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250B1 -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250B1
KR101639250B1 KR1020140190361A KR20140190361A KR101639250B1 KR 101639250 B1 KR101639250 B1 KR 101639250B1 KR 1020140190361 A KR1020140190361 A KR 1020140190361A KR 20140190361 A KR20140190361 A KR 20140190361A KR 101639250 B1 KR101639250 B1 KR 10163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roll
blade
movable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255A (ko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9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2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atch coating of substrate
    • C23C2/00322Details of mechanisms for immersing or removing substrate from molten liquid bath, e.g. basket or lifting mechanis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19Wire and cord immer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의 표면에 형성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스크래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래핑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스크래퍼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서 경도가 높은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부착되는 드로스를 제거하여 보다 고 품질의 강판을 제조함은 물론 상기 스크래퍼에 설정치 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를 흡수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스크래퍼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Dul-type Scrap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eting dross}
본 발명은 롤의 표면에 형성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스크래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래핑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스크래퍼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서 경도가 높은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부착되는 드로스를 제거하여 보다 고 품질의 강판을 제조함은 물론 상기 스크래퍼에 설정치 보다 높은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이를 흡수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스크래퍼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연속 용융아연도금 공정은 가열로(Furnace)를 통과하며 예비처리를 행한 강판을 용융아연도금 포트에 침지시킴으로써 강판에 도금을 하는데, 이러한 도금 설비 및 공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아연도금 포트(12) 내에는 가열로에서 표면 활성화 처리가 행해진 강판이 스나우트(Snout)(11)를 거쳐 연속 인입되어, 용융아연도금 포트(12) 내부에 위치한 싱크 롤(R1)을 거치며 방향 전환이 되어 상부의 스테빌라이징 롤(R2)을 거쳐 포트 외부로 인출되며, 상부에 위치한 에어나이프(Air Knife)에 의해 도금량이 조절된다.
한편, 용융아연도금 포트(12)에는 450℃ 전후의 고온 아연용융액이 담겨 있고, 강판의 방향 전환 및 반곡을 교정하는 싱크롤(R1)과 스테빌라이징 롤(R2)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시간 고온 도금 과정이 진행되면서 아연 자체의 고온 산화, 인입되는 강판의 철(Fe) 성분과 아연반응, 아연괴 속의 불순물 등의 부유물이 포트 내부에 발생되는데 이를 총칭하여 일반적으로 드로스(Dross)라 명명하여 부르고 있다.
이러한 드로스가 싱크 롤(R1) 및 스테빌라이징 롤(R2)의 유동에 의해 용융아연도금포트(12) 내부를 떠다니다가 상기 싱크 롤(R1) 및 스테빌라이징 롤(R2)을 포함하는 롤(R) 표면에 부착 되어 강판에 부착되어 나오거나, 전이되는 등 강판 표면에 손상을 주어 용융아연도금 강판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드로스를 제거하기 위해 도 2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크래퍼(120)를 이용하였다.
즉,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형상의 메인 바디(111) 끝단에 원호 형상의 블레이드(112)를 형성한 후 상기 블레이드(112)를 롤(R)에 접촉시켜 드로스를 제거하여 왔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스크래퍼(120)를 이용하는 경우 일정한 경도의 블레이드(112) 만을 롤(R)에 접촉시키므로 비정상적으로 강하게 부착되는 드로스는 제거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여 강판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도 3에 일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를 작동부(210)에 의해 가압하여 롤 표면에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장시간 동안 롤 표면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롤에 부착된 드로스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사용 중 스크래퍼의 블레이드는 롤과 마찰로 인해 마모되게 되어있으며, 초기 날카로운 형태의 블레이드는 필히 무뎌지게 된다.
