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749B1 -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749B1
KR101662749B1 KR1020160082280A KR20160082280A KR101662749B1 KR 101662749 B1 KR101662749 B1 KR 101662749B1 KR 1020160082280 A KR1020160082280 A KR 1020160082280A KR 20160082280 A KR20160082280 A KR 20160082280A KR 101662749 B1 KR101662749 B1 KR 10166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mounting hole
filtrat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주)파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레인 filed Critical (주)파워레인
Priority to KR102016008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749B1/ko
Priority to PCT/KR2016/014195 priority patent/WO2018004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내장형 여과장치를 용수탱크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각종의 이물질이 제거된 살포액이 농업용 스프링클러를 통해 살포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의 여과봉을 용수탱크에서 신속히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역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봉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서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방제작업의 효율증진은 물론 고령화 농업인들의 사용에 만족을 줄 수 있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310)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구(300)와, 상기 장착구(300)를 통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여과봉(400)과, 상기 장착구(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수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커플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41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상기 장착구(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461)가 형성된 걸림파지체(46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4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A FILTERING DEVICE FOR WATER TANK}
본 발명은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내장형 여과장치를 용수탱크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하여 각종의 이물질이 제거된 살포액이 농업용 스프링클러를 통해 살포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의 여과봉을 용수탱크에서 신속히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역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봉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서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방제작업의 효율증진은 물론 고령화 농업인들의 사용에 만족을 줄 수 있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수탱크는 사용 중 물탱크 내부 하단에 각종 불순물 및 이물이 적층되며, 용수를 배수 시 상기 불순물 등과 함께 잔류량이 남게 되어 세균번식의 온상이 되고, 용수탱크 내부의 완벽한 청소에도 많은 어려움과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용수탱크에서 용수 여과방식은 용수탱크 밖에서 호스와 여과망을 연결하여 용수탱크에 투입 후 흡입, 흡입된 용수를 별도의 여과기를 통과하여 사용함으로써 여과 효율이 떨어지며 장치의 무리가 따라 압력이 저하되거나 모터의 고장이 잦고, 인력으로 여과작업을 수행하므로 산재 발생빈도 역시 높다.
또한, 용수탱크 내부를 청소시에 청결한 세척을 위하여 세척제(약액)을 사용할 경우, 세척액 잔류성분이 용수탱크 내부에 남게 되어 건강 및 환경에 위해요소로 작용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등록특허 제10-0802602호의 다목적 만능 물탱크에서는 물탱크의 하부에 불순물, 각종 이물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여과부에 여과된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역세척수단을 구비한 다목적 물탱크를 제공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물탱크에 설치되는 여과부에 여과된 이물의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함은 물론 물탱크의 장기간 사용시 여과부에 지속적인 이물의 흡착으로 인해 용수의 여과에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여과부의 교체나 보수가 어려워 사용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업인들이 농작물 재배시 필수적으로 행하는 방제, 액비살포, 관수 등의 물 사용 농작업 시, 종래에는 흡입여과망을 부착한 호스를 용수탱크의 상단 입구를 통하여 용수탱크 바닥면에 넣어서 펌프로 흡입시켜 사용하거나 용수탱크의 하단부분에 흡입호스를 연결한 후, 여과기를 설치해서 펌프로 흡입시켜 배출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여과방법은 많은 불편함이 따르고, 특히 고령화 농업인들이 중형 용수탱크 사용시 신체의 무리나 상해의 위험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여과방법은 단순 여과방식으로 용도별 살포액 사용시 스프링클러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살포액의 살포효과가 떨어지는 현상과 펌프 사용시마다 여과기의 세척을 철저히 해야 하는데 고령 농업인들은 세척 등 청결히 사용하는데 소홀함이 있어 여과능력 부족으로 펌프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내장형 여과장치를 누구나 손쉽게 용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외장형 여과장치의 여과봉을 용수탱크에서 신속히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역세척을 통해 상기 여과봉에 흡착된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함으로서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막힘현상을 방지하여 방제작업의 효율증진은 물론 고령화 농업인들의 사용에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하며, 용수탱크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메쉬여과체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탱크의 크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310)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구(300)와, 상기 장착구(30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여과봉(400)과, 상기 장착구(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수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커플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41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상기 장착구(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461)가 형성된 걸림파지체(46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4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망(420)과, 상기 메쉬망(4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메쉬망지지골격(430)과,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형성된 연결부(465)에 연결되는 결합구(441)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체(46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선단장착구(440)와,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되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걸림락(472)에 연결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47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후단장착구(4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에 형성되는 결합구(441)와 상기 후단장착구(450)에 형성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다수개가 연이어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용수유동배관부(600)는, 상기 연결커플러(500)에 연결되는 연결관(610)과, 상기 연결관(610)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40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40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621)과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623)으로 이루어진 분기부(620)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621)과 용수배출배관(623)에는 각각 차단밸브(63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내장형 여과장치를 누구나 손쉽게 용수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의 여과봉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고, 여과봉의 지속적인 세척작업의 수행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의 막힘 현상이 방지되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봉을 