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619B1 -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619B1
KR101638619B1 KR1020150171483A KR20150171483A KR101638619B1 KR 101638619 B1 KR101638619 B1 KR 101638619B1 KR 1020150171483 A KR1020150171483 A KR 1020150171483A KR 20150171483 A KR20150171483 A KR 20150171483A KR 101638619 B1 KR101638619 B1 KR 10163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ing
rock
electrode
unit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민
박의섭
이항복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619B1/ko
Priority to CN201680036581.1A priority patent/CN108368684B/zh
Priority to PCT/KR2016/008509 priority patent/WO2017094995A1/ko
Priority to JP2017565740A priority patent/JP6473522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8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after finishing the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3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compacting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10Miscellaneous comprising sens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은 지하구조물 주변 암반 또는 지반에 주입재(grout)를 주입하여 그라우팅부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구조물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보어홀(bore hole)과, 보어홀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극과, 보어홀 내부에 설치되어,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암반 그라우팅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a) 측정부가 전극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고, 온도센서가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측정부가 상호 인접한 보어홀에 설치된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c) 그라우팅 분석부가 온도센서 및 측정부의 측정값을 상호 분석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GROUTING MONITORING METHOD USED RESISTIVITY}
본 발명은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전기비저항 측정을 위해서 주입재(grout)의 주입을 위한 다수의 보어홀(bore hole) 내부에 전극을 설치하여, 주입재 주입 후 보어홀 내부에 전극이 영구히 매립되어 주기적으로 암반 또는 그라우팅의 전기비저항값을 측정함으로서 장기적인 그라우팅 건전도 평가가 가능하며, 저비용이면서 정밀도가 높은 암반절리내 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이다.
최근 암반 내 대심도, 대규모 지하구조물이 건설됨에 따라 중요 지하구조물의 차수 및 안정성 증대를 목적으로 암반절리내 그라우팅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비파괴적인 방법을 이용한 종래의 모니터링방법은 지표면(주로 사질토)에서 수행되는 전기비저항 물리탐사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전기비저항 물리탐사를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은 지표면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깊은(e.g., 1km 심도) 곳에 존재하는 지하구조물 평가에 있어서는 평가 깊이의 약 2배에 해당하는 측선(전극설치 간격 약 2km) 길이가 필요하다.
실질적으로 측선의 길이가 증가하면 측선 내 지표면에 존재하는 장애물(나무, 바위, 가파른 지형 등)로 인하여 전극 설치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물리탐사에서 측정되는 전기비저항값은 정성적인(상대적인) 값이기 때문에 그라우팅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역해석을 필수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역해석을 통해 지하구조물 주변의 광대역적인 그라우팅 분포 평가를 확인 할 수 있지만 특정 위치에 대한 정밀한 분포를 파악하기 힘든 점이 있다.