이렇게 무뎌진 블레이드로 인해 드로스 제거 성능은 저하되게 되고 사용자는 더 높은 압력, 더 많은 접촉 시간으로 블레이드를 롤에 접촉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는 역설적으로 높은 압력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블레이드를 더욱 빠른 속도로 마모 시켜, 사용목표 기간만큼 사용하지 못하고 전체가 마모되어 스크래퍼로써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스크래퍼 및 스크래핑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2-30935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195223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4-0036007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0-0031426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20947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1-000383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스크래퍼에 이동 가능한 방식의 스크래퍼에 보다 높은 경도의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비정상적으로 강력하게 부착되는 드로스를 제거하여 보다 고 품질의 강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크래퍼의 내구성을 증진할 수 있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형 스크래퍼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스크래퍼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 바디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롤 표면에 접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와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 바디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요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디는 표면에 돌출되어 회전 시, 복수 개의 상기 요홈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의 경도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 보다 높되 상기 롤 표면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스크래핑 장치로서,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가 장착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를 구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작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감응 댐퍼를 포함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력 감응 댐퍼는 상기 작동부에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래핑 장치를 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래핑 장치가 설치되는 무빙 블록과, 상기 무빙 블록을 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무빙 블록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볼 스크류를 소제하는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에 의해 압력 감응 댐퍼를 가압하여 작동부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롤측으로 가압하되, 상기 작동부에 가해진 힘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압력 감응 댐퍼의 탄성 버퍼가 흡수하는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의 이동 바디를 전후진하여 블레이드를 롤에 접촉시키거나 분리하여,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 또는 이동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 중 하나를 이용하여 롤의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의 이동 바디를 전,후진하여 블레이드를 도금조 롤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거나 분리하되,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와 이동형 스크래퍼의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경도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도금조 롤과 접촉하여 드로스를 제거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높은 경도의 스크래퍼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드로스를 제거하여 고 품질의 강판을 제조할 수있음은 물론 스크래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용융 아연 도금 공정 및 장치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작동부와 압력감응 댐퍼 그리고 실린더와 스크래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압력 감응 댐퍼와 실린더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구동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작동부와 압력감응 댐퍼 그리고 실린더와 스크래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압력 감응 댐퍼와 실린더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장치로서 구동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표면에 부착된 드로스를 제거하는 고정형 스크래퍼(110)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스크래퍼(1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는 종래의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스크래퍼(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형 스크래퍼(120)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는 이동 바디(121)와, 상기 이동 바디(121)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롤 표면에 접하는 블레이드(1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 바디(121)가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바디(121)에 설치된 블레이드(122)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로부터 노출되어 롤에 접하거나 혹은 노출되지 않아 롤에 비 접촉 상태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가 선택적으로 롤에 접촉 또는 비 접촉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롤에 잔존하는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은 앞서 설명한 싱크 롤 또는 스태빌라이징 롤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아래의 경우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 경도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보다 높되 상기 롤 표면의 경도보다 낮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롤 표면에 비정상적으로 강력하게 부착된 드로스의 경우 기존의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로는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 경도보다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 경도를 높게 하여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드로스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에 의해 롤 표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 경도가 롤 표면의 경도보다 낮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서 이동하며 보다 안정적인 이동 및 고정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바디(121)의 표면에 돌출되는 삽입부(121a)와 상기 삽입부(121a)가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 일 부분에 요홈된 요홈부(111a)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111a)는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2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홈부(111a)에 상기 삽입부(121a)가 삽입되어 안정적인 고정을 유지하다가 필요에 의해 상기 이동 바디(121)를 동작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동 바디(121)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 후 하향 이동하고 나서 상기 삽입부(121a)가 도면상 하측의 요홈부(111a)에 삽입되도록 하여 이동 및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10a)이 형성된 중공뷰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111)를 포함하되 상기 요홈부(111a)는 슬롯(110a)의 내측면에 요홈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뾰족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와 같은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분명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롤 표면에 부착된 드로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이동 바디(121)를 전후진한다. 즉, 롤 표면에 비정상적으로 강력하게 부착된 드로스가 있는 경우 이동 바디(121)를 전진(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강)하여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를 노출시켜 롤에 접촉시킨다.
