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012Y1 - 착유기 - Google Patents

착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012Y1
KR200183012Y1 KR2019990027987U KR19990027987U KR200183012Y1 KR 200183012 Y1 KR200183012 Y1 KR 200183012Y1 KR 2019990027987 U KR2019990027987 U KR 2019990027987U KR 19990027987 U KR19990027987 U KR 19990027987U KR 200183012 Y1 KR200183012 Y1 KR 2001830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ilking
ink
screw
milk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문
Original Assignee
김승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문 filed Critical 김승문
Priority to KR2019990027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0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0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0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8Accessory tools, e.g. knives; Mounting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06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유기의 깻묵 분쇄구조 및 이물질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1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50)와, 이 샤프트 바(5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와, 장축(80, 80')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부(12)에 고정되는 호퍼 조립체(30)와, 이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와,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플랜지(34) 및 격자체 캡(86)의 안착부(88)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내장되는 격자 조립체(120)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히터(82, 82')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분기관(24)을 통해 기름통(26, 26')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22)을 구비한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격자 조립체(120)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 깻묵을 절개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깻묵 분쇄수단과,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호퍼 조립체(30)내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착유기{MILKING MACHINE}
본 고안은 착유기의 깻묵 분쇄구조 및 이물질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구에 구비된 칼날을 이용하여 격자체로부터 배출되는 깻묵을 절결함과 동시에, 절결된 깻묵이 구동부에 부착된 고정체의 확산부에 의해서 분쇄되면서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는 깻묵 분쇄구조 및 호퍼 조립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도어를 이용하여 호퍼 조립체의 내부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참깨나 들깨를 짜내 기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착유기를 이용한다. 대부분 종래의 착유기는 착유부 본체의 분해 결합이 어렵고 착유율이 낮으며, 착유과정에서 유출되는 기름에 깻묵입자가 함유되어 기름이 청결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개발한 착유기의 구조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735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개시된 착유기는 모터의 회전력이 구동축을 통해 이송 스크류와 착유 스크류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구동축의 비틀림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결합강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청소 및 부품의 교체시에 이송 스크류와 착유 스크류를 착유부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결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미세한 기름배출로가 형성된 격자체를 제공하여 깻묵입자의 혼입을 막고 기름만 배출되도록 하여 청결한 기름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이를 위해서, 호퍼가 설치된 착유부본체와 이송 및 착유 스크류를 감싸며 사각형의 격자 및 육각형의 격자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격자체를 장축을 이용하여 구동부에 대해 분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격자체의 일단은 장축이 삽입 관통되는 격자체 설치구를 이용하여 지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 173548호에 개시되어 있는 착유기의 경우에는 착유가 완료된 깻묵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며 호퍼를 통해서 이물질 등이 유입된 경우에는 이를 배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분쇄구에 구비된 칼날을 이용하여 격자체로부터 배출되는 깻묵을 절결함과 동시에, 절결된 깻묵이 구동부에 부착된 고정체의 확산부에 의해서 분쇄되면서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깻묵 분쇄수단 및 호퍼 조립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배출도어를 이용하여 호퍼 조립체의 내부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배출수단을 구비한 착유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분쇄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이물질 배출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커버
26, 26':기름통 30:호퍼 조립체
32:호퍼 35:배출구
40:배출도어 50:샤프트 바
52:스플라인 60:이송 스크류
70:착유 스크류 80, 80':장축
90, 90':튜브 100:분쇄구
104:칼날 120:격자 조립체
130, 140:제 1, 2핸들 조립체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와, 이 샤프트 바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 및 착유 스크류와, 장축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부에 고정되는 호퍼 조립체와, 이 호퍼 조립체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와, 상기 호퍼 조립체의 플랜지 및 격자체 캡의 안착부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 및 착유 스크류가 내장되는 격자 조립체와, 상기 격자 조립체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격자 조립체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분기관을 통해 기름통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을 구비한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격자 조립체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 깻묵을 절개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깻묵 분쇄수단과,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호퍼 조립체내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깻묵 분쇄수단은 제 1 및 제 2고정볼트에 의해서 상기 장축을 감싸고 있는 튜브에 고정되는 것으로, 선단에는 깻묵을 절결하기 위한 칼날이 형성된 분쇄구와, 상기 칼날에 의해서 절결된 깻묵을 분쇄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고정체의 일단에 형성된 확산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제거수단은 상기 호퍼 조립체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유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서 채용한 분쇄구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이물질 배출수단을 보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착유기의 구성을 보면, 상부의 각종 기구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며 모터 및 각종 구동기어가 내장되어 있는 구동부(12)와, 이 구동부(12)의 일측에 부착되는 제어부(14)와, 참깨나 들깨 등의 착유물을 집어넣는 호퍼(32)가 구비되어 있는 호퍼 조립체(30)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착유스크류에 의해 만들어진 기름을 배출하기 위한 격자 조립체(120)와, 격자 조립체(120)로부터 배출된 기름을 분기관(24)을 개재하여 2개의 기름통(26, 26')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22) 및 호퍼 조립체(30)의 일측에 체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부(12)와 호퍼 조립체(30)사이에는 먼지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한 덮개(16)를 비롯하여, 경첩(18)에 의해서 덮개(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20)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착유기의 분해 사시도 및 조립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기에는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4) 및 종동축(6)을 통해서 전달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50)와, 이 샤프트 바(5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구비되어 있으며, 호퍼 조립체(30)는 장축(80, 80')을 개재하여 구동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장축(80, 80')은 구동부(12)의 체결홀(12a, 12a')에 고정된다. 또한,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이 호퍼 조립체(30)의 플랜지(34) 및 격자체 캡(86)의 안착부(88)사이에는 격자 조립체(120)가 배치되어 있다.
