을 형성하여, 유류 저장통 내부와 외기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물과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하부패널을 통해 유류 저장통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이물질이 위치되는 곳과 대응되는 곳에 이물질 배출밸브를 형성하여 유류 저장통 내부에 형성된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 등유 및 휘발유 등은 유류 저장통에 저장되어 필요한 용도에 사용되어진다.
통상적인 유류 저장통은 원통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부에 유류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류 배출밸브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유류 저장통은 유류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류 유입구가 밀폐되는 구조로 유류를 저장하게 됨에 따라, 유류 저장통 내부와 외기의 온도차로 인해 내부에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슬은 서서히 많은 양의 물을 형성하게 되며, 일정 수위가 되어 유류 배출밸브까지 도달하면 유류에 혼입된 상태로 배출되고, 유류 저장통 내부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오랜 시일 동안 유류를 보관하면 침전물이 발생하여 저장된 유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엔진, 보일러 등을 비롯한 작동기관에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류 저장통은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일정 이상의 물이나 침전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적절하게 배출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류 저장통은 본체의 압력강도와 유밀을 고려한 설계와 같은 구조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고,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강구되지 아니하였다.
일례로, 유류 저장통의 구조적 개선과 관련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7760호의 '유류저장탱크'는 탱크의 외부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를 씌워서 외관미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FRP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유류탱크는 내구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유류탱크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되지 아니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유류탱크 내부의 유류를 모두 제거한 후, 이물질 제거 및 세척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물론, 유류 저장통에 필터, 또는 유수 분리기를 설치하여 인출되는 유류에서 이물질을 분리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를 설치하는 방법은 유류에 혼입된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는 있지만 수분을 분리시킬 수는 없다.
또한, 유류와 수분을 분리하기 위해 유수분리기를 설치하는 것은 설치비용과 유지관리 비용을 고려하면 경제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유류가 배출되는 배출밸브의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작업환경에 맞는 배출밸브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KR 10-2011-0105317 A (2011. 09. 26.) KR 20-0482730 Y1 (2017. 02. 21.) KR 20-0167760 Y1 (1999. 11. 04)
본 발명은 종래 유류 저장통에서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과 침적되는 이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류가 저장되는 본체 내부의 하부에 하부패널을 형성하여 유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하부패널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유류 배출밸브 보다 아래쪽에 이물질 배출밸브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패널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된 수분과 침전물 등의 이물질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유류 저장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류 저장통에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유류 저장통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유류가 배출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유류 저장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박스형을 이루는 패널에 의해 유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유류 유입구와 유류 배출밸브가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유류 저장통에 있어서, 상기 유류가 저장되는 공간에 하부패널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패널과 상기 하부패널 사이의 거리가 하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침전되는 이물질이 하부로 모여지게 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하부패널 하부에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패널은 하나의 패널, 또는 2개 이상의 패널이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및 좌우측 패널과 선택적으로 상광하협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는, 의도하는 바에 따라, 복수의 하부패널이 조합되어 상광하협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유류 배출밸브 아래쪽으로 이물질 배출밸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에는 내부에 저장된 유류 및 이물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본체 하부에 적어도 3개의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제1지지대;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높이조절용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삽입공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고정홈과 상기 제2지지대의 높이조절용 홈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본체 하부에 고정되면서, 암나사가 형성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대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대는 지지부의 중앙 상부로 돌출되는 수나사를 구비하는 제1지지대와;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의 수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제2지지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대는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단부는 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 또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류 저장통에 의하면, 유류가 저장되는 본체의 하부에 하부패널을 형성하여 유류에 포함된 이물질이 하부패널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이물질이 위치되는 하부패널의 하부에 이물질 배출밸브를 형성하여 상기 하부패널의 하부방향으로 이동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유류통 내부에 발생된 물과 침전물 등의 이물질을 유류와 분리하여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저장 유류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류와 이물질의 배출이 각각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유류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기계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류 저장통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유류 저장통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유류를 쉽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류 저장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류 저장통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높이조절수단에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유류 저장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측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류 저장통(1)은 본체(10)와 지지대(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패널(100), 후면패널(101), 좌우측 패널(102, 103), 상부패널(104) 및 하부패널(105)이 조합되어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내구성이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외부면과 내부면에 코팅재가 도포되어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패널(100)에는 본체(10) 내의 유류가 배출되는 유류 배출밸브(30)가 형성되고, 상부패널(104)에는 유류를 주입시키기 위한 유류 유입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유류 배출밸브(30)는 상기 본체(10) 내부에 저장된 유류가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게이트밸브 또는 볼밸브가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항 종류의 개폐밸브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우측 패널(102, 103)에는 투명창(13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내부에 저장된 유류의 상태와, 결로가 응집된 수위 및 이물질이 침전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상부패널(104)에 형성되는 유류 유입구(1050)는 통상적인 구조와 같이 마개(1051)로 개폐된다.
