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321B1 - 차량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321B1
KR101638321B1 KR1020140094119A KR20140094119A KR101638321B1 KR 101638321 B1 KR101638321 B1 KR 101638321B1 KR 1020140094119 A KR1020140094119 A KR 1020140094119A KR 20140094119 A KR20140094119 A KR 20140094119A KR 101638321 B1 KR101638321 B1 KR 10163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light
rotation shaft
vehicl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543A (ko
Inventor
윤성욱
김대겸
서재곤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2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21B1/ko

Links

Images

Abstract

차량용 헤드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쉐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쉐이드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부재(connecting portion)가 상기 회전축의 양단과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호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배광 패턴이나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로우 빔 배광 패턴과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동시에 구현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램프의 제작과 조립이 어려워지고, 램프의 제조 단가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램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호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2-0135886호(2013.05.3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램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호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쉐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쉐이드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부재(connecting portion)가 상기 회전축의 양단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 홀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회전 축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결합하는 결합 리세스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통과하는 결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홀을 통과한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회전 축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양측에서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쉐이드부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쉐이드부의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제2 영역 차폐시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 개방시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쉐이드부는, 상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부로 재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양호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결합부재(connecting portion)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하이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광원부(100), 리플렉터부(200), 쉐이드부(300), 렌즈부(400) 및 구동부(50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전조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타측 차량용 헤드 램프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거나 좌우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원부(10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400)의 초점 후방에 배치된다.
광원부(100)의 광원(110, 120)은 지지 플레이트(미도시)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 하거나 하면에 설치되어 하측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나 벌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란,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하여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면 n영역에 있는 전자가 p영역의 양공과 만나서 재결합 발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를 직접 광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이다.
일반적으로 단일의 발광 칩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광원(110, 120)은 차량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 각도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설되는 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리플렉터(210, 220) 에 의해 반사되어 차량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면 상기 소정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광원(110, 120)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또는 멀티칩 엘이디 패키지(Multi-chip LED Package)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광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광원부(100)의 광원(110, 120)의 종류 및 설치 형태 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 가능한 모든 종류 및 설치 형태 등을 포함한다.
리플렉터부(200)는 광원부(100)에서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리플렉터부(200)의 리플렉터(210, 220) 각각은 광원부(100)의 광원(110, 120) 각각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어 광원(110, 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자유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리플렉터(210, 220) 각각의 제1 초점 또는 제1 초점 부근에 광원(110, 12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플렉터(210, 220)가 광원(110, 1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리플렉터(210, 220) 전체가 광원(110, 1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리플렉터(210, 220) 중 일부가 광원(110, 120) 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100)의 광원(110, 120)과 리플렉터부(200)의 리플렉터(210, 220)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원(110, 120)과 리플렉터(210, 22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광원(110, 120) 및 리플렉터(210, 220)가 지지 플레이트에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지지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광원(110, 120)과 리플렉터(210, 22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쉐이드부(300)의 상면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광축(Ax)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하기 위해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되고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 상에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한다.
이 때, 쉐이드부(300)는 일단에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부(200)로부터 반사된 광을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홈의 형태 및 단차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광 패턴 상에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CL)은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쉐이드부(300)의 상면은 광원부(100)에서 조사되고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된 광을 단순히 차단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광 효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쉐이드부(300)의 상면에 금속 코팅층 등의 반사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쉐이드부(300)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된 광을 재반사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금속 코팅층은, 예를 들어 크롬 코팅, 알루미늄 코팅 또는 금속 산화물 층이 코팅된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금속 코팅층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스퍼터링 증착, 진공 증착, 플라즈마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쉐이드부(300)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310)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동 쉐이드(320)가 이동하지 않아 제2 영역이 차폐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할 수 있고, 이동 쉐이드(320)가 이동하여 제2 영역이 개폐되는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차량용 헤드 램프(10)로 로우 빔 배광 패턴(PL)과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동시에 구현하면서도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320)만 이동시킴으로써 누설되는 광을 감소시켜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은 쉐이드부(300)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은 쉐이드부(300)에서 상기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즉, 제2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을 지나는 광이 배광 패턴 상에 컷오프 라인(CL)을 형성시키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이동 쉐이드(320)는 쉐이드부(300)의 후술하는 구동부(5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개방시킬 수 있으나, 제2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다면 상기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영역을 지나는 광이 상기 컷오프 라인(CL) 근처로 배광되므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함에 따라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로우 빔 배광 패턴(PL) 또는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다.
