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20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206B1
KR102072206B1 KR1020170150363A KR20170150363A KR102072206B1 KR 102072206 B1 KR102072206 B1 KR 102072206B1 KR 1020170150363 A KR1020170150363 A KR 1020170150363A KR 20170150363 A KR20170150363 A KR 20170150363A KR 102072206 B1 KR102072206 B1 KR 102072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ter discharge
food waste
water
discharg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279A (ko
Inventor
이우송
김장곤
박성진
박인수
신국선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기술
Priority to KR1020170150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20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4Garbage gr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단이 개방됨과 더불어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저부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된 수분 배출공들을 통과하는 수분을 유입받아 배출하는 수분배출관; 상기 수분배출관과 연통되면서 수분이 상기 수분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분 배출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에 잔존하는 수분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 경로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apparatus of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배출시 해당 음식물 쓰레기에 잔존하는 수분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 경로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시 이를 별도의 수거통에 수거후 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수거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다량의 수분에 의한 심각한 악취를 유발시킴과 더불어 주변으로의 누수로 인한 주변 오염을 야기시켰던 단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다양한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 제공하여 수분을 제외한 사실상의 음식물 쓰레기만 배출하도록 하였다.
특히, 종래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 및 부피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3-003105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40230호, 공개특허 제10-2005-0089777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면서 분쇄하기 전에 해당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수분을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의 직하방 혹은, 그에 인접된 부위에 배수관이 연결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구조는 극히 짧게만 형성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음식물의 분쇄 성능이 극히 낮았다.
이에 최근에는 공개특허 제10-2016-0039403호에서와 같이 분쇄 및 이송을 위한 이송스크류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분쇄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배출이 어려워 사실상 다량의 수분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쓰레기 수거통으로 배출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공개특허 제10-2003-003105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40230호 공개특허 제10-2005-0089777호 공개특허 제10-2016-0039403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배출시 해당 음식물 쓰레기에 잔존하는 수분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음식물 쓰레기의 유동 경로에 대한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측 저면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저부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이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유출구가 형성된 부위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된 수분 배출공들을 통과하는 수분을 유입받아 배출하는 수분배출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저부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에 이르기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수분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각 수분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분 배출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이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 내에는 상기 하우징의 각 수분 배출공을 청소하기 위한 배출공 청소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출공 청소부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정역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각 수분 배출공을 청소하는 스크래퍼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만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의 저면에 다수의 수분 배출공을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수분 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의 저부에는 수분배출관과 연결되는 수분 배출가이드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시 발생되는 수분이 수분배출관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최종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분 배출가이드 내에는 상기 각 수분 배출공의 청소를 위한 구조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 수분 배출공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에 의해 막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각 수분 배출공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이 수분배출관과 연통되는 하우징의 후방측 부위 및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기 전의 위치인 하우징의 전방측 부위에만 각각 구분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각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분 배출공에 대한 청소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분 배출공에 대한 청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각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하우징(100)과, 이송스크류(200)와, 수분배출관(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하우징(100)에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이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하우징(100)의 저부에는 상기 수분배출관(300)과 연결되는 수분 배출가이드(400)가 구비되고, 이 수분 배출가이드(400) 내에는 상기 각 수분 배출공(140)의 청소를 위한 구조가 구비됨으로써 항상 원활한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하우징(100)은 전후로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에는 유입구(110)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측 저면에는 유출구(12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확장된 확장턱(130)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120)는 상기 확장턱(130)이 형성된 부위의 내주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한 확장턱(130)은 후술될 이송스크류(200)와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저부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한 수분 배출공(140)은 상기 하우징(100) 내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러한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은 상기 이송스크류(2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분 배출공(140)들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부 둘레면 전 부위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과 전방측 저부 둘레면에만 각각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들은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구성이고,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들은 후술될 이송스크류(2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분쇄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이 하우징(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즉, 하우징(100)의 저부 전둘레면에 걸쳐 수분 배출공(140)을 형성한다면 해당 하우징(100)의 강도 저하로 인한 파손의 우려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저부 전둘레면에 걸쳐 수분 배출공(140)을 형성하는 것보다는 부분적으로만 수분 배출공(140)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수분 배출공(140)들 중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에 비해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이 더욱 작게 형성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갈수록 음식물 쓰레기가 점차 분쇄되면서 그 크기가 점차 작아지기 때문에 수분 배출공(140)을 통한 배출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송스크류(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우징(100)의 유출구(120)가 형성된 부위로 이송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이송스크류(200)는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210)의 둘레로 나선형의 이송날개(220)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중심축(210)은 상기 유출구(120)가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나선형의 이송날개(220)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점차적으로 분쇄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나선형의 이송날개(220)는 상기 중심축(210)의 직경에 상관없이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송날개(220)의 피치를 상기 유출구(120)가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좁게 형성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210)의 후방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후면을 폐쇄하는 후면플랜지(15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210)의 전방측 끝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노출됨과 더불어 이러한 이송스크류(200)의 전방측 끝단 부위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전면플랜지(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면플랜지(240)는 상기 이송스크류(200)의 중심축(2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플랜지(24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50)이 구비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20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중심축(210)의 전방측 끝단은 메인모터(도시는 생략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분배출관(300)은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나온 수분을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관로이다.
