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477B1 -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477B1
KR101641477B1 KR1020160006630A KR20160006630A KR101641477B1 KR 101641477 B1 KR101641477 B1 KR 101641477B1 KR 1020160006630 A KR1020160006630 A KR 1020160006630A KR 20160006630 A KR20160006630 A KR 20160006630A KR 101641477 B1 KR101641477 B1 KR 10164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red ginseng
ginseng extract
aqueous solu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진
Original Assignee
이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국진 filed Critical 이국진
Priority to KR102016000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77B1/ko
Priority to CN201610855113.9A priority patent/CN107027566B/zh
Priority to US15/288,461 priority patent/US10226057B2/en
Priority to US16/257,150 priority patent/US1047787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23L1/300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인위적인 휴지기인 휴면(休眠) 공정을 통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음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은, 커피 씨앗에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 및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은,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무의 면역력을 높여 전염병 및 해충 출현을 예방하고, 커피 씨앗의 발아율 및 커피열매의 수확량을 높이며, 체내 흡수율이 높은 진세노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커피열매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체내 흡수율이 높은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는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음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Cultivation method coffee tree by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인위적인 휴지기인 휴면(休眠) 공정을 통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음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에서 수확되는 커피열매 및 그 열매를 가공하여 추출한 음료를 말한다. 커피나무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쌍떡잎식물이다. 커피나무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열대지방에 약 40종이 자라지만 흔히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와 코페아 카네포라(Coffea Canephora)를 커피 2대 원종이라고 한다. 커피나무는 심어지고 나서 약 2년이 지나면 개화(흰색)하고, 약 3년 후에는 빨간색 또는 노란색의 열매(Cherry, 체리)를 맺게 된다.
커피나무는 적도를 중심으로 남위 25°부터 북위 25°사이의 열대 지역에서 생산되며 이 지역을 커피 벨트(Coffee Belt) 또는 커피 존(Coffee Zone)이라고 한다. 아라비카(Arabica Coffee)는 까다로운 재배조건을 갖고 있는데 평균 기온은 15~24℃ 정도가 적합하며, 우기와 건기의 구분이 필요하다. 또한,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화산재 토양, 적당한 햇빛, 800m 이상의 고지대일수록 좋다. 반면, 집중호우나 강한 바람은 좋지 않다. 로부스타(Robusta Coffee)는 24~30℃ 정도의 기온만 유지하면 600m 이하의 기후와 토양에서도 경작될 수 있다.
커피열매에서 외피, 과육, 내과피 및 은피를 벗겨낸 씨앗을 생두(Green Bean)라고 한다. 이러한 생두를 볶아 원두(Coffee Bean)를 만들고, 물을 이용하여 그 성분을 추출하여 커피 음료를 만든다. 이와 같은 커피 음료의 소비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커피 음료의 종류도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커피의 수확량은 전염병 및 해충으로부터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첫 번째는 탄저병으로, 이 탄저병은 커피열매 즉 체리커피 껍질에 둥근 반점이 생기는 병으로 열매 자체에 생기는 곰팡이 병이다. 두 번째인 녹병균은 잎곰팡이병을 일으키는데, 커피나무잎 뒷면에 황색 반점이 생겨 잎이 지기 시작하고 이로부터 3년 후에는 나무가 말라 죽는다. 세 번째는 베리보러 벌레의 출현이다. 베리보러 벌레는 커피나무 열매인 체리의 안 쪽에서부터 열매를 갉아 먹어 열매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마지막 네 번째인 블랙빈 현상은 제 때에 커피나무로의 영양공급 및 수분공급 등이 안 되어서 불량 원두가 수확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블랙빈 현상이 많아지면 그 만큼 커피 수확량은 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전염병 및 해충 출현의 감소를 위하여,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커피를 재배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화학비료가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전염병 및 해충 출현을 자연적으로 감소시키는 친환경적 묘목 및 식물 생산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면역력을 강화시키고 사포닌이 함유된 커피열매를 생산하는 커피나무 재배방법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15759호(등록일 2004.01.0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무의 면역력을 높여 전염병 및 해충 출현을 예방하고, 커피 씨앗의 발아율 및 커피열매의 수확량을 높이며, 체내 흡수율이 높은 진세노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커피열매를 수확할 수 있도록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및 그 재배방법에 의한 음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은, 커피 씨앗을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은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홍삼 추출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는 