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788B1 -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788B1
KR102305788B1 KR1020190121851A KR20190121851A KR102305788B1 KR 102305788 B1 KR102305788 B1 KR 102305788B1 KR 1020190121851 A KR1020190121851 A KR 1020190121851A KR 20190121851 A KR20190121851 A KR 20190121851A KR 102305788 B1 KR102305788 B1 KR 10230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lution
drug
pipe
water
v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243A (ko
Inventor
송준복
송탁근
Original Assignee
송준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복 filed Critical 송준복
Priority to KR1020190121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01M7/0085Tanks
    • B01F15/00032
    • B01F15/00831
    • B01F15/02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8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liquids
    • B01F23/48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liquids using water for diluting a liquid ingredient, obtaining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or making an aqueous solution of a concen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45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 B01F35/1452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using fluids
    • B01F35/1453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using fluids by means of jets of fluid,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1Mixing receptacl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3Feed mechanisms comprising breaking packages or parts thereof, e.g. piercing or opening sealing elements between compartments or cartridges
    • B01F35/7131Breaking or perforating packages, containers or vials
    • B01F2003/0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4Mixing biocidal, pesticidal or herbicidal ingredients used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e.g. for spraying
    • B01F2215/000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약을 희석하는 약탱크에 배치되어, 약탱크에 저장된 물과의 희석을 요하는 약재원액이나 약재분말이 물과 희석된 희석액을 약탱크에 공급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측벽에 투과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희석공간을 갖는 희석조와; 상기 희석공간 내에 배치되어, 토출구를 통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희석공간 내에 토출하여서 희석공간 내에 순환 와류를 형성하는 급수 토출관부; 및 상기 입구가 밀봉된 약병의 입구를 절취 개봉하여 약병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을 희석공간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 절취 세정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취 세정 조립체는, 희석공간 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의 상단에 배치되어, 분출관의 상단에 하향 진입되는 약병의 입구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개봉날; 및 상기 분출관과 순환 급수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순환 급수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출관을 따라 개봉된 약병 내에 분출하여서, 약병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정하는 분배 밸브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Supplying apparatus for dilution of agricultural chemical}
본 발명은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을 희석하는 약탱크에 배치되어, 약탱크에 저장된 물과의 희석을 요하는 약재원액이나 약재분말을 물과 1차적으로 예비 희석하여 희석액을 생성한 다음, 상기 희석액을 약탱크 내로 분산 공급하여서, 약희석 과정에 약탱크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균일하게 용해 내지 혼입되지 아니한 희석액이 공급되어서 분무펌프나 분무노즐의 막힘 발생을 초래하는 현상을 예방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에서, 살충제, 제초제, 영양제 등의 다양한 약재원액을 저수저에 저장된 물과 설정비율로 희석한 다음 상기 희석된 약재를 작물에 살포하여서, 병충해나, 제초, 그리고 작물의 생육에 요구되는 영양분을 공급하여 병충해나 잡초에 의한 영양분의 손실과, 그리고 생육에 요구되는 영양분을 적기에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약재원액들은 액재나, 입재의 형태로 약병이나 약봉지에 포장되어, 약재의 살포시 작업자들이 현장에서 약병이나 약봉지를 개방시켜 약재원액을 약탱크에 저장된 물에 투입시켜 희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약재원액은 일반적으로 인체에 유해하므로, 약재원액을 작업자가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거나, 피부에 노출될 경우에, 약해를 입을 수 있어서 각별한 주위가 요구된다.
