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786Y1 -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786Y1
KR200429786Y1 KR2020060022229U KR20060022229U KR200429786Y1 KR 200429786 Y1 KR200429786 Y1 KR 200429786Y1 KR 2020060022229 U KR2020060022229 U KR 2020060022229U KR 20060022229 U KR20060022229 U KR 20060022229U KR 200429786 Y1 KR200429786 Y1 KR 200429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valve body
ball
water purifi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구
김일봉
Original Assignee
김찬구
김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구, 김일봉 filed Critical 김찬구
Priority to KR2020060022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7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92Threaded sections, e.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 저수조에 사용되는 볼탑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의 상부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는, 에어볼이 고정된 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된 밸브본체가 정수기 저수조의 커버에 고정되어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볼탑의 설치에 있어서, 저수조 커버에 저수조 내측으로 들어간 요입부를 형성하고, 요입부의 저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밸브본체를 고정하되, 밸브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요입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는 저수조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밸브본체의 힌지부에 결합된 연결로드는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에어볼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볼탑의 밸브본체가 저수조의 커버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버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볼탑의 에어볼이 저수조의 커버 저면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정수기 저수조의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볼탑, 정수기, 저수조, 에어볼, 수위 조절장치.

Description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Ball top structure for purifier water tank}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탑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100 : 볼탑 110 : 밸브본체
120 : 연결로드 130 : 에어볼
200 : 저수조 210 : 저수조 커버
220 : 요입부
본 고안은 정수기 저수조에 사용되는 볼탑의 설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의 상부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정수기에 있어서 외부의 원수라인과 연결된 관을 통해 입수되는 원수는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과하여 여과 처리된 후, 출수관을 통해 저수조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의 수위 조절장치는 정수된 물을 일정 수위로 유지시키고 이용자는 밸브를 조절하여 여과된 물을 공급받게 된다.
이러한 수위 조절장치로는 볼탑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수조 내의 볼탑 구조는 그 부피가 크므로 상기 저수조의 부피를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콤팩트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의 저수조 내의 볼탑 설치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20)는 상부의 커버(21)를 포함하여 정수된 물을 담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다수개의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를 통해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저수조(20)내에는 유입된 정수물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볼탑(10)이 설치되고, 상기 볼탑(10)은 유입관(31)과 연통되며 상기 저수조의 커버(21) 일측에 관통되게 설치된 밸브본체(11)와, 상기 밸브본체(11)의 하단에 연결로드(12)에 의해 고정된 에어볼(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드(12)는 밸브본체(1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에어볼(13)은 정수된 수면에 접촉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볼탑(10)은 밸브본체(11)가 저수조(20)의 커버(21)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할 때 걸리거나 밸브본체(11) 부분을 피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수조 상부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유입관과 연결된 밸브본체를 저수조의 내측에 포함시키고, 볼탑 의 설치구조를 조절하여 저수조의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는, 에어볼이 고정된 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된 밸브본체가 저수조의 커버에 고정되어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볼탑의 설치에 있어서, 저수조의 커버에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의 저면에 볼탑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요입부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저수조의 커버 일측에 상기 저수조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의 저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볼탑의 밸브본체를 고정하는데, 이때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요입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는 저수조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한다.