20~30℃ 온도의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10~14시간 동안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 이후는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20~30℃ 실온에서 2~5일 당 1회의 간격으로 1,500~3,000mm 강우량의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는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화분에 심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은,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커피나무의 면역력을 높여 전염병 및 해충 출현을 예방하고, 커피 씨앗의 발아율 및 커피열매의 수확량을 높이며, 체내 흡수율이 높은 진세노사이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커피열매를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체내 흡수율이 높은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되어 있는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는 음료 조성물 및 식품 첨가제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2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3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4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5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6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홍삼 추출물 수용액 70 중량부)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2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3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4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5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6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홍삼 추출물 수용액 70 중량부)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장된 줄기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장된 잎사귀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은, 커피 씨앗을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커피 씨앗을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는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소정 시간 동안 커피 씨앗을 침지시키는 단계이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커피 씨앗을 침지시키면 커피 씨앗의 외피가 세척되는 효과가 있고, 커피 씨앗에 장시간 수분이 유지될 수 있으며, 홍삼 추출물이 커피 씨앗에 직접 흡수되어 발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수용액에 가라앉는 고품질의 씨앗만이 선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은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것일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는 인삼 외의 다른 식물계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특이한 구조를 가진 사포닌을 일컫는 말이다. 진세노사이드는 크게 프로토파낙사디올계 사포닌(Protopanaxadiol계 사포닌, 이하 ‘PPD’라 함) 및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사포닌(Protopanaxatriol계 사포닌, 이하 ‘PPT’라 함)로 구분된다. PPD 및 PPT 구조에는 모두 수산기(-OH기)가 포함되어 있다. PPD 구조에는 2개의 수산기(-OH기)가 포함되어 있고, PPT 구조에는 3개의 수산기(-OH기)가 포함되어 있다. PPD 및 PPT가 체내에 들어온 경우에, 장내 미생물인 프라보텔라오리스가 PPD 및 PPT 구조로부터 수산기(-OH기)를 제거한다. 프라보텔라오리스에 의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는 체내 흡수율이 높아진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 프라보텔라오리스가 장내에 존재하지 않는 체질이 존재한다. 이 경우, PPD 및 PPT 구조로부터 수산기(-OH기)가 분리되지 않아,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장내에 프라보텔라오리스가 존재하지 않는 체질에 대한 진세노사이드의 체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PPD 및 PPT 구조로부터 수산기(-OH기)를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공방법에 의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커피 씨앗을 침지시킬 수 있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홍삼액을 제조하는 단계, 홍삼 진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홍삼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분쇄된 건조 홍삼근과 건조 홍미삼 혼합물을 물과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이다. 건조 홍삼은 건조 홍삼근 100 중량부 및 건조 홍미삼 40~4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작은 입자 형태의 건조 홍삼 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작아 물에 잘 녹고 표면적이 넓어져 유효 성분이 물로 잘 배출된다. 따라서, 홍삼액을 제조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건조 홍삼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건조 홍미삼 40~45 중량부를 혼합하면 유효 성분의 효능 및 감미성이 가장 우수하다. 건조 홍삼과 물의 혼합 비율은 1:2 내지 4일 수 있다. 또한, 가열 온도가 80℃ 미만이 될 경우에는 홍삼액 추출 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가열 온도가 90℃를 초과할 경우에는 홍삼에 함유된 유효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시간이 16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홍삼액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 할 수가 있고, 가열 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수분이 필요 이상으로 증발하게 되어 홍삼액의 유효 성분에 변이가 생길 수 있다.