즉, 약재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농약 성분(분말 또는 기체)이 날리거나 외부로 유출하여 작업자의 호흡기 계통으로 마시거나 또는 손이나 팔, 옷에 묻는 등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밭이나 과수원 등에서는 트럭이나 차량을 이용한 약재살포장치 및 대용량 약탱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재를 대량으로 취급하기 때문에 그 위험성이 가중되고,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등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급한 개선을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상기 액재나 입재는 약탱크에 저장된 물에 균일한 농도로 혼입되어야, 작물에 해당 약재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예컨데 희석약재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작물에 약재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 희석약재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작물에 약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종래 농약 살포장치는 약탱크에 저장된 약재 희석액을 분무기 등의 고압분사수단이 흡입관을 통해 흡입한 다음, 고압 분사관을 통해 고압 분사노즐을 통해 미립되게 작물에 살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입관에는 고압분사수단, 고압 분사노즐에, 입도가 굵은 약재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레이너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약탱크 내에 저수된 약재 희석액에 희석된 약재가 미립되게 혼입되지 아니하면, 흡입관에 배치된 스트레이너의 막힘이 발생되어 고압분사수단의 과부하를 초래하기도 하고, 또 일부 스트레이너를 투과하여 고압 분사노즐로 이동된 약재 희석액에 포함된 약재에 의해 노즐의 막힘이 야기되어서, 지속적인 약액의 살포를 저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액약재를 보관한 약병이나 약봉지 내에 묻은 원액약재에 의해 2차적인 약해 등의 안전사고가 야기될 수 있는 바, 상기 약병이나 약봉지 내에 묻은 원액약재의 안전한 후처리가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고 제 10-1919323호에서 측벽에 투과 스크린이 형성된 희석조를 갖고, 상부에 희석조의 희석공간과 상하 연통하는 세척 투입구가 형성된 함체부와; 상기 희석조 내에 설치된 순환 공급관을 통해 물을 희석조의 희석공간 내에 토출시켜 희석공간 내에 와류를 형성하는 순환 급수부; 및 상기 순환 급수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순환 공급관을 따라 이동하는 물을 분배시켜 세척 투입구를 통해 희석공간 내로 진입된 약병, 또는 약봉지 내에 상향 토출시켜서, 약병, 또는 약봉지를 세척하는 분배형 세척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는, 약병에 수용된 약재원액과 약봉지에 수용된 분말약재를 외부 확산이나 피부 접촉없이 안전하게 투입 가능하고, 투입된 약재원액이나 분말약재는 희석공간 내에서 내부 순환하면서 균일하게 1차 희석된 다음, 투과 스크린을 투과하여 약탱크 내에 투입되어서 물과 2차 희석되어 약분무액을 형성하므로, 균일한 농도와 미립된 입자로 이루어진 약재를 희석한 약분무액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약병의 입구를 개봉하여 약재원액을 배출하는 구조와, 상기 약재원액을 배출한 약병 내에 물을 분출하여 약병의 내부를 헹굼 세정하여 약병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정하는 구조가 분리하여 구성된 관계로, 절취 투입과정을 실시한 다음, 상기 약병을 헹굼 세척구조로 이동하여 별도의 헹굼 세정을 도모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절취 투입과정을 실시한 약병을, 헹굼 세정구조로 이동함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야기되고, 또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에 따른 번거로움과 비용 증가를 야기하는 한계성이 지적되고 있다.
KR 10-1919323 B1 KR 10-2007-0100600 A KR 20-2008-0002988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약을 희석하는 약탱크에 배치되어, 약탱크에 저장된 물과의 희석을 요하는 약재원액을 물과 1차적으로 예비 희석하여 약탱크에 공급하는 것으로,
약재원액이 저장된 약병의 입구를 개봉하고 개봉된 입구를 통해 약병 내에 저장된 약재원액을 희석공간 내에 배출하는 절취 투입구조와, 상기 절취 투입구조를 통해 약재원액이 배출된 약병의 내부를 헹굼 세척하여 약병 내 잔류된 약액을 제거하는 헹굼 세척구조를 일원화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와 함께 사용의 편리성과 작업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는,
측벽에 투과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희석공간을 갖는 희석조와;
상기 희석공간 내에 배치되어, 토출구를 통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희석공간 내에 토출하여서 희석공간 내에 순환 와류를 형성하는 급수 토출관부; 및
