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550A - 차량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550A
KR20160012550A KR1020140094131A KR20140094131A KR20160012550A KR 20160012550 A KR20160012550 A KR 20160012550A KR 1020140094131 A KR1020140094131 A KR 1020140094131A KR 20140094131 A KR20140094131 A KR 20140094131A KR 20160012550 A KR20160012550 A KR 20160012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light
moving
distribution patter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겸
배수호
전상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550A/ko
Publication of KR2016001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5Screens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차량용 헤드 램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 쉐이드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링케이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 램프{Head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운전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는 동시에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있으며, 이외에도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배광 패턴이나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로우 빔 배광 패턴과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동시에 구현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의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램프의 제작과 조립이 어려워지고, 램프의 제조 단가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2-0135886호(2013.05.3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 쉐이드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링케이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일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타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세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세스는, 만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의 타면은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링케이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링케이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제2 영역 차폐시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 개방시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쉐이드의 상측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부의 상측으로 재 반사시켜 시그널 빔을 형성하는 시그널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그널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하이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및 시그널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 및 시그널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케이스부(110, 120), 광원부(200), 리플렉터부(300), 쉐이드부(400), 동력 전달부(500) 및 렌즈부(60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전조등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차량용 헤드 램프(10)는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램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지 않는 타측 차량용 헤드 램프는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 램프(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거나 좌우 대칭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케이스부(110, 120)는 전방 케이스(120)와 후방 케이스(110)를 구비하며 전방 케이스(120)와 후방 케이스(110) 사이에 차량용 헤드 램프(10)의 구성이 모두 배치되며,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한다.
다만,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할 수 있으면, 케이스부(110, 120)의 크기나 형상 및 전방 케이스(120)와 후방 케이스(110)의 연결 방법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부(20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600)의 초점 후방에 배치된다.
광원부(200)는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나 벌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란, 반도체의 p-n접합을 이용하여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하면 n영역에 있는 전자가 p영역의 양공과 만나서 재결합 발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를 직접 광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이다.
일반적으로 사방 1mm 정도 크기의 단일의 발광 칩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광원부(200)는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 또는 멀티칩 엘이디 패키지(Multi-chip LED Package)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발광 다이오드에 비해 광량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광원부(200)의 종류 및 설치 형태 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채택 가능한 모든 종류 및 설치 형태 등을 포함한다.
리플렉터부(300)는 광원부(200)에서 조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 때, 리플렉터부(300)는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되는 자유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리플렉터부(300)의 제1 초점 또는 제1 초점 부근에 광원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부(200)가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리플렉터부(300)가 광원부(2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원부(200)와 리플렉터부(300)의 위치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쉐이드부(400)는 고정 쉐이드(410)와 이동 쉐이드(420)를 포함하며, 이동 쉐이드(420)의 상면은 광축(Ax) 상에 위치하여,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하기 위해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되거나 광원부(200)로부터 조사되고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배광 패턴 상에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한다.
이 때, 이동 쉐이드(420)는 빔 패턴에 따른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도록 리플렉터부(300)로부터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단차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광 패턴 상에 형성되는 컷오프 라인(CL)은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500)는 회전축(510), 연결 부재(520) 및 링케이지(53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회전축(510)은 구동 액추에이터(50)에 의해 회전한다. 이 때, 구동 액추에이터(50)는 전류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바꾸는 장치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연결 부재(520)는 회전축(510)의 양측에 연결되어, 회전축(5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동한다. 예를 들어, 회전축(5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 부재(520)도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회전축(510)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 부재(520)도 타방향으로 회동한다.
링케이지(530)는 연결 부재(5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연결 부재(520)의 회동에 의해 이동 쉐이드(420)를 슬라이딩(sliding) 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킨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520)가 일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링케이지(530)에 연결된 이동 쉐이드(420)가 일방향(예를 들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고, 연결 부재(520)가 타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링케이지(530)에 연결된 이동 쉐이드(420)가 타방향(예를 들어, 상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조작 시 구동 액추에이터(5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통해 하이 빔 배광 패턴(PH)과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렌즈부(600)는 렌즈(610)와 렌즈홀더(620)를 포함하나, 이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다.