쉐이드부(300)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렌즈부(400)는 렌즈(410)와 렌즈홀더(42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렌즈(410)는 광원부(100)에서 조사되어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투영시키는 것으로,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부(400)를 투과한 광은 차량의 외부로 배광되어 하향등(로우 빔 배광 패턴, PL)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되거나 쉐이드부(300)에서 재반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투영시킬 수 있다면 렌즈(410)의 크기, 재질 및 굴절률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부(100)로부터 조사된 광이 리플렉터부(200)에서 반사되어 렌즈부(400)의 전방으로 투과한다.
이 때, 광원부(10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 광이 투과되는 방향은 일정하지만, 설계 의도에 따라 광의 상하 또는 좌우로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에이밍 스크류(미도시 됨)에 의해 차량용 헤드 램프(10) 전체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홀더(420)는 차량용 헤드 램프(10) 내에서 생성된 광이 렌즈(410)를 통해 외부로 배광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며, 전방에 렌즈(410)가 결합되어 렌즈(4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렌즈홀더(420)는 렌즈(410)와 접착되거나 나사결합되는 등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채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렌즈홀더(420)는 렌즈(4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렌즈홀더(420)와 렌즈(410)의 결합 위치, 결합 방법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부(500)는 회전축(510, 520)을 구비하며, 이동 쉐이드(320)와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 쉐이드(320)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 쉐이드(320)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노출시키고, 상기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 쉐이드(320)가 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영역을 차폐한다.
여기에서 구동부(500)는 전류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바꾸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이동 쉐이드(320)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 시 구동부(50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 하이 빔 배광 패턴(PH)과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동 쉐이드(320)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킬 수 있다면 구동부(500)는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 가능한 모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쉐이드(320)는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구동부(500)와 결합하는 결합 부재(connecting portion, 330, 340)를 포함한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쉐이드(320) 양측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 결합 부재(330, 340)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510, 52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 쉐이드(320)가 회전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제2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면, 이동 쉐이드(320)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부재(330, 340)의 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 부재(330, 340)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510, 520)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홀(332, 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결합 홀(332, 342)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510, 520) 중 적어도 하나(520)에 결합되어 결합 부재(330, 340)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500)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 쉐이드(3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결합 부재(330, 340)는 결합 홀(342) 주변에 배치되어 고정 링(600)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34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링(6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줄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링(600)을 통한 구동부(500)의 회전축과 이동 쉐이드(320)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구동부(500)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 쉐이드(3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복수의 결합홀(332, 342), 고정 링(600) 및 고정 링 리세스(344)의 크기 및 형태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결합부재(connecting portion)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합 부재(330, 340)는 이동 쉐이드(320)의 양측에서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 중 하나(340)는 광축(Ax)과 평행하고 다른 하나(330)는 광축(Ax)과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하, 구동부(500)와 결합부재(330, 340)의 결합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회전축의 일단(510)을 결합부재 중 하나(33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다. 이 후, 도 5와 같이 회전축의 일단(510)이 결합부재 중 하나(330)에 구비된 결합 홀(332)에 삽입시켜 통과시키고, 도 6과 같이 회전축의 타단(520)을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340)에 인접하게 위치시킨 후, 도 7과 같이 회전축의 타단(520)을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340)에 통과시킨다.
이 때,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340)를 통과하여 노출된 상기 회전축의 타단(520)에 고정 링(600)을 결합하여 구동부(500)와 결합부재(330, 340)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순서와 역순으로 결합된 구동부(500)와 결합부재(330, 340)를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330, 340)는 이동 쉐이드(320)의 양측에서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 형성됨에 따라, 구동부(500)와 결합부재(330, 340) 간의 착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구동부(500)와 결합부재(330, 340)의 착탈이 용이하다면 상기 서로 다른 각도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부재(330, 340)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520)이 결합하는 결합 리세스(348)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510)이 통과하는 결합 홀(338)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결합 홀(338)을 통과한 회전축의 타단(510)에 결합되어 결합 부재(330, 340)를 회전축(510, 520)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600)을 더 포함하고, 결합 부재(330, 340) 는 결합 홀(338) 주변에 배치되어 고정 링(600)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33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500)의 회전축에 대한 이동 쉐이드(3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결합 공간을 줄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합 리세스(348)를 통해 구동부(500)의 회전축의 일단(52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하나의 고정 링(600)을 통한 결합 부재(330, 340)와 구동부(500)와의 결합을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340)가 결합 리세스(348)인 경우에는 구동부(500)와 결합 부재(330, 340)의 결합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까지 진행 후, 결합 홀(338)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의 타단(510)에 고정 링(600)을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결합 홀(338)과 결합 리세스(348)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00)의 회전축(510, 520) 중 적어도 하나(520)는 고정 링(600)이 결합되는 회전 축 리세스(5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축 리세스(522)의 형상은 고정 링(60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링(6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결합 부재(320, 340)와 회전축(510, 520)간의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고정 링(600)이 결합될 수 있다면 회전 축 리세스(522)의 크기나 위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우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부(500)의 회전력이 제공되지 않거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이동 쉐이드(320)가 제2 영역을 차폐하는 경우, 배광 패턴상의 컷 오프 라인(CL) 근처의 광을 차단하므로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쉐이드(310) 및 이동 쉐이드(320)의 상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광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컷 오프 라인(CL)을 형성함으로 인해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법규를 만족시키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하이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구동부(500)가 회전축에 연결된 결합 부재(330, 340)를 통해 이동 쉐이드(320)를 제2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로우 빔 배광 패턴(PL)에 컷 오프 라인(CL) 근처를 지나는 부가 빔 배광 패턴(PA)을 보강하여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쉐이드(310)의 상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누설되는 광을 재이용함으로써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향차가 없는 경우 차량의 원방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로우 빔 배광 패턴(PL)뿐만 아니라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다양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를 통해 구현되는 배광 패턴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구현 가능한 모든 배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램프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램프의 제조 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헤드 램프
100: 광원부
200: 리플렉터부
300: 쉐이드부
400: 렌즈부
500: 구동부
600: 고정 링