또한, 그라우팅 분포 역해석 결과는 지반의 가정조건(온도, 지층구조, 공극수의 전기전도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절리가 없는 신선한 암반에서는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지표면에서의 전기비저항 측정을 통해 암반 심부에 존재하는 지하구조물 주변 그라우팅 평가를 하기 쉽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337746호 (2005.12.08.공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비저항 측정을 위해서 주입재(grout)의 주입을 위한 다수의 보어홀(bore hole) 내부에 전극을 설치하여, 주입재 주입 후 보어홀 내부에 전극이 영구히 매립되어 주기적으로 암반 또는 그라우팅의 전기비저항값을 측정함으로서 장기적인 그라우팅 건전도 평가가 가능하며, 저비용이면서 정밀도가 높은 암반절리내 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주변 암반 또는 지반에 주입재(grout)를 주입하여 그라우팅부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구조물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보어홀(bore hole)과, 보어홀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극과, 보어홀 내부에 설치되어,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암반 그라우팅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a) 측정부가 전극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고, 온도센서가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측정부가 상호 인접한 보어홀에 설치된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c) 그라우팅 분석부가 온도센서 및 측정부의 측정값을 상호 분석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전극은 보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b) 단계에서 측정부는 상호 인접한 보어홀을 기준하여, 일측 보어홀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과 타측 보어홀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c) 단계에서 그라우팅 분석부는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을 분석하여 주입된 그라우트 범위 또는 완성된 그라우팅부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d) 출력부가 온도센서와 측정부의 측정값 및 그라우팅 분석부의 분석 결과값을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 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d) 단계에서 출력부는 그라우팅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지하구조물에 설치된 경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게 위험신호를 도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은 상호 인접한 보어홀에 설치된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함으로써, 그라우팅 평가를 위한 역해석이 필요하지 않고, 현장에서 즉시 그라우팅 평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입재 주입 전, 평가 대상 암반의 전체적인 절리방향과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주입재 주입 중, 암반절리에 주입된 그라우트 범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비저항값을 통해 그라우트 주입 정도 및 양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그라우팅 완성 후, 전극은 보어홀 내부에 영구적으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장기적으로 실시간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과 전극(120)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120)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극(120)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극(120)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전극(1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을 통해 주입 중인 주입재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을 통해 주입이 완료된 주입재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완성된 그라우팅부(G)에 균열(c) 발생이 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라우팅부(G)에 발생된 균열(c)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과 전극(120)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극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전극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전극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100)는 보어홀(bore hole)(110), 전극(120), 온도센서(130), 측정부(140), 그라우팅 분석부(150),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보어홀(110)은 지하구조물(S) 주변 암반에 주입재(grout)를 주입하여 도 9에 도시된 그라우팅부(G)를 형성하기 위해 지하구조물(S)에 방사형으로 설치된다.
전극(120)은 보어홀(110) 내부에 복수 개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보어홀(110)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어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극(120)은 판(plate) 형상으로써, 보어홀(110)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굴곡 또는 절곡될 수 있으며, 전극(120) 상부에 도포된 전도성 접착제(A)에 의해 보어홀(110)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온도센서(130)는 전극(120)의 배면에 장착되며, 전극(120)의 배면에는 전극(120)에 연결된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걸이(1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극(120) 상부에 못 형태의 복수 개의 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122)가 보어홀(110) 내측면에 박힘으로써 전극(120)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130)는 전극(120)의 배면에 장착되며, 전극(120)의 배면에는 전극(120)에 연결된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걸이(1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극(120)은 압정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판 형상의 헤드부(123)에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걸이(121)가 설치되고, 헤드부(123) 일측에 온도센서(13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3)에 설치된 돌기(122)가 보어홀(110) 내측면에 박힘으로써 전극(12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극(120)은 못 형태의 막대형상으로 제작되어, 전극(120)이 보어홀(110)과 암반에 박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130)는 전극(120)에 일측에 장착되며, 전극(120) 단부에는 전극(120)에 연결된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한 전선걸이(121)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120)은 전도성이 있는 스틸 재질이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도성이 크며 부식성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은,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전극(120)에는 전선걸이(121)가 설치되며, 보어홀(110) 내측면에도 전선걸이(1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극(120) 및 온도센서에 연결되어 보어홀(110)을 따라 지하구조물(S) 내부로 연장되어 측정부(140)에 연결된 전선(W)이 전선걸이(121)에 거치된다.
따라서, 전선(W)에 의해 주입재 주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130)는 보어홀(110)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120)에 설치되어, 암반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부(140)는 전극(120)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며, 상호 인접한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120)간 암반 또는 그라우팅부(G)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측정부(140)는 상호 인접한 보어홀(110)을 기준하여, 일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120)과 타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120)간 저항값을 측정한다.
즉,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A1과 타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B1, 또는 전극A1과 전극B2 간 그라우팅부(G) 또는 암반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그라우팅 분석부(150)는 온도센서(130) 및 측정부(140)의 측정값을 상호 분석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을 분석하여 주입된 주입재 범위 또는 완성된 그라우팅부(G)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도출한다.