샤프트 바(50)상에는 착유 스크류(70)가 체결되는 스플라인(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스플라인(52)의 일단에는 너트(110)가 체결되는 나사부(54)가 형성되어 있어 착유 스크류(70)를 샤프트 바(5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착유 스크류(70)의 일단에는 기름을 압착하기 위한 테이퍼부(74)가 형성되어 있다.
격자 조립체(120)내에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주부에는 깨를 볶기 위한 히터(82, 8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격자 조립체(120)는 육각 격자와 사각 격자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제 1 및 제 2격자체(121, 121')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착유기에 있어서, 격자 조립체(120)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 깻묵을 절개하여 분쇄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격자체 캡(86)과 구동부(12)의 고정체(112)사이에 깻묵 분쇄수단을 설치하였다.
이 깻묵 분쇄수단은 제 1 및 제 2고정볼트(106a, 160b)에 의해서 상기 장축(80, 80')을 감싸고 있는 튜브(90, 9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선단에는 깻묵을 절결하기 위한 칼날(104)이 형성된 분쇄구(100)와, 상기 칼날(104)에 의해서 절결된 깻묵을 분쇄하도록 상기 구동부(12)에 설치된 고정체(112)의 일단에 형성된 확산부(112a)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쇄구(100)에는 제 1고정볼트(106a)가 삽입되는 제 1체결홀(102a)이 구비된 원형 고리부(102)와, 선단이 상기 구동부(12)의 고정체(112)와 상기 격자체 캡(86)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봉(114)에 밀착되도록 제 2고정볼트(106b)가 삽입되는 제 2체결홀(102b)이 구비된 연장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분쇄구(100)는 깻묵의 밀도와 착유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제 1고정볼트(106a)와 제 2고정볼트(106b)를 죄어 고정시키면 된다.
따라서, 호퍼(32)로 유입된 후에 이송 스크류(60)와 착유 스크류(70)에 의해서 가압되면서 압착된 기름은 격자 조립체(120)에 형성된 기름 배출로를 통해서 기름 안내레일(22)로 배출되는 한편, 깻묵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부(12)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구동부(12)와 격자체 캡(86)사이에 분쇄구(1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격자 조립체(120)를 빠져나온 깻묵은 분쇄구(100)에 형성된 칼날(104)과 부딪히면서 절결된다. 절결된 깻묵이 계속 이동하면서 고정체(112)의 확산부(112a)와 충돌하게 되면, 깻묵은 확산부(112a)를 따라 확산되면서 분산됨으로써, 하방의 깻묵 수거통(도시생략) 내로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호퍼 조립체(30)내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수단을 개시하였다.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은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과, 상기 가이드 레일(38)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배출구(35)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40)로 이루어져 있다. 호퍼 조립체(30)의 일측 내면에는 제 2핸들 조립체(140)가 체결되는 암나사(36)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장축(80)이 삽입되는 삽입홀(34a)을 지닌 플랜지(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호퍼 조립체(30)내에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배출도어(40)의 손잡이(42)를 쥐고 잡아당겨 가이드 레일(38)로부터 빼낸다. 그에 따라 호퍼 조립체(3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35)가 개방되며, 모터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호퍼 조립체(30)의 내부에 들어있던 이물질 등이 배출구(35)를 통해서 외부로 쉽게 배출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분쇄구에 구비된 칼날을 이용하여 격자체로부터 배출되는 깻묵을 절결함과 동시에, 절결된 깻묵이 구동부에 부착된 고정체의 확산부에 의해서 분쇄되면서 하방으로 배출되므로, 깻묵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호퍼 조립체의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배출도어를 이용하여 호퍼 조립체의 내부에 들어있는 이물질 등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구동부(1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샤프트 바(50)와, 이 샤프트 바(5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와, 장축(80, 80')을 개재하여 상기 구동부(12)에 고정되는 호퍼 조립체(30)와, 이 호퍼 조립체(30)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핸들 조립체(130, 140)와,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플랜지(34) 및 격자체 캡(86)의 안착부(88)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60) 및 착유 스크류(70)가 내장되는 격자 조립체(120)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히터(82, 82')와, 상기 격자 조립체(120)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분기관(24)을 통해 기름통(26, 26')으로 안내하는 기름 안내레일(22)을 구비한 착유기에 있어서,
