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673B1 -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3673B1
KR101753673B1 KR1020160177679A KR20160177679A KR101753673B1 KR 101753673 B1 KR101753673 B1 KR 101753673B1 KR 1020160177679 A KR1020160177679 A KR 1020160177679A KR 20160177679 A KR20160177679 A KR 20160177679A KR 101753673 B1 KR101753673 B1 KR 101753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pipe
chemical liquid
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미나
박대한
Original Assignee
(주)파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레인 filed Critical (주)파워레인
Priority to KR102016017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73B1/ko
Priority to PCT/KR2017/013173 priority patent/WO2018117435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5B15/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20Arrangements for agitat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e.g. for stirring, mixing or homogen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이나 축사의 내부에 방제시스템을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무인방제시스템를 이루는 배관고정수단, 약액비산수단, 약액교반수단, 배출여과수단 등의 기술적 구성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상의 이점을 제공하며, 용수탱크의 내측에 방제액 투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실 또는 축사의 내부에 약액을 살포하도록 이루어진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실 또는 축사 내부의 골격대(10)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100)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유동하는 약액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액비산수단(300)과,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투입수단(420)이 마련되고, 측면에 방제액의 투입을 위한 방제액 투입수단(480)이 마련된 용수탱크(400)와, 상기 용수탱크(400)의 전면 하부에 상기 약액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여과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는 약액의 교반을 위한 약액교반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수평받침판(510)과,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방제용고압펌프(413)에 연결되는 토출관(414)을 매개로 연결되고,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장착공(521)이 형성된 통체의 분기바디(520)와,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에 장착되되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노즐(531) 및 상기 수평받침판(510)과 수평되게 장착되는 수평노즐(532)로 이루어진 교반분출노즐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MULTI-PURPOS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GREEN HOUSES AND LIVESTOCK HOUSES}
본 발명은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이나 축사의 내부에 방제시스템을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무인방제시스템을 이루는 배관고정수단, 약액비산수단, 약액교반수단, 배출여과수단 등의 기술적 구성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상의 이점을 제공하며, 용수탱크의 내측에 방제액 투입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5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의 농산물 시설재배 면적은 약 90,500ha(약 2억7천만평)이며, 농가경영주 50%이상이 65세 이상의 고령농이다. 특히, 시설재배 특성상 농작물 생산활동, 시설 관리측면에서 고령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애로사항을 많이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농작물 재배시 용수나 약액이 필수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며, 온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의 약액방제작업은 대부분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고 있으며, 일부는 무인자동방제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무인방제장치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20-0238785호가 있으며 이는 비닐 하우스의 횡지지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안내 로울러가 설치되고, 그 전후측에 설치된 안내횡간에는 안내로를 형성하여 베어링 로울러가 끼움 안내되게 하고, 베어링 로울러에 설치된 지지판에는 지지와이어의 일단이 체결되고, 지지와이어의 타단부는 다수의 분사 노즐이 있는 고압 분사관의 양단에 나사 조임되는 덤버클에 의해 체결되게 하고, 안내 로울러에 감김된 와이어의 일점에는 고압 분사관의 전후측에 형성된 와이어 체결구에 체결되고, 와이어의 양단부는 권취 로울러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정역 회동에 의해 감김 및 풀림되면서 고압 분사관이 전후진 반복되게 하여 방제제를 무인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무인방제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약액을 살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농작물에 약액이 공급되어 작업자가 약액을 직접 살포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나 고압분사관에 설치된 분사노즐이 다수개로 형성되면서도 고압분사관의 양측에 베어링 안내로울러가 형성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면서도 안내로울러에 안내되는 와이어가 늘어질 수 있어 고압 분사관에 형성된 와이어 체결구에 와이어가 이탈되거나 절단현상을 야기할 수 있어 고압분사관이 이동되지 않아 약액이 비닐하우스 내부에 전체적인 살포가 이루어지지 않는 염려가 있으며 그로 인해 비닐하우스에서 식생하는 농작물에 약액이 효율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전문가에 의해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야기하고, 무인방제장치의 고장 발생시 현장에서 즉시 보수할 수 없어 적절한 시기의 약액살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실이나 축사의 내부에 방제시스템을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방제시스템의 설비에 따른 인력낭비는 물론 설비시간의 단축을 통해 농가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고, 무인방제시스템을 이루는 배관고정수단, 약액비산수단, 약액교반수단, 배출여과수단 등의 기술적 구성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상의 이점은 물론 현장에서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온실 및 축사용 다목적 무인자동방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무인방제시스템의 약액비산수단을 통해 약액의 미세안개분무가 가능토록함으로써 약액이 부유시간 증가를 통한 최적이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고령 농업인의 사용편의성 증진은 물론 방제효율의 최적화, 약액비산수단의 막힘현상을 방지하여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저수지나 하천의 용수, 지하수, 빗물 등을 방제를 위한 농업용 용수로 사용하는 경우, 용수탱크에 설치된 용수투입수단을 통해 여과하여 용수탱크의 내부로 투입함으로써 약액비산수단이나 스프링클러, 관로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실 또는 축사의 내부에 약액을 살포하도록 이루어진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실 또는 축사 내부의 골격대(10)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100)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유동하는 약액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액비산수단(300)과,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투입수단(420)이 마련되고, 측면에 방제액의 투입을 위한 방제액 투입수단(480)이 마련된 용수탱크(400)와, 상기 용수탱크(400)의 전면 하부에 상기 약액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여과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는 약액의 교반을 위한 약액교반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수평받침판(510)과,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방제용고압펌프에 연결되는 토출관(414)을 매개로 연결되고,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장착공(521)이 형성된 통체의 분기바디(520)와,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에 장착되되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노즐(531) 및 상기 수평받침판(510)과 수평되게 장착되는 수평노즐(532)로 이루어진 교반분출노즐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실이나 축사의 내부에 방제시스템을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방제시스템의 설비에 따른 인력낭비는 물론 설비시간의 단축을 통해 농가의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배관고정수단, 약액비산수단, 약액교반수단, 배출여과수단 등의 기술적 구성이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상의 이점은 물론 현장에서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인방제시스템의 약액비산수단을 통해 약액의 미세안개분무가 가능함에 따라 최적이 방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고령 농업인의 사용편의성 증진은 물론 방제효율의 최적화, 약액비산수단의 막힘현상이 방지되어 방제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농업용 용수가 용수탱크에 설치된 용수투입수단을 거쳐 용수탱크의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약액비산수단이나 관로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농업용 약제를 방제액 투입수단을 통해 여과하여 용수탱크의 내측에 투입함으로써 방제작업의 진행시 발생하는 약액비산수단이나 관로의 막힘현상을 줄이고, 고령의 농업인 뿐만 아니라 여성 농업인들도 손쉽게 용수탱크의 내부로 방제액을 투입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능률 향상 및 방제액 투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방제시스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수단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고정수단의 몸체부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4a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d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의 바디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e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의 약액분무부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노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정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수탱크의 측단면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c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투입수단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d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투입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7e은 본 발명에 따른 용수여과부의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제액 투입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b은 본 발명에 따른 방제액 투입수단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용구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교반수단와 방제용고압펌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교반수단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교반수단의 수평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교반수단의 경사노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교반수단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약액유동배관부와 배출여과수단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b은 본 발명에 따른 약액유동배관부와 배출여과수단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여과수단이 용수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4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봉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봉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5a은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15b은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c은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의 퇴수밀대에 의해 돌출끼움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지지클립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과기능이 향상된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자동방제시스템은 온실 또는 축사의 내부에 약액을 살포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온실 또는 축사 내부의 