상기 하부패널(105)은 본체(10) 하부에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며, 상광하협한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하부패널의 일측단부가 본체(10)의 후면패널(101)에 고정되면서, 다른 일측단부는 경사지면서 전면패널(100) 사이의 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상광하협한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패널(100)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패널(105)과 전면패널(100)이 이루는 상광하협한 구조는 본체(10) 내부에 생성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상기 본체(10)의 전면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하부패널(105)이 전면패널(100)과 상광하협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나, 다수의 하부패널, 즉, 2개의 하부패널이 후면패널(101) 및 좌우측 패널(102, 103)과 선택적으로 상광하협한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4개의 하부패널이 상광하협한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될 수도 있다.
상기한 경사진 하부패널(105)에 의해 형성되는 상광하협한 공간은 유류 저장통(1) 내부에서 결로에 의해 생성되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전면패널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보다 더 빨리 응집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하부패널(105)은 수평을 기준으로 30~50°의 경사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패널(105)이 30°보다 작은 경사각으로 형성되면 수분과 이물질이 하부패널(105) 상에서 넓은 면적에 분포되어 배출이 쉽게 될 수 없고, 대체로 50°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면 유류의 저장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대(20)는 하부패널(105)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전방의 지지대보다 후방의 지지대가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대(20)는 하부패널(105)이 상부패널(10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부패널(105)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물질을 응집시키기 위한 경사패널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한 경사진 하부패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경우 형성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전면패널(100)에서 상기 유류 배출밸브(20)의 하부에는 결로가 응집된 물이나,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이물질 배출밸브(40)이 형성된다.
상기 이물질 배출밸브(40)는 본체(10)의 전면하부에서 상기 하부패널(105)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전면하부로 이동된 수분과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유류 배출밸브(20)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유류 저장통(1)에서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본체(10) 내부에 생성되는 이슬이 응집되어 유류에 흘러들어가게 되면, 물과 유류의 밀도 차이에 의해 물보다 밀도가 작은 유류는 위에 뜨고, 유류보다 밀도가 큰 물은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에 발생되는 침전물이 유중에서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물이나 침전물과 같은 이물질(5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패널(105)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쪽에 모여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류 배출밸브(30)를 통해 수분 및 침전물과 분리된 유류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분 및 침전물은 이물질 배출밸브(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수분은 유류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물질 배출밸브(40)를 통해 유류와 분리된 물을 배출시킬 수 있지만, 침전물이 배출될 때 일부의 유류와 함께 배출된다.
그러나, 유류 저장통(1)을 장기간 사용하면서 주기적으로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유류 배출밸브(30)를 통해 항구적으로 침전물과 분리된 유류를 인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유류 저장통(1)을 전면적으로 소제해야 하는 불편함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20)는 바람직하게,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듯이, 제1지지대(210)과 상기 제1지지대(2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지지대(220) 및 고정구(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지지대(210)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제2지지대(2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삽입공간(2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대(220)은 높이조절용 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210)의 삽입공간(2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고정구(230)는 상기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 핀 볼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제1지지대(210)의 고정홈(211)과 상기 제2지지대(220)의 높이조절용 홈(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고정구(230)로서 수나사와 육각머리를 구비하는 볼트가 예시되어 있다.
볼트로 되는 고정구(230)는 제1지지대(210)의 고정홈(211)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체결됨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체결됨과 동시에 제2지지대(220)의 높이조절용 홈(221)을 관통되도록 하여 제1지지대(210)와 제2지지대(2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43)는 상기 제1지지대(210)의 고정홈(211)과, 상기 제1지지대(210)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지지대(220)의 높이조절용 홈(2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유류 저장통(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유류 배출밸브(30)와 이물질 배출밸브(4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유류 저장통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고정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대(2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20a)는 제1지지대(210a)와 제2지지대(220a)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210a)는 육각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부(213)의 중앙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수나사(2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지지대(220a)는 암나사(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대(210a)의 수나사(414)와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상기 지지부(21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지지대(22a)에 나사결합된 제1지지대(21a)의 수나사(214)가 암나사(222)에 체결되는 깊이에 따라 유류 저장통(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높이조절수단에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지지대(21a)는 바람직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회전단부(215)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단부(215)는 지지부재(2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제1지지대(21a)가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는 