이러한 블레이드(1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보다 경도가 높으므로 비정상적인 드로스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롤에 부착된 드로스가 일반적인 강도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이동 바디(121)를 후진(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승)하여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를 노출시키지 않고 이에 의해 롤과 접촉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 만이 롤과 접촉하여 드로스를 제거하게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 또는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 중 하나를 이용하여 롤의 드로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스크래핑 장치(200)는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가 장착되는 작동부(210)와, 상기 작동부(210)를 구동하는 실린더(230)를 포함한다. 스크래핑 장치(200)는 도금포트(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230)와 작동부(210)사이에 압력 감응 댐퍼(0220)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실린더(230)에 의해 작동부(210)를 구동 하여 상기 작동부(210) 끝단에 배치되는 스크래퍼(100)가 롤(2)에 접촉되게 하거나 또는 롤과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아암 형태를 이용할 수 있고, 실린더(230)는 상기 작동부(210)를 구동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실린더(230)와 작동부(210)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감응 댐퍼(220)를 포함하는 점이 종래 기술과 상이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작동부(210)에 실린더(230)의 힘이 작용할 때 기 설정된 힘보다 강력한 힘이 작용할 때,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가 이를 흡수하여 과도한 힘이 스크래퍼(100)에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압력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블레이드를 더욱 빠른 속도로 마모 시켜, 사용목표 기간만큼 사용하지 못하고 전체가 마모되어 스크래퍼로써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높은 압력의 힘이 상기 스크래퍼(100)에 작용하더라도 이러한 힘을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가 흡수하여 상기 스크래퍼(100)의 블레이드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과도한 힘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10)에 연결되는 하우징(221)과, 상기 하우징(221)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230)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버퍼(222)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실린더(230)에 의해 압력 감응 댐퍼(220)을 경유하여 작동부(210)에 힘이 전달될 때 과도한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실린더(230)의 일단이 상기 탄성 버퍼(22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과도한 힘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 버퍼(222)는 널리 알려진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힘을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가 작동부(210)에 장착되는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종래의 스크래퍼를 작동부(210)에 장착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는 관계로 도면의 명료화를 위해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유사하게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와 작동부(210)의 결합 관계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의 연결부(223) 일 단에 연결공을 형성한 후 상기 연결공에 작동부(2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널리 알려진 관계로 도면의 명료화를 위해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스크래핑 장치(200)는 롤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핑 장치(200)가 설치되는 무빙 블록(320)과, 상기 무빙 블록(320)를 롤의 폭 방향으로 이동 시키는 스크류(310) 및 상기 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가 상기 스크류(3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310)에 나사 결합되는 무빙 블록(320)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 블록(320)에는 브러쉬(330)가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310)를 소제하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롤 표면에 부착된 드로스를 제거하는데 이때 많은 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진은 상기 스크류(310)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브러쉬(330)를 이용하여 상기 분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경우 상기 구동부(300)의 무빙 블록(320)과 스크류(310) 그리고 액츄에이터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며, 브러쉬(330) 역시 일반적인 브러쉬를 사용할 수 있는 관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크래핑 장치를 이용하여 롤을 스크래핑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린더(230)에 의해 압력 감응 댐퍼(220)와 작동부(210)를 가압하여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를 롤 측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작동부(210)에 가해진 힘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의 탄성 버퍼(222)가 상기 초과된 힘을 흡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 110 : 고정형 스크래퍼
111 : 메인 바디 111a : 요홈부
112 : 블레이드 120 : 이동형 스크래퍼
121 : 이동 바디 121a : 삽입부
122 : 블레이드 200 : 스크래핑 장치
210 : 작동부 220 : 압력 감응 댐퍼
221 : 하우징 222 : 탄성 버퍼
230 : 실린더 300 : 구동부
310 : 스크류 320 : 무빙 블록
330 : 브러쉬

Claims (10)

  1. 용융도금공정에서 싱크롤의 드로스를 제거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로서,
    고정형 스크래퍼(110)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는 이동형 스크래퍼(12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는 이동 바디(121)와, 상기 이동 바디(121)의 끝단에 설치되어 롤 표면에 접하는 블레이드(122)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와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는 바아 형상의 메인 바디(111)와 상기 메인 바디(111)의 끝단에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바디(121)는 상기 메인 바디(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슬롯(110a)이 형성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110a)은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요홈부(111a)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디(121)는 표면에 돌출되어 회전 시, 복수 개의 상기 요홈부(111a)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121a)를 포함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의 경도는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보다 높되 상기 롤 표면의 경도보다 낮은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스크래핑 장치로서,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가 장착되는 작동부(210)와,
    상기 작동부(210)를 구동하는 실린더(230)와,
    상기 실린더(230)와 작동부(210)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감응 댐퍼(0220)를 포함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응 댐퍼(0220)는 상기 작동부(210)에 연결되는 하우징(211)과,
    상기 하우징(211)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린더(230)의 일단이 연결되는 탄성 버퍼(222)를 포함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 장치를 롤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스크래핑 장치가 설치되는 무빙 블록(320)과,
    상기 무빙 블록(320)를 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310) 및 상기 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무빙 블록(320)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310)를 소제하는 브러쉬(330)를 포함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30)에 의해 압력 감응 댐퍼(220)를 가압하여 작동부(210)를 구동함에 의해 상기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100)를 롤측으로 가압하되,
    상기 작동부(210)에 가해진 힘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압력 감응 댐퍼(220)의 탄성 버퍼(222)가 흡수하는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드로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이동 바디(121)를 전후진하여 블레이드(122)를 롤에 접촉시키거나 분리하여,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 또는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 중 하나를 이용하여 롤의 드로스를 제거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드로스 제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이동 바디(121)를 전,후진하여 블레이드(122)를 도금조 롤에 선택적으로 접촉시키거나 분리하되,
    상기 고정형 스크래퍼(110)의 블레이드(112)와 이동형 스크래퍼(120)의 블레이드(122)는 서로 다른 경도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도금조 롤과 접촉하여 드로스를 제거하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를 이용하는 드로스 제거 방법.