골격대(10)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100)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유동하는 약액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액비산수단(300)과,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투입수단(420)이 마련되고, 측면에 방제액의 투입을 위한 방제액 투입수단(480)이 마련된 용수탱크(400)와, 상기 용수탱크(400)의 전면 하부에 상기 약액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여과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은 상기 온실 또는 축사 내부의 골격대(10)에 배관고정수단(200)을 매개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배관고정수단(2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또는 축사의 내부에 설치되는 골격대(10)에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분해 및 조립을 쉽게 하여 현장보수를 신속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고정수단(200)은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격대(1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램프(210)와,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몸체부(220)와,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배관가압부재(230)와, 상기 몸체부(220)의 일측 개구부(312)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재(240)와, 상기 커버부재(24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고정부재(250)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210)는 상기 골격대(10)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도록 안착되는 클램프본체(211)와, 상기 클램프본체(211)의 일측에 회전조립부(217)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클램프덮개(213)와, 상기 클램프본체(211)의 타측에 걸림되게 끼움결합된 상태로 상기 클램프덮개(213)에 형성되는 "U"형 볼트장착홈(213a)에 삽입되는 장착볼트(2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클램프(210)는 상기 클램프본체(211)와 클램프덮개(213)를 상기 회전조립부(217)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간단히 조립할 수 있고, 상기 장착볼트(215)에 의해 상기 골격대(10)에 견고히 결합되어 현장 조립성의 향상은 물론 유지 보수의 용이로 인해 부품의 파손시 즉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부(220)는 상기 클램프(210)의 내부에서 외측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결합볼트(222)가 결합되는 결합너트(221)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너트(221)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액체가 유동하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20)에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반원형의 장착홈부(223)와,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설치되어 상하 왕복이동되는 가압부재설치홈부(224)와, 상기 커버부재(240)가 설치되는 커버부재설치홈부(225)가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 상기 결합너트(221)가 형성된 방향에서 개구된 일측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램프(210)에 결합되는 방향의 상기 몸체부(220) 내측 하부에는 상기 결합너트(221)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너트(221)와 마주하는 상부에는 개구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너트(221)와 개구부(312) 사이에 상기 장착홈부(223), 가압부재설치홈부(224), 커버부재설치홈부(225)가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220)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커버부재설치홈부(225)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부(22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가이드턱(22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가이드턱(226)과 상기 커버부재설치홈부(225)의 내주면 사이에는 가이드홈(227)이 형성된다.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는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 홈을 갖는 것으로,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에는 상기 몸체부(220)의 외측면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걸림턱(23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가압고정부재(25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끌려 상기 몸체부(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재(250)가 회전에 의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밀착시,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에 가해지는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바뀌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22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부(220)에 걸림되는 상기 가이드걸림턱(231)에 의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의 설치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를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에서 상기 커버부재설치홈부(225)방향으로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가압부재설치홈부(224)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걸림턱(231)이 상기 몸체부(220)의 외측면에 걸림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가이드걸림턱(231)은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의 상하이동시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의 일측면 즉 반원형 홈에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과의 마찰증대를 위한 요철부(233)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가압부재(2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가압밀착되는 경우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에서의 미끌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에는 후술되는 가압고정부재(250)의 길이방향 일측이 인입되어 회전조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의 면부에 밀착된 상기 가압고정부재(250)의 단부가 미끌려 원활한 가압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인입홈(2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40)는 상기 몸체부(22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240)에는 상기 몸체부(220)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27)을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편(241)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편(241)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부재(2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턱(242)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편(241)을 상기 가이드홈(227)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240)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편(241)이 상기 가이드홈(227)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커버부재(240)의 이동제한턱(242)이 상기 몸체부(220)의 측면에 걸림되어 상기 커버부재(240)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몸체부(220)의 커버부재설치홈부(225)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40)에는 상기 가압고정부재(250)가 나사결합되는 너트체(2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압고정부재(250)는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240)를 관통하여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240)에 설치되는 너트체(243)에 나사결합되는 볼트체(251)와 상기 볼트체(251)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파지구(25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파지구(252)를 회전시키면 상기 볼트체(251)가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방향을 전진하여 단부가 상기 배관가압부재(230)에 형성된 인입홈(232)에 수용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배관가압부재(2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 방향으로 전진시켜 가압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10)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본체(211)에 상기 장착볼트(215)의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본체(211)의 하측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걸림홈(211a)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볼트(215)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볼트(215)의 걸림머리(215a)가 상기 경사걸림홈(211a)의 내측에 수용되어 걸림되고, 상기 볼트구(215b)가 상기 볼트장착홈(213a)에 삽입되어 별도의 너트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고정수단은 상기 유체공급배관을 온실이나 축사의 골격대에 즉시 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현장적응성이 뛰어나며 누구나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방제시설의 설비시 인력낭비는 물론 설비시간의 단축을 기대할 수 있고, 한번의 고정작업으로 상기 유체공급배관을 상기 골격대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어 스프링클러와 같은 약액비산수단의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유체공급배관의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구성간 분해 및 조립을 누구나 손쉽게 이룰 수 있어 배관고정수단의 문제 발생시, 현장에서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액비산수단(300)은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형성된 액체유출공(110)에 끼워지는 중공형 끼움구(311)가 내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311)와 마주하는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바디부(310)와, 상기 바디부(310)에 형성된 상기 끼움구(311)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연장구(316)에 체결되는 약액분무부(320)와,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 상하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고정부(330)와, 상기 바디부(31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폐쇄장착부(340)와,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폐쇄장착부(340)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가압부(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310)에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반원형의 배관밀착홈(310a)과,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위치되어 상하 왕복이동되는 고정부위치홈(310b)과, 상기 폐쇄장착부(340)가 설치되는 장착부설치홈(310c)이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 상기 끼움구(311)가 형성된 방향에서 개구된 일측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끼움구(31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312)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311)와 개구부(312) 사이에 상기 배관밀착홈(310a), 고정부위치홈(310b), 장착부설치홈(310c)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부(310)의 개구된 일측에는 상기 장착부설치홈(310c)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310)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출턱(313)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출턱(313)과 상기 장착부설치홈(310c)의 내주면 사이에는 안내홈(31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디부(310)에 유체공급배관(10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이 상기 배관밀착홈(310a)에 밀착되면서 상기 끼움구(311)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액체유출공(110)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는, 상기 끼움구(311)의 외측으로 형성된 안착홈(315a)에 억지끼움되는 탄성재질의 밀착패킹편(315)이 설치된다. 즉, 상기 바디부(310)에 수용된 유체공급배관(100)을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가압하는 경우, 상기 밀착패킹편(315)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형성된 상기 액체유출공(110) 주변에 압박됨으로 인해 상기 액체유출공으로부터 액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미세통로(317)가 형성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외측방향으로 노출되는 세라믹노즐(318)이 설치된다.
