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333Y1 - 농약탱크 - Google Patents

농약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333Y1
KR200450333Y1 KR2020080000952U KR20080000952U KR200450333Y1 KR 200450333 Y1 KR200450333 Y1 KR 200450333Y1 KR 2020080000952 U KR2020080000952 U KR 2020080000952U KR 20080000952 U KR20080000952 U KR 20080000952U KR 200450333 Y1 KR200450333 Y1 KR 200450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irring
pesticide
medicin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988U (ko
Inventor
최수호
Original Assignee
(주)엠.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브이 filed Critical (주)엠.브이
Priority to KR2020080000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33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9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3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탱크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농약과 물이 희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어, 농약 및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직립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내의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경사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가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와; 상기 지지대와 배출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일단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 내의 희석된 약재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잔류농약이 최소화되며, 방제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농약탱크, 농약, 희석, 교반, 잔류농약

Description

농약탱크 {Agrichemical tank}
본 고안은 농약탱크에 관한 것이다.
농가에서 재배하는 농작물 및 과수를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농약을 살포하게 되는데, 이전에는 재배자가 직접 분무기를 들고 일일이 수작업으로 살포하였으나, 최근에는 방제장비의 발달로 보다 넓은 경작지 및 과수지에 농약을 단시간 내에 살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방제장비는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엔진동력을 이용하여 흡입압력에 의해 농약을 흡입한 후 살포하는 원리를 적용한 고압 분사기가 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이 고압 분사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기 위해서는, 농약과 물을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통에 담아 일정비율로 혼합한다. 이때,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막대를 이용하여 농약과 물을 골고루 희석시킨다.
그런 다음 고압 분사기의 흡입구를 상기 통에 넣어서, 상기 통 내에 희석된 약재를 흡입하여 고압 분사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농약은 물보다 비중이 커서 방제작업을 실시하는 동안 통 바닥 으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약재가 일정한 농도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른 작업자가 상기 통을 계속 저어서 농약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통은 통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희석된 약재가 조금 남아 있을 경우에 상기 흡입구로 제대로 흡입이 되지 않으므로, 상기 통을 기울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상기 통을 기울이더라도 상기 통 내의 희석된 약재를 완전히 흡입하지 못함으로써, 통내의 약재가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청 출원번호: 20-1999-0028914 에는 "방제용 약탱크"가 게시되어 있다. 이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탱크본체의 바닥면에 흡입구홈을 함몰형성하고, 상기 흡입구홈의 외주에서 상기 탱크본체의 각 모서리까지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흡입구홈에 고압 분사기의 흡입구를 넣어서 약재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탱크본체의 바닥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탱크본체를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부재를 결합하여야 하므로, 상기 방제용 약탱크의 제작공정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운반 중이나 방제과정 중에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탱크본체로부터 이탈되어, 탱크본체 내의 희석된 약재가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압 분사기의 흡입구가 상기 탱크본체의 상방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흡입구홈에 결합되는 구조여서, 상기 흡입구로 공기가 유입될 경우 즉, 상기 흡입구보다 낮은 높이의 약재는 흡입할 수 없으므로 상기 흡입구홈 내의 약재를 완전하게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 내의 약재를 희석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이 교반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즉, 상기 교반관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방제작업을 실시하는 동안에는 역류되는 약재의 압력만으로는 상기 탱크본체 내의 약재를 희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방제작업이 실시되는 동안에는 고압 분사기의 배출구로 대부분의 압력이 분배되어, 역류되는 약재의 압력이 약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약화되어 상기 탱크본체 내의 약재를 희석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농약과 물이 희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직립되도록 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농약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체 내의 농약과 물을 희석하는 교반수단이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반수단의 고정이 편리하며, 상기 교반수단에 의해 방제작업을 실시하는 동안에도 농약과 물의 희석이 가능한 농약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압력을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약재를 흡입하고 분사하기 위한 흡입구 및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포함되는 동력분무기와 연결되는 농약탱크에 있어서, 바닥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농약과 물이 희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어, 농약 및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직립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내의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경사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가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와, 상기 지지대와 배출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일단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분무기의 흡입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내의 희석된 약재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는 