상기 입구가 밀봉된 약병의 입구를 절취 개봉하여 약병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을 희석공간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 절취 세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취 세정부는, 희석공간 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의 상단에 배치되어, 분출관의 상단에 하향 진입되는 약병의 입구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개봉날; 및 상기 분출관과 급수 토출관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급수 토출관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출관을 따라 개봉된 약병 내에 분출하여서, 약병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정하는 분배 밸브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밸브유닛은 급수 토출관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분배공과; 상기 분배공의 상부에 분출관을 승강구조로 배치하는 승강 브라켓; 및 상기 승강구조로 배치된 분출관을 상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에 의해 상승된 분출관이 약병에 의해 가압에 의해 하강하여 분배공을 통해 급수 토출관부 내로 진입하면, 상기 급수 토출관부를 따라 이동하는 물은 분출관으로 분배되어 분출관의 상부로 상향 분출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 밸브유닛에는 상승된 분출관의 하강을 제어하는 스토핑 유닛이 부가되어,
상기 약병의 입구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배출과정에서는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승된 분출관을 지지하여 구속하고,
상기 약병 내에 물을 분출하는 헹굼 세정과정에서는 상기 스토핑 유닛은 분출관의 지지 구속을 해제하여, 가압에 의해 급수 토출관부와 분출관이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핑 유닛은 수평 지지구간과, 상기 지지구간의 측부에 연통하여 형성된 승강구간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핑 레일을 갖는 가이드편과; 상기 분출관의 일편에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의 등각 회전에 의해 지지구간과 승강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스토핑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희석조의 내벽에는 투과 스크린에 형성된 투과공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투과공들이 형성된 보조 투과 스크린 부재가 적층하여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희석조 내에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을 일원화되게 수행하는 개량된 절취 세정부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절취 세정부에 의해 약병을 개봉하여 약병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를 희석조의 희석공간 내에 투입하는 절취 투입과정과, 약재원액을 배출한 약병을 헹굼 세정하는 헹굼 세정과정을 일원화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종래 구조적으로 분리 구성되어 절취 투입과정과 약병 헹굼 세정과정을 분리 실시함에 따른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약병의 이동과정 중에 약재원액의 외부 누출이 방지되며, 또한 구조의 간소화가 이룩되어 제조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된 약재원액이나 분말약재는 희석공간 내에서 내부 순환하면서 균일하게 1차 희석된 다음, 투과 스크린을 투과하여 약탱크 내에 투입되어서 물과 2차 희석되어 약분무액을 형성하므로, 균일한 농도와 미립된 입자로 이루어진 약재를 희석한 약분무액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희석조 내에 배치된 순환 날개에 의해 희석공간 내에 와류를 형성하므로 투입된 약재와의 안정되고 신속한 희석이 가능하고, 또 약재 입자들이 보다 미세하게 분산되어서, 균일한 농도와 미립된 입자로 이루어진 약재를 희석한 약분무액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를 약탱크에 배치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상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있어, 절취 세정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있어, 절취 세정부를 통한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도 5a는 절취 투입과정을 도 5b는 헹굼 세정과정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를 약탱크에 배치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상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있어, 절취 세정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에 있어, 절취 세정부를 통한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도 5a는 절취 투입과정을 도 5b는 헹굼 세정과정을 각각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된 약탱크(T)의 입구에 배치되어, 약병(10)이나 약봉지(20)를 통해 투입되는 약재원액이나 약재분말을 물을 통해 1차 희석시켜 희석액을 형성한 다음, 상기 1차 희석액을 물이 저수된 약탱크(T)에 투입시켜서, 희석액과 물이 균일하게 희석된 약분무액을 형성하는 전용장치이다.