이와 같은 수분배출관(300)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된 일부의 수분 배출공(140)을 덮는 통체의 몸체부(310) 및 상기 몸체부(310)의 저면에 연통되면서 연장된 배수관(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는 상기 각 수분 배출공(140)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분배출관(300)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수분 배출가이드(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 저부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300)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수분배출관(300)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 반원형의 관체로 형성되며,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300)이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로 유입된 수분이 상기 수분배출관(300)과의 연통 부위를 향해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 내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각 수분 배출공(140)을 청소하기 위한 배출공 청소부(50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출공 청소부(500)는 구동모터(5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100) 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볼스크류(520)와, 상기 볼스크류(520)를 따라 정역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이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각 수분 배출공(140)을 청소하는 스크래퍼(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의 경우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가지는 점성을 가지는 수분이기 때문에 건조시 고착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렇게 고착되는 고착물이 상기 수분 배출공(140)들을 막아버리게 될 경우 원활한 수분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한 배출공 청소부(5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각 수분 배출공(140)에 대한 청소가 수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수분 배출가이드(400)의 끝단은 상기 수분 배출관(300)을 이루는 몸체부(310)의 전면을 관통하여 몸체부(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볼스크류(520)의 끝단 역시 상기 몸체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분배출관(300)과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는 단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3의 단면도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그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가 있지만, 싱크대에 연결하여 사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유입구(110)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유출구(120)에는 별도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을 구비하며, 수분배출관(300)의 배수관(320)은 최초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호스에 연결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싱크대의 배수구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면 이 싱크대의 배수구에 연결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의 후방측 공간 내부로 유입된다.
이의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동작시키면 메인모터가 구동되면서 이송스크류(2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회전되는 이송스크류(200)의 이송날개(220)에 의한 안내 및 이송력을 제공받으면서 점차 하우징(100) 내의 전방측 공간으로 이송되며, 이의 과정에서 상기 이송스크류(200)를 이루는 중심축(210)의 직경 변화에 따른 공간의 축소로 인해 점차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압착에 따른 분쇄가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측 저면에 형성된 유출구(120)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유출구(120)에 연결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수거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상기 하우징(100) 내의 유입구(110)를 통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유입되는 수분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의 대부분은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측 저면에 형성된 각 수분 배출공(140)들을 통과하여 수분배출관(300)내로 배출된 후 상기 수분배출관(300)의 안내를 받아 배수호스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이송스크류(200)에 의한 안내를 받아 이송 및 분쇄되는 도중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존 수분은 상기 유출구(120)를 통해 유출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100) 내의 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된 수분 배출공(140)들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 수분은 그 저부에 위치된 수분 배출가이드(400) 내로 낙하됨과 더불어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가 이루는 경사에 의해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400) 내를 따라 흘러 수분배출관(300) 내로 유동되며, 이후 상기 수분배출관(300)을 통해 배수호스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는 구동모터(510)의 구동에 의한 볼스크류(52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스크래퍼(530)가 정역 이동되고, 이러한 스크래퍼(530)의 정역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각 수분 배출공(140)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진다. 물론, 이러한 수분 배출공(140)에 대한 청소시에는 세척수를 하우징(100) 내로 추가로 공급함과 더불어 이송스크류(200)의 구동을 통한 전 수분 배출공(140)이 형성된 부위로 상기 세척수가 제공되도록 하면서 상기 스크래퍼(530)로 각 수분 배출공(140)이 청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국,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0)의 저면에 다수의 수분 배출공(140)을 관통 형성됨과 더불어 이 수분 배출공(140)이 형성된 부위의 저부에는 수분배출관(300)과 연결되는 수분 배출가이드(400)를 구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시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수분배출관(300)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최종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는 수분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수분 배출가이드(400) 내에는 상기 각 수분 배출공(140)의 청소를 위한 배출공 청소부(50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 수분 배출공(140)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에 의해 막혀버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140)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부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각 수분 배출공(140)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140)이 수분배출관(300)과 연통되는 하우징(100)의 후방측 부위 및 유출구(120)를 통해 유출되기 전의 위치인 하우징(100)의 전방측 부위에만 각각 구분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하우징 110. 유입구
