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844A - 버퍼탱크 - Google Patents

버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844A
KR20100125844A KR1020090044762A KR20090044762A KR20100125844A KR 20100125844 A KR20100125844 A KR 20100125844A KR 1020090044762 A KR1020090044762 A KR 1020090044762A KR 20090044762 A KR20090044762 A KR 20090044762A KR 20100125844 A KR20100125844 A KR 20100125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buffer tank
tank
robo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동조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조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조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5844A/ko
Publication of KR20100125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7/00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7/02Accessories for milking machines or devices for cleaning or sanitising milking machines or devices
    • A01J7/027Vessel cleaning, e.g. cleansing of milk tanks, milk vessels or milk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JMANUFACTURE OF DAIRY PRODUCTS
    • A01J9/00Milk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농가에서 착유한 우유를 임시 보관하는 탱크인 버퍼탱크(Buffer Tan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는 우유를 저장하는 우유 냉각탱크에서 하루에 한번 집유하고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 사이에 우유를 일시적으로 보관해 주는 버퍼탱크(Buffer Tank)를 설치하여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의 세척을 원활하게 하고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관한 것이다.
탱크, 우유 냉각탱크, 우유탱크

Description

버퍼탱크{Buffer Tank}
본 발명은 낙농가에서 착유한 우유를 임시 보관하는 탱크인 버퍼탱크(Buffer Tank)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는 우유를 저장하는 우유 냉각탱크에서 하루에 한번 집유하고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 사이에 우유를 일시적으로 보관해 주는 버퍼탱크(Buffer Tank)를 설치하여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의 세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낙농가에서는 매일 하루에 2~3회씩 정해진 시간에 목장주가 강제적으로 젖소들을 몰고 직접 착유를 하는데 착유를 하고 난 후 우유는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되어 상하지 않도록 일정 온도를 유지 해주는 우유 냉각탱크에 저장되어지고 하루에 한번 정해진 시간에 집유차가 목장에 직접 방문하여 우유 냉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우유를 집유해 가고, 그 후 우유 냉각탱크가 비워지게 되면 목장주는 다음 착유를 하기 전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하여 청결한 상태로 만들어 다음 착유를 준비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착유과정에서의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 세척은 목장마다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고,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의 세척시간을 목장상황에 맞게 조절하여 운영할 수 있으나,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목장에서는 하루에 2~3회 일정하게 정해진 시간에 하는 착유시간의 개념이 아니라 젖소들의 복지향상을 위해 24시간 젖소들이 원할 때 언제든지 착유할 수 있도록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착유로서, 하루에 한번 정해진 시간에 집유차가 목장에 방문하여 우유 냉각탱크에 있는 우유를 집유해 가고, 그 후 우유 탱크를 세척하는 시간에도 착유는 멈추지 않고 계속 되어야 하기 때문에 임시로 우유를 보관할 수 있는 우유탱크의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 하루에 한번 정해진 시간에 집유차가 목장에 직접 방문하여 우유 냉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우유를 집유해 가고, 그 후 우유 탱크를 세척하는 시간에도 착유는 계속 되어야 하기 때문에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우유를 이송하는 사이에 설치되어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낙농업 목장에서 젖소들이 로봇착유기에서 착유를 하면 착유된 우유가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되게 되는데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로 우유를 이송하는 우유 이송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는 내부가 완전 밀폐되어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는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과;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하여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 사이의 우유 이송관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우유가 들어오고 나가고, 세척수가 나가는 페룰(Ferrule)과; 우유 이송관과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상단으로 연결되어 있어 세척수를 버퍼탱크(Buffer Tank) 상단으로 이송해주는 세척수 스틸관과;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내부의 위, 