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368B1 -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 Google Patents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368B1
KR100770368B1 KR1020060032108A KR20060032108A KR100770368B1 KR 100770368 B1 KR100770368 B1 KR 100770368B1 KR 1020060032108 A KR1020060032108 A KR 1020060032108A KR 20060032108 A KR20060032108 A KR 20060032108A KR 100770368 B1 KR100770368 B1 KR 10077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esticides
water
suction filter
cat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0600A (ko
Inventor
박형호
Original Assignee
박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호 filed Critical 박형호
Priority to KR102006003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6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0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08Tanks, chassis or related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을 저장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바닥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의 중심에는 집수구가 형성된 약액탱크에 있어서, 상기 약액탱크의 바닥면 중앙에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은 오목한 형태의 집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구의 내경이 흡입필터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여유공간의 일측에는 배수로를 상기 집수구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하되 끝단에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되는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처럼 본 발명은 약액탱크 내에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구조의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물과 농약이 상하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인 교반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로 인해 농약의 농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농약의 약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물의 약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또한 본 발명은 집수구의 내경을 흡입필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집수구의 일측에 배수로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로의 외측에 드레인밸브를 형성함으로써 농약살포 완료 후 바닥면 중심에 쌓이는 이물질을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약액탱크, 교반, 분사

Description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Tank for agricultural chemicals}
도 1 - 종래의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 본 발명의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에 대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 도 2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이하 '약액탱크'라 함)
110: 통체(筒體) 120: 경사면
130: 집수구 (集水溝) 131: 여유공간
140: 배수로 141: 드레인밸브
145: 함몰부 150: 흡입필터
151: 흡입호스 152: 고정구
160: 분사노즐 161: 분사호스
162: 지지대 C: 이물질
본 발명은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살포 후 약액탱크 내에 잔존하게 되는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을 외부로 쉽게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물과 농약의 혼합시 그 혼합효율을 향상시켜 농약의 약리효과를 증대시키므로 병충해에 대한 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용으로 사용되는 탱크는 병충해에 대한 작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과 농약(비료 포함)을 혼합하고 그 혼합액을 작물에 분무가능케 하기 위한 저장용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전의 탱크에는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편리한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또 물과 농약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농약이 침전되고 결국 상부층과 하부층의 농약농도가 서로 달라지게 됨으로써 균일하지 못한 농약살포가 이루어져 농작물의 약해가 발생하거나, 너무 농도가 낮은 농약의 살포로 인한 병충해 방제효과가 떨어지는 우려를 갖는 것이다.
즉 종래의 탱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농약을 저장하는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바닥면이 중심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20)을 형성하도록 하되, 흡입호스(41) 유입단의 흡입필터(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집수구(30)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흡입필터(40)의 흡입호스(41)는 펌프나 공기압축기의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펌프나 공기압축기에 형성된 분사기를 통해서 농약을 살포하 는 구조를 갖는 것이어서 농약의 낭비를 방지하고 통체 내에서 흡입호스의 요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나, 이물질 제거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기 흡입필터의 표면에 이물질이 잔존하게 되면 오히려 흡입필터의 흡입효율을 떨어뜨리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과 농약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이 형성된 탱크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999-0028914호 방제용 약탱크와 같은 고안이 출원된 바 있으나 이는 탱크의 내부에 교반관을 형성하고, 상기 교반관에 다수개의 노즐을 형성하여 농약을 와류시키고 이로 인해 물과 농약을 교반시키는 구조인바, 이는 노즐을 통해 물이 수평으로 분사되므로 와류 역시 수평으로 흐름이 형성되어 비중이 다른 농약과 물의 교반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관은 탱크의 바닥에 형성된 구조여서 상당한 수압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분사압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현재 사용되는 약액탱크들은 탱크의 용량이 매우 커 바닥에 쌓인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을 치우기가 용이한 일이 아니고, 결국 이물질 제거를 위해서는 무겁고 큰 탱크를 뒤집어서 고압의 물을 뿌려서 씻어내는 방법밖에 없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약액탱크의 바닥면 중앙에 집수구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구의 넓이를 흡입필터보다 넓게 형 