본 장치(100)에 의해 물과 약재원액, 또는 약재분말이 혼입된 희석액은, 대량의 물이 저수된 약탱크(T)로 배수되어 약탱크(T) 내 저수된 물과 2차 희석되어서 약분무액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약재 희석 공급장치(100)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벽에 투과 스크린(112)이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희석공간(111)을 갖는 희석조(110)와; 상기 희석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토출구(122a)를 통해 공급관(121)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희석공간(111) 내에 토출하여서 희석공간(111) 내에 순환 와류를 형성하는 급수 토출관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희석조(110)는,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상부 개방형의 함체로 구성되고, 상기 희석조(110)의 상부에는 거치대(1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140)는 상부에 거상 손잡이(141)가 형성되고, 측부에 약탱크(T)의 입구 가장자리에 견착되는 복수의 견착암(142)들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도 1과 같이 상기 희석조(110)는 거치대(140)의 견착암(142)들을 통해 약탱크(T)의 입구에 방사구조로 견착되어서 약탱크(T)의 입구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희석조(110)의 측벽에는 부식처리에 의해 복수의 투과공들이 형성된 투과 스크린(112)이 형성되어, 투과공들을 통해 희석액에 혼입된 입자들은 희석공간(111) 내에서 순환하면서 투과공의 직경보다 작은 입도로 분산 혼입되어 희석액을 형성한 다음, 상기 희석액은 투과 스크린(112)을 통해 약탱크(T)에 투입되어 대량의 물과의 혼입을 통해 분무액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투과 스크린(112)이 형성된 희석조(110)의 내벽에는, 상기 투과 스크린(112)에 형성된 투과공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투과공들을 형성한 중공의 보조 투과 스크린 부재(113)를 장입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희석조(110)에서 생성된 희석액은 보조 투과 스크린 부재(113)와 투과 스크린(112)을 단계적으로 투과하면서, 희석액 내에 잔류된 큰 입도의 약재 분말이나 이물질들이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큰 입도가 약재분말이나 이물질이 약탱크(T) 내에 저수된 분무액에 혼입되는 현상이 보다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석조(110)의 희석공간(111) 내에 배치되는 급수 토출관부(120)는, 급수관(P)과 연결되는 공급관(121)과, 상기 공급관(121)을 통해 급수된 물을 토출구(122a)를 통해 희석공간(111) 내에 분출하여 희석공간(111) 내에 순환 와류를 생성하는 토출관(122)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관(121)의 단부에는 원터치 커플링으로 이루어진 급수관 이음부(121a)가 형성되어, 작업자는 고압 분무기의 급수관(P)을 급수관 이음부(121a)에 연결하여서 고압 분무기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공급관(121)을 통해 급수 토출관부(120) 내로 급수되고, 상기 급수된 물은 각 토출관(122)의 토출구(122a)를 통해 희석공간(111) 내에 토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희석조(110)의 내측벽에는 하나 이상의 순환날개(114)를 배치하여, 도 1과 같이 상기 토출관(122)을 통해 희석공간(111) 내로 고압 토출되어 내부 순환하는 물은 순환날개(114)와의 간섭되면서 순환와류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희석조(110)의 희석공간(111)으로 투입된 약제원액이나 약재분말들은, 희석조(110) 내에 형성된 순환와류에 의해 교반 혼입되어 희석액을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에 상기 희석조(110) 내에 토출되는 물은 순환날개(114)와의 간섭에 의해 와류를 형성하여 희석조(110) 내에 형성된 희석공간(111) 내에 순환하므로, 희석공간(111) 내에 투입된 약재원액이나 약재분말은 순환되는 물과의 신속한 혼입이 이루어져 희석액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희석액은 회석조(110)의 측부에 단계적으로 형성된 보조 투과 스크린 부재(113)와 투과 스크린(112)을 단계적으로 투과하여 약탱크(T)로 배출되고, 최종적으로 약탱크(T) 내에 저수된 대량의 물과의 혼입을 통해 작물에 분무되는 분무액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100)를 구현함에 있어, 도 5a와 같이 상기 희석조(110)에 밀폐시트(12)에 의해 입구가 밀봉된 약병(10)의 입구(11)를 절취 개봉하여 약병(10)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을 희석공간(111) 내에 배수하여 투입하는 절취 투입과정과,