교반관과, 일단은 상기 교반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분무기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역류되는 약재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교반연결관과, 상기 교반연결관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연결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교반연결관 개폐밸브와,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교반관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연결관을 통해 상기 동력분무기에서 역류되는 약재를 상기 본체 내부로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물과 약재가 교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농약탱크에 의하면, 본체와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지지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 내의 농약을 희석시키는 교반수단을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은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배출관을 통해 동력분무기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 내의 약재를 모두 분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 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저면을 보인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농약탱크(1)는 대략 직육면체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대(80)에 의해 주요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 및 지지대(80)는 피이(PE;polyethylene)와 같은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 및 지지대(80)와 대응되는 형상의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즉, 상기 본체(10) 및 지지대(80)는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全面)에는 상기 본체(10)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11)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변형방지부(11)는 상기 본체(10)의 사출성형 조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일부가 함몰 또는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물 및 농약이 투입되는 투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2)는 뚜껑(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물 및 농약을 투입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입구(12)는 개방되며, 물 및 농약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뚜껑(14)에 의해 상기 투입구(12)는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 내의 농약을 희석할 때나 상 기 농약탱크(1)를 방제작업할 장소로 이동할 때, 상기 본체(10) 내에 희석된 약재가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에는 경사면(16)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6)은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테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16)의 각 모서리에는 안내홈(17)을 형성하여, 상기 안내홈(17) 및 경사면(16)을 따라 상기 본체(10) 내의 희석된 약재가 상기 본체(10)의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경사면(16)에는 상기 본체(10) 내에 희석된 약재가 상기 안내홈(17) 및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모이도록 하는 배출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20)는 상기 경사면(16)에서 상기 본체(10)의 하방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출부(20)를 통해 희석된 약재가 배출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에 잔류약재를 남기지 않고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출부(20)의 상측에는 상기 투입구(12)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름망(미도시)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20)의 측벽에는 상기 본체(10) 내의 희석된 약재가 배출되는 배출구(22)가 천공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2)에는 농작물 또는 과수에 농약을 분사하는 동력분무기의 흡입구(미도시)와 연결되는 배출관(30)이 결합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배관으로 구성되며,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30)의 일단은 배출관 결합부(40)에 의해 상기 배출구(22)에 결합된다. 상기 배출관 결합부(40)는 일단이 상기 배출구(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배출구(22)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피팅(42)과, 상기 본체(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상기 피팅(42)의 일단에 결합되는 너트(46)와, 상기 피팅(42)과 상기 본체(10)의 벽면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10) 내의 희석된 약재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킹(4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피팅(42)은 외주면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2)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22)를 관통하는 관통부(44)와, 상기 관통부(44)의 좌측(도2에서 볼때)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2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는 중공형성되어 상기 투입구(12)와 배출구(22)가 연통시킨다.
이하 상기 배출관 결합부(4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패킹(48)을 상기 관통부(44)에 끼운 상태에서 관통부(44)를 상기 배출구(22)를 통과시켜서, 상기 관통부(44)가 상기 본체(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상기 관통부(44)에 너트(46)를 체결하여, 상기 배출관 결합부(40)를 상기 배출구(22)에 고정한다. 이후 상기 배출관(30)의 일단을 상기 관통부(4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지지대(80)에 형성된 배출관 관통홀(82)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30)의 단부에는 상기 배출관(3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밸브(32)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32)는 밸브 손잡이를 상기 배출관(30)과 나란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관(30)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볼밸브(Ball valv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배출관(30)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배출관 개폐밸브(32)의 일단은 상기 동력분무기의 흡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분무기로 상기 본체(10) 내의 희석된 약재를 살포하여, 농작물 및 과수의 병해충을 방제한다.