홍삼 진액을 수득하는 단계는 건조 홍삼 분말과 물을 가열하여 제조된 홍삼액을 원심 분리하여 홍삼 고형분을 제거하고 홍삼 진액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홍삼액을 원심 분리하면, 상등액인 홍삼 진액과 침전물인 홍삼 고형분으로 분리된다. 이중 많은 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홍삼 진액을 남기고 홍삼 고형분은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홍삼액을 2회 이상 원심 분리하여 홍삼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4회 반복할 수 있다. 원심 분리를 10~14회 반복하여 고순도의 홍삼 진액을 수득한다.
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홍삼 진액을 상온에서 반투막에 통과시켜 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홍삼 진액이 반투막을 통과하면, 수분은 통과하지만, 홍삼 진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 성분은 반투막을 통과하지 못한다. 반투막을 통과한 수분을 제거하고, 반투막에 남은 유효 성분을 홍삼 추출물로써 수득한다.
바람직하게는 반투막에 수소 이온 공급로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소 이온을 수소 이온을 유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투막에 수소 이온을 공급하면, 고온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진세노사이드에 결합된 수산기(-OH기)를 제거할 수 있다.
홍삼 추출물 제조방법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홍삼 진액에 자외선을 조사하면, 홍삼 진액에 존재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홍삼 진액을 상온 건조하는 동시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물 및 반투막을 1~3시간 동안 진동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홍삼 추출물이 부착되어 있는 반투막에 진동을 가하면, 반투막으로부터 홍삼 추출물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진동 분리 시간이 1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분리되는 양이 적을 수가 있고, 진동 분리 시간이 3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필요 이상으로 진동 분리 시간이 길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홍삼 추출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홍삼 추출물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홍삼 추출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커피 씨앗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또한 홍삼 추출물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홍삼 추출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경우와 비교하여 효과가 크게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는 20~30℃ 온도의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10~14시간 동안 커피 씨앗을 침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가 20℃ 미만이 될 경우에는 홍삼 추출물 및 수분이 커피 씨앗에 흡수되는 양이 적을 수 있으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가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커피 씨앗에 함유된 단백질이 변성되어 발아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피 씨앗의 휴지 시간이 10시간 미만이 될 경우에는 휴지시키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커피 씨앗의 발아율의 차이가 없으며, 커피 씨앗의 휴지 시간이 14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수분이 커피 씨앗에 필요 이상으로 흡수되어 커피 씨앗의 발아율이 낮아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휴지기간을 가진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기간을 가진 커피열매로부터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른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홍삼 추출물의 혼합량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는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일정한 수분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재배환경 조건이 조절된 토양에 심는 단계이다. 이러한 재배환경 조건에는 일조량, 온도, 수분공급 및 습도 등이 포함된다. 특히 토양의 배수량이 수분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토양 상태의 관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 이후는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커피벨트의 강우량과 유사한 양의 수분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공급되는 수분은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20~30℃ 실온에서 2~5일 당 1회의 간격으로 1,500~3,000mm 강우량의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환경조건이 커피벨트의 커피나무 재배환경과 유사하다. 온도가 20℃ 미만이 될 경우에는 커피나무 잎이 변색되어 좋은 품질의 커피열매가 생산되지 못할 수 있으며, 온도가 3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엽록소 파괴로 꽃이 시들고 커피열매를 맺지 못하며 녹병균이 번성할 수 있다. 또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 공급 횟수가 2일 당 1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커피나무에 수분공급이 과다해 커피열매의 품질이 낮을 수 있고, 5일 당 1회 미만인 경우에는 커피나무에 수분이 적게 공급되어 커피나무의 생장 및 잎 형성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 공급량이 1,500mm 강우량 미만이 될 경우에는 커피나무의 생장에 장애가 생길 수 있고, 홍삼 추출물 수용액 공급량이 3,000mm 강우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토양 침식이 일어나며, 커피열매를 수확한 후 햇볕에 건조하는 데 많은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는 휴지시킨 커피 씨앗을 화분에 심는 것일 수 있다. 우리나라의 토양은 커피나무가 생장하기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커피나무가 주로 생산되는 커피벨트와 유사한 토양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커피나무는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만 자랄 수 있으므로, 커피 씨앗을 배수가 용이한 화분으로 옮겨 심는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된 커피열매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통하여 재배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에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른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홍삼 추출물의 혼합량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장된 줄기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장된 잎사귀의 샘플에 대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유량 분석의 검사성적서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통하여, 커피열매뿐 아니라 커피나무 줄기 및 잎사귀에서도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이 추가성분으로서 함유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는 통상적인 식품 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는 식품 및 음료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으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에는 100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g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발아율