상기 용수탱크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용수유동배관부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 가능함에 따라 여과봉의 세척작업을 즉시 수행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용수탱크의 크기나 작업상황 및 이물질의 여과효율을 높여야 하는 경우, 다수개의 메쉬여과체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일 실시예의 용수탱크 단면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일 실시예의 용수탱크 측단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수용여과홈에 위치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와 용수유동배관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 및 용수유동배관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봉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봉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유동배관부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용수탱크에 잔류배출배관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일 실시예의 용수탱크 단면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일 실시예의 용수탱크 측단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가 수용여과홈에 위치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장치와 용수유동배관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장치 및 용수유동배관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봉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은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면에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장착구(300)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하측면에 설치되는 여과봉(400)과, 상기 장착구(300)에 연결되는 연결커플러(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을 설명함에 있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수용여과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상기 여과봉(400)이 위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과장치가 설치되는 용수탱크(1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용수탱크(100)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원통형 또는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1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는 내부에 수용된 용수에 용도별 약액(가루형태의 농약이나 액상형태의 농약 등을 넣고 교반한 후, 상기 여과장치(20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의 교반액이 배출됨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사용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상기 스프링클러 및 고압 분무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관수, 방제, 방역, 액비살포 등 원하는 용도별로 장기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이물질이 축적되면 잔류배출배관(150)을 통해 소량의 용수와 함께 상기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수탱크 내 약액의 잔류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탱크의 깨끗한 청소가 가능하고, 상기 여과장치(200)의 여과봉(40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여과봉(400)의 역세척으로 인해 여과봉의 깨끗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고, 상기 여과봉(4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용수유동배관부(600)를 통해 상기 여과봉(400)방향으로 용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봉(400)을 상기 용수탱크(100)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역세척을 이룰 수 있어 여과봉의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여과봉(400)의 역세척으로 인해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축적된 이물질을 상기 잔류배출배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상태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에는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200)가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은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면(1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100)에 소량의 용수가 남은 경우, 소량의 용수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용수와 이물질을 수용하는 수용여과홈(130)이 상기 용수탱크(100)의 중앙부에서 상기 여과장치(2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용수가 수용되면 수용된 용수는 상기 경사면(120)에 의해 중앙부로 모이게 되고, 중앙부로 모인 용수는 상기 수용여과홈(13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여과장치(200)의 배출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용수가 소량 남게 되는 경우, 용수와 함께 이물질이 상기 경사면(120)을 따라 상기 수용여과홈(130)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용된다.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이 수용되어 이물질이 일정량 축적되면 상기 잔류배출배관(15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용수탱크의 내부 이물질의 지속적인 축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과장치(200)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130)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310)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구(300)와, 상기 장착구(30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 방향으로 인입출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여과봉(400)과, 상기 장착구(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수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커플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살포액에 포함된 각종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농업용 스프링클러를 통한 살포시 스프링클러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방제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구(300)는 중공형 부재로 상기 용수탱크(100)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 수용여과홈(130)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봉(400)이 상기 장착구(300)의 내측으로 통과하여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여과봉(400)의 일측단이 상기 장착구(300)의 내측에 걸림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여과봉(400)에 형성된 고정돌출구(462)가 상기 장착구(300)에 형성된 파지홈(3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여과봉(40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장착구(30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130)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고정돌출구(462)와 파지홈(31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여과봉(400)의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41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상기 장착구(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461)가 형성된 걸림파지체(46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4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수용여과홈(130)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상기 메쉬여과체(410)에 과도하게 흡착되어 용수의 여과성능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망(420)과, 상기 메쉬망(42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메쉬망지지골격(430)과,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형성된 연결부(465)에 연결되는 결합구(441)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체(46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선단장착구(440)와,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되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걸림락(472)에 연결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47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후단장착구(450)로 구성된다.