아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사되어 사각지대 없이 전면을 고르게 세척하게 해주는 회전형 분사 장치인 스프레이 노즐과; 버퍼탱크(Buffer Tank) 내부로 우유와 물이 들어왔다 나가는 과정에서 내부의 압을 조절하여 완전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통기공 니쁠(Air Vent Nipple)과; 상단에 버퍼탱크(Buffer Tank) 내부를 쉽게 볼 수 있도록 열고 닫을 수 있는 맨홀부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로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로 우유를 이송하는 우유 이송관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 세척시에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고,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의 세척과정을 마치면 우유를 우유냉각 탱크로 바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로봇착유기에서 착유는 멈추지 않고 계속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로봇착유기의 메인 세척시 버퍼탱크(Buffer Tank)가 함께 세척이 되므로 목장별로 로봇착유기의 메인 세척시간을 집유, 우유 냉각탱크의 세척이 이루어지기 1~2시간 전으로 설정하여 버퍼탱크(Buffer Tank)에 우유를 보관할 때 청결한 상태에서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로봇착유기의 메인 세척은 하루에 2~3회씩 목장별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우유의 성분이 완전히 세척되고 이송되는 도중 이송관 내부에 계속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성과 알카리성으로 된 세제로 세척을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착유기에서 24시간 착유하는 우유는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하여 저장하는데, 하루에 한번 정해진 시간에 집유차가 목장에 직접 방문하여 우유 냉각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우유를 집유해 가고, 그 후 우유 탱크를 세척하는 시간에도 착유를 계속 할 수 있도록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로 우유를 이송하는 사이에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를 설치하여 로봇착유기에서 착유한 우유가 바로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되지 않고 버퍼탱크(Buffer Tank)로 이송되어 착유가 멈추지 않고 계속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퍼탱크(Buffer Tank)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버퍼탱크(Buffer Tank) 평면도, 도3은 버퍼탱크(Buffer Tank) 상단에 위치한 맨홀(Manhole) 평면도, 도 4는 버퍼탱크(Buffer Tank) 상단에 위치한 맨홀 정면도, 도 5는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정면도, 도 6은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단면도, 도 7은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평면도, 도 8은 평상시 우유 이동 경로, 도 9는 평상시 밸브에서 우유 경로, 도 10은 우유 냉각탱크 집유, 세척시 우유 이동 경로, 도 11은 우유 냉각탱크 집유, 세척시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 12는 우유 냉각탱크 집듀, 세척 후 우유 이동 경로, 도 13은 우유 냉각탱크 세척후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 14은 버퍼탱크(Buffer Tank) 세척시 우유 이동 경로, 도 15는 버퍼탱크(Buffer Tank) 세척시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를 보여주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퍼탱크(Buffer Tank)(27)는 낙농업을 하고, 로봇착유기(23)가 설치되어 있는 목장에서 젖소들을 착유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평상시에는 로봇착유기(23)에서 착유를 하고 착유된 우유는 스틸재질로 된 우유 이송 관을 따라 예냉기(24), 트윈필터(26), 우유, 세척수가 밸브로 들어오는 방향(16),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우유 냉각탱크로 가는 방향(17), 3-웨이 밸브(3-way Valve)(14)를 지나 우유 냉각탱크(28)로 우유가 이송되는데 이때에는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아래 페룰(Ferrule)(4)과 우유 이송관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밸브들을 통해 도 8, 도 9와 같이 우유가 이송되어 지고 이때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9), 드레인 밸브 3(Drain Valve)(11), 클리닝 밸브 5(Cleaning Valve)(13)는 닫혀져 있어 로봇착유기(23)에서 착유된 우유는 우유 냉각탱크(28)로 바로 이송이 되도록 하고 이 과정에서 트윈필터(26)와 예냉기(24)의 순서는 목장 상황에 따라 바뀌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밸브들의 제어는 클리닝, 원격 알람시스템(25)에서 이루어지고 우유가 로봇착유기(23)에서 우유 냉각탱크(28)로 이송되는 사이에 위치해 있는 버퍼링 밸브(Buffering Valve)(9),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드레인 밸브 3(Drain Valve)(11), 클리닝 밸브(Cleaning Valve)(13), 3-웨이 밸브(3-way Valve)(14)와 우유 냉각탱크에 연결되어 있는 매인탱크 밸브 4(Main Tank Valve)(12)를 열고 닫으면서 우유의 이송 경로를 바꾸어 주고, 오일 프리 컴프레셔(Oil free compresor)(29)로 부터 동력인 압축공기를 제공받는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루에 한번 정해진 시간에 집유차가 목장에 직접 방문하여 우유 냉각탱크(28)에 저장되어 있는 우유를 집유하고, 우유 냉각탱크(28)를 세척하는데 그 사이에 착유되는 우유는 버퍼탱크(Buffer Tank)(27)로 임시 보관되도록 이송되고,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우유 냉각탱크(28)의 집유와 세척 후에는 버퍼탱크(Buffer Tank)(27)에서 임시 보관된 우유가 우유 냉각탱크(28)로 이송된다.