렌즈(610)는 광원부(200)에서 조사되거나 광원부(200)에서 조사되어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투영시키는 것으로,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부(600)를 투과한 광은 차량의 외부로 배광되어 하향등(로우 빔 배광 패턴, PL)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광원부(200)에서 조사되거나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을 차량의 전방으로 투영시킬 수 있다면 렌즈(610)의 크기, 재질 및 굴절률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 때, 광원(20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 광이 투과되는 방향은 일정하지만, 설계 의도에 따라 광의 상하 또는 좌우로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에이밍 스크류(미도시 됨)에 의해 차량용 헤드 램프(10) 전체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렌즈홀더(620)는 차량용 헤드 램프(10) 내에서 생성된 광이 렌즈(610)를 통해 외부로 배광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며, 전방에 렌즈(610)가 결합되어 렌즈(6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렌즈홀더(620)는 렌즈(610)와 접착되거나 나사결합되는 등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을 채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렌즈홀더(620)는 렌즈(6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렌즈홀더(620)와 렌즈(610)의 결합 위치, 결합 방법 등은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렌즈홀더(620)가 생략되고, 렌즈(610)가 직접적으로 전방 케이스(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쉐이드부(400)와 동력 전달부(5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 일부의 사시도이다.
쉐이드부(400)는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410)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420)를 포함한다. 이 때, 이동 쉐이드(420)가 제2 영역을 차폐하여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영역은,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이 렌즈부(600)를 투과하여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1 영역은 쉐이드부(400) 중 제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쉐이드(420)가 이동하지 않아 제2 영역이 차폐되는 경우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할 수 있고, 이동 쉐이드(420)가 이동하여 제2 영역이 개폐되는 경우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쉐이드(420)는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하는 차단 부재(422) 및 차단 부재(422)에서 연장 형성되어 링케이지(53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4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단 부재(422)를 통해 컷오프 라인(CL)을 형성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결합 부재(424)를 통해 링케이지(530)의 이동에 따라 차단 부재(420)가 상기 제2 영역을 개폐 또는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으면 차단 부재(422)의 재질과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고, 링케이지(530)의 이동에 따라 차단 부재(42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연결부재(424)의 재질과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쉐이드(410a)는 이동 쉐이드(420)의 일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슬롯(412)은 가이드 슬롯(412)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여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41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51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 방향, 변위 및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영역을 개폐 또는 차폐하도록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면 가이드 슬롯(412) 및 스토퍼(416)의 재질, 형상 및 위치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 쉐이드(420)는 이동 쉐이드(42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가이드 슬롯(412)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돌출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 부재(430)는 가이드 슬롯(412)의 양측과 맞닿아 슬라이딩되어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쉐이드(420)와 가이드 슬롯(412)간 발생하는 마찰력을 줄여 적은 힘으로도 이동 쉐이드(420)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돌출 부재(430)의 재질 및 형상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쉐이드(410b)는 이동 쉐이드(420)의 타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4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세스(4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리세스(414)는 만곡면을 포함하고, 이동 쉐이드의 타면(426)은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만곡면이란 굽어진 곡선을 포함한 면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을 기준으로 볼록한 면 또는 오목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슬롯(412)과 더불어 동력 전달부(500) 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 쉐이드(42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하여, 이동 쉐이드(420)가 미리 정해진 소정의 경로로만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동 쉐이드(420)에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면, 가이드 리세스(414)의 형상과 크기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이동 쉐이드(420)와 동력 전달부(500)의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동작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액추에이터(50)에 의해 회전축(5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축(510)에 연결된 연결 부재(520)가 일방향으로 회동하며, 연결 부재(520)의 일측에 연결된 링케이지(530)의 일단이 일측(예를 들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링케이지(530)의 타단이 연결된 이동 쉐이드(420)가 일측(예를 들어, 하방)으로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이동 쉐이드(420)의 이동에 따라 제2 영역을 개폐 또는 차폐시켜 로우 빔 배광패턴(PL) 또는 하이 빔 배광패턴(PH) 등의 다양항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쉐이드(4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설명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부(500)가 동력을 전달하지 않거나 동력 전달부(500)에 의해 이동 쉐이드(420)가 타방향(예를 들면, 상방)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이동 쉐이드(420)가 제2 영역을 차폐하는 경우, 리플렉터부(300)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가 