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910B1 -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 Google Patents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910B1
KR101399910B1 KR1020140008898A KR20140008898A KR101399910B1 KR 101399910 B1 KR101399910 B1 KR 101399910B1 KR 1020140008898 A KR1020140008898 A KR 1020140008898A KR 20140008898 A KR20140008898 A KR 20140008898A KR 101399910 B1 KR101399910 B1 KR 10139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er
scrapers
holder
hardness
r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봉철
고상모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01N3/46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the indentors performing a scratching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78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using indent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질조사시 암석의 긁힘을 통해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복수로 구성되면서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도록 선단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암석의 표면을 긁어내는 송곳형태의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들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들 중 선택되는 하나가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스크레이퍼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스크레이퍼들이 스크레이퍼 홀더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므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들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스크레이퍼의 교체시간이 단축되므로 경도시험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TESTING KIT FOR HARDNESS OF GEOLOGICAL SRUVEY}
본 발명은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사대상 암석을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부재로 긁음으로써 대상암석의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지질조사시에는 여러 장비를 휴대하게 되는데, 그 중 하나로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도시험기가 있다.
여기서,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압입 경도, 반발 경도, 긁기 경도로 나눌 수 있으며, 지질조사 현장에서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는 긁기 경도를 측정하는 시험이 대표적이다.
긁기 경도란 알려진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긁기 부재로 대상암석을 긁어서 대상암석의 긁힘 유무를 통해 대상암석의 경도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지질조사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 경도를 갖는 송곳형태의 긁기 부재(1)를 제각기 휴대하고, 경도시험시 각각의 긁기 부재(1)를 일일이 꺼내어 교체하면서 대상암석을 긁어서 측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방식은 긁기 부재들이 분리된 상태로 휴대되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함은 물론 관리가 어려워 분실의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긁기 부재들은 선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휴대되기 때문에 송곳형태의 뾰족한 선단부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이 발생할 부상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413호에 제안된 암흔 경도 시험 시스템을 살펴보면, 선행기술은 대상물을 다이아몬드 압자로 가압하여 압흔 치수를 통해 경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시험실에서 금속의 경도를 측정할 때 적합할 뿐, 지질조사 현장에서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4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가지면서 송곳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긁기 부재들을 안전한 상태로 수용한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긁기 부재만을 선택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인출가능하게 수용된 긁기 부재들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경도시험의 결과나 암석의 특성 등을 즉시 기록할 수 있는 부재가 긁기 부재들과 함께 구비된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대상암석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부재가 일체로 구비된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는, 지질조사시 암석의 긁힘을 통해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로서, 복수로 구성되면서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도록 선단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암석의 표면을 긁어내는 송곳형태의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들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들 중 선택되는 하나가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스크레이퍼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는, 상기 스크레이퍼들이 수용되고, 하나의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돌출되는 돌출공이 일측단에 형성된 관체형의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스크레이퍼들을 제각기 가압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를 가압하여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홀더본체의 일부분에 걸리면서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리턴을 허용하는 복수의 가압버튼;
상기 가압버튼들 또는 상기 스크레이퍼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압버튼 및 상기 스크레이퍼를 리턴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홀더본체 또는 상기 가압버튼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을 식별시키는 식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홀더본체의 일부분에 투시구멍이나 투명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의 선단부를 투시가능한 상태로 노출시키는 투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가압버튼들에 서로 다른 색상이나 라벨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에 수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암석의 표면과 마찰하며,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마찰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크레이퍼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면서 상기 스크레이퍼들과 함께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에 수용되어 선택에 의해 돌출되는 필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표면에 암석을 마찰시키면서 암석의 조흔색을 측정하는 조흔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는,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스크레이퍼들이 스크레이퍼 홀더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므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들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스크레이퍼의 교체시간이 단축되므로 경도시험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들이 투시부에 의해 직접 식별되거나 가압버튼에 구비되는 표시부에 의해 간접 식별되므로 홀더본체에 수용된 스크레이퍼들을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가 지지봉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침으로 구성됨에 따라 반복적인 긁기시험에 의해 마찰침이 소모될 경우에는 마찰침만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들과 함께 필기부재가 스크레이퍼 홀더에 수용되므로 경도시험부터 경도시험의 결과나 암석의 특성 등의 기록이 원스톱으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 홀더의 외주면에 조흔판이 구비됨에 따라 암석의 종류나 특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장비의 부피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도시험용 긁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경도시험 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레이퍼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00) 및 스크레이퍼 홀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00)는 측정 대상 암석을 긁어내는 형태로 마찰하면서 긁힘의 유무를 통해 대상암석의 경도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크레이퍼(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제각기 다른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다.