즉, 상기 세라믹노즐(318)은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길이방향 상측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내측으로 유입된 액체가 상기 세라믹노즐(318)의 미세통로(317)를 통과하여 분출시, 안개 형태의 분무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약액분무부(320)는 상기 바디부(310)에 형성된 상기 끼움구(311)의 내측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중공형 체결연장구(316)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연장구(316)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흩뿌리게 된다.
즉,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통해 상기 바디부(310)로 이동된 약액이 상기 끼움구(311)와 체결연장구(316)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시, 상기 약액분무부(320)에 의해 사방으로 분무되면서 흩뿌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약액분무부(320)는 상기 체결연장구(316)가 끼워지는 중공형 끼움장착구(321)와, 상기 끼움장착구(321)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장착공간부(324)가 마련된 수용파이프(323)와, 상기 끼움장착구(321)와 수용파이프(323)에 양측단이 결합되는 연결편체(325)와, 상기 수용파이프(323)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상기 체결연장구(316)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약액분무부(320)의 측면방향으로 비산시키는 비산노즐(326)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장착구(321)는 상기 체결연장구(316)를 수용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상기 끼움장착구(321)의 내주연에는 "ㄴ"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가이드편(3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연장구(316)의 외주연에는 상기 돌출가이드편(322)에 가이드되어 걸림되는 체결걸림편(319)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파이프(323)는 상기 끼움장착구(321)를 바라보는 일측이 개구된 통체로, 후술되는 비산노즐(326)이 상기 수용파이프(323)의 장착공간부(324)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편체(325)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단이 상기 끼움장착구(321)와 수용파이프(323)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연결편체가 상기 끼움장착구(321)와 수용파이프(323)를 기준으로 상호 대응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약액분무부(320)를 상기 바디부(310)에 조립하는 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약액분무부(320)의 끼움장착구(321)에 상기 바디부(310)의 체결연장구(316)가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체결연장구(316)에 형성된 체결걸림편(319)이 상기 끼움장착구(321)에 형성된 돌출가이드편(32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끼움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상기 약액분무부(320)를 회전시켜 상기 체결걸림편(319)이 상기 돌출가이드편(322)에 가이드되어 걸림된 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약액분무부(320)를 상기 바디부(310)에 신속하고 간단히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파이프(323)의 장착공간부(324)에 설치되는 상기 비산노즐(326)은 상기 체결연장구(316)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상기 약액분무부(320)의 측면방향으로 비산시켜 분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비산노즐(326)은 상기 수용파이프(323)의 장착공간부(324)로 끼워지는 삽입구(327)와 상기 삽입구(327)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수용파이프(323)의 단부에 걸림되는 비산체(32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연장구(316)와 마주하는 상기 비산체(328)의 하측면에는 상기 세라믹노즐(318)에서 분출된 액체를 넓은 방향으로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선회홈(329)이 형성되어 상기 세라믹노즐(318)에서 분출된 액체가 상기 선회홈(329)을 따라 선회하여 회오리 형태로 비산됨으로써 액체의 광범위한 안개분무형 비산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산체(328)의 하측면을 평평하게 형성하거나 오목하게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볼록하게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체의 비산각도 및 비산범위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사용장소 및 상황에 따라 상기 비산노즐(326)을 적절히 선택하여 상기 수용파이프(323)에 교체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고정부(330)는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하이동시,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330)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게 반원형 홈을 갖는 것으로, 상기 가압고정부(330)에는 상기 바디부(310)의 외측면에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단턱(331)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상기 회전가압부(350)의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 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길이방향으로 미끌려 상기 바디부(3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가압부(350)가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가압시,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바디부(31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부(310)에 걸림되는 상기 걸림단턱(331)에 의해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바디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고정부(330)의 설치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에서 상기 장착부설치홈(310c)방향으로 끼워넣는다. 이후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 방향으로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고정부위치홈(310b)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고정부(330)에 형성된 걸림단턱(331)은 상기 바디부(310)의 외측면에 걸림된 상태에 있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걸림단턱(331)은 상기 가압고정부(330)의 상하이동시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가압고정부(3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동시에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상기 가압고정부(330)의 일측면 즉 반원형 홈에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과의 마찰증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가압밀착되는 경우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에서의 미끌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고정부(330)에는 후술되는 회전가압부(350)의 길이방향 일측이 인입되는 수용홈(3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폐쇄장착부(340)는 상기 바디부(310)의 개구된 일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폐쇄장착부(340)에는 상기 바디부(310)에 형성된 상기 안내홈(314)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편(3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편(341)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에 걸림되어 상기 폐쇄장착부(340)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구(34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에서 상기 가이드편(341)을 상기 안내홈(314)에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폐쇄장착부(340)를 밀어넣게 되면 상기 가이드편(341)이 상기 안내홈(314)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상기 폐쇄장착부(340)의 스톱구(341)가 상기 바디부(310)의 측면에 걸림되어 상기 폐쇄장착부(340)가 더 이상 전진하지 않게 되어 상기 바디부(310)의 장착부설치홈(310c)에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폐쇄장착부(340)에는 회전가압부(350)가 나사결합되는 너트구(3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가압부(350)는 회전조작에 의해 상기 폐쇄장착부(340)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폐쇄장착부(340)에 설치되는 너트구(342)에 나사결합되는 왕복이동구(351)와 상기 왕복이동구(351)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임구(352)로 구성된다.
상기 조임구(352)를 회전시키면 상기 왕복이동구(351)가 상기 가압고정부(330)방향으로 전진하여 단부가 상기 가압고정부(330)에 형성된 수용홈(332)에 수용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가압고정부(330)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 방향으로 전진시켜 가압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약액비산수단(300)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액체 분사의 최적위치를 선정한 다음 선정된 위치의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공구를 이용하여 액체유출공(110)을 형성한다.