성하여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는 여유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여유공간에 모인 이물질을 상기 여유공간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로와 드레인밸브를 통해 손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구에 흡입필터를 고정구와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는 분사노즐을 형성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탱크 내부의 물과 농약이 상하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교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농약을 저장하는 통체(110)와, 상기 통체(110)의 바닥면이 중심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경사면(120)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120)의 중심에는 집수구(30)가 형성된 약액탱크(100)에 있어서, 상기 약액탱크(100)의 바닥면 중앙에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은 오목한 형태의 집수구(130)를 형성하되, 상기 집수구(130)의 내경(內徑)이 흡입필터(150)의 외경(外徑)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는 여유공간(131)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여유공간(131)의 일측에는 배수로(140)를 상기 집수구(13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하되 집수구(130)의 바닥보다 더 낮게 경사지도록 하며, 끝단에는 드레인밸브(141)가 설치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드레인밸브(141)는 약액탱크(100)의 하부에 탱크의 외곽(外廓)보다 움푹 들어간 함몰부(145)에 설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걸리적 거리는 것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약액탱크(100)에 유입된 이물질(C)들은 바닥면의 경사보다 낮고 중앙에 위치한 집수구(130)에 모이게 되고, 흡입필터가 집수구를 모두 막고 있는 구조의 종래의 약액탱크와는 달리 본 발명 약액탱크(100)는 집수구(130)가 흡입필터(150)보다 훨씬 넓어 충분한 여유공간(131)을 확보한 상태이므로 이물질(C)들이 집수구(130) 내로 모이게 되며, 이처럼 모인 이물질(C)들은 드레인밸브(141)를 열게 되면 배수로(140)를 타고 흘러 남은 농약과 함께 손쉽게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집수구(130)에 흡입필터(150)를 고정구(152)와 지지대(162)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유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162)의 상단에는 분사호스(161)에 연결된 분사노즐(160)이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분사노즐(160)의 분사공(160a)은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때 상기 분사공(160a)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분사공(160a)의 분사각은 지지대(162)를 중심으로 각각 15~60°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분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15~60°각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이유는 분사각이 너무 작으면 물이 거의 수직으로 분사되어 탱크 내부의 물이 와류를 형성하지 않게 되며, 너무 크면 물이 거의 수평으로 분사되어 물이 수평으로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물론 가장 바람직한 분사각은 45°이다.
따라서 약간 비스듬하게, 즉 약간 경사지게 물을 분사함으로써 탱크 내부의 물이 상하로 와류되어지고 농약과 물도 상하로 교반되어 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바닥에 있던 농도가 높은 농약이나 침전되어 있던 농약은 상부로 올라가게 되고, 상부의 농도가 낮은 농약은 하부로 내려오게 되어 서로 균일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분사공(160a)의 높이, 즉 분사높이는 바닥으로 부터 15~30cm가 바람직하며, 이는 분사공(160a)의 높이가 너무 낮을 경우 물의 분사압력이 아래 방향으로만 강하게 작용하므로 바닥에 있는 물만을 와류시키기 때문에 탱크 상부에 위치하는 물까지 와류시키기란 곤란하게 되고, 결국 농약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기 곤란한 단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공(160a)의 높이가 너무 높을 경우는 역시 물의 분사압력이 바닥면의 물까지는 미치기 곤란하므로 위쪽에서만 물의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바닥에 침전되어있는 농약을 상부로 올려 농약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분사공(160a)의 높이는 탱크의 용량과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크기, 대개 높이가 150cm의 탱크의 경우는 분사공(160a)의 높이는 18cm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필터(150)의 한쪽은 고정구(152)에 의해, 다른 한쪽은 지지대(162)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고정구(152)의 일측은 바닥면에 체결구, 즉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흡입필터(150)의 상단 일측부를 눌러서 고정하는 구조이고, 지지대(162)는 일측이 바닥면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흡입필터(150) 와 밀착되는 부분에 나사로 체결함으로써 흡입필터(150)를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흡입필터(150)의 고정을 위해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지지대(162)를 절곡시키고, 상기 절곡되어 돌출된 지지대의 일측 부위를 흡입필터(150)의 상단에 위치시켜 눌러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약액탱크(100)의 분사구조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약액탱크(100)에 저수지로부터 물을 충분히 공급한 후, 적정비율의 농약을 투입하여 혼합하도록 한다. 다음 흡입호스(151)와 분사호스(161)를 펌프나 공기압력기와 같은 동력장치에 연결하고, 상기 동력장치를 작동하면, 상기 흡입호스(151)는 집수구(130) 일측에 결합고정된 흡입필터(150)로부터 농약을 흡입하여 동력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농약은 동력장치의 분무기를 통해서 작물에 분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동력장치에 전달된 농약의 일부는 다시 분사호스(161)를 통해서 분사노즐(160)을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160)에 형성된 한 쌍의 분사공(160a)에 의해 약액탱크 내에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침전된 농약을 상하로 와류시켜 물과 농약의 지속적인 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농약살포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흡입필터(150)의 외측, 즉 집수구(130)에는 흙이나 모래와 같은 이물질(C)이 쌓이게 되는데, 그 이물질(C)은 드레인밸브(141)를 개방함으로써 배수로(140)를 통하여 통체(110)의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약액탱크 내에 상부에서 하부로 물을 분사하는 구조의 분사노즐을 형성하여 물과 농약이 상하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인 교반이 이루어지게 하고, 이로 인해 농약의 농도를 항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농약의 약리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물의 