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44Y1 -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 Google Patents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44Y1
KR200475444Y1 KR2020140004563U KR20140004563U KR200475444Y1 KR 200475444 Y1 KR200475444 Y1 KR 200475444Y1 KR 2020140004563 U KR2020140004563 U KR 2020140004563U KR 20140004563 U KR20140004563 U KR 20140004563U KR 200475444 Y1 KR200475444 Y1 KR 200475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easure
guided
guide
marking member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열
Original Assignee
김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열 filed Critical 김상열
Priority to KR2020140004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44Y1/ko
Priority to US15/319,799 priority patent/US10082379B2/en
Priority to JP2017519433A priority patent/JP6543339B2/ja
Priority to PCT/KR2015/006114 priority patent/WO20151948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01B3/04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rig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01B3/006Scales; Graduations having both coarse and fine grad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3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characterised by layout or indic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01B3/1089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for marking, drawing or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5Means for locking engaging the tape in a direction transversal to the tape itsel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2003/1053Tape exit slots, e.g. shape or exit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10) 내부에 선단부(102)를 제외한 금속줄자(101)가 출몰 가능하게 권선되어 내장된 통상의 줄자(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측면부(11)로부터 직각되는 저면부(1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3a) 및 측면부와 이격되는 삽입 틈(13b)을 갖는 가이드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의 저면부(12)에는 나사체결공(13c)이 형성되되, 나사체결공(13c)의 내측에 안내되어 가이드홈부(13) 내에서 일부분이 돌출 지지되는 록크볼(14), 록크볼(14)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5)이 안내되고, 록크볼(14) 및 압축스프링(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렌치볼트(16)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 및 삽입 틈(13b)으로부터 일측이 안내되어 케이싱(10)으로부터 인출된 금속줄자(101)의 눈금을 통해 대상물에 길이를 표시하는 마킹부재(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케이싱의 측부로부터 금속줄자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마킹부재를 인출하고, 여기에 필기구를 장착하여 인출된 금속줄자의 해당눈금에 정확히 일치시켜 대상물의 길이부분에 대한 위치를 표식시켜 주고, 미사용시에는 다시 케이스의 측부측으로 위치시켜 사용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줄자의 인출 및 길이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용하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마킹부재를 완전히 줄자로부터 분리시켜 기존 줄자의 형태로도 병행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Tape measure having length display function}
본 고안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위치를 정확히 줄자사용과 함께 한 손으로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줄자는 가정은 물론, 건설 및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목적하에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롤 형태로 권선되어 일정길이만큼 본체로부터 인출시켜 표시된 눈금을 기준으로 물건의 길이를 재어 보거나, 대부분 길이가 긴 가공물품(예를 들면, 각목, 철재 등과 같은 부자재)의 절단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 작업현장에서는 상기 줄자를 비롯한 여러 공구를 휴대하고 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싸인펜이나 연필을 이용하여 줄자를 인출시킨 상태에서 설정한 길이를 필기구로서 표시하고, 사용한 후에는 인출된 줄자를 본체에 다시 수용되도록 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줄자와 관련하여 대상물 길이를 재어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종래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8689호(명칭: 다용도 도구를 일체로 한 개량줄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측정하는 금속줄자(101)를 내장한 통상의 줄자(100)에 있어서, 합성수지제의 외부케이스(10)의 일측면 하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시킨 치공구 돌출몸체(20)와, 상기의 치공구 돌출몸체(20)의 측면에는 너얼링으로 가공한 절삭판(25)과, 상기 금속줄자(101)가 입출입하는 입구 일측의 상기 치공구 돌출몸체(20)에 형성한 삽입요홈면(30)에 삽입시켜 볼트체결되게 함으로써 측정거리를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표식 절단촉날(26)과, 끝단부를 면취면(27)으로 가공하고, 하단부는 경사날(28)로 가공하도록 하는 절단도(23)가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금속줄자는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선단부(102)가 마련되며, 상기 절단도에는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자(29)가 표시된다.