출력부(160)는 온도센서(130)와 측정부(140)의 측정값 및 그라우팅 분석부(150)의 분석 결과값을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 도시한다.
그라우팅 분석부(150)는 암반과 주입재의 믹스쳐(mixture)인 그라우팅부(G)가 지진, 풍화, 열화 등 불특정 외력에 의해 손상될 경우 균열(c)이 생긴 그라우팅부(G)에서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이 균열 전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의 20%이상 감소될 경우, 출력부(160)를 통해 지하구조물(S)에 설치된 경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서 위험신호를 도시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우선, 측정부(140)가 전극(120)에 전압 또는 전류를 인가하고, 온도센서(130)가 암반의 온도를 측정한다.(S110)
그리고, 측정부(140)가 상호 인접한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120) 간 암반 또는 그라우팅부(G)의 저항값을 측정한다.(S120)
측정부(140)는 상호 인접한 보어홀(110)을 기준하여, 일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120)과 타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120)간 저항값을 측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 A1과 타측 보어홀(110)에 설치된 전극B1, 또는 전극A1과 전극B2 간 그라우팅부(G) 또는 암반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측정단계(S110, S120) 이후, 그라우팅 분석부(150)가 온도센서(130) 및 측정부(140)의 측정값을 상호 분석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한다.(S130)
그라우팅 분석부(150)는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을 분석하여 주입된 주입재 범위 또는 완성된 그라우팅부(G)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도출한다.
분석단계(S130) 이후, 출력부(160)가 온도센서와 측정부(140)의 측정값 및 그라우팅 분석부(150)의 분석 결과값을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 도시한다.(S140)
그라우팅 분석부(150)는 암반과 주입재의 믹스쳐(mixture)인 그라우팅부(G)가 지진, 풍화, 열화 등 불특정 외력에 의해 손상될 경우 균열(c)이 생긴 그라우팅부(G)에서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이 균열 전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의 20%이상 감소될 경우, 출력부(160)를 통해 지하구조물(S)에 설치된 경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서 위험신호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지하구조물(S) 주변에 주입재 주입 시, 주입된 주입재 범위 및 양생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을 통해 주입 중인 주입재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보어홀(110)을 통해 주입이 완료된 주입재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이다.
우선, 도 7을 참조하면, 상호 인접한 보어홀(110) 중, 일측 보어홀(110)에 전극 A1, A2, A3이 순차적으로 이격배치되어 있으며, 타측 보어홀(110)에 전극(120) B1, B2, B3이 순차적으로 이격배치되어 있다.
측정부(140)는 전극 A1-B1, A1-B2, A1-B3 또는 A2-B1 등과 같이 한 쌍의 전극(120) 간 암반 또는 그라우팅부(G)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즉, 측정부(140)가 전극 A1-B1을 이용하여 저항값을 측정하고 그라우팅 분석부(150)가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할 경우, 주입재 주입이 해당구간에 완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전극 A3-B3을 이용하여 전기비저항을 측정하면 주입재 주입이 아직 완료 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 A1-B1, A2-B2, A3-B3 구간에서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을 통해 주입재 주입이 완료되어 그라우팅부(G)가 완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을 통해 지진, 풍화, 열화 등 불특정 외력에 의해 그라우팅부(G)가 손상될 경우, 그라우팅부(G)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도 9는 완성된 그라우팅부(G)에 균열(C) 발생이 시작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그라우팅부(G)에 발생된 균열(C)이 진행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암반 내 그라우팅부(G)가 손상되면 지하구조물(S)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지하수가 지하구조물(S)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그라우팅부(G)에 발생된 균열(c)에 의해 지하수가 침투하면 전극 A3-B3 구간(또는 전극 A3-B2, A2-B3 구간)에서 전기비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극 A1-B1 구간까지 전기비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면 지하수 침투가 지하구조물(S) 주변까지 발생함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그라우팅 분석부(150)는 암반과 주입재의 믹스쳐(mixture)인 그라우팅부(G)가 지진, 풍화, 열화 등 