상기 메쉬망(420)은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메쉬지지골격(430)에 의해 상기 메쉬망(420)이 파지됨에 따라 용수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쉬망(420)의 흔들림 및 그로 인한 메쉬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단장착구(440)는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465)와 결합구(441)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결합구(441)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키이고, 상기 연결부(465)는 상기 제1돌출키가 결합되는 키홀(466) 및 상기 키홀(466)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홀(466)과 각도를 달리하여 키홀과 연이어지는 돌출키안착홈(46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외경은 상기 걸림파지체(46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제1돌출키를 상기 걸림파지체(460)의 키홀(466)의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선단장착구(440)를 상기 걸림파지체(46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선단장착구(4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돌출키가 상기 돌출키안착홈(467)에 안착되면서 상기 여과봉(400)을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장착구(450)는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락(472)과 잠금구(451)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락(472)은 상기 이격지지구(47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키이고, 상기 잠금구(451)는 상기 제2돌출키가 결합되는 결합홈(452) 및 상기 결합홈(452)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결합홈(452)과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결합홈(452)과 연이어지는 락안착홈(45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단장착구(450)의 내경은 상기 이격지지구(47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이격지지구(470)의 제2돌출키를 상기 후단장착구(450)의 결합홈(452)의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이격지지구(470)를 상기 후단장착구(45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후단장착구(4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돌출키가 상기 락안착홈(453)에 안착되면서 상기 여과봉의 길이방향 타측을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형성되는 연결부(465)와 상기 선단장착구(440)에 형성되는 결합구(441),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걸림락(472)과 상기 후단장착구(450)에 형성되는 잠금구(451)는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형성되는 연결부(465)는 내주연에 형성되는 내산일 수 있고, 상기 걸림파지체(460)의 연결부(465)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결합구(441)은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산으로써 상호간 나사결합을 이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장착구(450)에 형성되는 잠금구(451)은 내주연에 형성되는 내산일 수 있고,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걸림락(472)은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산으로써 상호간 나사결합을 이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에 형성되는 결합구(441)와 상기 후단장착구(450)에 형성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다수개가 연이어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다수개 연이어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용수탱크의 크기 및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여과홈(130)의 길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로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설치할 수 있어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결합구(441)와 후단장착구(450)의 잠금구(451)가 외산 형상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호 연결시 중간에 연결소켓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걸림파지체(460)는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선단장착구(440)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구(300)의 내측에 걸림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파지체(460)에는 상기 파지구(461)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여과봉(400)을 상기 수용여과홈(130)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파지체(46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장착구(300)의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462)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결합구(441)가 연결되는 연결부(46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결합구(441)가 나사산인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465)도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장착구(440)의 결합구(441)가 돌출되는 형상의 제1돌출키인 경우, 상기 연결부(465)는 상기 제1돌출키가 결합되는 키홀(466) 및 상기 키홀(466)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홀(466)과 각도를 달리하여 키홀과 연이어지는 돌출키안착홈(46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지지구(470)는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후단장착구(450)가 연결되는 연결몸체(471)와, 상기 