상기의 표식 절단촉날(26)은 일측면을 상단부에서 끝단 꼭지점(35) 까지 수직선상으로 되며 판 형상의 표식 절단촉날(26)로 하여 일 외측 후방에서 전방으로 끝단 꼭지점(35) 까지 경사지게 뾰쪽하게 형성하였으며 표식 절단촉날(26)에는 결합공(32)을 관통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종래의 줄자는 사용상에 있어, 절단촉달(26)이 뾰족하면서 날카로운 형태로 돌출 결합되어 있어, 줄자를 이용한 대상물의 길이를 재는 과정에서 해당 위치의 길이부분에 대한 마킹에는 유리한 점이 있으나, 줄자를 잡고 다루는 과정에서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절단촉날이 구부러지나 훼손되는 경우에는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상물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위치를 정확히 줄자사용과 함께 한 손으로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싱 내부에 선단부를 제외한 금속줄자가 출몰 가능하게 권선되어 내장된 통상의 줄자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측면부로부터 직각되는 저면부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슬라이드홈 및 측면부와 이격되는 삽입 틈을 갖는 가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저면부에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되되, 나사체결공의 내측에 안내되어 가이드홈부 내에서 일부분이 돌출 지지되는 록크볼, 록크볼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이 안내되고, 록크볼 및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렌치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의 슬라이드홈 및 삽입 틈으로부터 일측이 안내되어 케이싱으로부터 인출된 금속줄자의 눈금을 통해 대상물에 길이를 표시하는 마킹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마킹부재는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와 수평부를 갖되, 상기 수직부에는 필기구를 꽂아 지지할 수 있는 꽂이대가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의 삽입 틈에 안내 지지되는 안내턱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는 가이드부의 슬라이드홈에 안내되어 록크볼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지지공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는 꽂이대는 호 형상으로 된 탄력편이 양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탄력편이 형성된 중간부분의 후면에는 금속줄자의 눈금 기준이 되는 기준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줄자는 케이싱의 측부로부터 금속줄자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마킹부재를 인출하고, 여기에 필기구를 장착하여 인출된 금속줄자의 해당눈금에 정확히 일치시켜 대상물의 길이부분에 대한 위치를 표식시켜 주고, 미사용시에는 다시 케이스의 측부측으로 위치시켜 사용함으로써, 한 손으로도 줄자의 인출 및 길이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용하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마킹부재를 완전히 줄자로부터 분리시켜 기존 줄자의 형태로도 병행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줄자의 주요구성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줄자 및 마킹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줄자에 마킹부재와 필기구를 결합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킹부재가 줄자로부터 금속줄자와 함께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를 반대측에서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마킹부재의 수평부측 지지공이 줄자의 가이드부에 마련된 록크 볼에 안내 지지된 상태를 예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줄자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케이싱(10) 내부에 선단부(102)를 제외한 금속줄자(101)가 출몰 가능하게 권선되어 내장된 통상의 줄자(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측면부(11)로부터 직각되는 저면부(1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3a) 및 측면부와 이격되는 삽입 틈(13b)을 갖는 가이드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의 저면부(12)에는 나사체결공(13c)이 형성되되, 나사체결공(13c)의 내측에 안내되어 가이드홈부(13) 내에서 일부분이 돌출 지지되는 록크볼(14), 록크볼(14)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5)이 안내되고, 록크볼(14) 및 압축스프링(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렌치볼트(16)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 및 삽입 틈(13b)으로부터 일측이 안내되어 케이싱(10)으로부터 인출된 금속줄자(101)의 눈금을 통해 대상물에 길이를 표시하는 마킹부재(20)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마킹부재(20)는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20-1)와 수평부(20-2)를 갖되, 상기 수직부(20-1)에는 필기구(P)를 꽂아 지지할 수 있는 꽂이대(21)가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13)의 삽입 틈(13b)에 안내 지지되는 안내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0-2)에는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에 안내되어 록크볼(14)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지지공(23)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수직부(20-1)에 형성되는 꽂이대(21)는 호 형상으로 된 탄력편이 양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탄력편이 형성된 중간부의 후면에는 금속줄자(101)의 눈금 기준이 되는 기준표시부(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는 케이싱(10)의 소재와 동일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하거나 혹은 별도의 금속판을 가공하여서 케이싱의 사출성형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기준표시부(24)는 자체적으로 일자형으로 음각처리하거나 혹은 지워지지 않게 인쇄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줄자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길이를 재고자 하는 대상물에는 통상적인 사용법과 같이 금속줄자(101)의 선단부(102)를 걸어 케이싱(10)으로부터 필요로 하는 만큼 이상 인출시켜 길이를 재거나 혹은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에 절단위치 등을 마킹을 해두거나 기타 위치표시를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적용된 마킹부재(20)의 수직부(20-1)에는 꽂이대(21)에는 마킹하기 위한 펜, 연필 등과 같은 필기구(P)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금속줄자(101)의 인출시 마킹부재(20)를 가이드(13)로부터 이동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마킹부재(20)의 이동은 케이싱(10)의 측면부(11)와 저면부(12)를 따라 이동하되, 이는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 및 삽입 틈(13b)으로부터 에서 마킹부재(20)의 수평부(20-2)를 강압적으로 이동시 수평부(20-2)에 형성된 지지공(23)은 상기 가이드부(13)측 나사체결공(13c)에 설치된 록크볼(14)에 대해 강압적으로 벗어나 이탈되고, 첨부도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록크볼(14)에 대한 지지공(23)의 위치가 바뀌어져 걸려 지지되는 상태로 고정된다.