지지부재(2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회전시 마찰저항을 감소시켜서 유류 저장통(1)의 높이조절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유류 저장통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이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류 저장통(1)이 베이스 패널(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70)에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도 5에서 참조되는 높이조절수단은 베이스 패널(70)에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의 제1지지대(210)과 제2지지대(220)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가 적용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유류 저장통(1)이 베이스 패널(70)의 상부에 설치되는 실시예에서 상기한 도 3과 같은 실시예의 높이조절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베이스 패널을 구비하는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유류 저장통(1)이 베이스 패널(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패널(70)에 상기한 높이조절수단으로, 제1지지대(210a)와 제2지지대(220a)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대(40a) 및 상기 제1지지대(210a)가 지지부재(216)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패널(7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도시되지 아니함)가 형성되고, 상기 유류 저장통(1), 또는 지지대(40, 40a)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도시되지 아니함)을 형성하여 상기 유류 저장통(1)이 상기 베이스 패널(70)의 상부에서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되는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류저장통(10), 또는 지지대(20, 20a)의 하부면과 베이스 패널(70) 상부면에서 어느 한쪽에는 자석(도시되지 아니함)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에는 자성체(도시되지 아니함)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패널(70) 상에서 지지대(20, 20a)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1: 유류 저장통 10: 본체
20, 20a: 지지대 30: 유류 배출밸브
40: 이물질 배출밸브 50: 이물질
60: 유류 70: 베이스 패널
100: 전면패널 101: 후면패널
102: 좌측패널 103: 우측패널
104: 상부패널 105: 하부패널
120: 유류 유입구 121: 마개
130: 투명창 201: 삽입공간
210, 210a: 제1지지대 211: 고정홈
212: 삽입공간 213: 지지부
214: 수나사 215: 회전단부
216, 216a: 지지부재 220, 220a: 제2지지대
221: 높이조절용 홈 222; 암나사
230: 고정구

Claims (10)

  1. 박스형을 이루는 패널에 의해 유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유류 유입구(120)와 유류 배출밸브(30)가 형성되는 본체(10)로 이루어지는 유류 저장통(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패널(105)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복수의 패널로 이루어져, 일측면과 접하는 최상단의 모서리가 타측면과 접하는 최하단의 모서리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0)는
    상기 하부패널(105)의 하부에 모여진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유류 배출밸브(30) 아래쪽으로 이물질 배출밸브(40)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7030A 2017-11-23 2017-11-23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KR10197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30A KR101977712B1 (ko) 2017-11-23 2017-11-23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030A KR101977712B1 (ko) 2017-11-23 2017-11-23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712B1 true KR101977712B1 (ko) 2019-05-14

Family

ID=66581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030A KR101977712B1 (ko) 2017-11-23 2017-11-23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853B1 (ko) * 2022-03-03 2024-06-24 중경산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가능한 유류 저장탱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65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연료탱크 보관대의 높이 조절구조
KR200167760Y1 (ko) 1999-07-09 2000-02-15 양종규 유류저장탱크
KR200177648Y1 (ko) * 1999-06-15 2000-04-15 김종태 청소가 용이한 물탱크
KR20100125844A (ko) * 2009-05-22 2010-12-01 동조물산주식회사 버퍼탱크
KR20110105317A (ko) 2010-03-18 2011-09-26 (주)동진텍 필터 자동 세척 기능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42888B1 (ko) * 2016-01-13 2016-07-27 (주)파워레인 다목적 용수탱크
KR101702597B1 (ko) * 2015-02-17 2017-02-03 박석곤 산업장비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0482730Y1 (ko) 2015-11-06 2017-02-28 윤성기 이물질 제거용 수납수단이 구비된 오일스키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654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자동차 연료탱크 보관대의 높이 조절구조
KR200177648Y1 (ko) * 1999-06-15 2000-04-15 김종태 청소가 용이한 물탱크
KR200167760Y1 (ko) 1999-07-09 2000-02-15 양종규 유류저장탱크
KR20100125844A (ko) * 2009-05-22 2010-12-01 동조물산주식회사 버퍼탱크
KR20110105317A (ko) 2010-03-18 2011-09-26 (주)동진텍 필터 자동 세척 기능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장치
KR101702597B1 (ko) * 2015-02-17 2017-02-03 박석곤 산업장비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0482730Y1 (ko) 2015-11-06 2017-02-28 윤성기 이물질 제거용 수납수단이 구비된 오일스키머
KR101642888B1 (ko) * 2016-01-13 2016-07-27 (주)파워레인 다목적 용수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7853B1 (ko) * 2022-03-03 2024-06-24 중경산업 주식회사 유수 분리 가능한 유류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5397B2 (en) Automatic valve assembly for a water cooler reservoir
RU2618179C2 (ru) Увлаж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е утечку воды
KR101977712B1 (ko)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US10150453B2 (en) Windshield wiper fluid refilling system
CN208180765U (zh) 一种机械设备具有防震结构的油箱
JP2000088688A (ja) 内燃機関の圧力検出装置
CN209149326U (zh) 人脸识别安防装置
CN204127366U (zh) 一种便于拆卸的过滤球阀
CN1752686A (zh) 冷藏箱体排水器
CN108739621B (zh) 带有活动卡槽的防噪音鱼缸补水装置
CN2771690Y (zh) 一种抽油烟机防逆风装置
GB2457374A (en) Flood defence for a building opening
CN206929457U (zh) 一种方便组合的给水管
JP2015194115A (ja) タンクの構造
FR2709826A1 (fr) Dispositif d'observation du niveau de liquide contenu dans un réservoir.
KR102494120B1 (ko)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90007727U (ko) 배수트랩
KR200429786Y1 (ko)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JPS627744Y2 (ko)
CN205689787U (zh) 闸阀
CN211202893U (zh) 一种液体截止阀
CN205322846U (zh) 植物液除臭机的液体箱
CN219550795U (zh) 一种空调箱的排水结构
CN203285763U (zh) 一种带有液压元件储槽的液压油箱
KR101252240B1 (ko) 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