그런 후,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바디부(310)에 형성된 끼움구(311)가 상기 액체유출공(110)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바디부(310)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바디부(310)의 내측에 상기 가압고정부(330)와 폐쇄장착부(34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압고정부(330)와 폐쇄장착부(3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회전가압부(350)를 회전시켜 상기 가압고정부(330)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약액비산수단(300)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310)에는 상기 약액분무부(320)가 미리 장착되고, 상기 폐쇄장착부(340)에는 상기 회전가압부(350)가 미리 장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비산수단은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유체공급배관에 누구나 손쉽게 장착할 수 있어 설치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약액비산수단의 설치장소나 용도에 따라 비산노즐을 선택적으로 달리 적용하여 약액의 비산각도 및 비산반경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약액비산수단은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문제 발생시, 현장작업자가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약액비산수단을 통해 온실내부 및 축사내부에 약액을 미세 안개분무 형태로 살포할 수 있어 약액의 부유시간이 길어져 최적의 방제, 방역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수탱크(400)는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공급되는 약액이 수용된 통체의 구성으로,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는 수용된 약액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약액교반수단(500)이 설치되고,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개폐덮개(41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와 방제액이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에 의해 교반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약액의 형태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400)에는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투입수단(420) 및 방제액의 투입을 위한 방제액 투입수단(480)이 마련된다.
즉, 저수지나 하천, 지하수 등의 물을 상기 용수탱크(4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을 통해 투입하고, 상기 용수탱크(400)의 측면에 설치된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을 통해 방제액을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투입함으로써 종래 방제액을 투입하기 위해 사다리를 타고 용수탱크의 상부로 올라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방제액을 투입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함은 물론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을 통해 방제액을 여과하여 용수탱크에 투입함으로써 약액 분무시 발생하는 스프링클러나 분무노즐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은 도 7c 내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용수는 일반적으로 저수지나 하천, 지하수 등을 사용함에 따라 이러한 물을 그대로 스프링클러나 분무노즐을 통해 방제하는 경우 스프링클러나 분무노즐, 관로의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을 이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4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용수투입배관부(430)와, 상기 용수투입배관부(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연결구(440)와, 상기 배관연결구(4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451)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연결구(450)와, 상기 장착연결구(450)를 관통하여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451)에 삽입되는 돌출고정구(462a)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용수여과부(4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관연결구(440)를 상기 용수투입배관부(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용수여과부(460)를 상기 장착연결구(450)를 관통하여 장착하고, 이후 상기 장착연결구(450)를 상기 배관연결구(440)에 결합하여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을 상기 용수탱크(400)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수투입배관부(43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용수를 투입하기 위한 배관이 설치되고, 청소용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분기관(431)이 상기 용수투입배관부(430)로부터 분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의 상기 용수여과부(460)를 누구나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신속한 세척을 이룰 수 있고, 용수여과부의 지속적인 세척작업의 수행으로 인해 스프링클러 및 분무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용수여과부(460)는 상기 용수탱크로 용수의 투입시, 투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봉(461)와,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451)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고정구(462a)에 의해 상기 장착연결구(450)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걸림파지구(462)와,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구(46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쉬여과봉(461)은 상기 용수탱크(400)에 투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망체(461a)와, 상기 메쉬망체(461a)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골격구(461b)와, 상기 지지골격구(461b)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걸림파지구(462)에 형성된 연결홈부(462b)에 연결되는 결속구(461d)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구(462)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선단구(461c)와, 상기 지지골격구(461b)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되 상기 폐쇄구(463)에 형성되는 걸림돌출키(464)에 연결되는 잠금홈부(461f)를 매개로 상기 폐쇄구(463)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후단구(461e)로 구성된다.
상기 메쉬망체(461a)는 상기 지지골격구(461b)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골격구(461b)에 의해 상기 메쉬망체(461a)가 파지됨에 따라 용수탱크의 내부로 농업용 용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쉬망체(461a)의 흔들림 및 그로 인한 메쉬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단구(461c)는 상기 지지골격구(461b)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홈부(462b)와 결속구(461d)를 매개로 상기 걸림파지구(46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홈부(462b)는 상기 결속구(461d)가 결합되는 키인입홈(462c) 및 상기 키인입홈(462c)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인입홈(462c)과 각도를 달리하여 키인입홈(462c)과 연이어지는 키안착홈(462d)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선단구(461c)의 결속구(461d)를 상기 걸림파지구(462)의 키인입홈(462c)의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선단구(461c)를 상기 걸림파지구(462)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선단구(461c)를 회전시키면 상기 결속구(461d)가 상기 키안착홈(462d)에 안착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구(461e)는 상기 지지골격구(461b)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돌출키(464)와 잠금홈부(461f)를 매개로 상기 폐쇄구(463)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잠금홈부(461f)는 상기 걸림돌출키(464)가 결합되는 키삽입홀(461g) 및 상기 키삽입홀(461g)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삽입홀(461g)과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키삽입홀(461g)과 연이어지는 키고정홀(461h)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폐쇄구(463)의 걸림돌출키(464)를 상기 후단구(461e)의 키삽입홀(461g)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폐쇄구(463)를 상기 후단구(461e)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후단구(461e)를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돌출키(464)가 상기 키고정홀(461h)에 안착되면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여과봉(461)은 상기 선단구(461c)에 형성되는 결속구(461d)와 상기 후단구(461e)에 형성되는 잠금홈부(461f)를 매개로 다수개가 연이어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쉬여과봉(461)을 다수개 연이어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용수탱크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로 상기 메쉬여과봉(461)을 설치할 수 있어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걸림파지구(462)는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선단구(461c)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연결구(450)의 내측에 걸림된다. 이때, 상기 걸림파지구(462)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장착연결구(450)의 파지홈(451)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고정구(462a)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선단구(461c)의 결속구(461d)가 연결되는 연결홈부(462b)가 형성된다.
상기 폐쇄구(463)는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내부를 가려 폐쇄하는 것으로, 상기 폐쇄구(463)에는 상기 후단구(461e)의 잠금홈부(461f)와 연결되는 걸림돌출키(46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수탱크(400)의 하측방향을 향하는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길이방향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여과부고저부재(470)가 설치되는데, 이는 농업용 용수가 고압의 펌핑구동에 의해 상기 용수투입배관부(430) 및 상기 용수여과부(460)을 거쳐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수여과부(460)가 심하게 요동하게 되므로 상기 여과부고저부재(470)를 통해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길이방향 타측을 고정함으로써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일측은 상기 배관연결구(440) 및 장착연결구(45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나 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아 고압의 농업용수의 배출과정에서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타측이 심하게 요동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여과부고저부재(470)를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 마련하여 농업용수의 공급시 발생하는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요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측면에 일반 성인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 방제액을 용수탱크의 내측으로 손쉽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방제액 투입 작업을 고령의 농업인들도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러한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약제투입바디(481)와, 상기 약제투입바디(481)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탱크(400)로 투입되는 농업용 약제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약제 여과망체(487)와, 일측이 상기 약제투입바디(481)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488)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약제 여과망체(487)에 액체상의 농업용 약제를 투입하게 되면 상기 약제 여과망체(487)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상기 약제공급배관(488)을 거쳐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배출되어 방제작업의 진행시 스프링클러나 분무노즐, 관로의 막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제액을 용수탱크의 내부로 투입하는 작업이 간단하여 고령의 농업인뿐만 아니라 여성 농업인들도 손쉽게 용수탱크의 내부로 방제액을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방제액 투입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약제투입바디(481)는 상기 약제 여과망체(487)가 수용되는 중공형 수용구(482)와, 상기 수용구(482)의 하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약제공급유도구(483)와, 상기 약제공급유도구(483)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약제공급배관(488)에 연결되는 배출구(484)로 이루어진다.