불특정 외력에 의해 손상될 경우 균열(c)이 생긴 그라우팅부(G)에서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이 균열(c) 전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의 20%이상 감소될 경우, 출력부(160)를 통해 지하구조물(S)에 설치된 경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서 위험신호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은 상호 인접한 보어홀에 설치된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함으로써, 그라우팅 평가를 위한 역해석이 필요하지 않고, 현장에서 즉시 그라우팅 평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입재 주입 전, 평가 대상암반의 전체적인 절리방향과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주입재 주입 중, 암반절리에 주입된 그라우트 범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비저항값을 통해 그라우트 주입 정도 및 양생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주입재 완성 후, 전극은 보어홀 내부에 영구적으로 삽입된 상태이므로, 장기적으로 실시간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 : 지하구조물
G : 그라우팅부
C: 균열
100 :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
110 : 보어홀
120 : 전극
130 : 온도센서
140 : 측정부
150 : 그라우팅 분석부
160 : 출력부

Claims (6)

  1. 지하구조물 주변 암반 또는 지반에 주입재(grout)를 주입하여 그라우팅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지하구조물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보어홀(bore hole)과, 상기 보어홀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전극과, 상기 보어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암반 그라우팅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a) 측정부가 상기 전극에 전류 또는 전압을 인가하고, 온도센서가 상기 암반 또는 지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측정부가 상호 인접한 상기 보어홀에 설치된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는 단계;
    (c) 그라우팅 분석부가 상기 온도센서 및 측정부의 측정값을 상호 분석하여 전기비저항값을 산출하는 단계;
    포함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보어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격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상호 인접한 보어홀을 기준하여, 일측 보어홀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과 타측 보어홀에 설치된 하나의 전극간 저항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그라우팅 분석부는 상기 산출된 전기비저항값을 분석하여 주입된 그라우트 범위 또는 완성된 상기 그라우팅부의 손상여부 및 손상위치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d) 출력부가 상기 온도센서와 측정부의 측정값 및 상기 그라우팅 분석부의 분석 결과값을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 도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그라우팅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상기 지하구조물에 설치된 경보시스템을 작동시키거나 운영자의 모니터 또는 단말기에게 위험신호를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KR1020150171483A 2015-12-03 2015-12-0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KR101638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83A KR101638619B1 (ko) 2015-12-03 2015-12-0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CN201680036581.1A CN108368684B (zh) 2015-12-03 2016-08-02 利用电阻率的基岩灌浆监视方法
PCT/KR2016/008509 WO2017094995A1 (ko) 2015-12-03 2016-08-02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JP2017565740A JP6473522B2 (ja) 2015-12-03 2016-08-02 電気比抵抗を用いた岩盤グラウチングモニタリング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483A KR101638619B1 (ko) 2015-12-03 2015-12-0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619B1 true KR101638619B1 (ko) 2016-07-11

Family

ID=5649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483A KR101638619B1 (ko) 2015-12-03 2015-12-03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73522B2 (ko)
KR (1) KR101638619B1 (ko)
CN (1) CN108368684B (ko)
WO (1) WO201709499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9653A (zh) * 2016-12-28 2017-05-2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综合定量评价水电站防渗帷幕施工质量的方法