도 5b와 같이 상기 약재원액이 배수된 약병(10) 내로 물을 분출하여 약병(10)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척하여 희석공간(111) 내로 투입되도록 하는 헹굼 세정과정을 일원화되게 수행하는 절취 세정부(130)를 새로이 제안하여서, 단일 절취 세정부(130)를 통해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이 일원화되게 구현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취 세정부(130)는, 도 1과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희석공간(111) 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분출관(131)과; 상기 분출관(131)의 상단에 배치되어, 분출관(131)의 상단에 하향 진입되는 약병(10)의 입구(11)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개봉날(132); 및 상기 분출관(131)과 급수 토출관부(120)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급수 토출관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출관(131)으로 분배하여서, 절취 개봉날(132)에 의해 개봉되어 약재원액이 배출된 약병(10) 내에 물을 분출하여 분출되는 물에 의해 약병(10)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정하여 희석공간(111) 내로 배출되도록 하는 분배 밸브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출관(131)의 상부에 배치된 절취 개봉날(132)은 약병(10)의 입구(11)를 밀봉하는 밀폐시트(12)를 절취하고, 밀폐시트(12)의 절취에 의해 개봉된 약병(10)의 입구(11)를 상향 견착하여 지지하는 긴요한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취 개봉날(13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상협하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 5와 같이 뽀족한 상부를 통해 하향 진입되는 약병(10) 입구(11)에 마련된 밀폐시트(12)를 안정되게 절취하고, 또 폭이 넓은 하부를 통해 밀폐시트(12)가 절취된 약병(10)의 입구(11)를 안정되게 견착하여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 밸브유닛은 급수 토출관부(120)의 일지점에 개방되게 형성된 분배공(123)과; 상기 분배공(123)의 상부에 분출관(131)을 승강구조로 배치하는 승강 브라켓(132); 및 상기 승강구조로 배치된 분출관(131)을 상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133)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 개폐형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분출관(131)의 하단부는 일측이 개구된 급수헤드(131a)가 형성되어, 분배공(123)을 통해 급수 토출관부(120) 내에 진입된 분출관(131)의 하단부는 급수헤드(131a)를 통해 급수 토출관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측방향으로 유입하여 상향 분출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상기 지지 스프링(134)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된 분출관(131)은 약병(10)에 의해 하향 가압되면 하강하고, 상기 하강된 분출관(131)의 하단부는 분배공(123)을 통해 급수 토출관부(120)와 연통하여 급수 토출관부(120)를 통해 이동되는 물 중 일부의 물을 분출관(131)의 상부로 상향 분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입구(11)가 하부를 향한 약병(10)을 절취 개봉날(132)이 형성된 분출관(131)의 상부에 1차 가압하면, 상기 약병(10)의 입구(11)를 밀봉한 밀봉시트(12)는 분출관(131)의 상부에 형성된 절취 개봉날(132)에 의해 절취되어 약병(10)의 입구(11)는 개봉되고, 상기 개봉된 약병(10)의 입구(11)를 통해 약병(10)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은 희석공간(111) 내로 투입되는 절취 투입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지지 스프링(134)의 탄지력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힘으로 약병(10)을 2차 가압하면, 상기 분출관(131)은 하강하여 하단부에 형성된 급수헤드(131a)를 급수 토출관부(120)와 연통하게 되며, 상기 급수 토출관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물 중 일부의 물은 분출관(131)의 상부로 상향 분출되어서, 약병(10) 내에 잔류된 약제원액을 헹굼 세정하는 헹굼 세정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취 세정부(130)는 약병(10)의 입구(11)에 형성된 밀폐시트(12)를 절취하는 절취 투입구조와, 가압에 의해 급수 토출관부(12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일부 분배하여 약병(10) 내로 분출하는 헹굼 세정구조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단일 절취 세정부(130)를 통해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의 일원화된 수행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절취 세정부(130)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분배 밸브유닛에, 약병(10)의 입구(11)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배출과정에서는 상승된 분출관(131)을 지지하여 상승된 상태로 구속하고, 약재원액의 배출을 마친 약병(10) 내에 물을 분출하는 헹굼 세정과정에서는 분출관(131)의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가압에 의해 급수 토출관부(120)와 분출관(131)이 연통되도록 하는 스토핑 유닛(135)을 더 부가함으로써, 상기 스토핑 유닛(135)에 의해 절취 세정부(130)에 의한 절취 투입과정과 헹굼 세정과정을 구분하여 정형화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스토핑 유닛(135)에 의해 절취 투입과정에서는 상단에 절취 개봉날(132)이 형성된 분출관(131)의 하강이 물리적으로 제한되어서, 상기 분출관(131)은 급수 토출관부(120)와 연통없이 상단에 형성된 절취 개봉날(132)을 통해 절취 개봉날(132)에 하향 진입되는 약병 입구(11)의 밀폐시트(12)를 안정되게 