Claims (14)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쉐이드를 이동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쉐이드의 양측에서 연장 형성되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 부재(connecting portion)가 상기 회전축의 양단과 결합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 홀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회전 축 리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결합하는 결합 리세스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통과하는 결합 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홀을 통과한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고정 링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홀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고정 링 리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고정 링이 결합되는 회전 축 리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쉐이드부의 전단 중심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영역인, 차량용 헤드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쉐이드부의 전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영역을 개방시키는, 차량용 헤드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제2 영역 차폐시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 개방시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드부는,
    상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부로 재반사시키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140094119A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3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19A KR101638321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19A KR101638321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43A KR20160012543A (ko) 2016-02-03
KR101638321B1 true KR101638321B1 (ko) 2016-07-12

Family

ID=5535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19A KR101638321B1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707A (ja) * 2000-08-07 2002-02-22 Ichikoh Ind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5914B (zh) 2009-07-29 2017-06-13 兰多克斯实验室有限公司 检测膀胱癌或者膀胱癌风险的方法
KR101675823B1 (ko) * 2010-04-29 2016-1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램프장치
KR101234323B1 (ko) * 2011-05-25 2013-0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707A (ja) * 2000-08-07 2002-02-22 Ichikoh Ind Ltd 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4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446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36807A (ko)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09524A (ko) 차량용 램프
KR102289760B1 (ko) 차량용 램프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10163832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90080434A (ko) 차량용 램프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5007055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145188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77721A (ko) 차량용 램프
JP6222982B2 (ja) 光源装置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45651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744624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2550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937973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81019A (ko) 차량용 램프
KR20210026124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