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13B1 -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13B1
KR101681813B1 KR1020140174632A KR20140174632A KR101681813B1 KR 101681813 B1 KR101681813 B1 KR 101681813B1 KR 1020140174632 A KR1020140174632 A KR 1020140174632A KR 20140174632 A KR20140174632 A KR 20140174632A KR 101681813 B1 KR101681813 B1 KR 10168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guide
storage space
blad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120A (ko
Inventor
최병길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1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1/00Hand knives combined with other implements, e.g. with corkscrew, with scissors, with writ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6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나이프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안내하는 제1가이드공과 나이프 칼날을 전후 방향으로 직선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가 구비된다. 나이프 케이스 자체와 칼날을 정확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절단 대상물을 정확하게 직선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칼날에 의한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Utility knife assembly}
본 발명은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 절단을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틸리티 나이프는 커터칼이라고 불리며, 주로 종이 및 비닐 재질의 얇은 시트(sheet) 형상 물품을 자르는데 사용된다.
유틸리티 나이프는 특정한 용도에 사용되는 칼 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칼을 지칭하는 말이나,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무뎌진 날끝을 잘라내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칼(Retractable snap-off blade utility knife)을 의미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9904호, 제10-2013-0095341호 등에 유틸리티 나이프가 게시되어 있다. 각각 다른 용도의 기술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막대형 케이스의 내부에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한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슬라이더에 칼날이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전후 이동에 따라 칼날이 케이스의 앞쪽 단부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후단에 구비된 캡을 이용하여 무뎌진 칼날 끝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공통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유틸리티 나이프는 얇은 두께의 물품을 직선으로 절단하는데 주로 이용되는데, 손으로 유틸리티 나이프를 정확한 직선으로 이동시키기가 어려우므로 자(measure, ruler)와 같은 직선형 도구를 가이드로 이용하여 절단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케이스 단부에서 칼날이 좌우 방향(칼날의 두께 방향)으로 소정량 유동하고 칼날 자체도 휘기 때문에 자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정확한 직선 절단이 어려우며, 심할 경우 칼날이 이동 경로를 벗어나 자를 타고 올라와 자를 잡고 있는 손가락에 상해를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재료를 정확하게 직선으로 절단할 수 있으면서 상해의 위험이 없는 안전한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나이프와,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는 제1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에는 제1가이드공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나이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나이프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보관공간의 양측면에 상기 제1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나이프의 칼날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된다.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면 후단에는 보관공간에 삽입된 나이프의 후단을 지지하여 나이프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단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이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이프 케이스 및 캡이 자성 재질로 이루어져 자석에 나이프 후단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제1가이드공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공은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관공간의 후단 벽면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스틸볼이 구비되고, 보관공간에 삽입된 나이프의 캡 후면에는 스틸볼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반구형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의 후단에 회동 가능한 고리가 설치되고, 나이프의 캡 상면에 상방으로 회동된 고리가 걸려지는 반원형의 걸림홈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의 저면에는 제2가이드공을 따라 다수의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나이프가 보관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보관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된 나이프 케이스의 측면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협지홈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나이프와 가이드가 결합된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나이프는 가이드에 형성된 보관공간에 수납되어 보관되거나, 상방으로 회동시켜 보관공간으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가이드 보관공간의 측면에 나이프 케이스에 형성된 돌기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공이 형성됨으로써 나이프를 전후 방향으로 정확하게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 보관공간의 바닥면에 나이프의 칼날을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됨으로써 칼날을 좌우 유동 및 휨 없이 정확하게 직선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대상물을 정확하게 직선으로 절단할 수 있으며, 칼날이 가이드에 의해 보호되므로 사용자 손가락과의 접촉이 근본적으로 차단되어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의 제1가이드공은 가이드 상면에 개구된 삽입공을 통해 가이드 외측으로 연결되므로 가이드로부터 나이프를 완전히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가이드의 후단에는 자석,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스틸볼, 회동되는 고리 등을 설치하여 보관공간에 삽입된 나이프의 보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를 투명 재질로 제작하고, 가이드 저면의 제2가이드공 측부에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눈금을 참고하여 칼날에 의한 절단 대상물의 절단량을 정확하게 가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의 사용 상태 정면도.
도 2는 나이프 케이스의 후단에 장착되는 캡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이드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가이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의 보관상태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나이프의 보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도 6은 자석을 이용한 실시예, 도 7은 볼을 이용한 실시예, 도 8은 고리를 이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상기 가이드의 저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는, 나이프(100)와, 나이프(100)가 탈착되는 가이드(200)를 포함한다.