즉, 농업인이 상기 약제 여과망체(487)에 액상의 농업용 약제를 투입하는 경우, 상기 약제 여과망체(487)에 의해 여과된 액상의 약제가 상기 약제공급유도구(483)를 따라 상기 배출구(484)방향으로 이동되면 일정한 수압이 형성되어 별도의 펌핑부재 없이도 상기 배출구(484)와 연결된 상기 약제공급배관(488)을 통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약제투입바디(481)의 수용구(482)는 상기 용수탱크(4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너트(485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485b)를 매개로 볼트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구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수용구(482)의 측면에 설치되는 걸림체(486b)가 상기 용수탱크(4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결착구(486a)에 걸림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수탱크(400)와 마주하는 상기 수용구(482)의 측면은 상기 용수탱크(400)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용수탱크(400)의 외주연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약제공급배관(488)에 별도의 세척분기배관(489)을 형성하여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의 세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약액교반수단(500)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제용고압펌프(413)와 토출관(414)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에서 분출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교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수평받침판(510)과,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에 연결되는 토출관(414)을 매개로 연결되고,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장착공(521)이 형성된 통체의 분기바디(520)와,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521)에 장착되되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노즐(531) 및 상기 수평받침판(510)과 수평되게 장착되는 수평노즐(532)로 이루어진 교반분출노즐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받침판(51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수탱크(400) 내부의 자체 수압이나 약액의 교반이나 분출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판(510)에는 다수개의 고정관통공(51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받침판(510)을 용수탱크의 바닥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관통공(511)을 관통하여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에 정착되는 별도의 고정구를 통해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에 수평된 상태로 견고히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평받침판(510)를 용수탱크(400)의 하부바닥면에 고정되지 않는 상태로 안착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와 연결된 토출관(414)을 상기 분기바디(520)의 상측에 연결한 후, 상기 용수탱크(40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밀어 넣어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의 수평받침판(510)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약액교반수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수탱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가의 경제적 이익 및 사용성의 향상을 높이고, 현장에서 즉시 보수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방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분기바디(520)는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장착공(521)이 형성된 통체의 부재로,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414)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바디(520)는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면 중앙부에 안착되어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하부면에서 관통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안착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기바디(5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장착공(521)은 상기 분기바디(520)에 장착되는 노즐의 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분기바디(520)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관(414)이 연결되는 중공형 연결구(522)가 상기 분기바디(520)의 내부와 연통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경사노즐(531)과 수평노즐(532)은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521)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관(414)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이 상기 분기바디(520)를 거쳐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를 통해 배출시,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흡입하여 배출한다.
즉, 상기 분기바디(520)로 유입된 고압이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경사노즐(531)과 수평노즐(53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 배출되는 고압에 의해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로 흡입되고,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내측으로 흡입된 약액이 고압으로 분출되는 압력에 의해 다시 상기 용수탱크(400)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경사노즐(531)과 수평노즐(532) 외주연에는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533)이 형성된다.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경사노즐(531)과 수평노즐(532)은 각각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521)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구(534)와 상기 결합구(534)에 일체로 연결되되 외주연에 상기 흡입공(533)이 형성된 분출구(53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기바디(520)방향에서 상기 분출구(536)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구(534)의 내부유로에는 상기 분출구(536)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작아지는 고압형성유로(535)가 마련되어 상기 분기바디(520)에서 분출된 펌프의 압력이 상기 고압형성유로(535)를 통해 상기 분출구(536)로 배출시 고압으로 분출되고, 그로 인해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이 상기 흡입공(533)을 통해 상기 분출구(536)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의 경사노즐(531)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수평노즐(532)은 상기 수평받침판(510)과 수평되게 장착되어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전체 약액이 수평회전과 하향회전을 이루면서 교반되어 방제작업을 진행하는 과정 중에 지속적인 교반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즉, 방제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에서 분출되는 고압의 압력이 상기 분기바디(520)를 거쳐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로 분출되면서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지속적으로 교반하게 되고, 이러한 교반작업은 방제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최적의 교반약액을 농작물에 살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액교반수단은 방제작업시 사용하게 되는 방제용고압펌프에 토출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방제용고압펌프에서 토출되는 고압을 이용하여 용수탱크에 수용된 약액을 방제작업이 끝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교반할 수 있어 방제 효과가 우수해지고, 약액의 침전방지는 물론 균일한 교반을 이룬 약액을 농작물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약액의 교반시간 및 노동력 절감을 통해 방제작업의 신속한 진행을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구성간 분해 및 조립을 누구나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설치상의 이점은 물론 현장에서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바디(520)의 상측에 중공형 연결대(540)를 직립되게 설치하고, 상기 연결대(540)의 상단에 상기 토출관(414)이 연결되는 보조교반노즐부(541)를 설치하여 대용량의 약액 교반시 효과적인 교반을 이룰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용수탱크에 대용량의 교반대상액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교반분출노즐부(530)와 보조교반노즐부(541)를 통해 효과적인 교반을 이룰 수 있게 됨에 따라 약액의 교반시간 및 노동력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전면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약액의 배출을 안내하는 약액유동배관부(600)가 설치되고,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여과수단(7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400)는 내부 바닥면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하향경사진 경사비탈면(411)으로 이루어져 상기 용수탱크(400)에 소량의 약액이 남는 경우,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잔존하는 이물질과 함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비탈면(411)을 따라 중앙부로 모인 약액이 이물질과 함께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여과홈(412)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중앙부에서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여과수단(700)은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에 수용된 약액은 상기 경사비탈면(411)에 의해 중앙부로 모이게 되고, 중앙부로 모인 약액은 상기 수용여과홈(41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의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에 약액이 소량 남게 되는 경우, 약액과 함께 이물질이 상기 경사비탈면(411)을 따라 상기 수용여과홈(412)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용된다.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소량의 약액과 이물질이 수용되어 이물질이 일정량 축적되면 후술되는 잔류배출배관(63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용수탱크의 내부 이물질의 지속적인 축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되는 약액은 상기 배출여과수단(70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여과된 상태로 배출되어 스프링클러와 같은 약액비산수단의 사용 및 고압 분무노즐 사용시, 상기 약액비산수단 및 고압 분무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관수, 방제, 방역, 액비살포 등 원하는 용도별로 장기간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출여과수단(700)은 도 13 내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수용여과홈(412)과 연통되게 설치되고,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부(711)가 형성된 중공형 장착구(710)와, 상기 장착구(7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412) 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부(711)에 삽입되는 고정돌출구(741)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여과봉(720)과, 상기 장착구(7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는 연결커플러(760)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구(710)는 중공형 부재로 상기 용수탱크(400)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공에 장착되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수용여과홈(412)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봉(720)이 상기 장착구(71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여과봉(720)의 일측단이 상기 장착구(710)의 내측에 걸림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상기 여과봉(720)에 형성된 고정돌출구(741)가 상기 장착구(710)에 형성된 파지홈부(7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여과봉(7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여과봉(720)은 상기 장착구(710)를 통해 상기 수용여과홈(412)방향으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고정돌출구(741)와 파지홈부(71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여과봉(7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길이방향 일측단과 타측단 사이가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여과봉(720)은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730)와,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부(711)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741)에 의해 상기 장착구(710)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742)가 형성된 파지체(740)와,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7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수용여과홈(412)으로 유입되어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에 축적되는 이물질이 상기 메쉬여과체(730)에 과도하게 흡착되어 약액의 여과성능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메쉬여과체(730)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메쉬망(731)과, 상기 메쉬망(731)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지골격(732)과, 상기 지지골격(732)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파지체(740)에 형성된 연결부(743)에 연결되는 결합구(534)를 매개로 상기 파지체(74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선단장착구(733)와, 상기 지지골격(732)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되 상기 이격지지구(750)에 형성되는 걸림락(752)에 연결되는 잠금구(736)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750)로부터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되는 중공형 후단장착구(735)로 구성된다.
