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7727U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7727U KR20090007727U KR2020080011695U KR20080011695U KR20090007727U KR 20090007727 U KR20090007727 U KR 20090007727U KR 2020080011695 U KR2020080011695 U KR 2020080011695U KR 20080011695 U KR20080011695 U KR 20080011695U KR 20090007727 U KR20090007727 U KR 2009000772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trap
- pipe
- main body
- inlet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는 방지해주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오수유입관과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이 상호 대향되는 양측벽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트랩본체와, 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본체의 하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는 착탈 가능한 개폐마개와, 상기 트랩본체의 상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슬러지 축적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덮개와, 상기 오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 쪽으로 유도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적정각도로 하향 배치되는 것으로 그 하단부가 오버플로우 수면 이하까지 신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 일측이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개폐 가능한 집수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수트랩, 오수유입관, 집수유도관, 접속플랜지, 간섭여유홈, 오버플로우
Description
본 고안은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는 방지해주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수유지 및 청소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트랩은 일반 가정이나 공장 등의 하수시스템에 장착되어 방류폐수의 배출시 그 폐수 내에 존재하는 슬러지는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하수관을 타고 역류되는 오수의 악취를 차단시켜주는 장치로서, 설치장소 및 용도에 따라 그 구조와 용량을 변경하여 이미 실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수트랩의 대표적인 예로는 'U-트랩'을 들 수 있다. 이는, 오수유입관과 배수관의 사이에 'U'자형의 곡관을 설치하여 항시 오수의 일부가 곡관 구간에 머물도록 하여 오수의 악취가 오수유입관을 통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것이다. 이의 변형된 구조로는 상기 'U'자형의 곡관을 용기 형태로 개량하여 그 용기 내에 슬러지를 퇴적시켜 일정기간 경과 후 제거할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트랩은, 일반가정의 경우 한번에 많은 물을 배출하기보다는 소량의 물을 자주 배출하는 사례가 대부분이어서 U-트랩의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되면서 관로의 막힘현상을 자주 유발함으로써, 트랩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이고, 그 정도가 심해지면 하수구를 통해 오수가 역류하기도 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배수트랩을 정기적으로 청소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배수트랩은 일일이 분해를 하지 않고서는 사용 중에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관 막힘현상에 미리 대처할 없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분해하지 않고도 사용 중에 트랩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전 조치가 가능하고,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트랩 및 오수유입관의 내부 청소가 간편하며,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에 대한 침전기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유지관리의 번거로움이 적은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은,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는 방지해주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오수유입관과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이 상호 대향되는 양측벽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트 랩본체와, 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본체의 하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는 착탈 가능한 개폐마개와, 상기 트랩본체의 상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슬러지 축적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덮개와, 상기 오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 쪽으로 유도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적정각도로 하향 배치되는 것으로 그 하단부가 오버플로우 수면 이하까지 신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 일측이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개폐 가능한 집수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는 상기 집수유도관이 적정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집수유도관의 선회개방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여유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유도관의 상단부에는 접속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플랜지 내에 오수유입관 단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오수유입관의 무게중심편차에 의해 발생된 회전여력(토크)에 의해 상기 패킹과 밀착 유지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배수트랩에 의하면, 오수가 오수유입관으로 유입되어 트랩본체의 하부공간에 채워지면서 그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 분리된 상태에서 적정 수위 이상에서 배수관을 통해 오버플로우(Overflow)되고 개폐조작이 용이한 개폐마개를 분리하는 원터치 조작만으로 트랩본체 내부에 퇴적된 슬러지를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오수의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여 관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사용 중 언제라도 상부덮개의 투시창을 통해 트랩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전 조치가 가능하며, 트랩본체의 상·하 개방부에 각각 결합된 상부덮개 및 개폐마개를 분리하는 간단한 조작과 함께 오수유입관의 단부에 결합된 집수유도관도 간단히 상부로 개방 조작할 수 있으므로 트랩본체의 내부는 물론 오수유입관 내에 퇴적된 슬러지까지도 쉽게 제거할 수 있고, 항시 집수유도관이 수면 이하로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배수관을 통해 역류하는 