나이프(100)는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화살표 A)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이동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120)와, 슬라이더(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더(120)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110)의 전방 단부에서 출몰되는 칼날(130)과, 케이스(110)의 후방 단부에 삽입 설치된 캡(14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의 전방 하부 모서리 부근에는 원형의 돌기(111)가 돌출 형성된다. 돌기(111)는 케이스(110) 양측 면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더(120)는 상면에 조작부(121)가 돌출 형성된다. 조작부(121)는 케이스(110)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구멍을 따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조작부(121)의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거나 당기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칼날(130)은 스틸 재질로서 날끝이 무뎌지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절단선을 따라 끝 부분을 절단하여 무뎌지지 않은 부분을 새로운 날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일반적인 형태의 것이다.
캡(140)은 도 2와 같이, 설치 상태에서 케이스(110) 외측에 위치하는 바디(141)와, 바디(14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42)로 이루어진다. 바디(141)의 후면에는 칼날(130)을 삽입할 수 있는 칼날홈(1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칼날홈(143)을 이용하여 칼날(130)의 무뎌진 끝부분을 절단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0)는 직육면체 막대 형상으로서, 나이프(100) 보다 길고 두꺼운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200)는 내부에 나이프(100)가 삽입 수용되는 보관공간(210)이 형성되는데, 보관공간(210)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보관공간(210)의 양측면으로는 나이프 케이스(110)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111)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화살표 B)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는 제1가이드공(220)이 형성된다. 제1가이드공(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00)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케이스(110)의 돌기(111)가 삽입되어 전후 이동할 수만 있으면 외측부(가이드(200)의 표면을 형성하는 부분)가 막힌 형상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가이드(200)의 상면에서 제1가이드공(220)의 전방 단부 위쪽 부분에는 표면이 반원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201)가 형성되고, 돌출부(201)에는 제1가이드공(220)의 전방 단부로 연결되는 삽입공(221)이 형성된다. 삽입공(221)은 제1가이드공(220)의 전방 단부를 기준으로 할 때 상부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가이드공(220)과 예각을 이룬다.
보관공간(210)의 바닥면 중앙에는 가이드(200)를 하방으로 관통하여 제2가이드공(230)이 형성된다. 제2가이드공(230)은 나이프(100)의 칼날(130)이 하방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가이드공(230)은 칼날(130)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칼날(130)의 이동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칼날(130)의 휘어짐이나 좌우방향(칼날의 두께방향) 유동을 방지한다.
제1가이드공(220)의 전방 단부는 돌기(111)를 중심으로 하는 나이프(100)의 회동(화살표 C) 중심점이 되는데, 나이프(100) 회동(반시계 방향)시 케이스(110)의 전방으로 사용 길이로 돌출된 칼날(130)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관공간(210)과 제2가이드공(230)은 제1가이드공(220)의 전방 단부로부터 충분한 거리 이격된 범위까지 형성된다.
가이드(200)에서 보관공간(210)의 후방 단부 바닥면에는 보관공간(210)에 나이프(100)가 수용되었을 때 즉, 보관상태에서 나이프(100)의 후단을 지지하여 나이프(100)가 수평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단(240)이 돌출 형성된다.
도 1의 사용 상태에서 나이프(100)를 하방 회동시키면 나이프(100)는 가이드(200)의 보관공간(210)에 수용되어 도 5의 상태가 된다. 이때 나이프(100)의 후단(케이스(110)의 후단과 캡(140))은 상기 지지단(240)에 지지되어 가이드(200)와 평행한 상태로 보관된다.
상기와 같은 보관상태에서 나이프(100)의 몸체 일부는 가이드(200)의 상방으로 돌출되는데, 가이드(200)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110)의 양측면에 슬릿 형태의 협지홈(112)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손가락 끝으로 케이스(110) 양측의 협지홈(112)을 파지하여 케이스(110)를 보관공간(210)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나이프(100)를 보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나이프(100)의 보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도 6 내지 도 8과 같은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지지단(240)을 자석(250)으로 대체한 것이다. 즉, 보관공간(210)의 후단 바닥면에 지지단(240)을 형성하는 대신에 지지단(240)과 같은 두께의 자석(250)을 설치한 것이다. 이때 보관 상태에서 자석(250)에 대응되는 케이스(110)의 후단이나 캡(140)은 자석(250)에 부착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자석(250)을 설치하면 나이프(100)의 후단이 자석(250)에 붙어 상방으로 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나이프(100) 보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스틸볼(260)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이드(200)의 보관공간(210) 후방 측부 벽면에 스프링설치홈(261)이 형성되고, 스프링설치홈(261)에 스프링(262)이 선 삽입되며, 스프링(262)을 가압하면서 스틸볼(260)이 삽입된다. 스틸볼(260)은 스프링설치홈(26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설치됨은 물론이다. 나이프(100)가 보관공간(210)에 수납되었을 때 스틸볼(260)에 대응되는 위치의 캡(140) 후면에는 반구 형상의 걸림홈(144)이 형성된다. 걸림홈(144)은 캡(14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칼날홈(143)과 겹쳐지게 형성된다. 즉, 칼날홈(143)이 걸림홈(144)의 중앙을 상하로 경유하는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나이프(100)가 가이드(200)의 보관공간(210)에 삽입되면 스프링(262)에 의해 밀려진 스틸볼(260)이 캡(140)의 걸림홈(144)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나이프(100)의 상향 회동을 방지하여 그 보관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의 실시예는 고리(270)를 이용하는 것으로, 고리(270)는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단부가 상호 마주보는 안쪽으로 절곡되어 삽입단(271)이 형성된다. 가이드(200)의 후단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단(271)이 삽입되는 고리설치공(272)이 형성된다. 고리설치공(272)에 양측 삽입단(271)이 삽입된 고리(270)는 상하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다. 나이프(100)의 캡(140) 상면에는 고리(270)가 걸려지는 반원형 단면 형상의 걸림홈(145)이 형성된다.