상기 선단장착구(733)는 상기 지지골격(732)의 길이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743)와 결합구(534)를 매개로 상기 파지체(740)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결합구(534)는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돌출키이고, 상기 연결부(743)는 상기 제1돌출키가 결합되는 키홀(744) 및 상기 키홀(744)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홀(744)과 각도를 달리하여 키홀과 연이어지는 돌출키안착홈(7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제1돌출키를 상기 파지체(740)의 키홀(744)의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선단장착구(733)를 상기 파지체(740)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선단장착구(733)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돌출키가 상기 돌출키안착홈(745)에 안착되면서 상기 여과봉(720)을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장착구(735)는 상기 지지골격(732)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락(752)과 잠금구(736)를 매개로 상기 이격지지구(750)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써의 상기 이격지지구(750)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락(752)은 상기 이격지지구(75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돌출키이고, 상기 잠금구(736)는 상기 제2돌출키가 결합되는 결합홈(737) 및 상기 결합홈(737)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결합홈(737)과 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결합홈(737)과 연이어지는 락안착홈(7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지지구(750)의 제2돌출키를 상기 후단장착구(735)의 결합홈(737)의 입구에 결합한 후, 상기 이격지지구(750)를 상기 후단장착구(735)의 내측으로 밀어 넣은 다음 상기 후단장착구(735)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돌출키가 상기 락안착홈(738)에 안착되면서 상기 여과봉의 길이방향 타측을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파지체(740)에 형성되는 연결부(743)와 상기 선단장착구(733)에 형성되는 결합구(534), 상기 이격지지구(750)에 형성되는 걸림락(752)과 상기 후단장착구(735)에 형성되는 잠금구(736)는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파지체(740)에 형성되는 연결부(743)는 내주연에 형성되는 내산일 수 있고, 상기 파지체(740)의 연결부(743)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결합구(534)는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산으로써 상호간 나사결합을 이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단장착구(735)에 형성되는 잠금구(736)는 내주연에 형성되는 내산 일 수 있고, 상기 이격지지구(750)에 형성되는 걸림락(752)은 외주연에 형성되는 외산으로써 상호간 나사결합을 이뤄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쉬여과체(730)는, 상기 선단장착구(733)에 형성되는 결합구(534)와 상기 후단장착구(735)에 형성되는 잠금구(736)를 매개로 다수개가 연이어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다수개 연이어 연결되게 결합함으로써 용수탱크의 크기 및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여과홈(412)의 길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로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설치할 수 있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결합구(534)와 후단장착구(735)의 잠금구(736)가 외산 형상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상호 연결시 중간에 연결소켓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파지체(740)는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선단장착구(733)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구(710)의 내측에 걸림되는 것으로, 상기 파지체(740)에는 상기 파지구(742)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상기 여과봉(720)을 상기 수용여과홈(412)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파지체(7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장착구(710)의 상기 파지홈부(711)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돌출구(741)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결합구(534)가 연결되는 연결부(74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결합구(534)가 나사산인 경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부(743)도 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단장착구(733)의 결합구(534)가 돌출되는 형상의 제1돌출키인 경우, 상기 연결부(743)는 상기 제1돌출키가 결합되는 키홀(744) 및 상기 키홀(744)이 끝나는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키홀(744)과 각도를 달리하여 키홀과 연이어지는 돌출키안착홈(7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격지지구(750)는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후단장착구(735)가 연결되는 연결몸체(751)와, 상기 연결몸체(751)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상기 수용여과홈(412)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지지편(75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몸체(751)에는 상기 후단장착구(735)의 잠금구(736)와 연결되는 걸림락(75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커플러(760)는 상기 장착구(71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장착구(7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된다.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는 상기 연결커플러(760)에 연결되는 연결관(610)과, 상기 연결관(610)에 분기되게 형성되되 상기 여과봉(720)의 내측으로 용수를 유입하여 상기 여과봉(720)을 역세척하기 위한 용수유입배관(621) 및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배출하는 약액배출배관(622)으로 이루어진 분기부(620)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용수유입배관(621)과 약액배출배관(622)에는 각각 차단밸브(62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약액배출배관(622)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차단하고, 상기 용수유입배관(621)에 설치된 차단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여과봉(720)의 역세척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용수탱크(400)에는 상기 수용여과홈(412)의 내측에 수용된 소량의 약액과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잔류배출배관(63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용수탱크(400)에 수용된 약액을 사용한 후, 일정량의 약액만이 상기 용수탱크(400)에 남아 있게 되면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이물질이 축적되어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잔류배출배관(630)을 개방함으로써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수용된 이물질이 소량의 약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봉(720)을 역세척한 후, 상기 수용여과홈(412)에 이물질과 세척용수가 수용된 경우 상기 잔류배출배관(630)을 개방하여 상기 여과봉(720)으로부터 떨어내진 이물질과 세척용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출여과수단의 여과봉을 상기 용수탱크의 내부에 누구나 손쉽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현장에서 여과봉의 신속한 세척작업 및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여과봉의 지속적인 세척작업의 수행으로 인해 약액비산수단의 막힘현상이 방지되어 방제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과봉을 상기 용수탱크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용수유입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가능함에 따라 여과봉의 세척작업을 즉시 수행할 수 있어 방제작업의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용수탱크의 크기나 작업상황 및 이물질의 여과효율을 높여야 하는 경우, 다수개의 여과봉을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는 상기 약액비산수단(300)의 사용정지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약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퇴수밸브(8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은 중앙부에서 상기 자동퇴수밸브(800)가 설치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자동퇴수밸브(800)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장착되는 밸브바디(810)와, 상기 밸브바디(8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820), 퇴수밀대(830), 상기 밸브바디(810)에 결합되는 앤드캡(840) 및 상기 앤드캡(840)의 내측에 설치되는 버그차단망(8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바디(810)는 중공형 부재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일측단에 장착되는 중공형 배관장착구(811)와,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형 연장결합구(812)와, 상기 연장결합구(812)에서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돌출끼움구(81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연장결합구(812)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결합구(812)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기 돌출끼움구(81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구(812)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이 연결되는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길이방향 타측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결합구(812)의 외경은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외주연과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주연 사이에는 이격공간부(814)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부(814)에는 후술되는 탄성스프링(820)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나사산이 형성된 방향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퇴수망체(860)가 안착되는 단턱(815)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단부에 별도의 연결체(미도시)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체에 상기 밸브바디(810)의 배관장착구(811)가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스프링(820)은 상기 밸브바디(8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끼움구(813)를 수용하도록 끼움결합된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820)을 상기 이격공간부(814)로 밀어 넣어 상기 돌출끼움구(813)가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820)이 견고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퇴수밀대(830)는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밸브바디(810)의 배관장착구(811) 내측에 설치되어 스프링클러와 같은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작동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압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820)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을 폐쇄한다.