오수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내부구조의 대용량화 및 단순화를 도모함으로써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에 대한 침전기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유지관리의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트랩에 적용되는 입수관조립체(2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입수관조립체(20)를 구성하는 오수유입관(21)과 집수유도관(22)이 상호 밀폐된 채 자주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유도관(22)에 작용하는 토크(회전여력)의 작용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의 입수관조립체(20)의 오수유입관(21) 내에 쌓인 오물(슬러지)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단부에 결합된 집수유도관(22)을 상향 개방한 상태를 부분확대하여 도시한 개폐상 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은,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1)를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1)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는 방지해주는 장치로서, 오수유입관(21)과 배수관(14)이 구비된 트랩본체(11)와, 상기 트랩본체(11)의 상·하 개방부를 각각 개폐시켜주는 상부덮개(13) 및 개폐마개(12)와, 상기 트랩본체(11)의 내부에서 상기 오수유입관(21) 단부에 연결되어 오수가 트랩본체(11)의 하부공간으로 안정적으로 집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입수관조립체(2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트랩본체(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체의 구조를 이루며, 그 일측벽면 쪽에는 오수를 트랩본체(11)의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오수유입관(21)이, 이에 대향하는 타측벽면 쪽에는 배수관(14)이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관(14)은 오수유입관(21)의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쪽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입수관조립체(20)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상기 오수유입관(21) 쪽으로 역류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상기 트랩본체(11)의 하부공간에 집수된 오수가 상기 배수관(14)의 관로 위치까지 도달하면 그 수위 이상으로 초과 유입된 양만큼의 오수가 상기 배수관(14)을 통해 지속적으로 오버플로우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상부덮개(13)는, 상기 트랩본체(11)의 상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장착된 힌지(17)에 의해 선회식으로 개폐 가능하고, 상기 트랩본체(11)의 상단 둘레의 요홈 내에 패킹(16)이 설치되어 상기 상부덮개(13)와 의 기밀성을 유지함으로써 악취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덮개(13)의 중앙에는 내부의 슬러지(1) 축적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마개(12)는, 상기 트랩본체(11)의 하부공간에 축적된 슬러지(1)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본체(11)의 하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트랩본체(11)의 나조부(11a)와 나사결합되면서 착탈 가능하고, 상기 트랩본체(11)의 하단 둘레의 요홈 내에 패킹(15)이 설치되어 상기 개폐마개(12)와의 기밀성을 유지함으로써 악취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덮개(13)의 투시창(13a)을 통해 육안확인 후 트랩본체(11) 내의 슬러지(1) 축적량이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개폐마개(12)를 나사풀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랩본체(11)로부터 분리해냄으로써 슬러지(1)의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입수관조립체(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수유입관(21)과, 상기 오수유입관(21)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상기 트랩본체(11)의 하부공간 쪽으로 유도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적정각도로 하향 배치되는 것으로서 그 하단부가 오버플로우 수면 이하까지 신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 일측이 상기 오수유입관(21)의 트랩본체(11)내 단부에 힌지(23)로 연결된 개폐 가능한 집수유도관(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수유입관(21)의 트랩본체(11)내 단부는 상기 집수유도관(22)이 적정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집수유도관(22)의 선회개방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여유홈(21a)이 형성되 며, 상기 오수유입관(21)의 트랩본체(11)내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상호 긴밀한 접속을 위하여 패킹(24)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유도관(22)의 상단부에는 접속플랜지(22a)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플랜지(22a) 내에 오수유입관(21) 단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오수유입관(21)의 무게중심편차에 의해 발생된 회전여력(토크)에 의해 상기 패킹(24)과 밀착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집수유도관(22)을 오수유입관(21)으로부터 분리해낸 후 그 힌지점(O)을 잡고 아래로 늘어뜨렸다고 가정할 때, 도면상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유도관(22)이 배열되고, 연직방향을 따라 상기 집수유도관(22)의 중선(무게중심선)(G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집수유도관(22)이 오수유입관(21)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점쇄선 부분)에서의 하단면이 지면과 평행한 것으로 설계되었을 경우, 실선으로 나타낸 집수유도관(22) 하단면과 지면과의 각도가 토크각(a)이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입수관조립체(20)에 있어서는, 상기 집수유도관(22)이 오수유입관(21)에 의해 토크각(a)만큼 전방으로 틀어져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그 중선(G0)이 토크작용중선(G1)의 위치로 강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되고, 토크각(a)만큼의 토크(회전여력)가 상기 오수유입관(21)쪽으로 발생하게 되며, 그 회전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집수유도관(22)이 오수유입관(21) 쪽으로 자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집수유도관(22)은 상기 오수유입관(21)의 내부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3)를 중심으로 상향 선회시켜 트랩본체(11)의 내벽면에 기대어 놓으면 된다. 