차단되어 배광 패턴상의 컷 오프 라인(CL)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컷 오프 라인(CL)을 통해 대향차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법규를 만족시키는 배광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하이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동력 전달부(500)에 의해 이동 쉐이드(420)가 일방향(예를 들어,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제2 영역을 노출시키는 경우, 로우 빔 배광 패턴(PL)에 컷 오프 라인(CL) 근처를 지나는 부가 빔 배광 패턴(PA)을 보강하여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향차가 없는 경우 차량의 원방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렌즈부(600)를 투과한 광은 상기 제2 영역 차폐시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CL)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PL)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 개방시 하이 빔 배광 패턴(PH)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헤드 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한 로우 빔 배광 패턴 및 시그널 빔 배광 패턴 형성시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 빔 배광 패턴 및 시그널 빔 배광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리플렉터부(300)에서 반사된 광을 렌즈부(600)의 상측으로 재반사시켜 시그널 빔(PS)을 형성하는 시그널 플레이트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시그널 플레이트부(900)는 상기 제2 영역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 빔 배광 패턴(PL)의 경우에도 전방 시야를 증대시킬 수 있어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시그널 빔(PS)이란 야간에 차량 주행시 도로 표지판 등의 식별을 위한 전방 시야를 증대시키고, 야간 운전자의 원거리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빔이다. 일반적으로 시그널 플레이트부(900)는 좌우폭이 20mm이고 전후 폭이 15mm 정도 요구되지만, 시그널 플레이트부(900)의 폭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 램프(10)를 통해 구성을 간소화시키고 운전자가 원하는 다양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헤드 램프
200: 광원부
300: 리플렉터부
400: 쉐이드부
500: 동력 전달부
600: 렌즈부

Claims (12)

  1.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 상에 배치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의 초점 후방에 배치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
    제1 영역에 위치하는 고정 쉐이드 및 제2 영역을 개폐하는 이동 쉐이드를 구비하는 쉐이드부; 및
    구동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이동 쉐이드를 슬라이딩시켜 상기 제2 영역을 개폐시키는 링케이지를 구비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일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에 접하여 슬라이딩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쉐이드는,
    상기 이동 쉐이드의 타측에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이동 쉐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리세스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세스는,
    만곡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의 타면은 상기 만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차단 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링케이지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는,
    상기 링케이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제2 영역 차폐시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컷오프 라인을 구비하는 로우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 개방시 하이 빔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쉐이드의 상측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리플렉터부에서 반사된 광을 상기 렌즈부의 상측으로 재 반사시켜 시그널 빔을 형성하는 시그널 플레이트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140094131A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60012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31A KR20160012550A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131A KR20160012550A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550A true KR20160012550A (ko) 2016-02-03

Family

ID=55355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131A KR20160012550A (ko) 2014-07-24 2014-07-24 차량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0272A (zh) * 2016-02-04 2018-10-23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灯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5886A1 (en) 2009-07-29 2012-05-31 Ruddock Mark W Method for detection of, or the risk of, bladder can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5886A1 (en) 2009-07-29 2012-05-31 Ruddock Mark W Method for detection of, or the risk of, bladder canc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0272A (zh) * 2016-02-04 2018-10-23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灯具
CN108700272B (zh) * 2016-02-04 2020-08-14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5539B (zh) 车辆用前照灯
KR101315659B1 (ko) 차량용 등기구
EP2551580B1 (en) Vehicle headlamp
US20120051078A1 (en) Vehicle headlamp
KR20190080506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2470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20145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00564B1 (ko) 차량용 램프
JP2013143226A (ja) 車両用前照灯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90009524A (ko) 차량용 램프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102289760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12550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90080434A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KR101707983B1 (ko) 차량용 램프
KR1024465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77721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0529A (ko) 차량용 램프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JP4960747B2 (ja) 車両前照灯
KR20160012547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