KR101744277B1 (ko) * 2015-12-15 2017-06-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암반주입공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
CN106894404A (zh) * 2017-03-22 2017-06-27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碎石基床注浆饱满性检测传感器及检测系统
KR20180103020A (ko) * 2017-03-08 2018-09-18 한국과학기술원 지하구조물 주변 그라우팅 보강지반 모니터링 센서 장치
CN108646308A (zh) * 2018-06-15 2018-10-12 山东大学 一种基于四维电阻率反演的不良地质体灌浆实时监测方法
CN113687445A (zh) * 2021-10-27 2021-11-23 成都理工大学 基于多源数据融合及电磁震三维反演的注浆评价方法
KR102348422B1 (ko) 2021-07-26 2022-01-07 주식회사 뉴원 대지 저항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20030597A (ko)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뉴원 전기 비저항 탐사용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20117594A (ko) 2021-02-17 2022-08-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암반 대수층에 대한 비소 저감 기술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95B1 (ko) * 2017-11-29 2018-06-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구조물 손상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850690B2 (en) 2018-01-17 2020-12-01 S. C. Johnson & Son, Inc. Electronic devices for use in a vehicl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10285867A (zh) * 2019-07-29 2019-09-27 北京中建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装配式混凝土结构钢筋套筒灌浆饱满度监测装置及方法
CN114137036B (zh) * 2021-11-29 2024-03-29 安徽理工大学 一种基于邻源电位电阻率的注浆范围快速检测方法
CN114483010A (zh) * 2022-01-25 2022-05-13 天地科技股份有限公司 浆液扩散范围探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7091497B (zh) * 2023-10-16 2024-01-16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钻孔灌注桩混凝土泥浆界面动态监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8061A (ja) * 1997-03-26 1998-10-09 Koa Kaihatsu Kk 地盤比抵抗測定センサ
JP2005337746A (ja) 2004-05-24 2005-12-08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電気探査方法
KR20090103264A (ko) * 2008-03-28 2009-10-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d 전기비저항 모니터링에 의한 지반보강 효과 판정 방법
KR20100043511A (ko) * 2008-10-20 2010-04-29 삼수개발 주식회사 지반감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보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0722B2 (ja) * 1993-02-01 1997-07-16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地盤注入工法および注入管装置
JP2834656B2 (ja) * 1993-11-24 1998-12-09 株式会社熊谷組 トンネルグラウチングに於ける充填材の充填状態検知方法
JPH0841860A (ja) * 1994-08-01 1996-02-13 Sano Takeshi 地盤改良工の施工効果判定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H09297115A (ja) * 1996-05-01 1997-11-18 Tokyu Constr Co Ltd 地盤探査方法及び地盤探査用電極
JP3648719B2 (ja) * 1996-07-12 2005-05-18 東急建設株式会社 亀裂検出方法及び電位測定用電極
JPH1031002A (ja) * 1996-07-15 1998-02-03 Arusu Kaihatsu Kk 構造物及び構造物のひび割れ検出法
JP3041426B1 (ja) * 1999-05-31 2000-05-15 農林水産省農業工学研究所長 比抵抗トモグラフィ法によるフィルダム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JP4332290B2 (ja) * 2000-10-04 2009-09-16 川崎地質株式会社 地中または海中の物理的または化学的特性を計測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3107030A (ja) * 2001-09-27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ひび割れ検知システム
CN1296572C (zh) * 2003-06-16 2007-01-24 陈彦平 电探法桩基施工质量监控及加固技术的方法
JP4066196B2 (ja) * 2005-02-17 2008-03-26 オリエンタル白石株式会社 石灰質地盤を支持層とする基礎の施工方法
CN201258486Y (zh) * 2008-08-25 2009-06-17 长江工程地球物理勘测武汉有限公司 水工岩锚注浆测量装置
CN201401174Y (zh) * 2009-03-17 2010-02-10 安徽理工大学 高密度电阻率监测围岩松动圈的系统
CN202041167U (zh) * 2011-01-27 2011-11-16 中国科学院武汉岩土力学研究所 一种钻孔内围岩三向变形测量装置
ITPD20110235A1 (it) * 2011-07-07 2013-01-08 Geosec S R L Metodo di consolidamento di terreni di fondazione e/o di aree fabbricabili
CN104198539A (zh) * 2014-09-01 2014-12-10 山东科技大学 煤层底板注浆加固效果检测评价方法