    상기 격자 조립체(120)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된 깻묵을 절개하여 분쇄되도록 하는 깻묵 분쇄수단과,
    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호퍼 조립체(30)내에 들어있는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이물질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깻묵 분쇄수단은 제 1 및 제 2고정볼트(106a, 106b)에 의해서 상기 장축(80, 80')을 감싸고 있는 튜브(90, 90')에 고정되는 것으로, 선단에는 깻묵을 절결하기 위한 칼날(104)이 형성된 분쇄구(100)와,
    상기 칼날(104)에 의해서 절결된 깻묵을 분쇄하도록 상기 구동부(12)에 설치된 고정체(112)의 일단에 형성된 확산부(112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구(100)에는 제 1고정볼트(106a)가 삽입되는 제 1체결홀(102a)이 구비된 원형 고리부(102)와, 선단이 상기 구동부(12)의 고정체(112)와 상기 격자체 캡(86)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봉(114)에 밀착되도록 제 2고정볼트(106b)가 삽입되는 제 2체결홀(102b)이 구비된 연장부(10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수단은 상기 호퍼 조립체(30)의 하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8)과,
    상기 가이드 레일(38)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배출구(35)를 개폐시키는 배출도어(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KR2019990027987U 1999-12-13 1999-12-13 착유기 KR2001830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87U KR200183012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87U KR200183012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012Y1 true KR200183012Y1 (ko) 2000-05-15

Family

ID=196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87U KR200183012Y1 (ko) 1999-12-13 1999-12-13 착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01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21B1 (ko) * 2001-11-22 2004-12-03 고센영농조합법인 난황유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72322A (ko) 2021-11-17 2023-05-24 최용태 착유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21B1 (ko) * 2001-11-22 2004-12-03 고센영농조합법인 난황유 추출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72322A (ko) 2021-11-17 2023-05-24 최용태 착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46207B4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Haufwerk
DE20011402U1 (de)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gut
US8091474B2 (en) Rotary fan press
DE19504772C2 (de) Rühr-Schlagmühle
KR200183012Y1 (ko) 착유기
US7975854B2 (en) Rotary fan press
CN107882133B (zh) 一种餐厨垃圾处理装置
EP3129215B1 (en) Rotary fan press with auger
EP1350569B1 (de) Abfalltrennvorrichtung
AT503390B1 (de) Vorrichtung zur trocknung nassen schüttfähigen gutes, vorzugsweise von kunststoffteilchen
EP2910355A1 (de) Vorrichtung zum Waschen von Schüttgut
EP0310947B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Waschen, Entwässern, Separieren und Trocknen von verschmutztem Material
CN112495532A (zh) 一种环保型餐余垃圾多级处理装置
EP0695581B1 (de) Fleischwolf
KR200244523Y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CN213621986U (zh) 一种食品包装机用清扫碎料装置
KR200183013Y1 (ko) 착유기용 스크류
KR98000832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02855B1 (ko) 일체형 파쇄 선별기 겸용 미세 분쇄기
KR20230036873A (ko) 음식물 처리 장치용 음식물 수거기
JPH0341789Y2 (ko)
CN111589528A (zh) 一种便于清洗的自清理粉碎机
JPH0929207A (ja) ダイス装置
DE19727342A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Entsorgungsgut biologischen Ursprungs
DE102008017285A1 (de) Vorrichtung mit einer Zerkleinerungseinheit und einer Entwässerungseinhe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