예컨대, 스크레이퍼(10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10) 및 마찰침(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봉(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크레이퍼 홀더(200)에 수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마찰침(120)은 대상암석의 표면과 직접 마찰하는 부재로써, 서로 다른 경도를 갖도록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다.
이러한 마찰침(120)은 예컨대 다이아몬드, 황옥, 수정, 인회석 등으로 제각기 구성되어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가지며, 뾰족한 선단부를 통해 대상암석과 마찰하면서 대상암석에 긁힘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경도보다 약함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마찰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닳아진 경우에 교환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마찰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10)과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스냅식으로 결합되거나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 홀더(200)는 복수의 스크레이퍼(100)들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스크레이퍼(100)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스크레이퍼 홀더(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 가압버튼(220), 탄성체(230) 및 식별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스크레이퍼(100)들이 수용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크레이퍼(100)의 마찰침(120)이 돌출되는 돌출공(211)이 선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본체(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공(211)을 갖는 캡(211a)이 분리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가압버튼(22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슬롯(212)이 형성된다.
가압버튼(22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나의 스크레이퍼(100)를 홀더본체(210)의 돌출공(211)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고정하거나, 돌출된 스크레이퍼(100)의 리턴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가압버튼(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면서 홀더본체(210)의 버튼슬롯(212)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스크레이퍼(100)의 지지봉(110)을 제각기 가압하며, 사용자에 의해 이동하면서 스크레이퍼(100)의 마찰침(120)을 돌출공(211)으로 돌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리턴시킨다.
예컨대, 가압버튼(2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55)가 형성됨에 따라 마찰침(120)을 돌출시킨 상태로 또 다른 가압버튼(220)의 걸림돌기(255)에 걸리면서 고정되며, 사용자의 가압이나 또 다른 가압버튼(220)의 이동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면서 마찰침(120)을 홀더본체(2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이와 달리, 가압버튼(220)은 마찰침(120)을 돌출시킨 상태로 홀더본체(210)의 일부분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이나 또 다른 가압버튼(220)의 이동에 의해 걸림이 해제되면서 마찰침(120)을 홀더본체(2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킬 수도 있다.
탄성체(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된 스크레이퍼(100)에 탄성력을 제공하거나 가압버튼(220)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가압버튼(220) 및 스크레이퍼(100)를 원위치로 리턴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탄성체(23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00)에 끼워진 상태로 스크레이퍼(100)의 이동에 의해 탄성압축되면서 스크레이퍼(1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스크레이퍼 홀더(200)는 탄성체(230)의 일측단을 지지하면서 스크레이퍼(1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50)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크레이퍼 홀더(200)는 예컨대 일반적인 다색볼펜의 구성에서 볼펜심들을 출몰가능하게 수용하면서 볼펜심을 인출시키는 것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식별수단(240)은 홀더본체(210)에 수용된 스크레이퍼(100)들을 식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부(2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시부(241)는 스크레이퍼(100)의 마찰침(120)을 노출시키는 구성요소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에 투명창형태로 구성되거나 투시구멍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홀더본체(210)는 전술한 캡(211a)이 투명체로 형성되면서 투시부(241)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스크레이퍼(100)들의 마찰침(120)들은 투시부(241)를 통해 노출되면서 종류가 식별될 수 있다.