줄자(100)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상기 금속줄자(101)를 필요한 만큼 인출하고, 자신이 설정한 눈금에 맞추어진 상태에서 상기 필기구(P)를 통해 마킹한다.
상기와 같은 마킹 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금속줄자(101)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예를 들면 30센티 위치)과 마킹부재(20)의 수직부(20-1) 후면에 형성한 기준표시부(24)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필기구(P)를 눌러 끝단 부분을 통해 점을 찍거나 혹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선을 표시하여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작업자가 한 손으로 금속줄자(101)의 대상물 끝단에 금속줄자의 선단부(102)를 걸어주고, 당기는 동작하에서 상기 케이싱(10) 내에 권선된 금속줄자를 필요한 길이로 인출시키고, 육안으로 설정된 눈금과 상기 기준표시부(24)가 일치하는가를 확인한 다음, 줄자를 잡고 있는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위치(길이확인) 마킹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줄자(100)의 사용에서 별도의 마킹펜, 혹은 필기구를 한 손에 잡고 또 다른 한 손을 이용한 금속줄자의 인출작업을 하는 통상적인 기존 줄자의 사용법에 비해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은 방식으로 위치 마킹이 이루어진 상태혹은 미사용시에는 통상적인 줄자를 사용하는 방법과 같이 금속줄자를 다시 케이싱 내부를 진입시켜 권선시키고, 상기 마킹부재는 가이드부를 기점으로 케이싱측으로 안내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록크볼(14)에 대해 마킹부재(20)의 수평부(20-2)측 지지공(23)은 다시 지지되는 상태가 마킹부재를 지지한다.
상기 마킹부재(20)는 필기구(P))의 착탈은 물론, 마킹부재(20)를 케이싱(10)으로부터 이격시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킹부재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싱 11: 측면부
12: 저면부 13: 가이드부
13a: 슬라이드홈 13b: 삽입 틈
13c: 나사체결공 14: 록크볼
15: 압축스프링 16: 렌치볼트
20: 마킹부재 20-1: 수직부
20-2: 수평부 21: 꽂이대
22: 안내턱 23: 지지공
24: 기준표시부 100: 줄자
101: 금속줄자 102: 선단부
P: 필기구

Claims (3)

  1. 케이싱(10) 내부에 선단부(102)를 제외한 금속줄자(101)가 출몰 가능하게 권선되어 내장된 통상의 줄자(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측면부(11)로부터 직각되는 저면부(12)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슬라이드홈(13a) 및 측면부와 이격되는 삽입 틈(13b)을 갖는 가이드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3)의 저면부(12)에는 나사체결공(13c)이 형성되되, 나사체결공(13c)의 내측에 안내되어 가이드홈부(13) 내에서 일부분이 돌출 지지되는 록크볼(14), 록크볼(14)을 탄력 지지하는 압축스프링(15)이 안내되고, 록크볼(14) 및 압축스프링(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렌치볼트(16)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 및 삽입 틈(13b)으로부터 일측이 안내되어 케이싱(10)으로부터 인출된 금속줄자(101)의 눈금을 통해 대상물에 길이를 표시하는 마킹부재(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재(20)는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20-1)와 수평부(20-2)를 갖되, 상기 수직부(20-1)에는 필기구(P)를 꽂아 지지할 수 있는 꽂이대(21)가 마련되고,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13)의 삽입 틈(13b)에 안내 지지되는 안내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20-2)에는 가이드부(13)의 슬라이드홈(13a)에 안내되어 록크볼(14)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지지공(23)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20-1)에 형성되는 꽂이대(21)는 호 형상으로 된 탄력편이 양측에 대응되는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탄력편이 형성된 중간부의 후면에는 금속줄자(101)의 눈금 기준이 되는 기준표시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KR2020140004563U 2014-06-17 2014-06-17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KR200475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63U KR200475444Y1 (ko) 2014-06-17 2014-06-17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15/319,799 US10082379B2 (en) 2014-06-17 2015-06-17 Tape measure having length marking function
JP2017519433A JP6543339B2 (ja) 2014-06-17 2015-06-17 長さ表示機能付き巻尺
PCT/KR2015/006114 WO2015194841A1 (ko) 2014-06-17 2015-06-17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63U KR200475444Y1 (ko) 2014-06-17 2014-06-17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444Y1 true KR200475444Y1 (ko) 2014-12-01

Family

ID=5353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63U KR200475444Y1 (ko) 2014-06-17 2014-06-17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82379B2 (ko)
JP (1) JP6543339B2 (ko)
KR (1) KR200475444Y1 (ko)
WO (1) WO20151948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1A (ko) 2018-12-20 2020-06-30 한상철 먹통이 구비된 줄자