연결몸체(47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수용여과홈(13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편(47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몸체(471)에는 상기 후단장착구(450)의 잠금구(451)와 연결되는 걸림락(47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커플러(500)는 상기 장착구(30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장착구(3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용수유동배관부(6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커플러(500)에 연결되는 연결관(610)과, 상기 연결관(610)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40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40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621) 및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623)으로 이루어진 분기부(620)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용수유입배관(621)과 용수배출배관(623)에는 각각 차단밸브(6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배출배관(62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여과봉(400)의 역세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모두 사용한 후, 상기 여과봉(400)의 세척시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을 거쳐 상기 여과봉(400)의 내부로 유동하여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분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여과봉(400)의 메쉬망(420)에 흡착된 이물질을 떨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수유입배관(25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용수배출배관(623)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열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10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가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바닥면과 맞닿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수용여과홈(130)의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용수와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류배출배관(1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사용한 후, 일정량의 용수만이 상기 용수탱크(100)에 남아 있게 되면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잔류배출배관(15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수용된 이물질이 소량의 용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봉(400)을 역세척한 후, 상기 수용여과홈(130)에 이물질과 세척용수가 수용된 경우 상기 잔류배출배관(150)을 개방하여 상기 여과봉(400)으로부터 떨어내진 이물질과 세척용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0: 용수탱크 120: 경사면
130: 수용여과홈 150: 잔류배출배관
200: 여과장치 300: 장착구
310: 파지홈 400: 여과봉
410: 메쉬여과체 420: 메쉬망
430: 메쉬망지지골격 440: 선단장착구
441: 결합구 450: 후단장착구
451: 잠금구 452: 결합홈
453: 락안착홈 460: 걸림파지체
461: 파지구 462: 고정돌출구
465: 연결부 466: 키홀
467: 돌출키안착홈 470: 이격지지구
471: 연결몸체 472: 걸림락
475: 지지편 500: 연결커플러
600: 용수유동배관부 610: 연결관
620: 분기부 630: 차단밸브

Claims (4)

  1. 용수탱크(10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용수탱크(1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310)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구(300)와, 상기 장착구(300)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로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여과봉(400)과, 상기 장착구(3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수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커플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여과봉(400)은, 상기 용수탱크(100)의 내부에 수용된 용수의 배출시, 배출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41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310)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462)에 의해 상기 장착구(30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461)가 형성된 걸림파지체(460)와, 상기 메쉬여과체(41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410)를 상기 용수탱크(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4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망(420)과, 상기 메쉬망(4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메쉬망지지골격(430)과,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걸림파지체(460)에 형성된 연결부(465)에 연결되는 결합구(441)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체(46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선단장착구(440)와, 상기 메쉬망지지골격(4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되 상기 이격지지구(470)에 형성되는 걸림락(472)에 연결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47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후단장착구(4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여과체(410)는, 상기 선단장착구(440)에 형성되는 결합구(441)와 상기 후단장착구(450)에 형성되는 잠금구(451)를 매개로 다수개가 