커피열매를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후,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는 25℃로 하였으며, 휴지 시간은 12시간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1: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발아율
커피열매를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후,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는 25℃로 하였으며, 휴지 시간은 12시간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2 : 일반 물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발아율
커피열매를 일반 물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후,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일반 물의 온도는 25℃로 하였으며, 휴지 시간은 12시간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3 : 휴지시키지 않은 커피열매의 발아율
커피열매를 휴지시키지 않고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 발아율
실시예 1 98
비교예 1 75
비교예 2 75
비교예 3 65
표 1은 커피열매 휴지 상태에 따른 발아율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발아율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휴지 시간에 따른 발아율
커피열매를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후, 발아시켜 발아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커피열매는 8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시간으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켰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는 25℃로 하였으며, 휴지 시간은 그룹 별로 각각 1시간, 6시간, 10시간, 12시간, 14시간, 18시간, 24시간 및 30시간으로 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재료
휴지 시간 당 발아율 (%)
1시간 2시간 10시간 12시간 14시간 18시간 24시간 30시간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 75 75 80 98 80 70 40 25
표 2는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휴지 시간 당 발아율을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1을 통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는 휴지 시간에 따라 발아율이 다르게 측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휴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아율이 높아졌으나, 12시간을 초과한 이후로는 커피열매의 발아율이 줄어들었다. 이와 관련하여 휴지 시간은 12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실험예 2: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커피열매를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시킨 후,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분석하였다. 이때 커피열매는 6개 그룹으로 나누어 6개의 각기 다른 혼합량을 가진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켰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당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부, 30 중량부, 40 중량부, 50 중량부, 60 중량부 및 70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온도는 25℃로 하였으며, 휴지 시간은 12시간으로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재료 휴지시간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물 100 중량부 당 홍삼 추출물 혼합비율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커피열매 12시간 20 중량부 7.31mg/g
커피열매 12시간 30 중량부 6.03mg/g
커피열매 12시간 40 중량부 6.41mg/g
커피열매 12시간 50 중량부 8.04mg/g
커피열매 12시간 60 중량부 5.91mg/g
커피열매 12시간 70 중량부 7.28mg/g
표 3은 휴지기를 거친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나타낸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2를 통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휴지기간을 가진 커피열매로부터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른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홍삼 추출물의 혼합량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실시예 2: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득률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4: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득률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5: 일반 물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일반 물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을 측정하였다. 일반 물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득률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 커피열매의 수득률 (%)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실시예 2 80 40 85 40
비교예 4 40 10 45 15
비교예 5 35 5 35 5
표 4는 커피나무에 공급된 물의 상태에 따른 커피열매의 수득률을 나타낸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피열매가 수득되는 첫 해와 세 번째 해에 수득률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피열매는 커피나무 잎사귀가 진 부분에 열리며, 커피나무 잎사귀와 커피열매가 한 해씩 번갈아 열린다. 이러한 이유로 커피열매는 2년을 주기로 수득률이 높아진다.