KR20230001595U (ko) 2022-01-24 2023-08-01 강진복 내부의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줄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44Y1 (ko) * 2014-06-17 2014-12-01 김상열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10054415B2 (en) 2015-09-30 2018-08-2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GB2549706A (en) * 2016-04-21 2017-11-01 Anthony O'neill Derrick A tape measure
US9874428B1 (en) 2016-10-05 2018-01-2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EP3523600B1 (en) 2016-10-05 2023-12-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compact retraction system
US10836603B2 (en) 2017-03-22 2020-11-1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Tape measure with epicyclic gear drive for tape retraction
US11796294B2 (en) * 2021-10-19 2023-10-24 Charles Aldrich Precision decimal inch tape measure
JP7373883B1 (ja) 2023-09-24 2023-11-06 正見 佐々木 位置決め具及び位置決め具付きコンベックスル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04A (ja) * 1994-06-28 1996-01-19 Takefumi Koremura 測定具
JP2006242661A (ja) * 2005-03-02 2006-09-14 Hara Doki Kk 巻尺
JP2007033251A (ja) * 2005-07-27 2007-02-08 Hara Doki Kk 巻尺
KR20100006191A (ko) * 2008-07-09 2010-01-19 권석민 제도용 줄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7886A (en) * 1956-04-05 1957-10-01 Alfonso B Aciego Pencil and tape holder
JPS62126703U (ko) * 1986-02-03 1987-08-11
US4908954A (en) * 1988-04-15 1990-03-20 Johnson Gene A Measuring tape guide and finger guard
US5577329A (en) * 1994-02-17 1996-11-26 States; Eric Tape measure pencil holder
ATE181564T1 (de) * 1995-06-08 1999-07-15 Dow Chemical Co Klarer einschichtiger etikettenträger
US6574881B2 (en) * 2000-05-17 2003-06-10 Cole, Iii Robert E. Tape measure and marking apparatus
US6725560B2 (en) * 2000-07-25 2004-04-27 Braden L. Smith Releasable marking attachment for tape measure
US6434854B1 (en) * 2000-08-07 2002-08-20 Inventures Product Development, Inc. Integrated marker and tape measure
US7076885B2 (en) * 2004-06-02 2006-07-18 Potter Stephen B Magnetic tool and tool holder with cam release
US20110203127A1 (en) * 2010-02-22 2011-08-25 Lance David Mayfield Metal clip the pencil caddie
JP2013122435A (ja) * 2012-02-21 2013-06-20 Koji Arakawa 巻尺及び当接治具
KR101398689B1 (ko) 2012-12-04 2014-05-27 편진혁 다용도 도구를 일체로 한 개량줄자
KR200475444Y1 (ko) * 2014-06-17 2014-12-01 김상열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804A (ja) * 1994-06-28 1996-01-19 Takefumi Koremura 測定具
JP2006242661A (ja) * 2005-03-02 2006-09-14 Hara Doki Kk 巻尺
JP2007033251A (ja) * 2005-07-27 2007-02-08 Hara Doki Kk 巻尺
KR20100006191A (ko) * 2008-07-09 2010-01-19 권석민 제도용 줄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891A (ko) 2018-12-20 2020-06-30 한상철 먹통이 구비된 줄자
KR20230001595U (ko) 2022-01-24 2023-08-01 강진복 내부의 거리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줄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2578A (ja) 2017-08-10
US20170205218A1 (en) 2017-07-20
WO2015194841A1 (ko) 2015-12-23
JP6543339B2 (ja) 2019-07-10
US10082379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44Y1 (ko)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7845093B2 (en) Tape measure apparatus
KR100718331B1 (ko) 절단용 티자
US7490415B1 (en) Extendible tape measure finger guard and marking assist device
US7676950B2 (en) Carpenters square with tape measure
US20090106984A1 (en) Measuring scissors
US9574862B2 (en) Ergonomic multifunctional tape measure
DE212015000140U1 (de) Bandmaß
JP2017042876A (ja) 可動式ポンチ
US9421814B2 (en) Marking blade
US20160288315A1 (en) Length Marking Device
KR20160069120A (ko)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CN204054153U (zh) 干酪的切割装置
US20090038172A1 (en) Combination tape measure and hammer
CN216828167U (zh) 一种安全防护型冲孔机
JP6831187B2 (ja) 測定工具
KR200497256Y1 (ko) 나무판에 선을 긋는 장치
KR200394776Y1 (ko) 다기능 자
KR100647477B1 (ko) 다기능 자
KR20110058430A (ko) 눈금 보호용 자
CA2888196C (en) Marking blade
KR101785615B1 (ko) 다용도 티자
KR20180007938A (ko) 탈부착이 가능한 칼 눈금자
CN204428041U (zh) 一种骨科测量尺
KR20110002083U (ko) 그므게 줄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