절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최상의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스토핑 유닛(135)은,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구간(136a)과, 상기 지지구간(136a)의 측부에 연통하여 형성되며 상하 절개된 승강구간(136b)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핑 레일편(136)과; 상기 분출관(131)의 일편에 배치되어, 분출관(131)의 좌우 등각 회전에 의해 지지구간(136a)과 승강구간(136b)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는 스토핑 가이드(137)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5a와 같이 상기 상단에 절취 개봉날(132)이 형성된 분출관(131)은 스토핑 가이드(137)가 스토핑 레일편(136)의 지지구간(136a)에 위치하면 상하 승강이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약병(10)의 입구(11)를 분출관(131)의 상단에 하향 압입하여 절취 개봉날(132)에 의해 밀폐시트(12)의 절취 및, 밀폐시트(12)의 절취에 의해 개봉된 입구(11)를 통해 약제원액을 희석공간(111) 내로 배수하여 투입하는 절취 투입과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투입과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도 5b와 같이 절취 개봉날(132)에 의해 입구(11)가 견착된 약병(10)을 통해 절취 개봉날(132)을 고정한 분출관(131)을 등각 회전시켜, 분출관(131)에 형성된 스토핑 가이드(137)가 스토핑 레일편(136)의 승강구간(136b)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출관(131)은 절취 개봉날(132)에 견착된 약병(10)을 통해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하강된 분출관(131)의 하단부는 분배공(123)을 통해 급수 토출관부(120) 내에 진입하여 급수 토출관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상부로 분출함으로써, 상기 분출관(131)의 상부로 상향 분출되는 물에 의해 약병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의 헹굼 세정이 이룩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취 세정부(130)는 작업자가 개봉을 요하는 약병(10)의 입구(11)를 절취 개봉날(132)이 형성된 분출관(131)의 상단으로 하향 가압하는 과정을 통해 정형화된 절취 투입과정의 구현이 가능하고, 이후 상기 분출관(131)에 형성된 절취 개봉날(132)에 의해 입구가 견착된 약병(10)을 등각 회전하여 가압하는 공정을 통해서 약병의 헹궁 세정과정의 단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 약병 11. 입구
12. 밀폐시트
100.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110. 희석조
111. 희석공간 112. 투과 스크린
112a. 투과공 113. 보조 투과 스크린
114. 순환 날개
120. 급수 토출관부 121. 공급관
121a. 급수관 이음부 122. 토출관
122a. 토출구 123. 분배공
130. 절취 세정부 131. 분출관
131a. 급수 헤드 132. 절취 개봉날
133. 승강 브라켓 134. 지지 스프링
135. 스토핑 유닛 136. 스토핑 레일
136a. 지지구간 136b. 승강구간
137. 스토핑 가이드
140. 거치대 141. 거상 손잡이
142. 견착암
P. 급수관 T. 약탱크

Claims (5)

  1. 측벽에 투과 스크린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희석공간을 갖는 희석조와;
    상기 희석공간 내에 배치되어, 토출구를 통해 급수관을 통해 급수되는 물을 희석공간 내에 토출하여서 희석공간 내에 순환 와류를 형성하는 급수 토출관부; 및
    입구가 밀봉된 약병의 입구를 절취 개봉하여 약병 내에 저수된 약재원액을 희석공간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 절취 세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절취 세정부는, 희석공간 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의 상단에 배치되어, 분출관의 상단에 하향 진입되는 약병의 입구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개봉날; 및
    상기 분출관과 급수 토출관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급수 토출관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분출관을 따라 개봉된 약병 내에 분출하여서, 약병 내에 잔류된 약재원액을 헹굼 세정하는 분배 밸브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밸브유닛은 급수 토출관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분배공과; 상기 분배공의 상부에 분출관을 승강구조로 배치하는 승강 브라켓; 및 상기 승강구조로 배치된 분출관을 상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 밸브유닛에는 상승된 분출관의 하강을 제어하는 스토핑 유닛이 부가되어,
    상기 약병의 입구를 절취하여 개봉하는 절취 배출과정에서는 상기 스토핑 유닛은 상승된 분출관을 지지하여 구속하고,