또한, 상기 밸브본체의 힌지부에 결합된 연결로드는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타단에는 에어볼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요입부는 볼탑 밸브본체의 나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밸브본체는 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요입부의 저면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볼탑의 연결로드는 밸브본체의 힌지부에 힌지결합된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에어볼이 고정된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볼이 저수조 커버의 저면과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수평부 및 수직부를 구성하여 상기 저수조의 용량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볼은 저수조의 저장용량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납작한 원판 형상을 가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1)는 저 수조 커버(210)의 일측에 요입부(220)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에 밸브본체(110)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저수조(200)의 만수위를 조절하는 볼탑(100)을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수조(200)는 유입관(3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일정량 저장될 수 있는 크기로 상부에 커버(21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커버(210)의 일측에 요입부(2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입부(220)는 상부가 개구된 통형상으로 저수조(20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요입부(220)는 볼탑(100)을 구성하는 밸브본체(110)가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사각통 또는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볼탑(100)의 밸브본체(110)가 저수조 커버(210)의 상부에 돌출되지 않고 상기 요입부(220)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저수조(200)의 상부에는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넓어져 보다 콤팩트한 구조의 정수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탑(100)은 상기 밸브본체(100)의 하부에 에어볼(130)이 고정된 연결로드(120)가 힌지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밸브본체(110)는 저수조 커버(210)에 형성된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에 고정결합된 볼탑(100)의 밸브본체(110)는 일부가 저수조(200)의 내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밸브본체의 하부 끝단에 에어볼(130)이 고정결합된 연결로드(120)가 힌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볼(130)이 고정결합된 연결로드(120)는 필요에 따라 에어볼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한다. 또 한, 상기 연결로드(120)는 단부에 고정된 에어볼(130)이 저수조 커버(210)의 저면과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다수회 절곡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저수조(200)의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함이며 이와 같이 구성된 볼탑 설치구조(1)에 의해 저수조(200)의 만수 저장용량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볼(130)은 물에 뜰수 있는 재질로 부피는 적으면서 부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내부에 공기가 가득찬 원통형상으로 무독성은 물론 무취가 되는 소재를 이용한다.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 또는 녹이 발생하지 않는 금속제인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볼탑(100)은 유입관(31)과 연결되는 볼탑의 밸브본체(110)가 커버(210)에 형성된 요입부(220)내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요입부 커버(210)의 상부에 여유 공간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볼탑의 밸브본체(110)에 힌지결합된 연결로드(120)에 의해 에어볼(130)은 저수조(200)의 저면에 최대한으로 근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만수위 높이(h) 보다 본 고안에 따른 탱크의 만수위 높이(H)가 a만큼 높아져 상기 저수조(200)의 저장용량 또한 증대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는 도 3을 참조하면, 저수조(200)의 상부 공간을 활용함과 동시에 상기 저수조(200)의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저수조 커버(210)의 일측에 저수조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된 요입부(220)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에 에어볼(130)을 포함한 볼탑(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볼탑(100)은 상기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를 관통하는 밸브본체(110)와, 상기 밸브본체(1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로드(120)와, 상기 연결로드(120)의 단부에 고정결합되는 에어볼(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210)의 요입부(220)는 상기 저수조 커버(21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볼탑(100) 밸브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12)와 관연결구(111)를 포함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며 상부가 개구된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 내측에 위치하는 요입부(220)의 저면에는 볼탑(100)의 밸브본체(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밸브본체(110)의 플랜지(11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의 플랜지 고정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탑의 밸브본체(110)는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고정되는데, 상부의 나사부(112)와 관연결구(111)는 상기 요입부(220) 내에 위치되고 연결로드(120)가 결합되는 하부의 힌지부(113)와 플랜지(114)는 저수조(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밸브본체(110)는 상부에 정수된 물이 이송되는 유입관과 연결되는 관연결구(111)와, 상기 관연결구(111)의 하부로 너트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12)와, 상기 나사부(112)의 하측에 요입부(220)의 관통홀(223) 보다 큰 형상의 플랜지(114)와, 상기 플랜지(114)의 하부에 연결로드(120)가 힌지결합되는 