따라서, 나이프(100)가 가이드(200)의 보관공간(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270)를 상향 회동시켜 걸림홈(145)에 걸어 두면 나이프(100)의 상향 회동이 방지되므로 그 보관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200)는 투명 아크릴과 같은 투명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의 제2가이드공(230) 측부에 길이를 가늠할 수 있는 다수의 눈금(280)이 형성될 수 있다. 눈금(280)은 칼날(130)에 의한 재료의 절단길이를 가늠하는데 이용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는 도 5와 같은 상태로 보관된다. 나이프(100)는 돌기(11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가이드(200)의 보관공간(210) 내부에 삽입 안착된다. 보관상태에서 나이프(100)는 보관공간(210) 후단에 형성된 지지단(240)에 지지되어 가이드(200)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나이프(100)의 보관 상태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케이스(110)나 캡(140)이 자성 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되고, 보관공간(210)의 후단에 자석(250)이 구비된 경우, 자석(250)에 나이프(100)의 후단이 부착됨으로써 보관공간(210)으로부터 나이프(100)의 이탈이 방지되어 보관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40)의 후면에 걸림홈(144)이 형성되고, 보관공간(210)의 후방측 벽면에 스프링(262)으로 탄지되는 스틸볼(260)이 구비된 경우, 스틸볼(260)이 걸림홈(144)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나이프(100)의 이탈이 방지되어 보관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8과 같이, 캡(140)의 상면에 걸림홈(145)이 형성되고, 가이드(200)의 후단에 회동 가능한 고리(270)가 구비된 경우, 고리(27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걸림홈(145)에 걸어줌으로써 나이프(100)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시에는 엄지와 검지 손가락 끝으로 나이프(100)의 협지홈(112)를 잡고 상방으로 들어올려 나이프(100)를 돌기(11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보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이때, 보관상태 유지 수단으로서 고리(270)가 적용된 경우에만 고리(270)를 걸림홈(145)으로부터 벗겨내는 선작업을 수행한다.)
도 1과 같은 사용상태에서 칼날(130)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경우라면 조작부(121)를 앞으로 밀어 칼날(130)을 절단 대상면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칼날(130)은 가이드(200)의 제2가이드공(230)을 관통하여 날끝 부분이 절단 대상면에 접촉된다.
상기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파지하고 나이프(100)를 후방으로 당겨주면 칼날(13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절단 대상면을 직선으로 절단한다.
나이프(100) 후방 이동시 케이스(110) 양측의 돌기(111)가 가이드(200) 양측의 제1가이드공(220)을 따라 경로를 안내 받으면 직선 이동하고, 이때 케이스(110)의 전단 하면이 보관공간(210)의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나이프(100)는 정확한 직선을 따라서 후방 이동된다.