즉,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된 약액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설치된 상기 약액비산수단을 통해 분무된다. 이때,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된 약액의 공급압에 의해 상기 퇴수밀대(830)가 상기 돌출끼움구(813)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일측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을 폐쇄하게 된다.
이후,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약액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작동이 정지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퇴수밀대(830)에 가해지는 압력의 해제로 상기 탄성스프링(820)이 인장됨으로써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약액이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부를 거쳐 후술되는 앤드캡(840)의 배출공(8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퇴수밀대(830)는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단부에 연결되는 블록구(831)와, 상기 블록구(831)의 하측면 중앙부에서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연장봉(8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구(831)의 하측면에는 탄성재질의 기밀유지편(833)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단부에 밀착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공급되는 약액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연장봉(832)은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퇴수밀대(830)가 상기 밸브바디(810)의 내측에서 상항 왕복이동시 원활한 왕복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연장봉(832)의 외주연 직경은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주연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앤드캡(840)은 상기 밸브바디(810)의 연장결합구(812)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유체의 외부배출을 위한 배출공(84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앤드캡(840)의 내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바디(810)의 연장결합구(812)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을 통과한 약액은 상기 배출공(84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앤드캡(840)에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약액의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유출공(851)이 형성된 버그차단망(850)이 상기 배출공(841)이 형성된 방향의 내측 면부에 안착되어 상기 배출공(841)을 통한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버그차단망(850)은 상기 앤드캡(840)의 내측에 억지끼움되어 흔들림이 방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바디(810)의 배관장착구(811)에는 상기 퇴수밀대(830)의 상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버그차단망(850)의 유출공(85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출공(861)이 형성된 퇴수망체(86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퇴수망체(860)는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사용정지시,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인장으로 인해 상기 퇴수밀대(830)가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버그차단망(850)을 통과한 벌레의 배관 내 유입을 재차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출공(861)의 직경은 상기 버그차단망(850)의 유출공(851)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버그차단망(850)을 통과한 작은 크기의 벌레가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재차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유출공(851)을 통해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측에 일정한 유동압으로 분사되는 약액에 의해 상기 퇴수밀대(830)가 상기 돌출끼움구(813)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된 약액이 상기 유출공(851)을 통과하여 상기 퇴수밀대(830)의 상측에 타격됨에 따라 상기 퇴수밀대(830)가 상기 탄성스프링(820)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출끼움구(813)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퇴수망체(860)에 의해 상기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어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이 상기 밸브바디(810)의 내측에 축적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방해하거나 상기 버그차단망(850)에 축적되어 잔류 약액의 외부배출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퇴수망체(860)의 상측에는 요동방지패킹(862) 설치되는데, 상기 요동방지패킹(862)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사용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되는 약액에 의한 상기 퇴수망체(860)의 요동을 방지하여 원활한 이물질 걸림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요동방지패킹(862)의 내주연에는 다수개의 돌출체(86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동방지패킹(862)은 상기 밸브바디(810)의 배관장착구(811) 내측에 억지끼움에 의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퇴수밸브는 스프링클러와 같은 약액비산수단의 작동정지시, 배관에 남아 있는 잔류약액이 자동 배출토록 구성됨에 따라 배관내 약액의 증발로 인한 찌꺼기 및 이물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겨울철 배관에 남아 있는 약액으로 인한 배관의 동파방지와 더불어 여름철 배관에 남아 있는 고온의 약액이 농작물에 살포됨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퇴수밸브의 각 구성간 분해, 조립을 누구나 손쉽게 이룰 수 있어 설치상의 이점은 물론 퇴수밸브의 문제 발생시 신속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버그차단망과 퇴수망체에 의해 작은 크기의 벌레가 배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관 막힘이나 퇴수밸브의 막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체공급배관 내부의 잔류하는 약액이 상기 자동퇴수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배관 내 약액의 증발로 인한 찌꺼기 및 이물질 발생을 방지하고, 겨울철 유체공급배관에 잔류하는 약액으로 인한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름철 유체공급배관에 잔류하는 약액의 온도가 상승된 상태에서 약액비산수단의 작동시 고온의 약액이 농작물에 살포됨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는 상기 용수탱크(400)에 설치되는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된 약액을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방제작업을 진행하는 중에는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가 지속적으로 구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방제용고압펌프(413)와 연결된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에 의한 약액의 교반을 방제작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격대(10)에 상기 배관고정수단(200)을 통해 유체공급배관(100)를 고정되게 설치하는 경우, 상기 배관고정수단(200)과 더불어 상기 골격대(10)의 상측에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배관지지클립(150)을 구비하여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10: 골격대 100: 유체공급배관
110: 액체유출공 150: 배관지지클립
200: 배관고정수단 210: 클램프
220: 몸체부 230: 배관가압부재
240: 커버부재 250: 가압고정부재
300: 약액비산수단 310: 바디부
320: 약액분무부 330: 가압고정부
340: 폐쇄장착부 350: 회전가압부
400: 용수탱크 410: 개폐덮개
420: 용수투입수단 430: 용수투입 배관부
440: 배관연결구 450: 장착연결구
460: 용수여과부 470: 여과부고정부재
480: 방제액 투입수단 500: 약액교반수단
510: 수평받침판 520: 분기바디
530: 교반분출노즐부 540: 연결대
600: 약액유동배관부 610: 연결관
620: 분기부 630: 잔류배출배관
700: 배출여과수단 710: 장착구
720: 여과봉 730: 메쉬여과체
740: 파지체 750: 이격지지구
760: 연결커플러 800: 자동퇴수밸브
810: 밸브바디 820: 탄성스프링
830: 퇴수밀대 840: 앤드캡
850: 버그차단망 860: 퇴수망체

Claims (10)