KR1020140190361A 2014-12-26 2014-12-26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KR10163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61A KR101639250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61A KR101639250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55A KR20160079255A (ko) 2016-07-06
KR101639250B1 true KR101639250B1 (ko) 2016-07-13

Family

ID=565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361A KR101639250B1 (ko) 2014-12-26 2014-12-26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2206B1 (ko) * 2017-11-13 2020-01-31 주식회사 선진기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439A (ja) 2002-11-15 2004-06-1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99910B1 (ko) 2014-01-24 2014-05-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6826B2 (ja) * 1995-12-22 2003-07-14 京セラ株式会社 スクレーパ
KR200220947Y1 (ko) 2000-11-15 2001-04-16 한성무 용융아연도금의 싱크롤과 스테빌롤용 스크래핑제거시스템
JP3680757B2 (ja) 2001-04-13 2005-08-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浴中ロールの付着物除去装置
KR20040036007A (ko) 2002-10-23 2004-04-30 주식회사 포스코 싱크 롤에 형성된 그루브로부터 드로스를 용이하게제거하는 장치
KR100994369B1 (ko) 2008-09-12 2010-11-16 동명중공업 주식회사 용융아연도금 설비의 싱크롤 및 스테빌리징롤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003832U (ko) 2009-10-13 2011-04-20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
KR101195223B1 (ko) 2010-09-06 2012-10-2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아연도금 설비의 스크래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439A (ja) 2002-11-15 2004-06-17 Ricoh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99910B1 (ko) 2014-01-24 2014-05-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55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710B1 (ko) 물 세척 칠판의 와이퍼 구동장치
WO2008002811A3 (en) Pad cleaning method
ATE450343T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schärfen von rasierklingen
KR101639250B1 (ko)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EP2075648A3 (en) Photoconductor drum cleaning apparatus in a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CN207254806U (zh) 深孔清渣工具
KR200407483Y1 (ko) 블레이드 및 부직포를 구비한 롤러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60257B1 (ko) 에어나이프용 크리너 팁
CN102154903A (zh) 一种造纸用的刮刀机构
DE502005002178D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des Schaftes und der Anlagefläche eines Maschinen-Werkzeuges
ATE471101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weitgehend ebener flächen
CN201380436Y (zh) 雨刮片修复器
US9630215B2 (en) Reconformable material removal system
JP6740972B2 (ja) ブレード、前記ブレードを備える付着物除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溶融金属めっき装置
EP2251144A1 (en) Roller for polishing metal surfaces
CN202421741U (zh) 新型清洁刮刀
JP2009202074A (ja) ワイパー
JP4671184B2 (ja) インキ洗浄ブレードの当接方法
JP7484852B2 (ja) 中空材の清掃治具およびその清掃治具を用いた中空材の清掃方法
JP6454198B2 (ja) ワイパー
KR101105114B1 (ko) 도금조롤 표면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070746B1 (ko) 공작물 연마용 정지형 초경 브레이드
CN201712240U (zh) 用于胶印打样机的刮墨装置
CN210138712U (zh) 一种高效化工用的化工原料研磨设备
CN202865310U (zh) 塔顶辊清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