CN104631517B (zh) * 2014-12-26 2016-08-24 湖北中南勘察基础工程有限公司 钻孔灌注桩混凝土界面监测装置及方法
CN105113499B (zh) * 2015-10-23 2017-03-22 河海大学 实时检测水泥搅拌桩桩体水泥含量的测试系统和测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8061A (ja) * 1997-03-26 1998-10-09 Koa Kaihatsu Kk 地盤比抵抗測定センサ
JP2005337746A (ja) 2004-05-24 2005-12-08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電気探査方法
KR20090103264A (ko) * 2008-03-28 2009-10-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d 전기비저항 모니터링에 의한 지반보강 효과 판정 방법
KR20100043511A (ko) * 2008-10-20 2010-04-29 삼수개발 주식회사 지반감시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보강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77B1 (ko) * 2015-12-15 2017-06-07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암반주입공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
CN106709653A (zh) * 2016-12-28 2017-05-2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综合定量评价水电站防渗帷幕施工质量的方法
KR20180103020A (ko) * 2017-03-08 2018-09-18 한국과학기술원 지하구조물 주변 그라우팅 보강지반 모니터링 센서 장치
KR102020015B1 (ko) * 2017-03-08 2019-09-10 한국과학기술원 지하구조물 주변 그라우팅 보강지반 모니터링 센서 장치
CN106894404A (zh) * 2017-03-22 2017-06-27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碎石基床注浆饱满性检测传感器及检测系统
CN108646308A (zh) * 2018-06-15 2018-10-12 山东大学 一种基于四维电阻率反演的不良地质体灌浆实时监测方法
KR20220030597A (ko) 2020-09-03 2022-03-11 주식회사 뉴원 전기 비저항 탐사용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220117594A (ko) 2021-02-17 2022-08-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암반 대수층에 대한 비소 저감 기술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48422B1 (ko) 2021-07-26 2022-01-07 주식회사 뉴원 대지 저항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장치 및 방법
CN113687445A (zh) * 2021-10-27 2021-11-23 成都理工大学 基于多源数据融合及电磁震三维反演的注浆评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68684B (zh) 2021-01-08
WO2017094995A1 (ko) 2017-06-08
JP2018521245A (ja) 2018-08-02
CN108368684A (zh) 2018-08-03
JP6473522B2 (ja)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619B1 (ko) 전기비저항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방법
KR101744277B1 (ko) 암반주입공에 설치된 전극을 이용한 암반그라우팅 모니터링 장치
KR1023265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감지장치
US8217668B2 (en)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ground reinforcement effect using 4-D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KR20150137494A (ko) Tdr을 이용한 철도노반 다짐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5600B1 (ko) 지반 측정용 콘 관입장치
Su et al. Using TDR cables and GPS for landslide monitoring in high mountain area
CN104404986A (zh) 一种岩质边坡潜在滑动面的定量识别方法
JP2008051502A (ja) 小口径用多電極電気検層法および装置
KR101668944B1 (ko) 앵커를 이용한 사면의 안정성평가방법
JP2001200529A (ja) 注入により作られたコラムの直径を監視する方法
JP5128912B2 (ja) トンネル前方地盤内の地下水探査方法
JP2007285729A (ja) 地層内の比抵抗測定方法
CN105716954B (zh) 面向水力压裂模拟试验的裂缝形态电学监测方法
CN103323279B (zh) 评价尺寸效应对隧洞开挖响应影响的试验方法
JP5559660B2 (ja) 地盤の飽和度の測定方法
Riddle et al. ERT and Seismic Tomography in Identifying Subsurface Cavities
RU2646952C1 (ru) Гео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ощности пригодного для инженерно-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почвенно-мерзло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JP2011112506A (ja) 貫入ロッド
KR101562957B1 (ko) 변형률 계측 센서를 이용한 계측으로 강관의 변형을 감지하는 강관 압입 방법
JP2023027617A (ja) 薬液注入工法による地盤改良効果の評価方法
JP712980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保護層に対する健全性評価方法
JP2011112641A (ja) 貫入ロッド
JP2002180276A (ja) 防食監視用電極及び防食監視方法
CN101441189A (zh) 一种尾矿坝浸润线的监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