120. 유출구 130. 확장턱
140. 수분배출공 200. 이송스크류
210. 중심축 220. 이송날개
230. 후면플랜지 240. 전면플랜지
250. 스러스트 베어링 300. 수분배출관
310. 몸체부 320. 배수관
400. 수분 배출가이드 500. 배출공 청소부
510. 구동모터 520. 볼스크류
530. 스크래퍼

Claims (5)

  1.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며, 후방측 상면에는 유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측 저면에는 유출구가 형성되며, 저부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분 배출공이 방사 방향을 향해 복수의 열을 이루면서 관통 형성되어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유출구가 형성된 부위로 이송시키면서 분쇄하는 이송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저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저부 둘레면에 형성된 수분 배출공들을 통과하는 수분을 유입받아 배출하는 수분배출관;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 저부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에 이르기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상기 수분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면서 각 수분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이 수분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수분 배출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 내에는 상기 하우징의 각 수분 배출공을 청소하기 위한 배출공 청소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 청소부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 회전되면서 상기 하우징의 저부와 수분 배출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된 볼스크류와,
    중앙측 저부는 볼스크류가 관통되도록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볼스크류를 따라 정역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면은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감싸면서 접촉되도록 반원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분 배출공을 청소하는 스크래퍼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수분배출관이 연결되는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각 수분 배출공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 및 상기 하우징의 전방측에만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70150363A 2017-11-13 2017-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72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63A KR102072206B1 (ko) 2017-11-13 2017-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63A KR102072206B1 (ko) 2017-11-13 2017-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79A KR20190054279A (ko) 2019-05-22
KR102072206B1 true KR102072206B1 (ko) 2020-01-31

Family

ID=6668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63A KR102072206B1 (ko) 2017-11-13 2017-11-1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2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790Y1 (ko) * 1998-12-07 2001-03-02 김지숙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0240230Y1 (ko) 2001-04-30 2001-10-12 김영기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KR20030031054A (ko) 2003-03-17 2003-04-18 손복일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20050089777A (ko) 2005-08-19 2005-09-08 주식회사 세양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압축탈수기의 수분차단막
KR20150074686A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에머슨코리아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감량기
KR20160039403A (ko) 2014-10-01 2016-04-11 김혜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및 분쇄기
KR101639250B1 (ko) * 2014-12-26 2016-07-13 주식회사 포스코 듀얼 방식의 스크래퍼와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 방법 및 스크래핑 장치와 방법
KR101838915B1 (ko) * 2016-05-02 2018-03-15 (주) 에코베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89838Y1 (ko) * 2017-08-14 2019-08-19 박영범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279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86520A (en) Garbage disposer
KR20120138191A (ko) 착즙기
JP2007146863A (ja) ポンプ
AU2011217002B2 (en) A separator and components thereof
CN204018261U (zh) 高效节能洗药机
KR1020722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7954737U (zh) 一种螺旋装置及螺旋挤压固液分离机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748801B2 (ja) し渣移送脱水機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205776614U (zh) 一种用于马桶的排污处理装置
CN210562468U (zh) 一种垃圾处理器
US20050072318A1 (en) Multiple layer food manufacturing apparatus
CN208981477U (zh) 一种复合排水地漏结构
KR20060025923A (ko) 착즙분쇄기
KR101793846B1 (ko) 착유기
CN219810329U (zh) 一种集成式胶球清洗装置
TWI545071B (zh) Automated Quantitative Feeding Device for Sludge
CN215134053U (zh) 农村卫生旱厕除臭装置
CN212467890U (zh) 一种能够连续作业的乳化机
KR10160384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CN209362578U (zh) 一种粉碎设备
KR200183012Y1 (ko) 착유기
CN107214122A (zh) 药材清洗装置
US20220396046A1 (e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