또한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하여,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커피열매 수득률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커피열매의 수득률이 증가한 것은 커피나무의 면역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시예 3: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6: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산기(-OH기)가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비교예 7: 일반 물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일반 물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측정하였다. 일반 물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총 4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시예 및 비교예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 (%)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실시예 3 3 3 2 2
비교예 6 15 15 10 10
비교예 7 20 20 20 20
표 5는 커피나무에 공급된 물의 상태에 따른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을 나타낸다.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통하여,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이 현저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커피나무의 해충 출현율이 감소한 것은 커피나무의 면역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실험예 3: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다수의 커피나무를 6개 그룹으로 나누어 6개의 각기 다른 혼합량을 가진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공급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당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을 각각 20 중량부, 30 중량부, 40 중량부, 50 중량부, 60 중량부 및 70 중량부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6개 그룹의 커피나무에서 수확된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재료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물 100 중량부 당 홍삼 추출물 혼합비율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커피열매 20 중량부 5.59mg/g
커피열매 30 중량부 5.91mg/g
커피열매 40 중량부 5.53mg/g
커피열매 50 중량부 6.15mg/g
커피열매 60 중량부 5.72mg/g
커피열매 70 중량부 5.69mg/g
표 6은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나타낸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3을 통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열매에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른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홍삼 추출물의 혼합량은 2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실험예 4: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측정하였다.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당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25℃ 실온에서 3일 당 1회의 간격으로 2,000mm 강우량으로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였다. 이러한 커피나무로부터 생산된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에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실험재료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
커피나무 줄기 2.11mg/g
커피나무 잎사귀 6.60mg/g
표 7은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의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 검출량을 나타낸다.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험예 4를 통하여,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여 재배한 커피나무의 줄기 및 잎사귀에서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수산기(-OH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가 커피열매뿐 아니라 커피나무에 전체적으로 함유되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커피 씨앗을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침지시켜 상기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 및
    휴지시킨 상기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홍삼 추출물은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은,
    물 100 중량부 및 상기 홍삼 추출물 10~3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씨앗을 휴지시키는 단계는,
    20~30℃ 온도의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에 10~14시간 동안 상기 커피 씨앗을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휴지시킨 상기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 이후는,
    상기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커피 씨앗이 심어진 토양에 20~30℃ 실온에서 2~5일 당 1회의 간격으로 1,500~3,000mm 강우량의 상기 홍삼 추출물 수용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휴지시킨 상기 커피 씨앗을 토양에 심는 단계는,
    휴지시킨 상기 커피 씨앗을 화분에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재배방법으로 생산된 수산기가 제거된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한 커피열매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첨가제.
KR1020160006630A 2016-01-19 2016-01-19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KR10164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30A KR101641477B1 (ko) 2016-01-19 2016-01-19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CN201610855113.9A CN107027566B (zh) 2016-01-19 2016-09-27 利用红参萃取物的咖啡树种植方法
US15/288,461 US10226057B2 (en) 2016-01-19 2016-10-07 Cultivation method of coffee tree by red ginseng powdered extract