상기의 과정은 집유시 클리닝, 원격 알람시스템(25)에 있는 집유차 버튼을 누르면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가 닫히게 되어 이때부터 착유되는 우유는 버퍼탱크(Buffer Tank)(27)로 이송되기 시작하는데, 도 10, 도 11에서와 같이 우유가 로봇착유기(23)에서 착유 후 예냉기(24), 트윈필터(26), 우유, 세척수가 밸브로 들어오는 방향(16),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9), 우유, 세척수 버퍼탱크(Buffer Tank)로 들어가는 방향(15),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한 페룰(Ferrule)(4), 버퍼탱크(Buffer Tank)(27)로 이송 되는데, 이송되는 우유는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바닥에서부터 채워지게 되고, 이때는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드레인 밸브 3(Drain Valve)(11), 클리닝 밸브(Cleaning Valve)(13),는 닫혀져 있어 우유가 로봇착유기(23)에서 우유 냉각탱크(28)로 이송이 되지 않고 버퍼탱크(Buffer Tank)(27)로 이송되도록 하고, 동시에 우유 집유 과정도 실시하게 되는데, 우유 냉각탱크(28) 클리닝 버튼을 한번 더 눌러 주면 매인탱크 밸브 4(Main Tank Valve)(12)가 열리면서 우유가 우유 냉각탱크(28)에서 집유차로 이송되는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우유 냉각탱크(28)가 비워지게 된다.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27)으로 우유가 이송될 때에는 우유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때 지방구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한 페룰(Ferrule)(4)을 통해 버퍼탱크(Buffer Tank)(27)의 바닥에서부터 우유가 채워지게 된다.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의 몸체부분 내부는 완전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우유와 세척수가 들어왔다 나갔다 하면서 내부 압의 변화가 생기게 될 때에는 버퍼탱크 몸체부분 상단에 위치해 있는 통기공 니쁠(Air Vent Nipple)(3)의 스프링 작용으로 압의 변화가 있을 때마다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서 조절하여 외부 물질에 의해 우유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우유를 임시로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27)의 우유 보관시간은 집유와 우유 냉각탱크(28) 세척시간을 포함한 30~90분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고, 우유 냉각탱크(28)의 세척을 마치면 다시한번 클리닝, 원격 알람시스템(25)에 집유차 버튼을 눌러서 버퍼탱크(Buffer Tank)(27)에 보관되고 있는 우유를 비워주어야 하는데, 버퍼탱크(Buffer Tank)(27)에서 우유 냉각탱크(28)로 이동시 우유는 우유가 들어온 중력으로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의 페룰(Ferrule)(4)로 빠져나가 우유, 세척수 버퍼탱크(Buffer Tank)로 들어가는 방향(15),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9),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우유 냉각탱크로 가는 방향(17), 3-웨이 밸브(3-way Valve)(14)를 지나 우유 냉각탱크(28)로 들어가게 되고 버퍼탱크(Buffer Tank)(27)에서 우유 냉각탱크(28)로 이동시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만큼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9),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3-웨이 밸브(3-way Valve)(14)가 열려져 있어 우유 냉각탱크(28)로 이송된다.