약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구의 내경을 흡입필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집수구의 일측에 배수로를 형성하되 상기 배수로의 외측에 드레인밸브를 형성함으로써 농약살포 완료 후 바닥면 중심에 쌓이는 이물질을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들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농약을 저장하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바닥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중심에는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은 오목한 형태의 집수구가 형성된 약액탱크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의 내경이 흡입필터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여유공간의 일측에는 배수로를 상기 집수구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하되 끝단에는 드레인밸브가 설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바닥에 체결구에 의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분사공을 구비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분사공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공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사공의 분사각은 지지대를 중심으로 각각 15~45°각을 가지며, 분사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5~30cm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필터는 일측은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고, 타측은 지지대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20060032108A 2006-04-08 2006-04-08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077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108A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6-04-08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108A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6-04-08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600A KR20070100600A (ko) 2007-10-11
KR100770368B1 true KR100770368B1 (ko) 2007-10-26

Family

ID=3880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108A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6-04-08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3Y1 (ko) 2007-01-26 2010-09-24 (주)엠.브이 농약탱크
KR101133534B1 (ko) 2010-07-22 2012-04-04 남성화학(주) 결정성 침전 슬러지를 함유하는 양액 비료 교반 및 이송장치
KR101317964B1 (ko) * 2011-11-24 2013-10-14 박노길 농약 희석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233Y1 (ko) * 2014-12-05 2015-05-28 김석모 자동차의 흡기장치를 클리닝하는 흡기 클리닝 장치
KR101637531B1 (ko) * 2015-12-29 2016-07-07 이경재 무인방제장치
KR101642888B1 (ko) * 2016-01-13 2016-07-27 (주)파워레인 다목적 용수탱크
KR200482093Y1 (ko) * 2016-05-31 2016-12-14 강희환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KR101753673B1 (ko) * 2016-12-23 2017-07-06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CN109121496B (zh) * 2018-07-20 2021-10-19 嵊州市瑞草花木专业合作社 一种农业蔬菜种植多功能设备
CN109156457A (zh) * 2018-08-31 2019-01-08 合肥桴槎山软籽石榴研发有限公司 一种农业生产种植用农药喷洒装置
KR102305788B1 (ko) 2019-10-01 2021-09-30 송준복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CN113057005B (zh) * 2021-05-07 2021-11-19 安徽迪万科技有限公司 一种稻田用随水施肥的灌排系统
KR20240063605A (ko) 2022-11-03 2024-05-10 강순택 핸디형 농약 희석 투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395U (ko) * 1999-01-27 2000-08-25 박문수 세척이 편리한 농약통
KR200296160Y1 (ko) 2002-09-05 2002-11-22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0323804Y1 (ko) 2003-04-09 2003-08-19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190000830U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395U (ko) * 1999-01-27 2000-08-25 박문수 세척이 편리한 농약통
KR200296160Y1 (ko) 2002-09-05 2002-11-22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0323804Y1 (ko) 2003-04-09 2003-08-19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190000830U (ko) * 2017-09-25 2019-04-03 (주)휴이스 단열재 시공을 위한 간격유지구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33Y1 (ko) 2007-01-26 2010-09-24 (주)엠.브이 농약탱크
KR101133534B1 (ko) 2010-07-22 2012-04-04 남성화학(주) 결정성 침전 슬러지를 함유하는 양액 비료 교반 및 이송장치
KR101317964B1 (ko) * 2011-11-24 2013-10-14 박노길 농약 희석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600A (ko)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368B1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1370690B1 (ko)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KR100644763B1 (ko) 야채 세척기
CN108323412B (zh) 农业种植用灌溉装置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101430811B1 (ko) 농업용 살포기
KR20110071346A (ko) 농약 살포용 동력분무기
CN208739961U (zh) 一种节能农药化肥并用喷洒机
CN114097589B (zh) 一种基于作物需水量测量的自动灌溉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3598144B (zh) 一种林业用具有施肥功能的除虫装置
CN210202473U (zh) 一种农家肥的水肥灌溉输送装置
KR101730789B1 (ko) 노즐의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농작물용 스프링클러
CN207854481U (zh) 板蓝根种植用水肥一体化灌溉系统
CN211745546U (zh) 一种绿化墙
CN105994229B (zh) 药液搅拌器及带有该药液搅拌器的喷雾器
CN206024722U (zh) 园林喷雾灌溉器
CN213586901U (zh) 一种小面积施肥机
CN214046646U (zh) 一种李子树种植用自动喷灌装置
CN209983388U (zh) 喷洒药箱搅拌清洗设备
KR200482093Y1 (ko)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CN212325214U (zh) 一种农业种植用喷药装置
KR200182517Y1 (ko) 방제용 약탱크
CN213892918U (zh) 一种农业喷药无人机的发散式药液喷洒装置
KR200250884Y1 (ko) 원예 축산용 안개분무장치
KR100392238B1 (ko) 방제용 약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