    상기 약병 내에 물을 분출하는 헹굼 세정과정에서 상기 스토핑 유닛은 분출관의 지지 구속을 해제하여, 가압에 의해 급수 토출관부와 분출관이 연통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유닛은 수평 지지구간과, 상기 지지구간의 측부에 연통하여 형성된 승강구간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핑 레일편과; 상기 분출관의 일편에 형성되어, 상기 분출관의 등각 회전에 의해 상기 스토핑 레일편에 형성된 지지구간과 승강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스토핑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조의 내벽에는 투과 스크린에 형성된 투과공 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투과공들이 형성된 보조 투과 스크린 부재가 적층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KR1020190121851A 2019-10-01 2019-10-01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KR10230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51A KR102305788B1 (ko) 2019-10-01 2019-10-01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851A KR102305788B1 (ko) 2019-10-01 2019-10-01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243A KR20210039243A (ko) 2021-04-09
KR102305788B1 true KR102305788B1 (ko) 2021-09-30

Family

ID=7544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851A KR102305788B1 (ko) 2019-10-01 2019-10-01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7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20B1 (ko) 2007-06-20 2008-08-19 정연창 각도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제초제 및 농약 자동살포기
KR101517398B1 (ko) * 2014-03-10 2015-05-04 주식회사 엠디산업 약탱크의 약재 공급장치
KR101919323B1 (ko) * 2017-08-21 2018-11-16 송준복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68B1 (ko) 2006-04-08 2007-10-26 박형호 농약 및 액상비료 교반용 탱크
KR200450333Y1 (ko) 2007-01-26 2010-09-24 (주)엠.브이 농약탱크
BR112013029448B1 (pt) * 2011-05-18 2020-12-15 Basf Se Dispositivo e método de esvaziamento e lavagem de recipientes preenchidos com fluid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020B1 (ko) 2007-06-20 2008-08-19 정연창 각도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제초제 및 농약 자동살포기
KR101517398B1 (ko) * 2014-03-10 2015-05-04 주식회사 엠디산업 약탱크의 약재 공급장치
KR101919323B1 (ko) * 2017-08-21 2018-11-16 송준복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243A (ko) 202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417A (en) Apparatus for mixing and circulating chemicals and fluids
US5147615A (en) Method of dispensing and dispenser therefor
EP0457245B1 (de) Verschlusskappe
US5769536A (en) Mixing container for dissolving dry chemicals in water
US4961440A (en) Chemical dispensing apparatus
NZ212970A (en) Hand-held container for mixing and spraying diluent and concentrate; concentrate pre-stored in sealed cap
KR20160051268A (ko) 분사방향 가변형 콤팩트 구조의 약액 자동 분사장치
JP3137978B2 (ja) 有効成分を計量し散布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305788B1 (ko)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CH654479A5 (de) Einrichtung zum entleeren von urinbeuteln.
KR101919323B1 (ko) 농업용 약재 희석 공급장치
WO2013003967A1 (de) Vorrichtung zur dekontamination für ein containment und/oder von temporär darin einbringbarem behandlungsgut
KR101616517B1 (ko) 나노 버블 분사 장치
EP2016993A1 (de) Vorrichtung zum Aufbereiten eines Pflanzenschutzmittels sowie ein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KR101600033B1 (ko) 약제 혼합 장치가 구비된 방제기
US10219442B2 (en) Device for injecting at least one chemical substance and/or preparation into trees and/or palmacea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101517398B1 (ko) 약탱크의 약재 공급장치
RU2680307C2 (ru) Опрыскиватель, снабженный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заливной горловиной
CN208242683U (zh) 一种高浓度臭氧水果树喷洒系统及高效臭氧喷雾车
CN214015684U (zh) 一种防治蔬菜病虫害的自动施药装置
KR100986874B1 (ko) 방제용 약액탱크
CN214758796U (zh) 一种松线虫灭杀装置
KR100852512B1 (ko) 다기능 안전 유입식 수간주입병
JP3172976B2 (ja) 水田作業車
KR20240063605A (ko) 핸디형 농약 희석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