힌지부(1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본체(110)의 관연결구(111)와 나사부(112)는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에 형성된 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상기 요입부(220) 내측에 위 치하고, 상기 플랜지(114)와 힌지부(113)는 상기 요입부(220)의 저면 플레이트(221) 하부로 저수조의 내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요입부(220) 저면 플레이트(221)의 관통홀(223)에 플랜지(114)와 나사부(112)를 통해 상기 밸브본체(110)는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밸브본체(114)의 플랜지(114)는 요입부 저면에 형성된 플랜지 고정부(22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불탑(100)이 사용중에 좌·우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저수조 내에 위치한 밸브본체(110)의 힌지부(113)에는 힌지축(113a)을 중심으로 연결로드(120)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120)는 끝단에 에어볼(130)이 고정된 것으로, 상기 저수조(200)의 저장용량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볼(130)이 저수조 커버(210)의 저면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도록 절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로드(120)는 밸브본체(110)의 힌지부(113) 힌지축(113a)에 결합되고 수평으로 형성된 제1 수평부(121)와, 상기 제1 수평부(121)와 연결되고 상부의 저수조 커버(210) 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수직부(122)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어 저수조 커버(210)와 수평으로 에어볼이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 수평부(123)로 구성되어, 상기 저수조(200)의 수위에 따라 에어볼(130)이 만수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120)의 수직부(122)는 에어볼(13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에어볼(130)이 최대한 저수조 커버(210)의 저면에 근접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에 있어서 에어볼(130)은 최대한 저수조(200)의 저장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일예로, 볼탑(100)은 밸브본체(110)와 상기 밸브본체(110)의 하부에 힌지결합된 연결로드(120)와 상기 연결로드(120)에 고정결합된 에어볼(130)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볼(130)은 저수조의 커버 저면에 근접할 수 있도록 납작한 원판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판형상의 에어볼(130)은 저수조의 만수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려 상기 저수조의 저장용량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 저수조용 불탑 설치구조에 의하면, 밸브본체가 저수조의 커버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버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볼탑의 에어볼이 저수조의 커버 저면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저수조의 저장용량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에어볼이 고정된 연결로드와 힌지결합된 밸브본체가 정수기 저수조의 커버에 고정되어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볼탑의 설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 커버에 저수조 내측으로 들어간 요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입부의 저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밸브본체를 고정하되,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는 요입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부는 저수조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며;
    상기 밸브본체의 힌지부에 결합된 연결로드는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타단에 에어볼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는 밸브본체의 나사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너트에 의해서 요입부의 저면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는 밸브본체의 힌지부에 힌지결합된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수평부와 연결되고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와 연결되고 타단에 에어볼이 고정된 제2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볼은 납작한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KR2020060022229U 2006-08-18 2006-08-18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KR200429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29U KR200429786Y1 (ko) 2006-08-18 2006-08-18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29U KR200429786Y1 (ko) 2006-08-18 2006-08-18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786Y1 true KR200429786Y1 (ko) 2006-10-27

Family

ID=4177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29U KR200429786Y1 (ko) 2006-08-18 2006-08-18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7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12660A8 (en) Liquid control structure
RU2618179C2 (ru) Увлаж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е утечку воды
CN208999838U (zh) 水液位控制装置
KR200429786Y1 (ko) 정수기 저수조용 볼탑 설치구조
CN207880170U (zh) 一种浮球阀
CN204143265U (zh) 一种液位自动控制装置
CN204781212U (zh) 一种节水水箱
CN2687484Y (zh) 自动汽水分离器
CN2765945Y (zh) 蓄水箱
CN209501049U (zh) 一种滤芯清洁装置
CN208822387U (zh) 嵌入式净饮机
CN208844667U (zh) 安全卫生储水装置
CN107676997B (zh) 一种地热井回灌装置
CN210736349U (zh) 一种便于供水的不锈钢水罐
CN209429202U (zh) 一种智能箱式一体式泵站
CN218990402U (zh) 一种雨水收集罐
CN219531290U (zh) 一种用于制冰机的外置水箱
CN219631348U (zh) 一种可调式稳定输液容器
CN208167871U (zh) 一种配套用小型饮用水储水箱
CN216303295U (zh) 一种净水机用漏水报警装置
CN104106981A (zh) 防溢流型饮水机
CN214764440U (zh) 水气分离装置
CN208153332U (zh) 一种水泵
CN215363035U (zh) 一种食用油储存装置
CN213222817U (zh) 一种保护增压泵的高压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