US16/257,150 US10477876B2 (en) 2016-01-19 2019-01-25 Drink composition prepared from coffee bean of tree cultivated with red ginseng powdered extra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30A KR101641477B1 (ko) 2016-01-19 2016-01-19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477B1 true KR101641477B1 (ko) 2016-07-20

Family

ID=56680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630A KR101641477B1 (ko) 2016-01-19 2016-01-19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226057B2 (ko)
KR (1) KR101641477B1 (ko)
CN (1) CN1070275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57B1 (ko) * 2019-08-20 2020-05-07 주식회사 트로이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딧물 퇴치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9088A (zh) * 2021-06-04 2021-08-10 宁夏农林科学院农作物研究所(宁夏回族自治区农作物育种中心) 一种春大豆平作沟种抗旱栽培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59B1 (ko) 2002-02-05 2004-01-24 김이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20050001052A (ko) * 2003-06-26 2005-01-06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재배된 콩나물
KR20110021160A (ko) * 2009-08-25 2011-03-04 김시경 종자 침지용 조성물
KR101583573B1 (ko) * 2015-08-07 2016-01-21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다단계 가열처리를 통한 홍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128A (ko) * 1995-05-08 1996-12-17 이종대 인삼콩나물의 재배방법
KR970057054A (ko) * 1995-12-26 1997-07-31 배순훈 파우어 온시 방송모드 설정장치
KR19990046159A (ko) * 1998-03-07 1999-07-05 박래웅 케이블선로의 이상 유무 검출장치
KR20000003330A (ko) * 1998-06-27 2000-01-15 전주범 Ac pdp의 서스테인 전극과 스캔 전극의 분리패널 및 분리구동방법
US7235267B1 (en) * 1999-08-30 2007-06-2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Corporation Brain cell or nerve cell-protecting agents comprising medicinal ginseng
MY160074A (en) * 2008-01-24 2017-02-15 Raptor Therapeutics Inc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1328194B1 (ko) * 2009-12-31 2013-11-08 (주)베스트 그린텍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KR101348974B1 (ko) * 2011-12-13 2014-01-10 한국식품연구원 고온고압처리 후 감압 건조를 통한 신규 홍삼의 제조방법
CN102911238B (zh) * 2012-11-15 2014-11-26 中国药科大学 一种c20位脱羟基达玛烷型稀有人参皂苷及其苷元的制备方法
CN103070061B (zh) * 2013-01-31 2014-04-09 河南大学 一种功能型豆芽及其生产方法
CN104541881A (zh) * 2015-01-05 2015-04-29 云南沁园生物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玫瑰花的种植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59B1 (ko) 2002-02-05 2004-01-24 김이수 한약재를 이용한 무공해 항균 콩나물 및 그 재배방법
KR20050001052A (ko) * 2003-06-26 2005-01-06 김재옥 인삼성분을 함유한 콩나물의 재배방법 및 이에 의해재배된 콩나물
KR20110021160A (ko) * 2009-08-25 2011-03-04 김시경 종자 침지용 조성물
KR101583573B1 (ko) * 2015-08-07 2016-01-21 주식회사 마더스제약 다단계 가열처리를 통한 홍삼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커피나무 키우기 : 커피나무의 성장과정 5년입니다(네이버블로그, 2016.1.5.)*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457B1 (ko) * 2019-08-20 2020-05-07 주식회사 트로이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진딧물 퇴치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2235A1 (en) 2017-07-20
US10226057B2 (en) 2019-03-12
CN107027566B (zh) 2020-08-18
US10477876B2 (en) 2019-11-19
US20190150466A1 (en) 2019-05-23
CN107027566A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done et al. Saffron (Crocus sativus L.), the king of spices: An overview
Yasmin et al. Saffron as a valuable spice: A comprehensive review
KR100729713B1 (ko)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CN104115723B (zh) 一种富硒葡萄的种植方法
El-Gizawy et al. Effect of different shading levels on tomato plants 1. Growth, flowering and chemical composition
KR101805553B1 (ko) 새싹 보리의 재배 방법과 새싹 보리를 이용한 음료
KR101641477B1 (ko) 홍삼 추출물을 이용한 커피나무의 재배방법
CN111848303A (zh) 壳聚糖功能化纳米硒复合菌酶体系在提高茶叶产量和品质中的用途
JP6646356B2 (ja) 希少糖を含む植物粉体の製造方法
KR101508952B1 (ko) 운모에서 추출한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마늘 재배방법
KR101074159B1 (ko) 솔잎과 매실을 이용한 곶감 제조방법
KR101639552B1 (ko) 산양삼 열매를 이용하여 재배한 숲삼 및 이의 재배방법
Perniola et al. Cultivar and rootstock interaction affects the physiology and fruit quality of table grape with different water management-preliminary results
KR102459660B1 (ko) 땅콩나물 재배방법
Purohit Annonaceous fruits
CN106718402A (zh) 猕猴桃种植过程中病虫害的防治方法
Simea et al. The importance and use of the species Dracocepahlum moldavica.
KR102579978B1 (ko) 실리디아닌 고함량 밀크씨슬 신품종 '실리퀸'
JP2002234809A (ja) 植物活性剤及び植物の活性化方法
KR101571082B1 (ko) 동충하초를 이용한 곶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1904B1 (ko) 에틸렌 처리를 이용한 새싹보리의 사포나린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3575314B (zh) 基于铁锌硒配施提高番茄生长发育和果实品质的种植方法
KR101188557B1 (ko) 춘화처리된 보리 종자 또는 밀 종자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원료의 제조 방법
KR102307709B1 (ko)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KR102307710B1 (ko)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