한편, 식별수단(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버튼(220)에 구비되는 표시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242)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침(120)들을 구분하는 라벨형태로 가압버튼(220)에 부착되거나 가압버튼(22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크레이퍼(100)들의 마찰침(120)들은 표시부(242)가 구비된 가압버튼(220)들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기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레이퍼(100)와 동일한 외형을 형성되어 스크레이퍼(100)들과 함께 스크레이퍼 홀더(200)에 수용된다.
이러한 필기부재(300)는 예컨대, 스크레이퍼(10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볼펜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스크레이퍼(100)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가압버튼(220)에 의해 샤프심을 인출하는 샤프펜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스크레이퍼(100)의 인출을 통해 대상암석의 경도를 측정한 후, 필기부재(300)를 인출하여 측정결과나 암석의 특성 등을 즉시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흔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흔판(streak plate)(400)은 알려진 바와 같이 광물 고유의 조흔색을 통해 황철석이나 황동석과 같은 광물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써, 초벌구이 도자기로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본체(21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조흔판(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노출된 상태로 홀더본체(210)에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10)의 사용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암석의 경도시험 시 가압버튼(220)을 가압하여 홀더본체(210)에서 스크레이퍼(100)의 마찰침(120)을 인출하고, 암석의 표면과 마찰침(120)을 마찰시키면서 암석의 긁힘을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는 마찰침(120)의 기준경도가 낮은 순서로 돌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시부(241)를 통해 마찰침(120)의 종류를 직접확인하거나 가압버튼(220)에 구비된 표시부(242)를 통해 마찰침(120)의 종류를 확인하면서 마찰침(120)을 돌출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암석에 긁힘이 발생한 경우, 홀더본체(210)에서 필기부재(300)를 인출하여 해당 마찰침(120)의 기준경도를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는 암석을 조흔판(400)에 문질러서 조흔색을 검사한 후 필기부재(300)로 결과를 즉시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10)에 의하면,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스크레이퍼(100)들이 스크레이퍼 홀더(200)에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므로 휴대가 간편함은 물론 안전사고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스크레이퍼(100)들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스크레이퍼(100)의 교체시간이 단축되므로 경도시험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00)들이 투시부(241)에 의해 직접 식별되거나 가압버튼(220)에 구비되는 표시부(242)에 의해 간접 식별되므로 홀더본체(210)에 수용된 스크레이퍼(100)들을 필요에 따라 정확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100)가 지지봉(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찰침(120)으로 구성됨에 따라 반복적인 긁기시험에 의해 마찰침(120)이 소모될 경우에는 마찰침(120)만을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100)들과 함께 필기부재(300)가 스크레이퍼 홀더(200)에 수용되므로 경도시험부터 경도시험의 결과나 암석의 특성 등의 기록이 원스톱으로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퍼 홀더(200)의 외주면에 조흔판(400)이 구비됨에 따라 암석의 종류나 특성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사장비의 부피가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크레이퍼 110 : 지지봉
120 : 마찰침 200 : 스크레이퍼 홀더
210 : 홀더본체 211 : 돌출공
220 : 가압버튼 230 : 탄성체
240 : 식별수단 241 : 투시부
242 : 표시부 250 : 가이드부재
300 : 필기부재 400 : 조흔판

Claims (7)

  1. 지질조사시 암석의 긁힘을 통해 암석의 경도를 측정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로서,
    복수로 구성되면서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도록 선단부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암석의 표면을 긁어내는 송곳형태의 스크레이퍼; 및
    상기 스크레이퍼들이 식별가능한 상태로 출몰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스크레이퍼들 중 선택되는 하나가 돌출되면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스크레이퍼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에 수용되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암석의 표면과 마찰하며,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기준경도를 갖는 마찰침;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의 외주면에 부착되고, 표면에 암석을 마찰시키면서 암석의 조흔색을 측정하는 조흔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는,