연이어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유동배관부(600)는, 상기 연결커플러(500)에 연결되는 연결관(610)과, 상기 연결관(610)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40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40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621)과 상기 용수탱크(100)에 수용된 용수를 배출하는 용수배출배관(623)으로 이루어진 분기부(620)로 구성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621)과 용수배출배관(623)에는 각각 차단밸브(6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1020160082280A 2016-06-30 2016-06-30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10166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80A KR101662749B1 (ko) 2016-06-30 2016-06-30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PCT/KR2016/014195 WO2018004082A1 (ko) 2016-06-30 2016-12-05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280A KR101662749B1 (ko) 2016-06-30 2016-06-30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749B1 true KR101662749B1 (ko) 2016-10-07

Family

ID=5714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280A KR101662749B1 (ko) 2016-06-30 2016-06-30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2749B1 (ko)
WO (1) WO201800408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31B1 (ko) * 2016-11-01 2017-03-06 (주)파워레인 여과기능이 향상된 다목적 용수탱크
CN111622300B (zh) * 2020-06-09 2021-03-16 安徽一一水务环境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智能变频供水设备
CN113605499A (zh) * 2021-08-19 2021-11-05 埃梯梯智慧水务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水水箱错峰调蓄调度系统
KR20220077310A (ko) * 2020-12-01 2022-06-09 강주성 미네랄 알칼리 환원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192A (ja) * 1997-07-28 1999-02-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のフィルタ装置
KR200265473Y1 (ko) * 2001-11-09 2002-02-25 하나산업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부착형 물탱크
KR100802602B1 (ko) * 2006-12-15 2008-02-13 문미나 다목적 만능 물탱크
KR20100011145A (ko) * 2008-07-24 2010-02-03 보원기계 주식회사 이물질여과부가 장착된 급수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723B1 (ko) * 2011-10-26 2013-12-02 김영환 농업용 약액의 여과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3192A (ja) * 1997-07-28 1999-02-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タンクのフィルタ装置
KR200265473Y1 (ko) * 2001-11-09 2002-02-25 하나산업 주식회사 정수용 필터 부착형 물탱크
KR100802602B1 (ko) * 2006-12-15 2008-02-13 문미나 다목적 만능 물탱크
KR20100011145A (ko) * 2008-07-24 2010-02-03 보원기계 주식회사 이물질여과부가 장착된 급수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2631B1 (ko) * 2016-11-01 2017-03-06 (주)파워레인 여과기능이 향상된 다목적 용수탱크
EP3315025A1 (en) * 2016-11-01 2018-05-02 Powerrain Co.,Ltd. Multipurpose water tank having improved filtering function
CN107996543A (zh) * 2016-11-01 2018-05-08 能量雨株式会社 提高过滤功能的多功能用水水箱
CN111622300B (zh) * 2020-06-09 2021-03-16 安徽一一水务环境有限公司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智能变频供水设备
KR20220077310A (ko) * 2020-12-01 2022-06-09 강주성 미네랄 알칼리 환원수 제조 방법
KR102483065B1 (ko) * 2020-12-01 2022-12-30 강주성 미네랄 알칼리 환원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3605499A (zh) * 2021-08-19 2021-11-05 埃梯梯智慧水务科技有限公司 一种供水水箱错峰调蓄调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082A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749B1 (ko)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101642888B1 (ko) 다목적 용수탱크
KR102356048B1 (ko) 플러싱 필터게이트
WO2012016848A1 (de) Bodenreinigungsgerät
CN101600635B (zh) 多功能水箱
CA2593875A1 (en) Drain cleaning apparatus
KR101705686B1 (ko) 온실 및 축사용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20090127029A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CN213738883U (zh) 一种污水处理罐
KR101712631B1 (ko) 여과기능이 향상된 다목적 용수탱크
KR101753673B1 (ko)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CN210329090U (zh) 一种农业用喷药机
AU2006350955B2 (en) Diatomaceous earth filter apparatus and method
CN217940547U (zh) 一种农用机器人用新型农药喷嘴
CN216651073U (zh) 一种喷雾器结构及喷雾器
JPH10151089A (ja) 水が貫通する器具の接続装置
KR101535713B1 (ko) 여과기의 필터 청소장치
EP2640251B1 (de) Bodenreinigungsmaschine
CN210645349U (zh) 过滤反冲洗器及具有其的喷淋系统
KR20180035294A (ko) 농약 분무차량의 약액장치
CN217188365U (zh) 一种饲料添加剂生产用过滤装置
GB2512385A (en) Tank connector, filter and manifold assembly and method
CN217595437U (zh) 一种自清洁水箱
KR102666479B1 (ko) 세정장치가 구비된 폐수처리장치의 멤브레인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