상기 설정된 우유 보관시간인 30~90분시간이 지나고도 클리닝, 원격 알람시스템(25)에 버퍼탱크(Buffer Tank)(27)를 비워주는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알람이 울리게 되는데, 이는 목장에 따라 어떠한 우유 냉각탱크를 사용 하는냐에 따라서도 설정방법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로봇착유기(23)에서 착유된 우유는 예냉기(24)를 통해서 1차 냉각을 거쳐 트윈필터(26)를 지나 버퍼탱크(Buffer Tank)(27)로 들어가고 짧은시간 동안 우유를 보관하므로 우유 자체의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탱크(Buffer Tank)(27) 세척시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로봇착유기(23)의 메인 세척시 버퍼탱크(Buffer Tank)(27)가 함께 세척이 되므로 목장별로 로봇착유기(23)의 메인 세척시간을 우유 냉각탱크(28)의 집유, 세척이 이루어지기 1~2시간 전으로 설정하여 버퍼탱크(Buffer Tank)(27)에 우유를 보관할 때 청결한 상태에서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로봇착유기(23)의 메인 세척은 하루에 2~3회씩 목장별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우유의 성분이 완전히 세척되고 이송되는 도중 이송관 내부에 계속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성과 알카리성으로 된 세제로 세척을 하고, 세척은 로봇착유기(23), 예냉기(24), 트윈필터(26), 우유, 세척수가 들어오는 방향(16),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10), 우유 냉각탱크(28)로 가는 방향(17), 3-웨이 밸브(14),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상단으로 연결 되어 있는 세척수 스틸관(5)을 따라 이송된 후 세척수 스틸관(5)과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형 분사장치인 스프레이 노즐(1)을 통해 세척수가 버퍼탱크(Buffer Tank)(27) 내부의 위, 아래, 내부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사되어 사각지대 없이 전면을 고르게 세척하고, 이 세척수는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바닥에 위치해 있는 페룰(Ferrule)(4)로 배출이 되고 우유, 세척수 버퍼탱크(Buffer Tank)로 들어가는 방향(15)으로 나와서 드레인 밸브 3(Drain Valve)(11), 세척수가 우유, 세척수 하수구로 가는 방향(19)으로 최종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상단에는 맨홀(2)이 있어 언제든 손쉽게 열어서 내부의 상황을 확인 할 수 있는데 버퍼탱크(Buffer Tank)(27) 상단에 위치한 맨홀(2)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네 개의 나사형태 손잡이인 맨홀 손잡이 경첩볼트(6)가 있어 맨홀(2)을 잠글 때에는 바닥과 평행으로 펼쳐져 있는 맨홀 손잡이 경첩볼트(6)를 세우고 조여서 잠그고, 반대로 맨홀 손잡이 경첩볼트(6)을 풀어서 바깥방향으로 눕히게 되면 맨홀(2)을 쉽게 열수 있다.
도 5,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을 지지하고 있는 4개의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7)는 스틸로 된 2개의 관이 겹쳐져 있는 형태로 되어있는데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자체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과 내부에 조금 더 얇은 부분이 위치해 있어 높이를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2개의 스틸관을 아래, 위로 조절하여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7)의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드릴구멍(7a)을 맞추어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나사(8)를 조여주면 쉽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버퍼탱크의 정면도.
도 2는 버퍼탱크 평면도.