    상기 스크레이퍼들이 수용되고, 하나의 스크레이퍼의 선단부가 돌출되는 돌출공이 일측단에 형성된 관체형의 홀더본체;
    상기 홀더본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스크레이퍼들을 제각기 가압하고, 상기 스크레이퍼를 가압하여 돌출시킨 상태로 상기 홀더본체의 일부분에 걸리면서 고정되거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리턴을 허용하는 복수의 가압버튼;
    상기 가압버튼들 또는 상기 스크레이퍼들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압버튼 및 상기 스크레이퍼를 리턴시키는 탄성체; 및
    상기 홀더본체 또는 상기 가압버튼에 마련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을 식별시키는 식별수단;을 포함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홀더본체의 일부분에 투시구멍이나 투명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의 선단부를 투시가능한 상태로 노출시키는 투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별수단은,
    상기 가압버튼들에 서로 다른 색상이나 라벨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스크레이퍼들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면서 상기 스크레이퍼들과 함께 상기 스크레이퍼 홀더에 수용되어 선택에 의해 돌출되는 필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7. 삭제
KR1020140008898A 2014-01-24 2014-01-24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KR10139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898A KR101399910B1 (ko) 2014-01-24 2014-01-24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898A KR101399910B1 (ko) 2014-01-24 2014-01-24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910B1 true KR101399910B1 (ko) 2014-05-29

Family

ID=508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898A KR101399910B1 (ko) 2014-01-24 2014-01-24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9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75B1 (ko) * 2014-12-22 2015-06-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조사용 펜형 키트
KR20160079255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포스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US11169134B2 (en) 2019-11-01 2021-11-09 Terry Kwao Bruce-Rockson Geology material organiz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83A (ko) * 1992-10-26 1994-05-20 내프탈리 히르쉬 비교에 의한 경도 시험용 휴대용 장치와 방법
JP2010226667A (ja) 2009-03-25 2010-10-07 Fujitsu Ltd 集積回路及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9683A (ko) * 1992-10-26 1994-05-20 내프탈리 히르쉬 비교에 의한 경도 시험용 휴대용 장치와 방법
JP2010226667A (ja) 2009-03-25 2010-10-07 Fujitsu Ltd 集積回路及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75B1 (ko) * 2014-12-22 2015-06-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조사용 펜형 키트
KR20160079255A (ko) * 2014-12-26 2016-07-06 주식회사 포스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KR101639250B1 (ko) 2014-12-2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US11169134B2 (en) 2019-11-01 2021-11-09 Terry Kwao Bruce-Rockson Geology material organizer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910B1 (ko) 지질조사용 경도시험 키트
KR200475444Y1 (ko)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6574881B2 (en) Tape measure and marking apparatus
CN110785648A (zh) 测定装置和与其一起使用的测定设备
CA2853819C (en) Marking implement
US2251640A (en) Level attachment for pencils
US3617708A (en) Marker-counter device
US1738496A (en) Eraser knife for fountain pens
US2438337A (en) Combination rule and compass
KR100964405B1 (ko) 제도용 줄자
US10139212B2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marker
US3544227A (en) Writing instrument
WO2016048125A1 (en) Tape measure
JP5844933B1 (ja) 消去用部材付き筆記具
CN214845503U (zh) 场强测量仪器
US2867042A (en) Geometrical instruments
CN211519062U (zh) 一种防污多功能直尺
US2809609A (en) Writing instrument
CN218938036U (zh) 一种矿物摩氏硬度测量装置
US3230934A (en) Writing instrument
KR200477790Y1 (ko) 길이 측정 수단을 구비한 필기도구
CN206374416U (zh) 一种多功能文具
KR200477320Y1 (ko) 필기구
US2289963A (en) Fountain pen
KR101769235B1 (ko) 컴퓨터용 사인펜 일체형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