한편, 상기 경사면(16)에는 상기 본체(10) 내부의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는 교반수단(50)이 구비된다. 상기 교반수단(50)은 상기 경사면(16)에 고정되는 교반관(52)과, 상기 교반관(52)에 결합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는 분사노즐(56)과, 상기 교반관(52)과 연결되어 상기 동력분무기로부터 역류되는 약재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교반연결관(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교반연결관(58)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양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교반관(52)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의 양단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기 교반관(52)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10)에 투입된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도록 와류를 발생시키는 분사노즐(56)이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교반관(52)이 상기 교반연결관(58)과 연통되도록 하는 교반관 연결부(53)가 형성된다.
상기 분사노즐(56)은 동력분무기에서 역류되는 약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본체(10)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와류에 의해 농약과 물을 희석시킨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6)은 상기 교반관(52)에 다수 개가 구비되며, 일정한 방향으로 와류를 발생시키도록 다수의 분사노즐(56)을 적절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56)은 대략 "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56)의 배출구가 상기 교반관(52)의 외주면 접선과 평형하도록 상기 교반관(52)에 결합된다. 즉, 방제작업 시에 동력분무기의 배출구로 대부분이 압력이 걸려 역류되는 약재의 압력이 약하더라도 "ㄱ" 형상의 상기 분사노즐(56)을 통과하면서 역류되는 약재의 압력이 높아져 강력한 힘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방제작업을 하는 중에도 강력한 와류를 발생하여 농약을 희석시키며, 동력분무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재의 압력에는 변화가 없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56)의 일단에는 상기 교반관(52)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6)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교반관(52)에 결합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6)의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체(10)에 급수되는 물의 양 및 농약의 농도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56)의 분사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와류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농약이 골고루 희석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교반관 연결부(53)는 연결관 결합부(40a)에 의해 상기 교반연결관(58)과 연통되도록 상기 경사면(16)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관 결합부(40a)는 전술한 배출관 결합부(40)와 동일한 구성 즉, 피팅(42), 너트(46), 패킹(48)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직경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교반관 연결부(53)는 상기 걸림부(43)의 내주면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교반관(52)은 상기 경사면(16)의 상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관통부(44)에는 대략 "ㄴ" 형상의 엘보(49)가 더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44)와 연통되는 배관의 방향으로 전환하며, 상기 엘보(49)에는 상기 교반연결관(58)의 일단이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연결관(58)의 타단은 상기 지지대(80)에 형성된 교반연결관 관통홀(84)을 관통하여 지지되며, 상기 교반연결관(58)의 단부에는 상기 교반연결과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교반연결관 개폐밸브(59)가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교반연결관 개폐밸브(59)는 밸브 손잡이를 상기 교반연결관(58)과 나란한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교반연결관(58)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볼밸브(Ball valv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교반연결관(58)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밸브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교반연결관 개폐밸브(59)는 방제작업 시 동력분무기의 역류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역류배관을 통해 역류되는 약재의 압력에 의해 상기 교반수단(50)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하측에는 지지대(8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80)에 의해 상기 본체(10)가 지지된다. 상기 지지대(80)는 동력분무기가 장착된 경운기나 트랙터의 짐칸에 실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80)는 상기 배출부(20)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하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0) 내지 교반수단(50)의 장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바깥쪽 바닥면과 상기 지지대(80) 사이에는 보강리브(86)가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에 담긴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이 처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농작물이나 과수의 병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방제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농약탱크(1)를 동력분무기가 설치된 경운기나 트랙터의 짐칸에 실은 다음, 동력분무기의 흡입구는 배출관 개폐밸브(32)에 연결하고, 동력분무기의 역류관은 교반연결관 개폐밸브(59)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뚜껑(14)을 개방하여, 투입구(12)를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에 적정량의 물과 농약을 투입한다. 적정량의 물과 농약의 투입이 완료되면, 상기 뚜껑(14)을 닫아서 상기 투입구(12)를 차폐한다.
이후, 배출관 개폐밸브(32) 및 교반연결관 개폐밸브(59)를 개방하여, 교반수단(50)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의 농약과 물이 희석시킨다. 상세하게는, 동력분무기의 역류관을 따라 역류되는 약재는 교반연결관(58)을 따라 교반관(52)을 순회하게 되며, 이렇게 상기 교반관(52)을 따라 순환하는 약재는 분사노즐(56)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고, 상기 분사노즐(56)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에 일정한 와류가 발생되어 농약과 물이 골고루 혼합된다.
상기와 같이 농약과 물이 희석되면, 방제작업을 실시한다. 이때에도, 동력분무기로부터 역류되는 약재는 상기 교반수단(50)으로 공급되며, 상기 교반수단(50)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지속적으로 와류가 생성되어, 농약이 침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속적으로 희석되는 약재는 상기 본체(10)의 제일 낮은 부분인 배출부(20)를 통해 동력분무기의 흡입구로 유입되므로 상기 본체(10)에 잔류 농약을 거의 남기지 않고 분사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내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의 저면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상에 따른 농약탱크를 상면에서 바라본 상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농약탱크 10. 본체
11. 변형방지부 12. 투입구
14. 뚜껑 16. 경사면
17. 안내홈 20. 배출부
22. 배출구 30. 배출관
32. 배출관 개폐밸브 40. 배출관 결합부
42. 피팅 43. 걸림부
44. 관통부 46. 너트
48. 패킹 49. 엘보
50. 교반수단 52. 교반관
53. 교반관 연결부 56. 분사노즐
58. 교반연결관 59. 교반연결관 개폐밸브
80. 지지대 82. 배출관 관통홀
84. 교반연결관 관통홀 86. 보강리브