도 3은 버퍼탱크 상단에 위치한 맨홀 평면도
도 4는 버퍼탱크 상단에 위치한 맨홀 정면도
도 5 는 버퍼탱크 다리 정면도
도 6은 버퍼탱크 다리 단면도
도 7은 버퍼탱크 다리 평면도
도 8은 평상시 우유 이동 경로
도 9는 평상시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 10은 우유 냉각탱크 집유, 세척시 우유 이동 경로
도 11은 우유 냉각탱크 세척시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 12는 우유 냉각탱크 세척후 우유 이동 경로
도 13은 우유 냉각탱크 세척후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 14는 버퍼탱크 세척시 우유 이동 경로
도 15는 버퍼탱크 세척시 밸브에서 우유 이동 경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프레이 노즐(Spray Nozzle)
2. 맨홀(Manhole)
3. 통기공 니쁠(Air Vent Nipple)
4. 페룰(Ferrule)
5. 세척수 스틸관
6. 맨홀(Manhole) 손잡이 경첩볼트
7.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7a.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드릴구멍
8. 버퍼탱크(Buffer Tank) 다리 나사
9.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
9a. 밸브 1 조절 부분
10.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
10a. 밸브 2 조절 부분
11. 드래인 밸브 3(Drain Valve)
11a. 밸브 3 조절 부분
12. 매인탱크 밸브 4(Main Tank Valve)
13. 클리닝 밸브 5(Cleaning Valve)
13a. 밸브 5 조절 부분
14. 3-웨이 밸브(3-way Valve)
15. 우유, 세척수 버퍼탱크(Buffer Tank)로 들어가는 방향
16. 우유, 세척수 들어오는 방향
17. 우유 냉각탱크로 가는 방향
18. 하수구로 가는 방향
19. 우유, 세척수 하수구로 가는 방향
20. 실리콘 가스켓(Silicon Gasket)
21. 경첩볼트
22.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내부
23. 로봇착유기
24. 예냉기
25. 클리닝, 원격 알람시스템(CRS+)
26. 트윈필터
27. 버퍼탱크(Buffer Tank)
28. 우유 냉각탱크
29. 오일 프리 컴프레셔(OIl free compressor)

Claims (6)

  1.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 하루에 한번 우유를 집유 할 때나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이동하는 우유의 방향을 일시적으로 바꾸어서 보관하고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어서,
    상기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우유가 이송되는 우유 이송관 사이에 상기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가 설치되되,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는,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 완전 밀폐된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과;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상단에 연결되어 있어 세척수가 이동하는 세척수 스틸관과;
    상기 세척수 스틸관으로 이동되어진 세척수가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상단으로 들어와 버퍼탱크(Buffer Tank) 내부의 위, 아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사되어 사각지대 없이 전면을 고르게 세척하게 해주는 회전형 분사장치인 스프레이 노즐과;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내부로 우유나 물이 들어갈 때 변화하는 압을 스프링이 오르락 내리락 하면서 조절해 주는 통기공 니쁠(Air Vent Nipple)과;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내부 상태를 확인하기 용이하게 한 버 퍼탱크 몸체부분 상단에 위치한 맨홀과;
    상기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아래에 위치해 있어 우유의 이송되는 방향을 바꾸어 주는 밸브들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2.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 하루에 한번 우유를 집유 할 때나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이동하는 우유의 방향을 일시적으로 바꾸어서 보관하고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어서,
    하루에 한번 우유를 집유 할 때나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에도 착유는 쉬지 않고 계속 되어야 하므로 수동이나 자동설정으로 우유 이송 경로를 바꾸어 주어 로봇착유기와 우유 냉각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로 우유가 이송되도록 버퍼링 밸브 1(Buffering Valve)가 열리고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한 페룰(Ferrule)관을 통해 버퍼탱크(Buffer Tank)의 바닥부분부터 우유가 채워지게 하고 우유 냉각탱크로 가는 방향 설정 밸브인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는 닫히게 되어 착유된 우유는 버퍼탱크로 이송되어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3. 제2항에 있어서, 우유가 버퍼탱크로 이송되어 임시로 보관되어 질 때 수동이나 자동설정으로 우유 냉각탱크 앞에 있는 매인탱크 밸브 4(Main Tank Valve)가 열리고 집유차로 우유가 이송되어 질 때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4. 제3항에 있어서, 우유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질 때 지방구가 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한 페룰(Ferrule)관을 통해 버퍼탱크(Buffer Tank)의 바닥부분부터 우유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5.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 하루에 한번 우유를 집유 할 때나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이동하는 우유의 방향을 일시적으로 바꾸어서 보관하고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어서,