  1. 온실 또는 축사의 내부에 약액을 살포하도록 이루어진 방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실 또는 축사 내부의 골격대(10)에 연결되는 유체공급배관(100)과,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을 유동하는 약액을 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약액비산수단(300)과, 내부로 투입되는 농업용수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용수투입수단(420)이 마련되고, 측면에 방제액의 투입을 위한 방제액 투입수단(480)이 마련된 용수탱크(400)와, 상기 용수탱크(400)의 전면 하부에 상기 약액의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배출여과수단(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에는 약액의 교반을 위한 약액교반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약액교반수단(50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수평받침판(510)과, 상기 수평받침판(510)의 상측에 설치되되 방제용고압펌프(413)에 연결되는 토출관(414)을 매개로 연결되고,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장착공(521)이 형성된 통체의 분기바디(520)와, 상기 분기바디(520)의 장착공에 장착되되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노즐(531) 및 상기 수평받침판(510)과 수평되게 장착되는 수평노즐(532)로 이루어진 교반분출노즐부(5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투입수단(420)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40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용수투입 배관부(430)와, 상기 용수투입 배관부(430)의 길이방향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연결구(440)와, 상기 배관연결구(44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되 내주연에 다수개의 파지홈(451)이 형성된 중공형 장착연결구(450)와, 상기 장착연결구(450)를 관통하여 상기 용수탱크(400)의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게 장착되되 상기 파지홈(451)에 삽입되는 돌출고정구(462a)에 의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용수여과부(4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여과부(460)는, 상기 용수탱크(400)에 투입되는 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봉(461)과,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파지홈(451)에 삽입되는 상기 돌출고정구(462a)에 의해 상기 장착연결구(450)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걸림파지구(462)와, 상기 메쉬여과봉(461)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되어 내부를 폐쇄하는 폐쇄구(4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용수탱크(400)의 하측방향을 향하는 상기 용수여과부(460)의 길이방향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여과부고저부재(4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액 투입수단(48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약제투입바디(481)와, 상기 약제투입바디(481)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되어 상기 용수탱크로 투입되는 농업용 방제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약제 여과망체(487)와, 일측이 상기 약제투입바디(481)에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약제공급배관(48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여과수단(70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외부하측면에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중공형 장착구(710)와, 상기 장착구(710)를 통해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로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장착구(710)에 고정되는 여과봉(720)과, 상기 장착구(7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약액유동배관부(60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연결커플러(7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봉(720)은, 상기 용수탱크(400)의 내부에 수용된 약액의 배출시, 배출되는 약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중공형 메쉬여과체(730)와,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장착구(710)에 걸림되게 고정설치되되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구가 형성된 파지체(740)와, 상기 메쉬여과체(730)의 길이방향 타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메쉬여과체(730)를 상기 용수탱크(4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지지구(7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약액비산수단(300)의 사용정지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약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퇴수밸브(8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퇴수밸브(800)는,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의 일측단에 장착되는 중공형 배관장착구(811)와,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길이방향 일측단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형 연장결합구(812)와, 상기 연장결합구(812)에서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상기 배관장착구(8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중공형 돌출끼움구(813)로 이루어진 밸브바디(810);
    상기 밸브바디(81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끼움구(813)을 수용하도록 끼움결합되는 탄성스프링(820);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밸브바디(810)의 배관장착구(811)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액비산수단의 작동시,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으로 공급되는 약액의 공급압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820)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출끼움구(813)의 내측을 폐쇄하는 퇴수밀대(830);
    상기 밸브바디(810)의 연장결합구(812)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유체의 외부배출을 위한 배출공(841)이 형성된 중공형 앤드캡(840);
    상기 유체공급배관(100)에 잔류하는 약액의 유동을 위한 다수개의 유출공(85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앤드캡(8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공(841)을 통한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는 버그차단망(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그차단망(850)의 유출공(85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분출공(86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퇴수밀대(83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액비산수단(300)의 사용정지시, 상기 탄성스프링(820)의 인장에 의한 상기 퇴수밀대(830)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버그차단망(850)을 통과한 벌레의 배관 내 유입을 재차 방지하는 퇴수망체(8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20160177679A 2016-12-23 2016-12-23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175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79A KR101753673B1 (ko) 2016-12-23 2016-12-23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PCT/KR2017/013173 WO2018117435A2 (ko) 2016-12-23 2017-11-20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79A KR101753673B1 (ko) 2016-12-23 2016-12-23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673B1 true KR101753673B1 (ko) 2017-07-06

Family

ID=5935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79A KR101753673B1 (ko) 2016-12-23 2016-12-23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3673B1 (ko)
WO (1) WO20181174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2961B (zh) * 2019-11-21 2024-02-13 宁波德业日用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药液脱臭方法和装置
CN113856285A (zh) * 2021-10-13 2021-12-31 东莞市鹏宇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印刷线路板生产设备的药水过滤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383Y1 (ko) 2002-06-04 2002-09-16 최상준 농약 분무용 교반 필터
KR101642888B1 (ko) 2016-01-13 2016-07-27 (주)파워레인 다목적 용수탱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029Y1 (ko) * 2001-08-30 2001-11-23 김면식 온실의 자동방제장치
KR100770368B1 (ko) * 2006-04-08 2007-10-26 박형호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200450333Y1 (ko) * 2007-01-26 2010-09-24 (주)엠.브이 농약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383Y1 (ko) 2002-06-04 2002-09-16 최상준 농약 분무용 교반 필터
KR101642888B1 (ko) 2016-01-13 2016-07-27 (주)파워레인 다목적 용수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435A2 (ko) 2018-06-28
WO2018117435A3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686B1 (ko) 온실 및 축사용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0770368B1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1753673B1 (ko)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1662749B1 (ko) 용수탱크의 외부내장형 여과장치
KR100896395B1 (ko) 인삼포의 방제 시스템
CN212464392U (zh) 一种便于清洗的农业生态灌溉装置
CN109430217B (zh) 一种喷雾机拌药与供药系统及方法
CN208512257U (zh) 一种具有清洗和自动配比药液功能的除臭设备
CN108541678B (zh) 一种具有环保性能的药水喷洒车
CN114097589B (zh) 一种基于作物需水量测量的自动灌溉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213214657U (zh) 用于天麻种植的滴灌设备
CN113558030B (zh) 一种新的荔枝自动化喷药系统
CN215613520U (zh) 一种中药加工用高压清洗装置
CN212936691U (zh) 简易山地果园水肥一体化装置
CN207854870U (zh) 一种植保用农药高效喷洒装置
CN104587503A (zh) 土壤消毒装置
CN209234760U (zh) 一种喷雾机拌药与供药系统
CN208523428U (zh) 一种园林用洒水灌溉装置
KR101499749B1 (ko) 비닐하우스용 약액 분사장치.
KR950005941Y1 (ko) 농장의 방제 및 관수장치
KR101715805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퇴수밸브
CN209316574U (zh) 一种猪舍消毒装置
CN217242301U (zh) 一种葡萄用高效喷洒灌溉装置
CN219619379U (zh) 一种植保无人机雾化喷头
CN220345574U (zh) 一种用于农药生产的农药提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