이때, 상기 집수유도관(22)의 무게중심은 상기 오수유입관(21)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배수트랩은, 오수가 오수유입관으로 유입되어 트랩본체의 하부공간에 채워지면서 그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침전 분리된 상태에서 적정 수위 이상에서 배수관을 통해 오버플로우(Overflow)되고 개폐조작이 용이한 개폐마개를 분리하는 원터치 조작만으로 트랩본체 내부에 퇴적된 슬러지를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오수의 흐름을 원활히 유도하여 관 막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 중 언제라도 상부덮개의 투시창을 통해 트랩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매우 유리한 관리상의 이점을 갖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배수트랩에 적용되는 입수관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입수관조립체를 구성하는 오수유입관과 집수유도관이 상호 밀폐된 채 자주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집수유도관에 작용하는 토크(회전여력)의 작용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입수관조립체의 오수유입관 내에 쌓인 오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단부에 결합된 집수유도관을 상향 개방한 상태를 부분확대하여 도시한 개폐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토크각 O ; 힌지점
G0 ; 중선(무게중심선) G1 ; 토크작용중선
1 ; 슬러지 10 ; 트랩
11 ; 트랩본체 11a ; 나조부
12 ; 개폐마개 13 ; 상부덮개
14 ; 배수관(오버플로우관) 15, 16, 24 ; 패킹
17, 23 ; 힌지 20 ; 입수관조립체
21 ; 오수유입관 21a ; 간섭여유홈
22 ; 집수유도관 22a ; 접속플랜지
Claims (2)
- 오수 내에 수반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분리하고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만을 오버플로우시켜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의 역류는 방지해주는 배수트랩에 있어서,상·하부가 각각 개방된 관체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오수유입관과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이 상호 대향되는 양측벽면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트랩본체;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에 축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본체의 하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는 착탈 가능한 개폐마개;상기 트랩본체의 상측 개방단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슬러지 축적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이 형성된 개폐 가능한 상부덮개; 및상기 오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수를 상기 트랩본체의 하부공간 쪽으로 유도하여 집수할 수 있도록 적정각도로 하향 배치되는 것으로 그 하단부가 오버플로우 수면 이하까지 신장 형성되고 그 상단부 일측이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에 힌지식으로 연결된 개폐 가능한 집수유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는 상기 집수유도관이 적정각도로 지지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하고, 그 상단부에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집수유도관의 선회개방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여유홈이 형성되며, 상기 오수유입관의 트랩본체내 단부의 외측둘레에는 패킹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유도관의 상단부에는 접속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플랜지 내에 오수유입관 단부를 수용함과 아울러 상기 오수유입관의 무게중심편차에 의해 발생된 회전여력(토크)에 의해 상기 패킹과 밀착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1695U KR20090007727U (ko) | 2008-01-25 | 2008-08-29 | 배수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167 | 2008-01-25 | ||
KR2020080011695U KR20090007727U (ko) | 2008-01-25 | 2008-08-29 | 배수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727U true KR20090007727U (ko) | 2009-07-29 |
Family
ID=4129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1695U KR20090007727U (ko) | 2008-01-25 | 2008-08-29 | 배수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7727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632B1 (ko) * | 2011-12-21 | 2013-12-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화장실 유닛 |
KR102434282B1 (ko) * | 2022-04-12 | 2022-08-19 | (주) 삼정디씨피 | 오수받이 |
-
2008
- 2008-08-29 KR KR2020080011695U patent/KR20090007727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632B1 (ko) * | 2011-12-21 | 2013-12-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화장실 유닛 |
KR102434282B1 (ko) * | 2022-04-12 | 2022-08-19 | (주) 삼정디씨피 | 오수받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25760A (en) | Enhanced separator tank | |
US6126817A (en) | Oil and debris separator | |
RU2383690C2 (ru) |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EP0711879A1 (en) | Tank interceptor | |
US7686961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and suspended contaminants from waste water | |
CN102892345B (zh) | 用于排出废液并阻挡异味的弯管和排泄管组件 | |
KR100538651B1 (ko) | 오수받이 장치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KR100683119B1 (ko) |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 |
KR20090007727U (ko) | 배수트랩 | |
KR20060008252A (ko) | 오물 감지 및 제거구조를 구비한 교량 배수설비 시스템 | |
KR101187656B1 (ko) |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 |
KR101212948B1 (ko) | 그리스 트랩 | |
KR101494255B1 (ko) | 관로형 자동분리 배수장치 | |
FI76165B (fi) | Avfallsvattenbehaollare. | |
KR20190105307A (ko) |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 |
JP4872055B2 (ja) | 排水トラップ | |
CN116348648A (zh) | 直接的油脂和/或固体收集系统 | |
KR100729127B1 (ko) | 집수구 | |
KR200333410Y1 (ko) | 빗물 오수 겸용받이 | |
KR200381745Y1 (ko) |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 |
CN219732241U (zh) | 一种可防液体与气体倒流装置 | |
CN220550661U (zh) | 压力排水管与重力排水管间的检查井结构 | |
US11524250B1 (en) | Fluid waste filtration system with grease and garbage traps | |
CN113006207B (zh) | 一种建筑排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