Claims (1)

  1.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어 흡입압력을 생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약재를 흡입하고 분사하기 위한 흡입구 및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포함되는 동력분무기와 연결되는 농약탱크에 있어서,
    바닥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농약과 물이 희석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제공되어, 농약 및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가 직립되도록 하는 지지대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 내의 농약과 물을 희석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 경사면에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가 모두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와;
    상기 지지대와 배출부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본체 내에 희석된 약재의 무게에 의해 상기 경사면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일단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분무기의 흡입구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 내의 희석된 약재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관 개폐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교반수단은,
    상기 경사면에 고정되는 교반관과,
    일단은 상기 교반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분무기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역류되는 약재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교반연결관과,
    상기 교반연결관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연결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교반연결관 개폐밸브와,
    분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교반관에 결합되며, 상기 교반연결관을 통해 상기 동력분무기에서 역류되는 약재를 상기 본체 내부로 분사하여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물과 약재가 교반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이 포함되는 농약탱크.
KR2020080000952U 2007-01-26 2008-01-22 농약탱크 KR200450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952U KR200450333Y1 (ko) 2007-01-26 2008-01-22 농약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27 2007-01-26
KR2020080000952U KR200450333Y1 (ko) 2007-01-26 2008-01-22 농약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88U KR20080002988U (ko) 2008-07-30
KR200450333Y1 true KR200450333Y1 (ko) 2010-09-24

Family

ID=4132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952U KR200450333Y1 (ko) 2007-01-26 2008-01-22 농약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3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0358A4 (en) * 2016-01-13 2018-12-05 Powerrain Co.,Ltd. Multi-purpose water tan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874B1 (ko) * 2010-03-24 2010-10-08 전병욱 방제용 약액탱크
KR101753673B1 (ko) * 2016-12-23 2017-07-06 (주)파워레인 온실 및 축사에 사용되는 무인자동방제시스템
KR102305788B1 (ko) 2019-10-01 2021-09-30 송준복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KR20240063605A (ko) 2022-11-03 2024-05-10 강순택 핸디형 농약 희석 투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484A (ja) 2000-10-24 2002-05-08 Shigehiro Kuboura 薬液撹拌装置
KR200323804Y1 (ko) 2003-04-09 2003-08-19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0418962Y1 (ko) 2006-04-05 2006-06-14 최상준 수압펌프가 구비된 약액 교반기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7-10-26 박형호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484A (ja) 2000-10-24 2002-05-08 Shigehiro Kuboura 薬液撹拌装置
KR200323804Y1 (ko) 2003-04-09 2003-08-19 박형호 농약 저장용기
KR200418962Y1 (ko) 2006-04-05 2006-06-14 최상준 수압펌프가 구비된 약액 교반기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7-10-26 박형호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0358A4 (en) * 2016-01-13 2018-12-05 Powerrain Co.,Ltd. Multi-purpose water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88U (ko) 200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333Y1 (ko) 농약탱크
KR101876186B1 (ko) 액체기체 동시분사형 농약교반과 양수 고속공급의 일체형 교반 및 양수장치
US5609417A (en) Apparatus for mixing and circulating chemicals and fluids
KR100770368B1 (ko)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101557631B1 (ko) 액체 기체 동시 분사형 농약 교반기 및 이를 구비한 농약 교반 흡입 동시 구동형 어셈블리
US20060086759A1 (en) Dispenser assembly
CN101977674A (zh) 一次性混合容器
US20170333928A1 (en) Mixer for drawing and mixing a solid product with a liquid from a tank of a sprayer
KR20160017882A (ko) 자동교반 가능한 휴대용 농약분무기
US5816502A (en) Lawn chemical dispersal system
KR102222690B1 (ko) 농업용 분무기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FR3016302A1 (fr) Melangeur statique pour homogeneiser un melange d'au moins deux liquides et dispositif de dosage equipe d'un tel melangeur
US6715515B2 (en) Structure for loading chemicals into solution tanks
US20070102541A1 (en) System for failsafe controlled dispensing of liquid material
KR101834120B1 (ko) 방제용 분사장치
KR20110071346A (ko) 농약 살포용 동력분무기
KR101767945B1 (ko) 농약교반기 일체형 농약통
KR101827367B1 (ko) 농약용 살포기 어셈블리
KR102380667B1 (ko) 농약의 교반, 분사 및 양수가 가능한 일체형 장치
KR200438965Y1 (ko)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KR200182517Y1 (ko) 방제용 약탱크
KR100392238B1 (ko) 방제용 약탱크
KR200289383Y1 (ko) 농약 분무용 교반 필터
KR200482093Y1 (ko) 침전방지용 교반수단이 구비되는 필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