    상기 버퍼탱크에서 집유, 우유 냉각탱크 세척과정을 모두 마치게 되면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임시로 보관되어 있는 우유를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도 수동이나 자동 설정을 통하여 우유가 이송되는데 착유는 쉬지 않고 계속 이루어지고 착유된 우유는 평상시와 같이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 방향으로 가도록 인터미디에이트 밸브 2(Intermediate Valve), 3-웨이 밸브(3-way Valve)를 통해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되고 이때,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던 임 시 보관된 우유도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하단에 위치한 페룰(Ferrule)관을 통해 우유 냉각탱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6. 로봇착유기를 사용하는 낙농가에서 하루에 한번 우유를 집유 할 때나 우유 냉각탱크를 세척할 때 로봇착유기에서 우유 냉각탱크로 이동하는 우유의 방향을 일시적으로 바꾸어서 보관하고 로봇착유기에서는 착유가 쉬지 않고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에 있어서,
    로봇착유기의 메인 세척은 하루에 2~3회씩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루어 지는데 우유의 성분이 완전히 세척되고 이송되는 도중 이송관 내부에 계속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성과 알카리성으로 된 세제로 세척을 하는데, 세척은 로봇착유기, 예냉기, 트윈필터, 인터미디어 밸브 2, 우유 냉각탱크 직전 우유 이송경로 설정 밸브인 3-웨이 밸브를 통해 버퍼탱크 몸체부분 상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척수 스틸관을 따라 이송된 후 세척수 스틸관과 버퍼탱크 몸체부분 내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형 분사장치인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세척수가 버퍼탱크 내부의 모든 부분에 골고루 분사되어 사각지대 없이 전면을 고르게 세척하게 되고 이 세척수는 버퍼탱크(Buffer Tank) 몸체부분 바닥에 위치해 있는 페롤로 배출이 되며 이때는 버퍼탱크(Buffer Tank)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드래인 밸브 3(Drain Valve)가 열리면서 세척수가 하수구로 최종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로 우유를 보관하는 버퍼탱크(Buffer Tank).
KR1020090044762A 2009-05-22 2009-05-22 버퍼탱크 KR20100125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762A KR20100125844A (ko) 2009-05-22 2009-05-22 버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762A KR20100125844A (ko) 2009-05-22 2009-05-22 버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844A true KR20100125844A (ko) 2010-12-01

Family

ID=4350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762A KR20100125844A (ko) 2009-05-22 2009-05-22 버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58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712B1 (ko) * 2017-11-23 2019-05-14 김순태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KR20220040815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다운 자동 우유 착유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712B1 (ko) * 2017-11-23 2019-05-14 김순태 유류 저장통의 이물질 배출 장치
KR20220040815A (ko) *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다운 자동 우유 착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7081A (en) Automatic milking and milk cooling apparatus
US66261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of a teat cleaning device
CN103501595B (zh) 治疗动物蹄的装置和方法
EP2908622B1 (en) Animal water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imal watering device
JP2001502184A (ja) 家畜の自動搾乳装置
WO2007031783A1 (en) Teat cup
AU2014299340B2 (en) Arrangement for milking animals
JP3653100B2 (ja) 動物搾乳装置
US5195456A (en) Milking apparatus
KR20100125844A (ko) 버퍼탱크
US5272997A (en) Milking apparatus
Reinemann Milking machines and milking parlors
CN103115483B (zh) 用于容器的干燥装置和用于清洁这种干燥装置的方法
DK1905297T3 (en) Method and tool for milking a dairy animal
EP0626129B1 (en) A construction for milking animals
US11122767B2 (en) Closed-loop, short interval flushing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automated milking system dairies
US20080202430A1 (en) Milking station and method for milking
Visser Milking the dairy goat: technology
Kurtz Farm Standards for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Milk
CN114642174A (zh) 一种家猪养殖舍内粪污清理装置及其使用方法
Du Pisanie Build an efficient milking parlour & technology
JPH0325131B2 (ko)
JPH0325130B2 (ko)
UA20435U (en) Equipment to prepare cow udder to milking in stalls
UA44463A (uk) Пересувний технологічний агрегат обслуговування корі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