그에 더하여 나이프(100) 후방 이동시 칼날(130)은 제2가이드공(230)에 삽입된 상태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2가이드공(230)은 칼날(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로만 칼날(130)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큰 폭을 가지므로 칼날(130)은 제2가이드공(230)을 따라 후방 이동하는 중에 좌우(칼날 두께 방향)로 거의 유동하지 않고, 또한 칼날(130)은 양측면이 제2가이드공(230)의 좌우 벽면에 지지되어 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나이프(100) 즉, 칼날(130)을 보유한 케이스(110)가 정확히 직선이동될 뿐만 아니라 칼날(130) 자체도 직선 이동되고 이동중에 휘지 않으므로 칼날(130)은 사용자가 의도한대로 정확한 직선을 따라 절단 대상물을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절단 작업 중에 칼날(130)은 가이드(200)의 제2가이드공(230)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중 칼날(130)에 작업자의 손이 상해를 입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된다.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200)가 투명 재질로 제작되고, 가이드(200)의 하면에 제2가이드공(230)을 따라 눈금(280)이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절단 작업중 투명한 가이드(200)를 통해 칼날(130) 끝의 위치와 절단부위 및 상기 눈금(280)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눈금(280)을 참고하여 절단량을 가늠함으로써 절단 대상물을 의도한 만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가이드공(220)은 돌출부(201)의 삽입공(221)을 통해 가이드(200)의 외측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삽입공(221)을 통해 돌기(111)를 이탈시켜 가이드(200)로부터 나이프(100) 전체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정확한 직선 절단이 필요 없거나 작업 특성에 따라 가이드(200)가 작업에 방해 되는 경우에는 나이프(100)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원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나이프 110 : 케이스
111 : 돌기 112 : 협지홈
120 : 슬라이더 121 : 조작부
130 : 칼날 140 : 캡
200 : 가이드 210 : 보관공간
220 : 제1가이드공 221 : 삽입공
230 : 제2가이드공 240 : 지지단
250 : 자석 260 : 스틸볼
270 : 고리

Claims (11)

  1. 케이스의 측면에 돌기가 형성된 나이프; 및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는 제1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
    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에는 제1가이드공의 전방 단부에 위치한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나이프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나이프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보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의 양측면에 상기 제1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나이프의 칼날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의 바닥면 후단에는 보관공간에 삽입된 나이프의 후단을 지지하여 나이프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는 지지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이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이프 케이스 및 캡이 자성 재질로 이루어져 자석에 나이프 후단이 부착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에 제1가이드공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삽입공은 후방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의 후단 벽면에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스틸볼이 구비되고, 보관공간에 삽입된 나이프의 캡 후면에는 스틸볼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반구형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후단에 회동 가능한 고리가 설치되고, 나이프의 캡 상면에 상방으로 회동된 고리가 걸려지는 반원형의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의 저면에는 제2가이드공을 따라 다수의 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가 보관공간에 삽입되었을 때 보관공간의 외측으로 돌출된 나이프 케이스의 측면에 손가락 끝을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는 협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KR1020140174632A 2014-12-08 2014-12-08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KR10168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32A KR101681813B1 (ko) 2014-12-08 2014-12-08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632A KR101681813B1 (ko) 2014-12-08 2014-12-08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20A KR20160069120A (ko) 2016-06-16
KR101681813B1 true KR101681813B1 (ko) 2016-12-01

Family

ID=5635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632A KR101681813B1 (ko) 2014-12-08 2014-12-08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5210A (zh) * 2017-05-24 2017-07-21 魏鹏 强力裁切刀具
KR20200081683A (ko) 2018-12-28 2020-07-08 정소영 원하는 대로 골라 커피
KR102018828B1 (ko) * 2019-06-19 2019-09-06 대한민국 유물 보존처리용 다변형 컷팅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70Y1 (ko) * 2006-03-06 2006-05-19 전우철 절단용 안전자
US20120272529A1 (en) 2011-04-29 2012-11-01 Richard Steven Constantine Knife Having a Reversible Carri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570Y1 (ko) * 2006-03-06 2006-05-19 전우철 절단용 안전자
US20120272529A1 (en) 2011-04-29 2012-11-01 Richard Steven Constantine Knife Having a Reversible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20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444Y1 (ko) 길이표시기능이 구비된 줄자
US20140345146A1 (en) Utility knife
KR101681813B1 (ko) 유틸리티 나이프 어셈블리
JP5431723B2 (ja) 媒体切断装置
KR100621155B1 (ko) 손가락 보호용 줄자
US8739412B2 (en) Utility knife blade
US9851193B2 (en) Tape measure apparatus with a rotating and sliding catch
US3726010A (en) Carpet cutter
JP2015202533A (ja) 断裁機
US10384366B2 (en) Push-sticks for saws and storage systems thereof
CA2857462C (en) Improved tape measure apparatus with a rotating and sliding catch
US8635781B2 (en) Dual-blade film-cutting device
MY166159A (en) Optical fiber cutter
US2874462A (en) Office knife
US20190111577A1 (en) Utility knife
KR200379207Y1 (ko) 커팅 가이드 장치
EP3013539A1 (en) Bead snipper
CN214924615U (zh) 具有钝刀结构的美工刀
JP2018161738A (ja) キャベツのスライサー
US3541693A (en) Cutting implement
JP3142395U (ja) 電動丸ノコ盤に使用する定規
KR102102598B1 (ko) 커터
JP3166357U (ja) 鉋刃の刃先調整機構
US2471699A (en) Device to form teeth in the edge of a knife
JPH07651A (ja) シート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